신해운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해운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철도역으로, 1934년 해운대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2013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2016년 동해선으로 편입되면서 신해운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의 일반 열차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역 주변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주거 지역이 위치해 있으며, 구 해운대역은 시민들을 위한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해운대구의 전철역 - 센텀역
센텀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동해선 전철역으로, 1934년 수영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과 기능 변화를 거쳐 2016년 센텀역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 쌍섬식 승강장에서 ITX-마음, 무궁화호, 동해선 광역전철이 정차한다. - 부산 해운대구의 전철역 - 장산역
장산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종착역으로 2002년 개통된 지하역이며, 주변에 다양한 편의시설과 상업시설이 있고, 동부산관광단지 및 기장역까지의 노선 연장 계획이 논의 중이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역 - 부산역
부산역은 1908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 철도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으며, 여러 차례 재건축과 2004년 KTX 개통에 따른 리모델링을 거쳐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현재는 KTX, SRT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역 - 사상역 (한국철도공사)
사상역은 1921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경부선과 가야선 열차가 정차하며,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이 가능한 역이다. -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
부전역은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철도역으로, 1943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동해선, 경전선, 경부선 등의 열차 시·종착역이며, 2016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도 기능하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 가능하다. -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 태화강역
태화강역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21년 울산역으로 시작하여 2010년 태화강역으로 변경되었으며, 동해선, 동해선 광역전철, ITX-마음, KTX-이음 열차가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신해운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신해운대역 |
한자 표기 | 新海雲臺驛 |
로마자 표기 | Sinhaeundaeyeok |
역 번호 | K120 |
주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로 427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1934년 7월 15일 |
이전 역 이름 | 해운대역 |
구조 | 반지하역 |
승강장 | 2 |
선로 | 4 |
기타 | 버스 정류장 |
노선 정보 | |
노선 | 동해선 |
전철 노선 | 동해선 광역전철 |
인접 역 | 벡스코역: 동해선 송정역: 동해선 |
지역 서비스 | |
무궁화호 | 부전-동대구: 센텀역 - 기장역 부전-청량리: 센텀역 - 기장역 부전-동해: 센텀역 - 기장역 순천-포항: 센텀역 - 기장역 |
2. 역사
1934년 7월 15일 동해남부선 부산진-해운대 구간 개통과 함께 '''해운대역'''(海運臺驛)으로 영업을 시작했다.[8] 당시 역의 위치는 현재의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 인근(부산진 기점 18.9km)이었다.
2013년 12월 2일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 사업에 따라 수영-기장 구간이 이설되면서 역사를 현재 위치(부산진 기점 20.8km)로 이전하였다.[11]
2016년 12월 30일 역명이 공식적으로 '''신해운대역'''으로 변경되었고,[12][3] 영업거리가 부산진 기점 19.9km로 조정되었으며,[12][3] 동해선 광역전철 운행이 시작되었다.[13][3]
2. 1. 해운대역 (1934-2016)
1934년 7월 15일 동해남부선 부산진 ~ 해운대 구간 개통과 함께 '''해운대역'''(海運臺驛)으로 영업을 시작했다.[8] 당시 역의 위치는 현재의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 근처(부산진 기점 18.9km)였다.1956년 12월 20일에는 군 전용선이 부설되었다.
1987년 11월 4일에는 구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89년 8월 16일부터는 동서통근열차가 운행되었다.
1994년 7월 15일에는 해운대와 서울을 잇는 새마을호 운행이 시작되었다.
2002년 12월 2일 동서통근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2005년 6월 27일 역명의 한자 표기가 海運臺에서 海雲臺로 변경되었다.[9]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같은 해 11월 15일에는 화물 취급도 중지되었다.[10]
2012년 11월 1일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새마을호 운행이 중지되고, 무궁화호로 대체 운행되었다.
2013년 12월 2일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 사업에 따라 수영 ~ 기장 구간이 새로 건설된 선로로 이설되면서, 역사를 북동쪽으로 약 3km 떨어진 현재의 위치(부산진 기점 20.8km)로 이전하였다.[11] 이 역이 현재의 신해운대역이다.
2. 2. 신해운대역 (2016-현재)
- 2016년 4월 29일: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신해운대역'''(Shin-Haeundae)으로 역명 변경 및 동해선 편입이 예정되었다(시행은 광역전철 개통 시).[3]
- 2016년 12월 9일: 수서고속철도(SRT) 개통에 따른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서울-해운대 간 무궁화호가 ITX-새마을로 변경되어 새마을호 등급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고, 부전역 경유 서울 직통 ITX-새마을 운행이 개시되었다.
- 2016년 12월 29일: 신해운대역에서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식이 열렸다.[4]
-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으로 편입되고, 역명이 공식적으로 '''신해운대역'''으로 변경되었다.[12][3] 또한 영업거리가 부산진 기점 19.9km로 변경되었으며,[12][3] 동해선 광역전철 운행이 시작되었다.[13][3]
- 2017년 12월 18일: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로마자 표기가 Shin-Haeundae에서 '''Sinhaeundae'''로 변경되었다.[14][5]
- 2021년 12월: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 2023년 12월 18일: ITX-마음 운행 개시.
3. 역 구조
대합실
승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