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상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상영은 명나라의 제후로, 넷째 아들 주유랑이 남명의 영력제가 되면서 예종으로 추존되었다. 1619년 이경비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호남 형양의 영지로 이주하여 영지를 다스렸다. 관원들의 부패로 인해 건축 자재가 부실하여 건물 붕괴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1643년 장헌충의 세력을 피해 광서로 도망쳤으며, 1646년 4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묘호는 예종, 시호는 체천창도장의온홍흥문선무인지성효단황제이며, 능은 흥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력제의 황자 - 태창제
    만력제의 장남인 태창제는 황태자 책봉 과정의 정쟁과 암살 미수 사건을 겪고 즉위 29일 만에 급서하여,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관련된 미스터리는 명나라 말기 정치적 혼란의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는다.
  • 만력제의 황자 - 주상순
    주상순은 명나라 만력제의 아들로, 복왕에 봉해졌으나 사치를 부리다 이자성의 난 때 처형당했으며, 아들이 황제로 추존했다.
  • 명나라의 불교 신자 - 효자고황후 (명나라)
    효자고황후는 명나라 홍무제 주원장의 황후로서, 홍건적의 난에서 주원장과 혼인하여 명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며, 검소하고 현명하게 내조하며 정치에도 관여하다 1382년에 사망한 후 효자황후로 추존되었다.
  • 명나라의 불교 신자 - 탕화
    탕화는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의 군인으로 주원장을 도와 명나라 건국에 공을 세워 신국공에 봉해졌으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주원장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명나라 초 공신으로 평가받는다.
  • 명나라의 추존황제 - 주상순
    주상순은 명나라 만력제의 아들로, 복왕에 봉해졌으나 사치를 부리다 이자성의 난 때 처형당했으며, 아들이 황제로 추존했다.
  • 명나라의 추존황제 - 주표
    주표는 명나라 홍무제의 장남이자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온순한 성격과 병약한 체질로 요절하여 이후 명나라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주상영
기본 정보
이름주상영 (朱常瀛)
존호계단왕 (桂端王) (추증)
체천창도장의온홍흥문선무인지성효단황제 (體天昌道莊毅溫弘興文宣武仁智誠孝端皇帝) (영력제 추증)
묘호예종 (禮宗)
작위귀왕
재위 기간1601년 – 1645년 12월 21일
계승자주유애 (朱由𣚬), 공왕
출생일1597년 4월 15일 (만력 25년 3월 10일)
사망일1645년 12월 21일 (홍광 원년 11월 4일)
매장지흥릉 (興陵)
부친만력제
모친효정태황태후

2. 생애

이경비(李敬妃)는 주상영(朱常瀛)을 낳은 같은 달에 사망했다.[3] 1643년, 장헌충의 세력을 피해 광서로 도망쳤다.[3]

2. 1. 초기 생애

천계 7년(1627년) 호남 형양(衡陽)의 영지로 옮겼다.[3] 만력 47년(1619년) 8월, 여씨(呂氏)와 결혼했으나, 같은 달에 급사했다.[3]

2. 2. 형양 영지 시절

천계 7년(1627년), 호남 형양(衡陽)의 영지로 이주했다. 관원 황용(黃用)과 고도소(高道素)는 공금인 건축 자금을 착복하여, 명백히 강도가 부족한 자재를 계왕부(桂王府) 공사에 사용했다. 이듬해 숭정(崇禎) 원년(1628년) 9월, 일부 서까래가 붕괴되었으나, 두 관원은 400냥을 뇌물로 주상영에게 주어 무마했다. 숭정(崇禎) 2년(1629년) 3월 3일 새벽, 계왕부의 지붕이 갑자기 무너져 내려 측실 6명과 시녀[3]가 압사했다. 주상영뿐만 아니라 숭정제(崇禎帝)도 크게 분노하여, 황용과 고도소는 처형되었다. 숭정(崇禎) 9년(1636년), 새로운 계왕부가 완공되었다.

2. 3. 사망

朱常瀛|주상영중국어은 융무 원년(1645년) 11월, 광서 오주에서 49세의 나이로 병사했다.[3] 셋째 아들 주유숙이 왕위를 계승했다. 넷째 아들 주유랑남명의 마지막 황제가 되었으며, 주상영에게 황위를 추존하였다. 묘호는 예종(禮宗), 시호는 체천창도장의온홍흥문선무인지성효단황제(體天昌道莊毅溫弘興文宣武仁智誠孝端皇帝)이며, 능은 흥릉(興陵)이다.

3. 가족 관계

부인자녀
효흠단황후 려씨(孝欽端皇后 呂氏)rowspan="3" |
소정황태후 왕씨(孝正皇太后 王氏) (1651년 사망) 王氏|왕씨중국어, 가톨릭 세례명 헬레나[2]
조성황태후 마씨(昭聖太后 馬氏) (1578년–1669년)


  • 아들
  • * 영력제(永历帝) 주유랑(朱由榔) (1623년–1662년), 넷째 아들
  • * 주유?(朱由?), 첫째 아들
  • * 귀민왕(桂閔王) 주유?(朱由?), 둘째 아들
  • * 귀공왕(桂恭王) 주유애(朱由𣜬) (1623년–1646년), 셋째 아들
  • * 영흥왕(永興王) 주유전(朱由榐), 다섯째 아들
  • * 신천왕(新田王) 주유?(朱由?), 여섯째 아들
  • * 강화왕(江華王) 주유?(朱由?), 일곱째 아들
  • * 가선왕(嘉善王) 주유융(朱由榮), 여덟째 아들
  • * 안화공주(安化公主)
  • * 둘째 딸 (1626년 3월 9일 – 1627년 3월 20일)
  • * 광덕공주(廣德公主)

3. 1. 비빈

부인자녀
효흠단황후 려씨(孝欽端皇后 呂氏)영력제(永历帝) 주유랑(朱由榔) (1623년–1662년), 넷째 아들
소정황태후 왕씨(孝正皇太后 王氏) (1651년 사망) 王氏|왕씨중국어, 가톨릭 세례명 헬레나[2]
조성황태후 마씨(昭聖太后 馬氏) (1578년–1669년)
정실: 려씨(呂氏) - 영력제(永暦帝)로부터 효흠단황후(孝欽端皇后)로 추존되었다.
계실: 왕씨(王氏)(王氏|왕씨중국어, Helena|헬레나la) - 영력제(永暦帝)로부터 황태후(皇太后)로 추봉되었다.
측실: 범씨(范氏) - 귀인(貴人, 첩). 세자 주유검(朱由𣜬)의 어머니.
측실: 마씨(馬氏)(馬氏|마씨중국어, Maria|마리아la) - 넷째 아들 주유랑(朱由榔, 후의 영력제(永暦帝))의 어머니. 영력제(永暦帝)로부터 황태후(皇太后)로 추봉되었다.
측실: 손씨(孫氏) - 선시(選侍).
rowspan="8" |주유?(朱由?), 첫째 아들
귀민왕(桂閔王) 주유?(朱由?), 둘째 아들
귀공왕(桂恭王) 주유애(朱由𣜬) (1623년–1646년), 셋째 아들
영흥왕(永興王) 주유전(朱由榐), 다섯째 아들
신천왕(新田王) 주유?(朱由?), 여섯째 아들
강화왕(江華王) 주유?(朱由?), 일곱째 아들
가선왕(嘉善王) 주유융(朱由榮), 여덟째 아들
안화공주(安化公主)
둘째 딸 (1626년 3월 9일 – 1627년 3월 20일)
광덕공주(廣德公主)


3. 2. 자녀

주상영은 효흠단황후 려씨, 소정황태후 왕씨, 조성황태후 마씨를 두었으며, 슬하에 8남 3녀를 두었다.

3. 2. 1. 아들


  • 첫째 아들: 주유?(朱由?)
  • 둘째 아들: 귀민왕(桂閔王) 주유?
  • 셋째 아들: 귀공왕(桂恭王) 주유애(朱由𣜬, 1623년–1646년)
  • 넷째 아들: 영력제(永历帝) 주유랑(朱由榔, 1623년–1662년)
  • 다섯째 아들: 영흥왕(永興王) 주유전(朱由榐)
  • 여섯째 아들: 신천왕(新田王) 주유?(朱由?)
  • 일곱째 아들: 강화왕(江華王) 주유?(朱由?)
  • 여덟째 아들: 가선왕(嘉善王) 주유융(朱由榮)

3. 2. 2. 딸


  • 안화장공주(安化長公主)[2]
  • 둘째 딸 (1626년 3월 9일 – 1627년 3월 20일)[2]
  • 광덕장공주(廣徳長公主)[2]

참조

[1] 서적 Screen of Kings: Royal Art and Power in Ming China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 1: The Qing Period, 1644-1911
[3]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