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아프가니스탄 미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아프가니스탄 미군은 아프가니스탄 정부와의 지위 협정을 통해 아프가니스탄 국가안보군 및 국제안보지원군을 지원하여 치안 안정에 기여했다. 2015년 1월 1일부터는 국제안보지원군을 대체한 확고한 지원 임무와 협력했으나, 이슬람 국가의 등장으로 인해 항구적 자유 작전이 종료된 후에도 철수하지 못했다. 미국의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주둔 기간을 연장하며 병력을 감축할 계획을 발표했으나, 결국 2021년 8월 30일 최종 철수하면서 사실상 해체되었다. 주요 편성으로는 육군, 공군, 태스크포스 등이 있었으며, 역대 지휘관으로는 댄 K. 맥닐, 데이비드 D. 맥키어넌, 스탠리 매크리스털, 데이비드 H. 페트레우스, 존 R. 앨런, 조지프 F. 던포드, 존 F. 캠벨, 존 W. 니콜슨 Jr., 어스틴 S. 밀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아프가니스탄 관계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은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이 탈레반 정권을 응징하고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시작되어, 탈레반 축출과 미군 철수, 탈레반의 재장악으로 종결되었으며, 막대한 인명 피해와 사회적 영향을 남겼다. - 미국-아프가니스탄 관계 - 칸다하르 학살
2012년 3월 11일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 주에서 미군 로버트 베일스 상사가 민간인 16명을 살해한 칸다하르 학살은 아프간 국민들의 반미 감정을 격화시키고 탈레반의 복수를 불러 평화 회담을 중단시켰으며, 베일스 상사는 군사 재판에서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미국 중부 육군
미국 중부 육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한 미국 육군 사령부로, 현재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쇼 공군 기지에 본부를 두고 중동 지역의 안보 협력 및 위기 대응을 담당하는 미국 중앙 사령부의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593원정지원사령부
제593원정지원사령부는 1944년 창설되어 아시아-태평양 전구에서 활동한 미국 육군의 원정지원사령부로서, 여러 전쟁에 참전 후 현재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에 주둔하며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주아프가니스탄 미군 | |
---|---|
기본 정보 | |
![]() | |
원어이름 | United States Forces - Afghanistan |
별명 | USF-A |
표어 | We can...We will |
표어 설명 | 우린 할 수 있다...우린 할 것이다 |
조직 | |
활동 기간 | 2001년 10월 7일 ~ 2021년 8월 30일 |
국가 | 미국 |
역할 | 아프가니스탄 내 모든 미군을 지휘통제함. |
명령 체계 | 미국 중부사령부 |
본부 | 아프가니스탄 카불 |
지휘관 | |
상징 | |
![]() | |
![]() | |
인식표 이름 | SSI/CSSB (육군) |
참전 | |
참전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2. 역사
주아프가니스탄 미군은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맺은 지위협정을 기반으로 활동하였다. 초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국가안보군과 국제안보지원군(ISAF)을 지원하며 아프가니스탄의 치안 안정화에 주력했다. 2015년 1월 1일부터는 ISAF의 임무를 대체한 확고한 지원 임무Resolute Support mission영어와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이슬람 국가(IS)의 등장과 같은 현지 상황의 변화로 인해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가니스탄(OEF-A) 종료 이후에도 미군 철수는 지연되었다. 미국의 대통령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주둔 기간을 연장하되 단계적으로 병력을 감축할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1] 여러 계획 변경 끝에, 최종적으로 2021년 8월 30일 모든 미군 병력이 철수하면서 주아프가니스탄 미군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2. 1. 주요 작전 및 임무 변화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지위협정을 맺고, 아프가니스탄 국가안보군과 국제안보지원군(ISAF)을 지원하며 아프가니스탄의 치안 안정화에 주력하였다. 2015년 1월 1일부터는 국제안보지원군 임무가 종료됨에 따라 이를 대체한 확고한 지원 임무Resolute Support mission|리졸루트 서포트 미션영어와 협력하였다.주아프가니스탄 미군은 이슬람 국가(IS)의 등장 등 아프가니스탄 내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면서,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가니스탄(OEF-A)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철수를 연기하였다. 미국의 대통령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주둔 기간을 연장하되, 병력 규모를 2016년 9,800명, 2017년 5,500명 수준으로 점진적으로 감축하고, 2017년 1월에는 카불 주재 미국 대사관 지원 임무를 종료할 계획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1]
그러나 이후 계획은 변경되었고, 최종적으로 2021년 8월 30일 모든 미군 병력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면서 주아프가니스탄 미군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2. 2. 미군 철수와 그 이후
이슬람 국가(IS)의 등장으로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가니스탄 (OEF-A)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군의 완전 철수는 지연되었다. 미국의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아프가니스탄 주둔 기간을 연장하는 대신, 병력 규모를 점진적으로 감축할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2016년에는 주둔 미군을 9,800명으로, 2017년에는 5,500명으로 줄이고, 같은 해 1월에는 카불에 위치한 미국 대사관을 폐쇄할 예정이었다.[1]그러나 이후 상황 변화로 철수 계획은 여러 차례 수정되었고, 최종적으로 2021년 8월 30일, 모든 주아프가니스탄 미군 병력이 철수하면서 조직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3. 편성
주아프가니스탄 미군은 미국 육군, 미국 공군, 미국 해병대 등 다양한 군종의 부대로 구성되었고, 임무 수행을 위해 여러 태스크포스가 운영되었다. 특히 미국 육군은 공병, 특수작전, 지원, 안보 이전 지원, 산악, 공수, 의무, 통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대들을 파견하였다.
2011년 3월 31일을 기준으로 한 상세한 부대 편성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2]
3. 1. 2011년 3월 기준
2011년 3월 31일 기준,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편성 목록은 다음과 같다.[2]3. 1. 1. 육군
2011년 3월 31일 기준 주둔 육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2]- 미국 육군 공병대 [https://www.tad.usace.army.mil/ 범대서 지부] (TAD FWD-A), [https://www.tad.usace.army.mil/About/TransatlanticAfghanistanDistrict.aspx 아프가니스탄 지구] (Afghanistan Engineer District영어)
- * 북아프가니스탄 공병관구 (Afghanistan Engineer District - North영어)
- 아프가니스탄 합동지원사령부 (Joint Susmtainment Command - Afghanistan영어)
- 아프가니스탄 연합전력특수작전구성사령부 (Combined Joint Special Operations Task Force - Afghanistan영어, CJSOTF-A)
- * 아프가니스탄 연합합동특수작전태스크포스 (CJSOTF-Afghanistan)
- ** 제3특전단
- 아프가니스탄 연합안보이전사령부 (Combined Security Transition Command - Afghanistan영어, CSTC-A)
- 제10산악사단
- 제101공수사단
- 제176공병여단
- * 제2공병대대
- * 제112공병대대
- 제62의무여단
- 제196기동강화여단
- 제359통신여단 (전구)(전술)
3. 1. 2. 공군
3. 1. 3. 태스크포스
4. 역대 지휘관
주아프가니스탄 미군 사령관은 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동안 미국 중부사령부 예하에서 작전을 총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에는 국제안보지원군(ISAF) 사령관을 겸임하였으며, 2015년부터는 확고한 지원 임무(RSM) 사령관으로서 아프가니스탄 국가 방위 및 보안군(ANDSF)에 대한 훈련, 자문, 지원 임무를 지휘했다. 역대 사령관들은 변화하는 전장 상황과 미국의 정책 목표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수행했으며, 아프가니스탄의 안정과 재건 노력에 깊이 관여했다.
4. 1. 주요 지휘관
wikitext# | 사진 | 군종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비고 |
---|---|---|---|---|---|---|
![]() | 육군 | 대장 Dan K. McNeill|댄 K. 맥닐eng | 2007년 2월 | 2008년 6월 | 제10대 국제안보지원군 (ISAF) 사령관 | |
![]() | 육군 | 대장 David D. McKiernan|데이비드 D. 맥 키어넌eng | 2008년 6월 | 2009년 6월 | 제11대 국제안보지원군 (ISAF) 사령관 | |
![]() | 육군 | 대장 Stanley A. McChrystal|스탠리 매크리스털eng | 2009년 6월 | 2010년 6월 | 제12대 국제안보지원군 (ISAF) 사령관 | |
![]() | 육군 | 대장 David H. Petraeus|데이비드 H. 페트레우스eng | 2010년 7월 | 2011년 7월 | 제13대 국제안보지원군 (ISAF) 사령관 | |
![]() | 해병대 | 대장 John R. Allen|존 R. 앨런eng | 2011년 7월 | 2013년 2월 | 제14대 국제안보지원군 (ISAF) 사령관 | |
해병대 | 대장 Joseph F. Dunford|조지프 F. 던포드eng | 2013년 2월 | 2014년 8월 | 제15대 국제안보지원군 (ISAF) 사령관 | ||
![]() | 육군 | 대장 John F. Campbell|존 F. 캠벨eng | 2014년 8월 | 2015년 1월 | 마지막 국제안보지원군 (ISAF) 사령관 | |
육군 | 대장 John F. Campbell|존 F. 캠벨eng | 2015년 1월 | 2016년 3월 | 초대 확고한 지원 임무 (RSM) 사령관 | ||
![]() | 육군 | 대장 John W. Nicholson Jr.|존 W. 니콜슨 Jr.eng | 2016년 3월 30일 | 2018년 9월 2일 | 제2대 확고한 지원 임무 (RSM) 사령관 | |
![]() | 육군 | 대장 Austin S. Miller|어스틴 S. 밀러eng | 2018년 9월 2일 | 2021년 8월 30일 | 제3대 확고한 지원 임무 (RSM) 사령관[4] |
참조
[1]
뉴스
Obama extends US military presence in Afghanistan
http://www.aljazeera[...]
알 자지라
2015-10-16
[2]
웹인용
Operation Enduring Freedom - Afghanistan [OEF-A] US and Coalition Forces Order of Battle March 2011
https://www.globalse[...]
globalsecurity.org
2011-11-21
[3]
웹인용
577th Expeditionary Prime Beef Group
http://usafunithisto[...]
2011-01-17
[4]
뉴스
Miller Takes Over NATO, U.S. Commands in Afghanistan
https://dod.defense.[...]
DoD News, Defense Media Activity
2018-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