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안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안동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지역이다. 붉은 언덕을 의미하는 '주안(朱岸)'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에는 현재의 간석동, 구월동, 십정동 일대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었다. 1910년 경인선 주안역 설치를 계기로 '주안'이라는 지명이 특정 지역을 가리키게 되었고, 1936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주안정으로 개칭되었다가 1946년 주안동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주안역과 간석역이 지나가며, 주안노인복지센터, 여러 학교, 경인방송 iFM 수봉산 송신소 등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또한, 도시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노후 주거지 개선 및 생활 인프라 확충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미추홀구의 행정 구역 - 용현동 (인천)
용현동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법정동으로, 과거 용정리에서 이름이 바뀌었고, 용현2동과 5동 일대는 토지금고라는 지명으로도 불리며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인천 미추홀구의 행정 구역 - 도화동 (인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도화동은 과거 다소면의 여러 동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앵정으로 불렸으며, 경인고속도로와 경인선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자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와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가 위치한 지역이다. - 인천 미추홀구의 법정동 - 용현동 (인천)
용현동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법정동으로, 과거 용정리에서 이름이 바뀌었고, 용현2동과 5동 일대는 토지금고라는 지명으로도 불리며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인천 미추홀구의 법정동 - 도화동 (인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도화동은 과거 다소면의 여러 동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앵정으로 불렸으며, 경인고속도로와 경인선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자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와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가 위치한 지역이다. - 1950년 폐지 - 인도 자치령
인도 자치령은 1947년 영국령 인도 분할로 수립되어 자와할랄 네루 총리와 조지 6세 국왕 체제 하에 존속하다 1950년 인도 공화국으로 전환되는 동안 종교 갈등, 난민 문제, 번왕국 통합, 카슈미르 전쟁, 헌법 제정 등 격동적인 시기를 겪었다. - 1950년 폐지 - 영등포동
영등포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영등포본동의 행정동 명칭으로 사용되며,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서울영원초등학교, 영원중학교 등이 위치하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등이 지나간다.
주안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안1동 |
한자 표기 | 朱安1洞 |
로마자 표기 | Juan 1(il)-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법정동 | 주안동 |
면적 | 0.61 |
세대 | 10,283 |
세대 조사 | 2017.12.31. |
인구 | 20,678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통 | 17 |
반 | 87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서로53번길 22 |
홈페이지 | 주안1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안2동 |
한자 표기 | 朱安2洞 |
로마자 표기 | Juan 2(i)-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법정동 | 주안동 |
면적 | 0.99 |
세대 | 10,296 |
세대 조사 | 2017.12.31. |
인구 | 16,764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통 | 41 |
반 | 212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남주길43번길 14-29 |
홈페이지 | 주안2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안3동 |
한자 표기 | 朱安3洞 |
로마자 표기 | Juan 3(sam)-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법정동 | 주안동 |
면적 | 0.46 |
세대 | 5,246 |
세대 조사 | 2012.12.31. |
인구 | 8,715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통 | 21 |
반 | 111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하로 212 |
홈페이지 | 주안3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안4동 |
한자 표기 | 朱安4洞 |
로마자 표기 | Juan 4(sa)-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법정동 | 주안동 |
면적 | 0.96 |
세대 | 9,160 |
세대 조사 | 2017.12.31. |
인구 | 13,378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통 | 38 |
반 | 206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구월남로 5 |
홈페이지 | 주안4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안5동 |
한자 표기 | 朱安5洞 |
로마자 표기 | Juan 5(o)-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법정동 | 주안동 |
면적 | 1.18 |
세대 | 9,213 |
세대 조사 | 2017.12.31. |
인구 | 20,762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통 | 39 |
반 | 168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461번길 21 |
홈페이지 | 주안5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안6동 |
한자 표기 | 朱安6洞 |
로마자 표기 | Juan 6(yuk)-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법정동 | 주안동 |
면적 | 0.62 |
세대 | 10,183 |
세대 조사 | 2017.12.31. |
인구 | 21,934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통 | 20 |
반 | 103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원대로864번길 59 |
홈페이지 | 주안6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안7동 |
한자 표기 | 朱安7洞 |
로마자 표기 | Juan 7(chil)-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법정동 | 주안동 |
면적 | 0.52 |
세대 | 6,218 |
세대 조사 | 2017.12.31. |
인구 | 12,474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통 | 27 |
반 | 120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하로 265 |
홈페이지 | 주안7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안8동 |
한자 표기 | 朱安8洞 |
로마자 표기 | Juan 8(pal)-dong |
광역시도 | 인천광역시 |
시군구 | 미추홀구 |
법정동 | 주안동 |
면적 | 0.84 |
세대 | 9,284 |
세대 조사 | 2017.12.31. |
인구 | 21,012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통 | 33 |
반 | 146 |
동주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주대로470번길 24 |
홈페이지 | 주안8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 유래 ===
'주안(朱安)'이라는 이름은 붉은 빛을 띤 만월산의 서쪽 아래를 붉은 언덕, 주안(朱岸)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조선 후기 주안면은 현재의 간석동, 구월동, 십정동 및 주안동 석바위 일대를 관할하는 지역이었다. 1908년 대한제국에서 십정리(현 십정동) 일대에 제염시험장을 설치하였으며, 이듬해 주안염전으로 이름을 바꿨다. 1909년부터 1918년까지 주안염전을 확장하면서 소금 운송을 쉽게 하기 위하여 1910년 10월 십정리에서 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충훈부리에 경인선 주안역을 설치하면서 '주안'이라는 이름이 지칭하는 지역이 이동하였다.[1]
=== 연혁 ===
- 1903년 8월: 인천부 다소면 충훈부리(忠勳府里), 사미리(士美里)였다.[1]
- 1906년 5월: 충훈부리를 충훈리(忠勳里)로 이름을 바꾸었다.[1]
- 1914년 4월 1일: 부천군 신설, 다소면과 주안면을 합하여 다주면으로 칭하면서 부천군 다주면에 속하게 되었다.[1]
- 1914년 11월 20일: 충훈리와 사미리를 합하여 사충리(士忠里)로 칭하였다.[1]
- 1936년 10월 1일: 간석리, 관교리와 승기리의 각 일부를 편입, 인천부에 재편입하여 주안정(朱安町)으로 개칭하였다. 이때 주안정으로 편입된 간석리, 관교리와 승기리의 각 일부는 오늘날의 주안6동 동부, 주안7동 남부와 주안8동에 해당한다.[1]
- 1946년 1월 9일: 주안정을 주안동으로 개칭하였다.[1]
- 1968년: 구제 실시에 따라 인천시 남구 주안동이 되었다.[1]
2. 1. 유래
'주안(朱安)'이라는 이름은 붉은 빛을 띤 만월산의 서쪽 아래를 붉은 언덕, 주안(朱岸)이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조선 후기 주안면은 현재의 간석동, 구월동, 십정동 및 주안동 석바위 일대를 관할하는 지역이었다. 1908년 대한제국에서 십정리(현 십정동) 일대에 제염시험장을 설치하였으며, 이듬해 주안염전으로 이름을 바꿨다. 1909년부터 1918년까지 주안염전을 확장하면서 소금 운송을 쉽게 하기 위하여 1910년 10월 십정리에서 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충훈부리에 경인선 주안역을 설치하면서 '주안'이라는 이름이 지칭하는 지역이 이동하였다.[1]충훈부리는 구 시민회관 사거리 일대에, 사미리는 주안7동 일대에 해당하는 마을이었다. 주안4동과 주안6동 일대는 석암리(石巖里, 석바위)·석촌(石村, 돌말)으로 불렸다.[1] 주안7동 신기사거리(신기시장) 주변 지역은 신기촌(新基村)이라고 불리는데, 인천도호부 청사가 있던 현 관교동 관청말이라는 마을 뒤편에 새롭게 터를 잡은 마을이라는 뜻이다.[2] 신기시장 주변은 원래 관교리의 일부였으나 1936년 인천부 재편입으로 주안정에 편입되었다.
2. 2. 연혁
- 1903년 8월: 인천부 다소면 충훈부리(忠勳府里), 사미리(士美里)였다.[1]
- 1906년 5월: 충훈부리를 충훈리(忠勳里)로 이름을 바꾸었다.[1]
- 1914년 4월 1일: 부천군 신설, 다소면과 주안면을 합하여 다주면으로 칭하면서 부천군 다주면에 속하게 되었다.[1]
- 1914년 11월 20일: 충훈리와 사미리를 합하여 사충리(士忠里)로 칭하였다.[1]
- 1936년 10월 1일: 간석리, 관교리와 승기리의 각 일부를 편입, 인천부에 재편입하여 주안정(朱安町)으로 개칭하였다. 이때 주안정으로 편입된 간석리, 관교리와 승기리의 각 일부는 오늘날의 주안6동 동부, 주안7동 남부와 주안8동에 해당한다.[1]
- 1946년 1월 9일: 주안정을 주안동으로 개칭하였다.[1]
- 1968년: 구제 실시에 따라 인천시 남구 주안동이 되었다.[1]
3. 교통
수도권 전철 1호선 주안역과 간석역이 주안동을 지난다.
4. 복지
주안노인복지센터가 있다.
5. 교육
학교명 | 구분 |
---|---|
인천남부초등학교 | 초등학교 |
인천석암초등학교 | 초등학교 |
인천주안초등학교 | 초등학교 |
인천주안남초등학교 | 초등학교 |
인천주안북초등학교 | 초등학교 |
제물포여자중학교 | 중학교 |
인천고등학교 | 고등학교 |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 고등학교 |
6. 방송 시설
경인방송 iFM 수봉산 송신소가 있다.
7. 도시 재개발
주안동에서는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광우, 국영, 한라, 삼용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이 일대의 단독 주택, 빌라, 교회, 빌딩, 상가주택, 목욕탕, 음식점 건물 등을 묶어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구월·간석동 방면의 주안4동에서는 한미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다가구 주택, 연립주택, 빌라, 단독주택, 상가주택 등을 철거하는 등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천주안초등학교 옛 교사 건물 자리에는 주변 상가 및 일부 주택과 함께 초고층 아파트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다만, 주안초등학교가 현재의 서쪽 자리로 이전한 곳에는 원래 다세대주택, 빌라, 소공원 등이 있었다. 북쪽에는 모텔 등 숙박 시설과 함께 도시형 생활주택, 오피스텔, 주상복합 아파트 등이 계속 들어서고 있다.
8. 사진
참조
[1]
뉴스
소금밭 따라온 지명… 이젠 흔적 없이 이름만 남았구나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17-07-09
[2]
웹사이트
인천광역시 지명의 유래 - 주안동 신기사거리
http://www.incheon.g[...]
2017-07-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인천 공사 현장서 추락 사고 잇따라…노동자 2명 숨져
또 2명 추락사···인천서 4일간 노동자 3명 숨지고, 1명 중상
인천 공사장에서 잇따라 추락사고 …노동자 2명 숨져
인천 주안동 아파트 공사장서 50대 노동자 추락해 중상
인천서 무면허 음주운전한 20대 남성 검거
인천 주안동 인도서 깊이 1m 땅꺼짐…경찰 안전조치
채팅 앱으로 만난 남성 폭행하고 돈 뜯은 20대 남녀 3명 검거
“편의점 배달 가장 많은 곳은 신림동”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