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화동 (인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화동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1910년 5개 동을 통합하여 '도화리'로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앵정'으로 개칭되었으나, 1946년 '도화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경인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지나며, 도화역과 제물포역이 위치해 있다. 인접 지역으로는 주안동, 숭의동, 송림동, 가좌동이 있으며, 교육 시설로는 인천대학교, 청운대학교, 여러 중고등학교, 초등학교, 도서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미추홀구의 행정 구역 - 주안동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은 만월산 서쪽 붉은 언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과거 넓은 지역을 관할했으며, 일제강점기 명칭 변경 후 해방되어 현재는 주안역을 중심으로 도시 개발과 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인 지역이다.
  • 인천 미추홀구의 행정 구역 - 용현동 (인천)
    용현동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법정동으로, 과거 용정리에서 이름이 바뀌었고, 용현2동과 5동 일대는 토지금고라는 지명으로도 불리며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인천 미추홀구의 법정동 - 주안동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은 만월산 서쪽 붉은 언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과거 넓은 지역을 관할했으며, 일제강점기 명칭 변경 후 해방되어 현재는 주안역을 중심으로 도시 개발과 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인 지역이다.
  • 인천 미추홀구의 법정동 - 용현동 (인천)
    용현동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법정동으로, 과거 용정리에서 이름이 바뀌었고, 용현2동과 5동 일대는 토지금고라는 지명으로도 불리며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1956년 폐지 - 프랑스령 튀니지
    프랑스령 튀니지는 1881년부터 1956년까지 프랑스의 보호령이었던 튀니지 시대로, 프랑스가 군사적 개입과 바르도 조약을 통해 보호령을 선포한 후 튀니지의 각 분야를 통치하며 튀니지인들의 민족주의 운동 끝에 독립을 맞이했다.
  • 1956년 폐지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이 핀란드 영토를 기반으로 카렐리야 지역에 수립한 공화국이며,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이 설립 기반을 마련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핀란드에 점령당했다가 재점령되어 러시아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도화동 (인천)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이름도화1동
한자 표기道禾1洞
영어 표기Dohwa 1(il)-dong
광역시도인천광역시
시군구미추홀구
면적0.92
세대8,434 (2012년 12월 31일 기준)
인구23,317 (2022년 2월 기준)
법정동도화동
29
163
동주민센터 주소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 295
홈페이지도화1동 행정복지센터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이름도화2.3동
한자 표기道禾2.3洞
영어 표기Dohwa 2(i), 3(sam)-dong
광역시도인천광역시
시군구미추홀구
면적2.91
세대11,533 (2019년 1월 1일 기준)
인구33,034 (2022년 2월 기준)
법정동도화동
44
236
동주민센터 주소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장고개로 29-1
홈페이지도화2,3동 행정복지센터

2. 역사

1910년 다소면 매동, 옥정동, 화동(숙달), 상도마동(윗도마다리), 하도마동(아랫도마다리) 등 5개 동을 통합하여 "도화리"로 하였다. 1913년 부, 군, 면 폐합으로 부천군 다주면 도화리가 되었다. 1936년 일제강점기 인천부 구역에 편입되면서 앵정(桜町, さくらちょう|사쿠라초일본어)으로 개칭되었다.

1946년 1월 1일 광복 이후 "도화동"으로 동명이 개칭되었다. 1956년 10월 1일 도화동이 도화1동도화2동으로 분동되었고, 1968년 인천시의 구제 실시로 경기도 인천시 남구 도화동이 되었다. 1977년 1월 1일 도화2동도화2서부동도화2동부동으로 분리되었다가, 1977년 5월 10일 도화2동부동도화2동, 도화2서부동도화3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1년 9월 1일 인천시인천직할시로 승격함에 따라 인천직할시 남구 도화동이 되었고,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이 되었다. 2009년 2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 조례 개정에 따라 도화2동도화3동도화2·3동으로 통합되었으며, 2018년 7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미추홀구로 개칭됨에 따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이 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이전

1910년 이전에는 다소면 매동, 옥정동, 화동(숙달), 상도마동(윗도마다리), 하도마동(아랫도마다리)이었다.

2. 2. 일제강점기

1910년 다소면 매동, 옥정동, 화동(숙달), 상도마동(윗도마다리), 하도마동(아랫도마다리) 등 5개 동을 통합하여 "도화리"로 하였다. 1913년 부, 군, 면 폐합으로 부천군 다주면 도화리가 되었다. 1936년, 일제강점기 인천부 구역에 편입되면서 앵정(桜町, さくらちょう|사쿠라초일본어)으로 개칭되었다. 이는 일제가 한국의 지명을 일본식으로 바꾼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1946년 1월 1일, 광복 이후 "도화동"으로 동명이 다시 바뀌었다.

2. 3. 해방 이후

1946년 1월 1일, 도화동으로 동명이 개칭되었다.

1956년 10월 1일, 도화동이 도화1동도화2동으로 분동되었다.

1968년, 인천시의 구제 실시로, 경기도 인천시 남구 도화동이 되었다.

1977년 1월 1일, 도화2동도화2서부동도화2동부동으로 분리되었다.

1977년 5월 10일, 도화2동부동도화2동으로, 도화2서부동도화3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1년 9월 1일, 인천시인천직할시로 승격함에 따라, 인천직할시 남구 도화동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이 되었다.

2009년 2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 조례 개정에 따라 도화2동도화3동도화2·3동으로 통합되었다.

2018년 7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 명칭 변경에 관한 법률에 의거 인천광역시 남구미추홀구로 개칭됨에 따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지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있는 도화동은 동쪽으로 경인고속도로, 남쪽으로 경인선 철도를 경계로 한다. 서쪽으로는 서구 가좌동, 북쪽으로는 동구 송림동과 접한다.

도화동 서쪽 지역에는 여러 중·고등학교가 있다. 이 학교들은 법적으로 공립학교이지만, 지역 주민들은 옛 명칭인 선인재단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대부분의 학과는 2009년 9월 송도신도시로 이전했고, 기존 부지 일부는 청운대학교에 매각되어 2013년 3월 인천캠퍼스가 개교했다.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부지 주변 재개발로 주변 상인들의 보상비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제물포역 주변에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도화역 주변에는 단독주택 및 3~17층 높이의 아파트들이 들어선 주택지가 있다. 대화초등학교 북쪽(구 도화3동 지역)에는 준공업지역이 있다. 출퇴근 시간에는 도화오거리 주변 교통 정체가 심하다.

최근 인구 감소로 도화2동과 도화3동은 도화2·3동으로 통합되었다.

3. 1. 인접 지역

도화동은 동쪽으로 경인고속도로를 경계로 미추홀구 주안동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경인선 철도를 경계로 미추홀구 숭의동과 접한다. 도화 나들목을 통해 경인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있으며, 동쪽 남쪽에는 도화역, 남서쪽에는 제물포역이 있어 철도 이용도 편리하다.

서쪽으로는 서구 가좌동과 접하며, 북쪽으로는 동구 송림동과 접한다.

3. 2. 교통

동의 동쪽 경계로 경인고속도로가 지나고, 남쪽의 도화1동과 2·3동 경계에 경인선 철도가 지나간다. 도화 나들목이 도화1동에 있어 고속도로 진입이 용이하다. 동의 남동쪽에는 도화역, 남서쪽에는 제물포역이 있어 철도 이용도 편리하다.

한국철도공사
: (주안동) ← 도화역 - 제물포역 → (숭의동)

도화동을 지나는 시내버스는 다음과 같다.

종류노선 번호
지선버스2, 4, 7, 10, 11, 12, 13, 14, 15, 21, 22, 23, 24, 28, 28-1, 33, 62, 63, 67-1, 72, 63, 81, 82, 112
간선버스510, 511, 512, 517, 519, 566
광역버스9100
좌석버스306, 306A, 307, 790, 800
시외버스8850, 8851


4. 특징

동은 경인고속도로경인선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도화 나들목을 통해 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있으며, 도화역제물포역을 통해 철도를 이용할 수 있다. 제물포역 주변에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도화역 주변은 주택가와 준공업지역이 혼재되어 있다. 다만, 출퇴근 시간에는 도화5거리 주변의 교통 정체가 심각하다. 최근 인구 감소로 도화2동과 도화3동은 도화2·3동으로 통합되었다.

4. 1. 교육

동의 서쪽 지역은 여러 중·고등학교가 위치하며, 법적으로는 선인재단이 해체되어 공립학교로 전환되었지만, 지역 주민들은 여전히 옛 명칭인 선인재단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에 있던 대부분의 학과는 2009년 9월 송도신도시로 이전하였고, 기존 부지의 일부는 청운대학교에 매각되어 2013년 3월 인천캠퍼스가 개교하였다.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부지 주변 재개발로 인해 주변 상인들의 보상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4. 2. 상권

제물포역 주변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4. 3. 주거 환경

도화역 주변은 단독주택 및 3~17층 높이의 아파트들이 들어선 주택지로 이루어져 있다. 대화초등학교 북쪽(구 도화3동 지역)으로는 준공업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 아파트

  • 한신공영 도화4구역 한신휴플러스 (도화동) : 입주미정.

4. 4. 교통 문제

동의 동쪽 경계에는 경인고속도로가 지나고, 남쪽의 도화1동과 도화2·3동 경계에는 경인선 철도가 지난다. 도화 나들목이 도화1동에 있어 고속도로 진입이 용이하며, 동의 남동쪽에는 도화역, 남서쪽에는 제물포역이 있어 철도 이용도 편리하다. 그러나 출퇴근 시간에는 도화5거리 주변의 정체가 심각하다.

5. 교육·문화 기관

국공립대학교인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와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국공립전문대학인 인천전문대학이 있다. 고등학교는 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 선인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인화여자고등학교가 있다. 중학교선인중학교, 선화여자중학교, 인화여자중학교가 있고, 초등학교인천대화초등학교, 인천도화초등학교, 인천서화초등학교가 있다. 도서관으로는 수봉도서관이 있다.

5. 1. 대학교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와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가 있다.

5. 2. 전문대학

인천전문대학

5. 3. 고등학교

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

선인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인화여자고등학교

5. 4. 중학교

선인중학교

선화여자중학교

인화여자중학교

5. 5. 초등학교

5. 6. 도서관

수봉도서관

6. 행정동

행정동주민센터 위치면적인구 (세대)통반 조직비고
도화1동경인로 2950.92km220,269명 (8,060세대)29통 163반2009년 1월 31일 기준
도화2·3동장고개로 29-12.91km226,933명 (11,533세대)44통 236반2019년 1월 1일 기준


6. 1. 도화1동

도화1동 주민자치센터(석바위로 방향)

  • 동 주민센터 위치: 경인로 295 (도화1동 391-11)
  • 면적: 0.92km2
  • 인구 (2009년 1월 31일 기준): 20,269명 (8,060세대) - 남자 10,109명, 여자 10,160명
  • 통반조직 (2009년 1월 31일 기준): 29통 163반
  • [http://namgu.incheon.kr/dongoffice/index.asp?dong_idx=294 도화1동 홈페이지]

6. 2. 도화2·3동

도화2·3동 주민센터는 장고개로 29-1(도화동 64-7)에 있다. 면적은 2.91km2이다. 2019년 1월 1일 기준 인구는 26,933명(11,533세대)이며, 남자는 13,709명, 여자는 13,224명이다. 통반 조직은 44통 236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자세한 정보는 도화2·3동 홈페이지(http://namgu.incheon.kr/dongoffice/index.asp?dong_idx=295)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통계

항목내용
면적3.85km2
인구45,311명
인구 밀도11,769명/km2
세대수18,627세대
세대당 인구2.43명
성별인구비율
남자23,052명50.9%
여자22,259명4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