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중국 미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중국 미국 대사관은 청나라 시기부터 시작되어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시기를 거치며 베이징에 설치된 미국 외교 공관이다. 1979년 주중국 미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며, 2008년 현재의 청사를 개관했다. 톈안먼 사건 당시 팡리즈의 망명 신청, 대기질 모니터링 논란, 천광청 사건 등 여러 사건의 배경이 되었으며, 2018년에는 인권 보고서를 게재하기도 했다. 베이징을 포함한 11개 지역을 관할하며, 상하이, 광저우, 선양, 우한에 총영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재외 공관 - 주한 미국 대사관
    주한 미국 대사관은 1883년 서울에 처음 설치되어 대한민국과 미국의 외교 관계를 대표하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여 미국 시민 서비스, 비자 발급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한국 정치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국의 재외 공관 - 미국재대만협회
    미국재대만협회는 1979년 미국과 중화민국 간 외교 관계 단절 이후 설립되어 미국의 대만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사실상 미국 대사관 및 총영사관 역할을 수행한다.
  • 베이징 주재 공관 -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주재하며, 1992년 한중 수교와 함께 대사관으로 승격되었고, 역대 공관장과 관련 사건들이 존재한다.
  • 베이징 주재 공관 - 주중국 키프로스 대사관
    주중국 키프로스 대사관은 키프로스 공화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위해 베이징에 설치한 대사관으로, 1971년 양국 수교 후 1981년 정식 개관하여 베이징시 차오양구 량마허난루에 위치한다.
  • 차오양구 (베이징시)의 건축물 - 베이징 중의약 대학교
    베이징 중의약 대학교는 1956년 베이징에 설립되어 중의학 관련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며, 국가중점대학으로 지정되고 관련 대학과의 통합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의 관리를 받는 핵심 대학이다.
  • 차오양구 (베이징시)의 건축물 -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
    베이징 노동자 경기장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주년 기념으로 1959년 건설되어 주요 스포츠 행사 경기장 및 베이징 궈안 홈구장으로 사용되었고, 노후화로 철거 후 2023년 새로운 경기장으로 재건축되었으며 스포츠 경기 외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되었던 장소이다.
주중국 미국 대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개요
주중국 미국 대사관 문장
주중국 미국 대사관 문장
대사관 건물
위에서 바라본 대사관
주소차오양구 안자러우루 55호, 베이징시, 중국
대사R. 니컬러스 번스
웹사이트주중국 미국 대사관
기본 정보
설립일1973년 5월 (주베이징 미국 연락 사무소 설립)
1979년 3월 (주중국 미국 대사관으로 승격)
전신주베이징 미국 연락 사무소
소재지베이징시 차오양구 안자러우루 55호
北京市朝阳区安家楼路55号
관할베이징시, 톈진시, 간쑤성, 허베이성, 내몽골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둥성, 산시성(山西省), 산시성(陝西省), 칭하이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기관장 직책대사
기관장 성명니컬러스 번스 ()
상급 기관미국 국무부

2. 역사

대사 게리 로크천광청 (베이징 주재 미국 대사관 내부)


주중국 미국 대사관의 역사는 청나라,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시대로 구분된다. 현재의 대사관은 2008년 8월 8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에 의해 개관되었으며,[3] 바그다드 주재 미국 대사관, 예레반 주재 미국 대사관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미국 외교 공관이다.

1935년 난징에서 공사관이 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나, 1949년 중국 국민당의 중국 내전으로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베이로 이전하면서 대사관이 1953년 다시 문을 열었다. 1979년 1월 1일, 중국 공산당과의 관계 정상화 이후 베이징으로 대사관이 이전되었다.[4]

약 46451.52m2 (약 46451.5m2) 규모의 8층 건물은 투명 및 불투명 유리를 많이 사용했다. 대사관 창고는 순이구 베이징 톈주 공항 산업 단지에 있다.[5]

대사관은 법적으로 중국 정부의 관할권 밖에 있어, 가택 연금에서 탈출한 중국 반체제 인사 천광청의 은신처로 사용되었다.[6]

2. 1. 청나라 시기

옛 주중국 미국 대사관 청사 (현재는 주중국 미국 대사 관저로 사용되고 있음)


주중국 미국 대사관의 역사는 청나라 동치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2차 아편 전쟁 이후에 톈진 조약이 체결되면서 영국(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프랑스가 잇따라 베이징시에 위치한 동교민항(東交民巷)에 공사관을 설치했다. 1862년에는 미국이 영국, 프랑스에 이어 동교민항로 이남, 어하(御河) 이서 지역에 공사관을 설치했는데 이는 주청 러시아 제국 공사관의 남쪽, 주청 네덜란드 공사관의 동쪽에 있었다. 이후 주청 미국 공사관은 네덜란드 공사관 동쪽 끝에서 서쪽 끝인 지금의 첸먼둥제(前門東街) 23호로 이전되었다.[32]

2. 2. 중화민국 시기

1928년 중화민국 국민정부가 수도를 난징시로 이전하면서 미국 정부는 주난징 공사관을 설치했다. 난징 주재 미국 공사관 청사는 상하이루(上海路) 82호에 있었다. 1935년 넬슨 T. 존슨(Nelson T. Johnson)이 초대 주중화민국 미국 대사로 임명되면서 주난징 미국 공사관은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32]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주난징 미국 대사관은 임시 수도였던 충칭시로 이전했다.[33] 충칭 주재 미국 대사관 청사는 위중구 젠캉루(健康路) 1호에 있었다.[34] 1938년 8월에는 넬슨 T. 존슨 대사가 대사관 직원들과 함께 충칭시로 피신했다.[34] 충칭 주재 미국 대사관은 바로크 건축 양식을 띤 벽돌 목조 건축물이었다.[34]

1946년 국민정부가 난징으로 복귀하면서 주충칭 미국 대사관도 난징으로 이전했다. 1946년 4월, 주난징 미국 대사관이 시캉루(西康路) 33호(현재의 시캉루 18호)에 설립되었다.[33]

국공 내전 중이던 1949년 중국 인민해방군이 난징에 입성하면서 존 레이튼 스튜어트(John Leighton Stuart) 주중화민국 미국 대사는 1949년 8월에 난징을 떠나 미국으로 귀국했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50년 2월 18일 중국 난징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외교관인 레너드 L. 베이컨(Leonard L. Bacon)이 미국으로 귀국하면서 주난징 미국 대사관은 폐쇄되었다.[33]

1949년 12월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전하면서, 미국은 1950년타이베이시에 주타이베이 미국 대사관을 설치했다. 1979년 1월 1일 미국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중화민국과 단교하면서, 주타이베이 미국 대사관은 1979년 2월 28일 폐쇄되었다.[35]

2. 3.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주중국 미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는 미국 해병대 대사관경비단 소속 병사들을 만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1972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중화인민공화국 방문을 계기로 미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을 추진했다. 1973년 5월 베이징에 연락 사무소를 설치했고, 1979년 1월 1일 미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주베이징 미국 연락 사무소는 주중국 미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초대 대사관은 베이징 젠궈먼(建國門) 밖 제1대사관 구역 내 슈수이베이제(秀水北街) 3호에 있었다.[4]

2004년 베이징 량마허(亮馬河) 인근 차오양구 안자러우루(安家樓路) 55호에 위치한 제3대사관 구역에 새 대사관 건립이 시작되어 2008년에 완공되었다. 이는 미국 국무부 역사상 두 번째로 큰 해외 건축물 건립 사업이었다. 새 대사관은 40468.6m2 부지에 5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8층 규모의 주 건물, 정원 건물, 해병대 위병 초소, 영사·비자 사무소, 다목적 부속 건물을 포함한다. 규모는 이라크 바그다드 주재 미국 대사관, 아르메니아 예레반 주재 미국 대사관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크다.[3]

새 대사관은 에너지 절약과 지속 가능한 설계를 중시하고, 중국 전통 건축 양식을 본뜬 경관 디자인을 채택했다. 대사관 안에는 마야 린, 차이궈창, 베티 우드먼, 로버트 라우션버그, 지윈페이, 제프 쿤스, 하이보, 마틴 퍼이어 등 미국과 중국 양국 예술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39]

현재 대사관은 2008년 8월 8일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개관 및 헌납했다.[3] 약 46451.52m2 규모의 8층 건물은 독립형 투명 및 불투명 유리를 많이 사용했다. 대사관 창고는 순이구 베이징 톈주 공항 산업 단지에 있다.[5]

대사관은 법적으로 중국 정부의 관할권 밖에 있어, 가택 연금에서 탈출한 중국 반체제 인사 천광청의 은신처로 사용되었다.[6]

3. 주요 시설

현재 주중국 미국 대사관은 베이징시 차오양구 안자러우루(安家樓路) 55호에 있으며, 2008년에 완공된 현대식 건물이다. 대사관은 총 40468.6m2(10acre)의 대지에 5개의 건축물로 구성되어 있다.[39]

종류
8층 규모의 주 건물
정원 건물
해병대 위병 초소
영사·비자 사무소
다목적 부속 건물



대사관 건물은 에너지 절약과 지속 가능한 설계를 중시하여 설계되었으며, 경관 디자인에는 중국의 전통 건축 양식을 반영하였다.[39] 또한 대사관 안에는 마야 린, 차이궈창, 베티 우드먼, 로버트 라우션버그, 지윈페이, 제프 쿤스, 하이보, 마틴 퍼이어를 비롯한 미국과 중국 양국의 예술가들이 제작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39]

4. 역대 주중국 미국 대사

역대 주중국 미국 대사는 1973년 5월부터 1979년 3월까지 운영된 주베이징 미국 연락 사무소 시절을 포함한다.

역대 대사들의 상세 정보는 주중 미국 대사 목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주베이징 미국 연락 사무소장

이름재임 기간
데이비드 K. E. 브루스 (David K. E. Bruce영어)1973년 5월 14일 ~ 1974년 9월 25일
조지 H. W. 부시 (George H. W. Bush영어)1974년 9월 26일 ~ 1975년 12월 7일
토머스 S. 게이츠 주니어 (Thomas S. Gates Jr.영어)1976년 5월 6일 ~ 1977년 5월 8일
레너드 우드콕 (Leonard Woodcock영어)1977년 7월 26일 ~ 1979년 3월 7일


4. 2. 주중국 미국 대사

이름영어 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
레너드 우드콕Leonard Woodcock영어1979년 3월 7일1981년 2월 13일
아서 W. 허멀 주니어Arthur W. Hummel Jr.영어1981년 9월 24일1985년 9월 24일
윈스턴 로드Winston Lord영어1985년 11월 19일1989년 4월 23일
제임스 릴리James Lilley영어1989년 5월 8일1991년 5월 10일
J. 스테이플턴 로이J. Stapleton Roy영어1991년 8월 20일1995년 6월 17일
제임스 R. 새서James R. Sasser영어1996년 2월 14일1999년 7월 1일
조지프 프루어Joseph Prueher영어1999년 12월 15일2001년 5월 1일
클라크 T. 랜트 주니어Clark T. Randt Jr.영어2001년 7월 28일2009년 1월 20일
존 헌츠먼Jon Huntsman영어2009년 8월 28일2011년 4월 30일
게리 로크Gary Locke영어2011년 8월 16일2014년 2월 21일
맥스 보커스Max Baucus영어2014년 3월 20일2017년 1월 16일
테리 브랜스태드Terry Branstad영어2017년 7월 12일2020년 9월 14일
니컬러스 번스Nicholas Burns영어2022년 4월 1일현재


5. 주중 미국 대사관 부대사 (DCM)

주중 미국 대사관 부대사(DCM)는 대사 다음으로 중요한 직책으로, 대사 부재 시 대사 대리 역할을 수행하며 대사관의 일상적인 운영을 감독한다.

5. 1. 역대 주중 미국 대사관 부대사

이름초상임기 시작임기 종료
J. 스테플턴 로이
1979년1981년[7][8]
찰스 W. 프리먼 주니어
1981년1984년[9]
허버트 E. 호로위츠
1984년1986년[10]
피터 톰센
1986년1989년[11]
레이먼드 버크하르트
(대행)
1989년1989년[13][12]
B. 린 파스코
1989년[13]1992년[14][15]
스콧 S. 홀포드1992년1996년[16]
윌리엄 C. 맥캐힐 주니어1996년1999년
G. 유진 마틴1999년2000년[17]
마이클 W. 마린
2000년 9월2004년 6월[18]
데이비드 S. 세드니
2004년2007년[19]
댄 피쿠타2007년 5월[20]2009년 1월
윌리엄 와인스타인
(대행)
2009년 1월[21]2009년 7월[22]
로버트 골드버그2009년 7월[22]2011년[22]
로버트 S. 왕
2011년 1월2013년 8월[23]
대니얼 크리텐브링크
2013년 7월2015년[24]
데이비드 H. 랭크2016년 1월[25]2017년 1월
줄리 L. 카바노
(대행)
2017년 1월[26][27]2017년 6월[26]
조나단 프리츠
(대행)
2017년 6월[28]2018년
로버트 W. 포든
2018년 7월2020년 10월[29]
윌리엄 클라인
(대행)
2020년 10월[30]2021년 10월
바비 리치
(대행)
2021년 10월[31]


6. 사건 사고

주중국 미국 대사관은 양국 관계의 민감한 현안들을 반영하는 사건들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1989년에는 중국의 물리학 교수인 팡리즈가 1989년 톈안먼 사건 발생 이후 주중국 미국 대사관에 정치적 망명을 신청했다.
  • 주중국 미국 대사관은 2008년부터 베이징시의 미세먼지(PM 2.5) 농도 모니터링 데이터를 게재하고 있는데,[40][41] 이는 중국 정부의 발표에 대한 불신을 야기했다.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에 위배된다"며 항의했지만,[42] 중국 네티즌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43]
  • 2013년 11월에는 주중국 미국 대사관 청사에서 프리즘 체계에 사용된 장비가 중국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다.[45]
  • 2018년 5월에는 주중국 미국 대사관이 공식 웨이보에 중국 인권 보고서를 게재하여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언론 자유의 비지"로 여겨졌다.[47][48][49][50][51]
  • 2018년 7월에는 주중국 미국 대사관 부근에서 폭발이 발생했는데, 중국 정부는 한 남자가 폭죽과 같은 장치를 점화하면서 발생한 사건이라고 발표했다.[52][53][54]

6. 1. 천광청 사건



2012년, 중국의 인권 운동가 천광청은 가택 연금에서 탈출하여 베이징 주재 미국 대사관에 피신했다.[6] 이는 미국과 중국 간의 외교적 긴장을 야기했다.

7. 관할 구역

주중국 미국 대사관은 베이징시를 포함한 중국 북부 지역을 관할한다. 상하이, 광저우, 선양, 우한, 청두(2020년 폐쇄)에 총영사관이 있으며, 홍콩과 마카오는 미국 국무부 직할 총영사관이 있다. 상세 관할 구역은 다음과 같다.

대사관/총영사관관할 구역
주중국 미국 대사관베이징시, 톈진시, 간쑤성, 허베이성, 내몽골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둥성, 산시성(山西省), 산시성(陝西省), 칭하이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주상하이 미국 총영사관상하이시,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주광저우 미국 총영사관광둥성, 푸젠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주선양 미국 총영사관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주우한 미국 총영사관후베이성, 후난성, 장시성, 허난성
주청두 미국 총영사관 (1985년 개관, 2020년 폐쇄)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 티베트 자치구, 충칭시
주홍콩·마카오 미국 총영사관(미국 국무부 직할)홍콩, 마카오


참조

[1] 웹사이트 Contact Us https://china.usemba[...] 2020-07-22
[2] 웹사이트 Emergency Contacts – All Locations https://china.usemba[...] U.S. Embassy in China 2021-03-12
[3] 뉴스 New U.S. Embassy in Beijing dedicated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08-08-08
[4] 웹사이트 U.S. Embassy Beijing, China - National Museum of American Diplomacy https://diplomacy.st[...]
[5] 웹사이트 U.S. Embassy Auction https://photos.state[...] U.S. State Department 2016-03-04
[6] 뉴스 China cracks down after Chen escape https://www.wsj.com/[...] wsj.com 2012-04-29
[7] 간행물 Roy is named executive secretary of Department Bureau of Personnel, U.S. Department of State 1989
[8] 웹사이트 Biography:J. Stapleton Roy https://1997-2001.st[...] 2020-09-03
[9] 웹사이트 Chas W. Freeman, Jr. https://www.academyo[...] American Academy of Diplomacy 2021-04-23
[10] 웹사이트 Foreign Affairs Oral History Project: AMBASSADOR HERBERT E. HOROWITZ http://www.adst.org/[...] The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and Training (ADST) 1992-12-09
[11] 웹사이트 Accordance of the Personal Rank of Ambassador to Peter Tomsen While Serving as Special Envoy to the Afghan Resistance http://www.presidenc[...] White House 1989-06-05
[12] 간행물 Key Officers of Foreign Service Posts: Guide for Business Representatives 1989
[13] 웹사이트 Foreign Affairs Oral History Project: AMBASSADOR JAMES R. LILLEY http://www.adst.org/[...] The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and Training (ADST) 1998-05-21
[14] 간행물 Key Officers of Foreign Service Posts: Guide for Business Representatives. Spring 1992 1992
[15] 간행물 Key Officers of Foreign Service Posts: Guide for Business Representatives. Fall 1992 1992
[16] 간행물 Retirements (November) U.S. Department of State 1996
[17] 웹사이트 Foreign Affairs Oral History Project: G. EUGENE MARTIN https://adst.org/OH%[...] The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and Training (ADST) 1999-09-21
[18] 웹사이트 Michael W. Marine: Ambassador, Socialist Republic of Vie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2004-12-13
[19] 웹사이트 David S. Sedney: Deputy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 Afghanistan, Pakistan and Central Asia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 웹사이트 CHARGE D'AFFAIRES A.I.: Dan Piccuta http://beijing.usemb[...] U.S. Embassy & Consulates in China 2009-06-17
[21] 웹사이트 ACTING DEPUTY CHIEF OF MISSION: William Weinstein http://beijing.usemb[...] U.S. Embassy & Consulates in China 2009-06-15
[22] 웹사이트 Foreign Affairs Oral History Project: ROBERT GOLDBERG https://adst.org/wp-[...] The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and Training (ADST) 2011-09-15
[23] 웹사이트 Robert S. Wang: U.S. Senior Official for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Bureau of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http://www.state.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4-11-13
[24] 웹사이트 Ambassador Dan Kritenbrink https://vn.usembassy[...] U.S. Embassy & Consulate in Vietnam 2017-11-09
[25] 웹사이트 Chargé d'affaires David H. Rank https://china.usemba[...] U.S. Embassy & Consulates in China 2017-04-26
[26] 웹사이트 Julie L. Kavanagh: Diplomat in Residence for Texas https://wacaustin.or[...] World Affairs Council of Austin
[27] 웹사이트 Acting Deputy Chief of Mission Julie L. Kavanagh https://china.usemba[...] U.S. Embassy & Consulates in China 2017-04-27
[28] 뉴스 Senior diplomat in Beijing embassy resigns over Trump's climate change decision https://www.washingt[...] 2017-06-05
[29] 웹사이트 Deputy Chief of Mission Robert W. Forden https://china.usemba[...] U.S. Embassy & Consulates in China 2019-04-13
[30] 웹사이트 Acting Deputy Chief of Mission William Klein https://china.usemba[...] U.S. Embassy & Consulates in China 2021-04-29
[31] 웹사이트 ACTING DEPUTY CHIEF OF MISSION BOBBY RICHEY, JR. https://china.usemba[...]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Beijing 2020-10
[32] 웹인용 相关近现代建筑介绍 http://www.bjdch.gov[...] 2017-03-27
[33] 웹인용 美国大使馆旧址 http://www.huaxia.co[...] 江苏省人民政府台湾事务办公室 2020-11-15
[34] 웹인용 美国大使馆遗址 http://www.3gmuseum.[...] 重庆中国三峡博物馆 2010-11-19
[35] 웹인용 文化資產個案導覽 前美國大使官邸 http://www.boch.gov.[...] 文化部文化資產局 2013-09-20
[36] 서적 Background Notes: China, Republic of U.S. Department of State 1978-10-01
[37] 뉴스 觀光指南 辦理簽證的外國駐華機構 聯合報 1978-12-13
[38] 뉴스 美大使館降旗 各項工作仍將繼續 中央日報 1979-01-01
[39] 웹인용 美国驻华大使馆,中国北京 http://chinese.usemb[...] 美国驻华大使馆
[40] 웹인용 BeijingAir (@BeijingAir) https://twitter.com/[...]
[41] 웹인용 使馆空气质量监测 https://china.usemba[...] 2018-08-08
[42] 뉴스 美馆应积极回应环保部的呼吁 http://news.xinhuane[...] 新華社 2012-06-06
[43] 웹인용 促美使館停發空氣數據 中國網友罵官員無恥 http://news.ltn.com.[...] 2018-08-08
[44] 웹인용 陈光诚逃至美国使馆,家人和营救者被捕 https://www.dw.com/z[...] 2018-08-08
[45] 문서 美驻华使馆也有神秘白盒子 中国必须警惕 http://mil.huanqiu.c[...]
[46] 웹인용 现在有中文版了 https://weibo.com/17[...] 2018-07-12
[47] 웹인용 中国(含西藏、香港和澳门) 2017年人权报告 https://china.usemba[...] 2018-07-12
[48] 웹인용 美使館不怕踩紅線 微博PO中國人權報告「中文版」 http://news.ltn.com.[...] 2018-07-12
[49] 웹인용 美使馆微博发布中文版人权报告引发网民热议 https://www.rfa.org/[...] 2018-07-12
[50] 웹인용 美使馆微博成为中国言论自由飞地 https://www.rfa.org/[...] 2018-08-08
[51] 웹인용 美國駐華使館微博變「開封府」 中國網友體驗言論自由 https://newtalk.tw/n[...] 2018-08-08
[52] 뉴스 美国驻华大使馆附近发生爆炸 https://cn.nytimes.c[...] 2018-07-26
[53] 뉴스 內蒙男子美國駐華使館外點燃疑似爆竹裝置 手部受傷送院 http://news.tvb.com/[...] TVB 2018-07-26
[54] 뉴스 Chinese police identify suspect in US embassy blast in Beijing; blood and broken glass litter street https://www.scmp.com[...] 2018-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