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준요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요는 일본 해군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운용한 항공모함으로, 원래 여객선으로 건조되다 개조되었다. 1942년 취역 후 알류샨 열도 공격과 남태평양 해전에 참여했으며, 마리아나 해전에서 손상을 입고 레이테 만 해전에 참여하지 못했다. 이후 수송 작전에 투입되다 1944년 미 잠수함의 공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수리되지 못한 채 종전을 맞았다. 종전 후 해체되었으며, 함교의 종은 미국으로 옮겨져 포덤 대학교에 기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 -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다이아몬드 프린세스는 프린세스 크루즈 소속으로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건조된 크루즈 선박이며, 2020년 초 COVID-19 집단 감염 사태로 주목받았으나 2022년 11월 운항을 재개했다.
  •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 - 하구로 (묘코급 중순양함)
    일본 제국 해군의 하구로는 묘코급 중순양함 3번함으로, 태평양 전쟁의 주요 해전에 참전했으나 1945년 영국 해군에 의해 격침되어 수상 전투에서 침몰한 마지막 주요 일본 군함이 되었다.
  • 1941년 선박 - U-571
    U-571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해군이 운용한 VII형 U보트 중 하나로, 9번의 작전 수행 중 연합군 함선에 피해를 입혔으나 1944년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항공기의 공격으로 침몰하여 승무원 전원이 전사했다.
  • 1941년 선박 - 히요
    히요는 여객선으로 건조되어 항공모함으로 개조된 일본 제국 해군의 상선 개조 항공모함으로, 과달카날 전투, 마리아나 해전에 참전했으나 미군 함재기의 공격으로 침몰했다.
준요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본 항공모함 준요, 1945년 일본 사세보에 정박
준요, 1945년 9월 26일 사세보에 정박
함명준요 (隼鷹)
함명 (한자)隼鷹
함명 (뜻)
이전 함명가시와라 마루 (橿原丸)
함력
건조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기공 (가시와라 마루)1939년 3월 20일
진수1941년 6월 26일
매각일본 제국 해군, 1941년 2월 10일
취역1942년 5월 3일
제적1945년 11월 30일
해체1946년–1947년
일반 정보 (건조 당시)
함종히요급 항공모함
기준 배수량24,150톤
전체 길이219.32미터
26.7미터
흘수8.15미터
동력56,250마력
보일러가몬 수관 보일러 6기
추진2축, 2개의 기어 증기 터빈 세트
속력25.5노트
항속 거리18노트에서 12,251해리
승무원1,187–1,224명
센서
레이더2식 2호 1형 조기 경보 레이더 1기
무장
주포12.7cm/40 89식 해군포 6문
대공포25mm 96식 대공포 8기 (3연장)
장갑
벨트25–50mm
항공기
탑재기42–48기

2. 역사

준요는 1939년 3월 20일 미쓰비시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일본우선의 가시하라마루급 화객선 1번선 '''가시와라마루'''로 기공되었으나, 1941년 2월 10일 해군에 매수되어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었다.[12] 1942년 5월 3일 ''준요''로 취역했다.[12]

취역 후 제1항공함대 제4항공전대에 배치되어 알류샨 열도 점령을 지원하는 작전 AL에 참가, 1942년 6월 3일과 4일 더치 하버의 우날라스카 섬을 공격했다.[13]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 해군이 4척의 함대 항공모함을 잃은 후, 7월에 정규 항공모함으로 재지정되었다.

1942년 10월, 제3함대 제2항공전대에 배속되어 과달카날 전역에 참가했다. 1942년 10월 26일 산타크루즈 해전에서 미국 항공모함 호넷을 공격하여 격침시키는 데 기여했다.[16] 1942년 11월 중순에는 과달카날 해전에서 일본군 증원 호송대에 대한 공중 엄호를 제공했다.[17]

1943년 2월, 잠시 일본으로 귀환했다가 3월에 자매함 히요와 함께 트루크로 이동했다.[14] 4월에는 작전 I-Go에 참가하여 솔로몬 제도와 뉴기니의 연합군 기지를 공격했다.[19] 7월에는 렌도바 섬에 대한 미국의 공격에 대응하여 파푸아뉴기니의 부인에 배치되었다.[20]

1943년 11월 5일, 트루크에서 구레로 향하던 중 분고 수도에서 잠수함 핼리벗의 어뢰 공격을 받아 조타 장치가 고장나는 피해를 입었다.[14] 1944년 2월 29일까지 구레에서 수리 및 개조를 받았다.[14]

1944년 6월, 제2항공전대 (준요, 히요, 류호)는 마리아나 해전에 참가했다.[31] 이 해전에서 히요는 격침되었고, 준요도 손상되었다.[67][69] 10월 하순부터 필리핀 방면 수송 작전에 종사했으며, 레이테 만 해전에는 참가하지 않았다.[61]

1944년 12월 9일, 나가사키현 근해에서 미국 잠수함의 뇌격을 받아 손상되어 사세보로 귀환했다.[60] 이후 사세보 항에 계류된 채 종전을 맞이했다.[61] 객선으로 되돌려지는 일 없이 해체되었다.[310][70]

준요의 주요 작전 및 사건을 시간 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1939년 3월 20일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기공
1941년 6월 26일진수
1942년 5월 3일준공, 특설 항공모함 준요로 명명, 제4항공전대 편입
1942년 5월 26일 ~ 6월 6일알류샨 열도 출격, 더치 하버 공격
1942년 7월 14일군함으로 편입
1942년 10월 24일남태평양 해전 참가
1943년 11월 5일오키노시마 근해에서 미국 잠수함 어뢰 공격으로 손상
1944년 6월 20일마리아나 해전에서 굴뚝 부근에 직격탄 두 발을 맞아 발착함 불능
1944년 12월 9일메시마 부근에서 미국 잠수함 어뢰 공격으로 손상
1945년 4월 20일제4예비함 지정[307]
1945년 6월 20일경비함 지정
1945년 11월 30일제적
1946년 6월 1일 ~ 1947년 8월 1일해체


2. 1. 건조 배경 및 설계

일본우선의 호화여객선 카시와라마루(橿原丸)는 미드웨이 해전으로 4척의 정규항모를 잃은 일본 해군에 의해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었다. 준요는 일본 해군성의 지원을 받아 건조 비용의 60%를 보조받았으며, 보조 항공모함으로 개조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2]

준요의 전체 길이는 219.32m, 선폭은 26.7m, 흘수는 8.15m였다. 기준 배수량은 24150ton이었으며,[3] 승무원은 1,187명에서 1,224명의 장교와 사병으로 구성되었다.[4]

2개의 미쓰비시-커티스 기어드 증기 터빈은 총 56250shp의 출력을 냈으며, 6개의 미쓰비시 3드럼 수관 보일러에서 증기를 공급받았다. 각 터빈은 하나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구동했다. 설계 속도는 25.5kn였지만, 해상 시운전 동안 26kn에 도달했다. 4100ton의 연료유를 탑재하여 18kn에서 12251nmi의 항속 거리를 가졌다.[5]

1939년 3월 20일 미쓰비시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기공되었으며[90][91], 설계 단계부터 항공모함으로 개조를 염두에 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93] 1941년 1월 21일 일본 해군에 매수되었고,[31] 가칭 함명은 제1002번함이었다.[90][96] 1941년 6월 26일 진수되었다.[31][90]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준공 후, 일본 해군 항모 중 최초로 레이다가 본격적으로 탑재되었고 알류샨 열도 공격, 남태평양 해전 등에 참가했다.[12]

1943년 1월 15일, 웨와크로 육군 부대를 수송할 때 탑재기를 대잠, 대공 경계로 바꾸기 위해 구축함 아사구모, 사미다레와 함께 추크를 출항, 17일에 웨와크에 제로전투기 23기, 함상공격기 6기를 진출시키고 19일에 추크섬으로 돌아왔다. 준요 비행부대는 웨와크에서의 활동 중 B-24를 6기 격추, 3기 격파했다고 보고하였고, 25일에 카비엔을 경유하여 제로전투기 14기, 함상공격기 6기가 추크로 돌아왔다.[168]

마리아나 해전에서는 2발의 직격탄과 6발의 지근탄을 맞았다. 직격탄은 함교에 명중하여 53명의 사상자를 내었다. 그 수리나 항공 전력의 감퇴로 인해 레이테만 전투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이후 탑재할 항공 전력이 없어 항모로 활용되지 못한 채 수송 작전에 종사하게 된다.[61]

1944년 10월 30일 사세보를 출항, 마공을 경유하여 브루나이에 도착, 레이테만 해전에서 돌아온 구리타 함대에 탄약을 공급한 후 마닐라에 기항하여 항공 어뢰 수송을 펼쳤고, 11월 17일에 무사히 구레로 귀환하였다.[31] 12월 9일 다시 마닐라로 수송 임무를 수행하던 중 나가사키 근해 메시마 부근에서 미 잠수함 시 데빌과 레드 피쉬의 뇌격으로 어뢰 2발이 함수 및 우현 기계실에 명중, 함수가 10m 날아가면서 사망 19명, 침수 5000톤의 피해를 입는데 좌현 항해가 가능했기 때문에 13노트의 속력으로 가까스로 사세보로 귀환했다.[298]

이 손상으로 사세보에서 수리 및 계류하며 1945년 3월 말에 도크에서 나왔지만 선체만 수리되었을 뿐 우현 기계실은 수리되지 않았다. 다시 수리한 후에 출격시킬 계획(특공작전에 활용하거나)이 있었지만 결국 기계실의 수리가 완료되지 않은 채 종전을 맞이했다.[61]

기관부의 수리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종전 후 외양 항해를 할 수 없었고 인양 임무인 특별수송함으로 지정되지도 않았다. 11월 30일 제적. 1946년 8월 1일 해체 완료. 상선으로 복귀하지는 못했지만 태평양 전쟁 중 살아남은 상선 개조 항모 중에선 최대급의 선박이었다.[310]

준요의 종은 마리아나 해전의 폭발 명중으로 잃어버렸는데 나중에 미국이 회수하여 1944년 미국의 포덤 대학교에 기증되었다.[310]

2. 3. 종전과 최후

1944년 12월 9일, 준요는 나가사키현 노모자키 앞바다 메지마 부근에서 미국 잠수함 시데빌, 레드피시, 프라이스에게 동시에 습격을 받았다.[292][293] 시데빌 또는 레드피시 중 어느 쪽이 발사한 어뢰 2발이 준요의 함수와 우현 중앙부에 명중했다.[294] 이로 인해 우현 기계실은 물이 가득 찼지만, 침수 피해를 중앙 격벽으로 막아 좌현 기관은 무사했다.[297] 전사자는 19명이었고, 침수 피해는 약 5000톤이었다.[298] 우현으로 18도 기울어진 준요는 13노트를 발휘해 사세보로 향했다.[298]

준요의 수리는 1945년 3월 말까지 걸렸다.[31] 독에서 나왔지만, 선체만 수리되었을 뿐 우현 기계실은 수리되지 않았다.[306] 1945년 4월 20일, 일본 해군은 준요를 포함한 잔존 대형 함을 제4 예비함으로 지정했다.[307] 6월 20일에는 경비함이 되었다.

다시 수리 후 출격시키는 계획이 있었지만, 기계실 수리가 완료되지 않은 채 사세보항의 에비스만에 방치되었고,[309] 종전까지 부포대가 되었다.[310][311]

1945년 8월 15일 종전을 맞이했다.[306][312] 기관실이 복구되지 않아 외양 항해는 불가능했기에 특별 수송함으로는 지정되지 않았고, 11월 30일에 제적되었다. 1946년 6월 1일 해체가 시작되어[314] 1947년 8월 1일 완료되었다.[35][316] 상선으로 복귀하지는 못했지만, 태평양 전쟁을 살아남은 상선 개조 함정 중에서는 최대급이었다.

준요의 종은 마리아나 해전의 폭탄 명중으로 잃어버렸지만, 후에 미국이 회수하여 1944년포덤 대학교에 기증되었다.

3. 특징

준요는 일본우편선박회사(Nippon Yusen Kaisha)가 주문한 고속 호화 여객선 ''가시와라 마루''를 개조한 항공모함이다. 일본 해군성은 건조 비용의 60%를 지원하는 조건으로, 필요시 보조 항공모함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2] 미드웨이 해전에서 주력 항공모함 4척을 잃은 일본 해군에게 준요는 히요와 함께 귀중한 전력이 되었다. 정규 항공모함보다 속력은 느리고 방어력도 약했지만, 소류급의 항공기 탑재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1945년 10월 19일 일본 사세보에서 바라본 ''준요''함의 함교


준요의 전체 길이는 219.32m, 선폭은 26.7m, 흘수는 8.15m였다. 기준 배수량은 24150ton이었으며,[3] 승무원은 1,187명에서 1,224명이었다.[4] 두 개의 미쓰비시-커티스 기어드 증기 터빈은 총 56250shp의 출력을 냈고, 6개의 미쓰비시 3드럼 수관 보일러가 증기를 공급했다. 설계 속도는 25.5kn였지만, 해상 시운전에서는 26kn를 기록했다. 4100ton의 연료유를 탑재하여 18kn에서 12251nmi의 항속 거리를 가졌다.[5]

여객선에서 개조되었기 때문에 많은 장갑을 설치할 수는 없었지만, 이중 바닥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각 25mm 두께의 두콜 강철판 2장이 기계 공간 측면을 보호했고, 항공 가솔린 탱크와 탄약고는 한 겹의 두콜 강철로 보호되었다. 기계 공간은 침수를 막기 위해 가로 및 세로 벌크헤드로 세분화되었다.[8]

준요는 일본 항공모함 중 처음으로 섬형 함교와 상방 굴뚝이 일체화된 대형 함교를 가지고 있었다.[90] 이는 다이호형 항공모함 건조를 위한 실험적인 성격도 있었으며, 굴뚝은 바깥쪽으로 26도 기울어져 있었다.[90][71] 또한 상선으로 건조가 진행되었던 준요는 히요에 비해 목재 부분이 많아, 화재 대책에 어려움을 겪었다.[72]

3. 1. 함재기

隼鷹일본어의 비행 갑판은 길이가 210.3m이고 최대 폭은 27.3m였다. 이 함선은 각각 길이가 약 153m, 너비가 15m, 높이가 5m인 2개의 겹쳐진 격납고로 설계되었다. 각 격납고는 4개의 방화 커튼으로 세분될 수 있었고, 양쪽에 소화 폼 살포 장치가 설치되었다. 2개의 항공기용 엘리베이터가 격납고에 설치되었다.[6]

이 함선의 항공대는 원래 12대의 미쓰비시 A5M ("클로드"]) 전투기 (저장용 4대 포함), 18대의

3. 2. 레이더 및 대공 무장

준요는 일본 항모 중 최초로 레이더를 본격적으로 탑재했다.[90] 1942년 5월 준공 당시에는 레이더가 없었으나, 같은 해 7월 함교 위에 2식 2호 전파 탐신 의 1형 레이더를 장비하면서 일본 해군 항모 중 최초로 레이더를 탑재한 함선이 되었다.[75][90]

준요의 주 무장은 선체 측면 스폰슨에 설치된 6개의 쌍열포좌에 40-구경 89식 12.7cm 대공포 12문으로 구성되었다. ''준요''는 또한 초기에는 비행 갑판 옆에 96식 25mm 경대공포 3연장 포좌 8문을 장착했다.

1943년에는 비행 갑판 전방 양쪽에 25mm 3연장 기총을 2기씩, 총 4기를 증설하여 총 12기가 되었다.[46] 이 때 기총좌는 아직 원형이었으며, 동시에 사격 지휘 장치 2기도 추가되었다.[46] 같은 시기에 비행 갑판 후방 좌현의 4번 탐조등을 철거하고, 은폐식 21호 전탐 1기를 추가했다.[46]

1943년 중반과 말, 그리고 1944년 초에 걸쳐 3연장 포좌 8문이 추가되었다. 이 마지막 4개의 포좌 중 2개는 선미에, 나머지는 함교 앞뒤에 배치되었다. 12개의 단열 포좌도 추가되었는데, 일부는 이동 가능하여 비행 갑판에 장착할 수 있었다.

마리아나 해전 직전인 1944년 5월에는 25mm 기총 3연장 16기, 동 단장(이동식) 12정을 장비했다.[42] 추가된 3연장 기총 4기는 함미에 기총좌를 설치하여 2기, 함교 구조물의 앞뒤에 1기씩 배치되었다.[46] 단장 기총은 비행 갑판 위에 이동식으로 장비되었으며,[46] 당시 사진에서는 비행 갑판 전단에 2정, 후단에 3정이 확인된다.[76] 함교 구조물 위에도 장비된 것으로 보인다.[46] 13호 전탐은 아직 장비되지 않았고, 역탐은 이미 장비하고 있었다.[46] 준공 당시 공식 도면에 따르면 고각포 지휘 장치는 4.5m 고각 측거기였지만,[77] 이 시점에서 94식 고사 장치로 교체되었다.[78]

마리아나 해전 이후, 준요의 대공 무장은 96식 25mm포 3연장 포좌 3문, 2연장 포좌 2문, 단열 포좌 18문으로 강화되었으며, 28연장 대공 로켓 발사기 6문으로 보충되었다. '아호 작전 후의 병장 증비 상황 조사'에 따르면 1944년 7월 시점에서 25mm 3연장 기총 19기, 동 2연장 2기, 동 단장 27정, 그 외에 단장 기총좌 4기로 증설되었다.[79] 증비된 3연장 기총은 함교 구조물 위 앞뒤에 1기씩, 함수에 1기 총 3기가 그 후의 사진에서도 확인된다. 2연장 기총 2기에 관해서는, 동 조사의 도면에서는 우현은 함교 측면에 있던 탐조등 좌를 확대하여 1기를 설치했다.[80] 좌현은 발동기 시운전장의 갑판을 확대하여 1기가 되었지만,[80] 위치가 분명하지 않다고 한다.[46] 동시에 신호 마스트 위에 13호 전탐 1기를 추가했다.[81]

1944년 10월, ''준요''는 총 91문의 96식 포를 보유했다. (3연장 포좌 19문 57문, 2연장 포좌 2문 4문, 단열 포좌 30문)[9] 1944년 12월, 준요는 어뢰 공격으로 손상되었는데 그 당시 사진에서 비행 갑판 전방의 양현, 전부 고각포 전방에 28연장 분진포가 3기씩, 총 6기가 장비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46] 우현 최후방의 25mm 3연장 기총 2기를 철거하고, 기총좌를 후방으로 연장하여 분진포 4기를 설치, 좌현은 기절식 크레인의 측방, 발동기 시운전장 위에 포좌를 설치하여 4기의 분진포를 장비했다.[45]

89식 포를 제어하기 위해 선박의 양쪽에 2개의 94식 고각 사격 통제 장치가 장착되었으며, 각 장치에는 거리 측정 텔레미터가 장착되었다. 95식 지휘 장치 4대가 25mm 포를 제어했고, 1943년 초에 2대가 더 추가되었다. 조기 경보는 2개의 2식 2형 1호 조기 경보 레이더로 제공되었다. 첫 번째 레이더는 1942년 7월 함교 상단에, 다른 레이더는 그해 후반 선체 좌현, 후부 엘리베이터 외부면에 추가되었다.[10] 1944년에는 더 작은 3식 1형 3호 조기 경보 레이더가 추가되었다.[11]

4. 동형함


  • 히요

참조

[1] 서적 Silverstone
[2]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3]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4] 서적 Jentschura, Jung & Mickel
[5]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6]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7]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8]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9]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10]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11] 서적 Stille
[12]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13] 서적 Brown
[14] 서적 Tully
[15] 서적 Lundstrom
[16] 서적 Brown
[17] 서적 Brown
[18] 서적 Hata, Izawa & Shores
[19] 서적 Hata, Izawa & Shores
[20] 서적 Hata, Izawa & Shores
[21] 서적 Hata, Izawa & Shores
[22] 서적 Hata, Izawa & Shores
[23] 서적 Palomar & Genda
[24] 서적 Brown
[25] 서적 Brown
[26] 서적 Brown
[27] 서적 Hata, Izawa & Shores
[28] 서적 Lengerer & Rehm-Takahara
[29]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30] 서적 昭和造船史1
[31]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32]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33] 서적 海軍軍戦備1
[34] 간행물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35] 간행물 日本海軍終戦時残存(内地)艦艇処分状況(1948年3月20日現在)
[36]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37]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38] 서적 日本航空母艦史
[39] 문서 隼鷹公試成績表
[40] 문서 隼鷹公試成績表
[41] 문서 隼鷹公試成績表
[42] 서적 海軍艦艇史3
[43]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44]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45] 서적 海軍艦艇史3
[46]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47]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48]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49]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50]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51] 간행물 昭和17年5月20日(水)海軍公報(部内限)第4095号 p.5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2]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53] 간행물 内令昭和18年9月(6)
[54] 서적 日本特設艦船物語
[55] 서적 日本空母物語
[56] 서적 日本特設艦船物語
[57] 서적 氷川丸とその時代
[58]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59] 서적 特設艦船入門
[60] 서적 空母29隻
[61] 서적 日本特設艦船物語
[62]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63] 서적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64] 서적 野元、航空母艦物語
[65] 서적 日本空母物語
[66] 서적 護衛空母入門
[67] 서적 日本特設艦船物語
[68] 문서 S18.09呉鎮日誌(3)
[69] 서적 野元、航空母艦物語
[70]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71]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72] 서적 飛鷹副長
[73] 서적 予科練一代 光人社NF文庫
[74] 서적 予科練一代 光人社NF文庫
[75]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76]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77] 도면 日本海軍艦艇図面集
[78]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79] 서적 日本空母物語
[80] 서적 日本空母物語
[81] 서적 日本空母物語
[82] 서적 日本空母物語
[83] 서적 日本空母物語
[84] 서적 日本空母物語
[85] 서적 日本空母物語
[86] 서적 日本空母物語
[87] 서적 氷川丸とその時代
[88] 서적 日本空母物語
[89] 서적 護衛空母入門
[90] 서적 日本空母物語
[91] 서적 日本特設艦船物語
[92] 서적 特設艦船入門
[93] 서적 日本空母物語
[94] 서적 武藏上(新潮2009)
[95] 서적 艦と人
[96] 서적 S17.04佐鎮日誌(2)
[97]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98] 간행물 昭和16年10月1日(発令10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721号 p.1 https://www.jacar.ar[...] 아시아歴史資料センター
[99] 간행물 昭和16年11月17日(月)海軍公報(部内限)第3947号 p.50 https://www.jacar.ar[...] 아시아歴史資料センター
[100] 서적 S17.01呉鎮日誌(6)
[101] 서적 S17.01呉鎮日誌(7)
[102] 간행물 昭和17年4月23日(木)海軍公報(部内限)第4075号 p.35 https://www.jacar.ar[...] 아시아歴史資料センター
[103] 서적 本土方面海軍作戦
[104] 서적 S17.04佐鎮日誌(5)
[105] 서적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06]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7年5月13日(水)海軍公報(部内限)第4089号 p.35 C12070412000
[107] 문서 内令昭和17年5月(1)p.29
[108] 문서 S17.05呉鎮日誌(1)p.20
[109]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
[110] 문서 零戦の攻防
[111]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7年5月5日(発令5月3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53号 pp.46-47 C13072112000
[112] 문서 S17.05呉鎮日誌(1)
[113] 문서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14] 문서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15] 문서 戦藻録(1968)
[116] 문서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17] 문서 S17.05下関防備隊
[118] 문서 S17.05下関防備隊
[119] 문서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20] 문서 S17.05横鎮日誌(2)
[121] 문서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22] 문서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23] 문서 母艦航空隊
[124] 문서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25]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
[126] 문서 零戦の攻防
[127] 문서 零戦の攻防
[128] 문서 零戦の攻防
[129] 문서 母艦航空隊
[130] 문서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31] 문서 零戦の攻防
[132] 문서 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
[133] 문서 機動部隊(1982)
[134] 문서 S1.706大湊防備隊日誌
[135] 문서 S17.07下関防備隊
[136] 문서 S17.07呉防戦日誌(1)
[137] 문서 北東方面海軍作戦
[138]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8年7月9日(金)海軍公報(部内限)第4435号 pp.33-34 C12070432300
[139] 문서 内令昭和17年7月(2)
[140] 문서 達昭和17年7月(1)
[141] 문서 "#内令昭和17年7月(2)]]pp.14-15『内令第千二百四十七號 特設航空母艦 隼鷹 右呉鎮守府所管ト定メラレタル處之ヲ解カル|軍艦 隼鷹 右本籍ヲ呉鎮守府ト定メラル|昭和十七年七月十四日 海軍大臣 嶋田繁太郎』"
[142] 문서 "#S17.05呉鎮日誌(3)]]p.24『十四日〇〇〇〇海軍大臣|十四日〇〇五一 呉鎭長官 1AF GF〃|官房機密第二四九番電 十四日 一、特設航空母艦隼鷹ヲ呉鎭所管ト定メラレタル處之ヲ解カル/二、軍艦隼鷹ノ本籍ヲ呉鎭ト定メラル|無電』"
[143] 간행물 昭和17年7月20日(発令7月2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903号 p.33 https://www.jacar.ar[...]
[144] 문서 "#叢書43|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637頁「飛鷹(出雲丸改装)」"
[145] 문서 "#内令昭和17年7月(4)]]pp.38-39『内令第千三百八十九號 艦艇類別等級表左ノ通改正ス 昭和十七年七月三十一日海軍大臣嶋田繁太郎|軍艦、航空母艦ノ項中「隼鷹」ノ下ニ「、飛鷹」ヲ加フ』-『内令第千三百九十一號 軍艦 飛鷹 右本籍ヲ呉鎮守府ト定メラル(略)』"
[146] 문서 "#横井、29隻|空母29隻]]312頁『龍驤(りゅうじょう)』"
[147] 문서 "#横井、29隻|空母29隻]]319頁『飛鷹(ひよう)』"
[148] 문서 "#叢書43|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637-639頁『第三艦隊の新設』"
[149] 문서 "#叢書43|戦史叢書ミッドウェー海戦]]639-640頁"
[150] 간행물 昭和17年8月14日(金)海軍公報(部内限)第4168号 p.28 https://www.jacar.ar[...]
[151] 문서 "#空母機動部隊(2010)]]116頁『母艦艦長として初の実戦参加』"
[152] 문서 "#奥宮・淵田、朝日1982|機動部隊(1982)]]42頁"
[153] 문서 "#S17.10佐伯防備隊日誌(1)]]p.32『10月2日1915二航戦司令官(略)当隊(飛鷹準鷹)電磯波3日午後佐伯湾着4日0900発東掃海水道ヲ経テ出撃ノ予定 当隊飛行機ヲ以テスル対潜警戒ハ実施セザルニ付警戒ニ関シ何分ノ御手配ヲ得度』"
[154] 문서 "#S17.07呉防戦(4)]]p.13〔五.十月中ニ於ケル重要船舶豊後水道出撃入泊竝ニ當防備戰隊艦艇ニテ護衛セル状況左ノ通〕『(ハ)十月四日 2Sf(飛鷹隼鷹)電磯波出撃(以下略)』"
[155] 문서 "#叢書62|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180頁『第二航空戦隊のトラック進出とアメリカ軍と誤認された瑞鳳』"
[156] 문서 "#空母機動部隊(2010)]]126-127頁"
[157] 문서 "#戦藻録(1968)]]213頁"
[158]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38-39頁『川井哲夫、南太平洋海戦に賭けた""隼鷹""の闘魂 ガ島争奪をめぐって日米機動部隊が激突した南太平洋海戦―みごとに敵空母を沈めた""隼鷹""決戦記』"
[159] 문서 "#佐藤 艦長(文庫)]]74頁"
[160] 문서 "#叢書62|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211-212頁『支援部隊トラック帰投及びその一部の内地回航』"
[161] 문서 潜水艦攻撃、202-203ページ
[162] 문서 "#奥宮・淵田、朝日1982|機動部隊(1982)]]136-137頁"
[163] 문서 "#奥宮・淵田、朝日1982|機動部隊(1982)]]153-154頁"
[164] 문서 "#高橋、母艦|母艦航空隊]]261-264頁『ウエワク「掠奪」作戦の戦果』"
[165] 문서 "#須藤.五月雨]]164頁"
[166] 문서 戦史叢書 南東方面海軍作戦3、32-33ページ
[167] 문서 "#叢書62|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243頁『丙三号輸送』"
[168] 문서 戦史叢書 南東方面海軍作戦3、33ページ
[169] 문서 "#S18.01二水戦日誌(1)]]p.24『31日|二.0630前進部隊警戒隊(神通朝雲五月雨陽炎大波時雨敷波)「トラック」出撃。0800ヨリ1045迄北口外方海面対潜掃蕩|三.900前進部隊本隊及同航空部隊「ケ」号作戦ノ為「トラック」出撃|四.1050警戒隊同右ノ直衛配備ニ就ク|五.1030親潮「トラック」帰着|六.野分初風、機動部隊ニ編入』"
[170] 문서 "#須藤.五月雨]]166頁"
[171] 문서 "#須藤.五月雨]]167頁"
[172] 간행물 昭和18年2月16日(発令2月16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54号 p.45 https://www.jacar.ar[...]
[173] 간행물 昭和18年2月15日(発令2月12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53号 p.27 https://www.jacar.ar[...]
[174] 간행물 昭和18年2月3日(発令2月2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47号 p.41 https://www.jacar.ar[...]
[175] 문서 "#S18.01二水戦日誌(3)]]p.20『15日1100 3S時雨(佐世保ニ向ケ)鳥海冲鷹嵐大波(横須賀)2sf(飛鷹缺)日進黒潮陽炎(呉)8S(筑摩缺)(舞鶴)各軍港ニ向ケ「トラック」発|四.1700 2sf(飛鷹缺)陽炎黒潮天候不良ノ為Y収容不能ニ付「トラック」入泊』"
[176] 문서 S18.01二水戦日誌(3)
[177] 문서 S17.12呉防戦日誌(5)
[178] 문서 S17.12呉防戦日誌(6)
[179] 문서 S17.01第八戦隊日誌(5)
[180] 문서 S17.12四水戦日誌(5)
[181] 문서 S18.01二水戦日誌(4)
[182] 문서 S18.01二水戦日誌(4)
[183] 서적 武藏上(新潮2009)
[184] 서적 武藏上(新潮2009)
[185] 간행물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86] 문서 S1805四水戦日誌(4)
[187] 문서 S1805四水戦日誌(4)
[188] 문서 S18.06呉防戦日誌(4)
[189] 문서 S18.06呉防戦日誌(4)
[190] 문서 S18.06呉防戦日誌(5)
[191] 문서 S18.06呉防戦日誌(5)
[192] 간행물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193] 서적 日本軽巡戦史
[194] 문서 S18.06呉防戦日誌(5)
[195] 문서 S18.06呉防戦日誌(5)
[196] 문서 S18.06呉防戦日誌(6)
[197] 문서 S18.06呉防戦日誌(6)
[198] 문서 S18.06二水戦日誌(3)
[199] 문서 S18.06呉防戦日誌(7)
[200] 문서 S18.06呉防戦日誌(7)
[201] 문서 S18.06呉防戦日誌(7)
[202] 문서 S18.06二水戦日誌(4)
[203] 문서 S18.06二水戦日誌(4)
[204] 문서 S18.06二水戦日誌(4)
[205] 문서 S18.06呉防戦日誌(7)
[206] 문서 S18.06二水戦日誌(4)
[207] 문서 S18.06呉防戦日誌(7)
[208] 문서 S1804十一水戦日誌(5)
[209] 문서 S1804十一水戦日誌(5)
[210] 문서 S1804十一水戦日誌(5)
[211] 문서 S1804十一水戦日誌(5)
[212] 문서 叢書62|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213] 문서 S1701八戦隊日誌(7)
[214] 문서 S1804十一水戦日誌(5)
[215] 문서 S1804十一水戦日誌(5)
[216] 문서 S18.09呉鎮日誌(3)
[217] 문서 S1804十一水戦日誌(6)
[218] 문서 S1804十一水戦日誌(6)
[219] 문서 S1804十一水戦日誌(6)
[220] 문서 S1701八戦隊日誌(7)
[221] 문서 S18.09呉鎮日誌(3)
[222] 문서 S18.06呉防戦日誌(10)
[223] 문서 S18.09呉鎮日誌(3)
[224] 문서 S18.06呉防戦日誌(9)
[225] 문서 叢書62|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
[226]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8年12月17日(発令12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283号 C13072094900
[22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8年12月3日(発令12月3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273号 C13072094700
[228]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8年12月10日(発令12月9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277号 C13072094800
[229]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8年12月27日(発令12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287号 C13072094900
[230] 문서 艦と人
[231] 문서 野元、航空母艦物語
[232]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9年2月22日(発令2月2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335号 C13072095900
[233] 문서 佐藤 艦長(文庫)
[234] 문서 野元、航空母艦物語
[235] 문서 武藏上(新潮2009)
[236] 문서 S18.12十戦隊日誌(6)
[237] 문서 S18.12十一水戦日誌(4)
[238] 문서 空母機動部隊(2010)
[239] 문서 武藏上(新潮2009)
[240] 문서 飛鷹副長
[241]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
[242] 문서 横井、29隻|空母29隻
[243]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
[244] 문서 空母機動部隊(2010)
[245] 문서 野元、航空母艦物語
[246] 서적 飛鷹副長
[247] 서적 武藏上(新潮2009)
[248]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249] 서적 野元、航空母艦物語
[250] 서적 空母機動部隊(2010)
[251] 서적 佐藤 艦長(文庫)
[252] 서적 あ号作戦日誌(1)
[253] 서적 紅の航跡
[254] 서적 佐藤 艦長(文庫)
[255] 서적 野元、航空母艦物語
[256] 서적 日本空母物語
[257] 서적 飛鷹副長
[258] 서적 佐藤 艦長(文庫)
[259] 서적 機動部隊(1982) 奥宮・淵田, 朝日
[260] 서적 武藏上(新潮2009)
[261] 서적 紅の航跡
[262] 서적 飛鷹副長
[263] 서적 飛鷹副長
[264] 서적 あ号作戦日誌(1)
[265] 서적 紅の航跡
[266] 서적 あ号作戦日誌(1)
[267] 서적 第1機動艦隊戦時日誌
[268] 서적 紅の航跡
[269] 서적 日本空母物語
[270] 서적 日本空母物語
[271] 서적 軍艦華麗なる生涯
[272] 서적 紅の航跡
[273] 서적 紅の航跡
[274] 서적 駆逐艦隊悲劇の記録
[275] 서적 戦史叢書48巻
[276] 서적 紅の航跡
[277] 서적 S1906第30駆日誌(3)
[278] 서적 日本軽巡戦史 木俣軽巡
[279] 서적 S1906第30駆日誌(3)
[280] 서적 S1906第30駆日誌(3)
[281] 문서 "#戦藻録(1968)]]435頁"
[282] 문서 "#S1906第30駆日誌(3)]]p.12『6日/「ブルネイ」入港、夕月ハ榛名ニ卯月ハ金剛ニ各横付給油ヲ受ク』-『8日/未明隼鷹、木曽、筑摩〈註:筑摩は既に沈没〉ヲ護衛シ第一遊撃部隊シ第一遊撃部隊ニ引続キ「ブルネイ」出港』"
[283] 문서 "#戦藻録(1968)]]436頁"
[284] 문서 "#S1906第30駆日誌(3)]]p.12『10日/日没時「マニラ」入港、隼鷹ヨリ給油ヲ受ク』"
[285] 문서 "#紅の航跡]]66頁『昭和十九年十一月十日』"
[286] 문서 "#S1906第30駆日誌(3)]]p.13『12日/1100時雨ト共ニ隼鷹筑摩護衛「マニラ」出港』"
[287] 문서 "#S1906第30駆日誌(3)]]p.13『16日/筑摩隼鷹ト分離』"
[288] 문서 "#紅の航跡]]66頁『十一月二十三日』"
[289] 문서 "#佐藤 艦長(文庫)]]84頁(渋谷艦長は槇1隻と回想しているが、記憶違い)"
[290] 문서 "#佐藤 艦長続編(文庫)]]472頁"
[291] 문서 "#武藏下(新潮2009)]]393頁"
[292]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26頁(隼鷹正面写真)"
[293] 문서 "#武藏下(新潮2009)]]394-395頁"
[294]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27頁(隼鷹艦首写真解説)"
[295] 문서 "#武藏下(新潮2009)]]396頁"
[296] 문서 "#軍艦華麗なる生涯]]115頁"
[297] 문서 "#佐藤 艦長(文庫)]]83-85頁『片肺航行で帰還』"
[298]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44-45頁(隼鷹被害写真各解説)"
[299] 문서 "#駆逐艦隊悲劇の記録]]153頁"
[300] 문서 "#佐藤 艦長続編(文庫)]]473頁"
[301] 문서 "#最後の海空戦]]38-39頁"
[302] 문서 "#最後の海空戦]]40頁"
[303] 문서 "#最後の海空戦]]45頁"
[304] 문서 "#佐藤 艦長続編(文庫)]]474頁"
[305] 간행물 昭和19年12月23日(発令12月20日付)海軍辞令公報(甲)第1677号 p.48 C130721023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06] 문서 "#日本空母物語]]306頁"
[307] 문서 "#秘海軍公報昭和20年4月(3)]]pp.41-42『内令第三三八號|横須賀鎮守府警備艦 軍艦 長門|佐世保鎮守府警備艦 軍艦 榛名 右役務ヲ解カル|呉鎮守府豫備海防艦 第十二號海防艦 第四十號海防艦 第百十二號海防艦 第百五十號海防艦 右警備海防艦ト定メラル|横須賀鎮守府豫備艦 軍艦 長門 軍艦 天城|呉鎮守府第一豫備艦 軍艦 伊勢 軍艦 日向 軍艦 青葉|呉鎮守府豫備艦 軍艦 鳳翔 軍艦 隼鷹|佐世保鎮守府豫備艦 軍艦 榛名|舞鶴鎮守府豫備艦 軍艦 龍鳳|右第四豫備艦ト定ム|昭和二十年四月二十日 海軍大臣』"
[308] 간행물 昭和20年5月22日(発令5月10日付)海軍辞令公報(甲)第1806号 p.16 C130721050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09] 문서 "#紅の航跡]]67頁『昭和二十年四月一日』"
[310] 문서 "#大内、特設|特設艦船入門]]191頁"
[311] 문서 "#紅の航跡]]67-68頁『昭和二十年四月二十日』"
[312]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50頁(隼鷹艦尾写真解説)"
[313] 문서 "#野元航母2013|野元、航空母艦物語]]327-329頁『さらば空母「隼鷹」よ 前原富義』"
[314]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55頁(隼鷹解体中写真解説)"
[315]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56頁(隼鷹と笠置写真解説)"
[316] 서적 写真日本の軍艦第4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