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만새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만새기는 몸이 은색과 노란색을 띠는 어종으로, 등지느러미는 푸른색을 띠며 옆줄이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 태평양, 대서양의 아열대 및 열대 해역, 대한민국, 일본, 지중해 등에서 서식하며, 수심 10~80m의 연안에서 주로 발견된다. 남아메리카에서는 회, 구이 등으로 식용되며, 평균 수명은 3~4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새기과 - 만새기속
만새기속은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댕기만새기와 만새기의 두 종을 포함하고, 연안에서 원양 표층에 서식하며 작은 물고기를 포식하는 만새기과의 어류 속이다. - 전갱이목 - 흑점줄전갱이
흑점줄전갱이는 몸 중앙의 노란색 옆줄과 아가미 뚜껑의 흑점이 특징인 전갱이목 어종으로, 전 세계 아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식용 가치가 높아 낚시 대상 및 고급 식재료로 이용된다. - 전갱이목 - 매지방어
매지방어는 농어목 전갱이과 아이브리속의 유일한 종으로, 최대 70cm까지 성장하며 인도양 및 서태평양 열대·아열대 해역에 분포하고, 육식성 어류로서 어업 대상이 되며 식용으로 사용된다. - 낚싯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낚싯고기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줄만새기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oryphaena equiselis Linnaeus, 1758 |
이명 | Coryphaena equisetis Osbeck, 1765 (모호한 이름) Coryphaena aurata Rafinesque, 1810 Coryphaena azorica Valenciennes, 1833 Lampugus neapolitanus Valenciennes, 1833 Coryphaena lessonii Valenciennes, 1833 Lampugus punctulatus Valenciennes, 1833 |
몸길이 | 127 cm |
FishBase | Coryphaena equiselis |
2. 특징
줄만새기는 몸이 은색과 노란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부근, 얼굴 및 가슴지느러미 부근은 노란색을 띤다. 반면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몸의 옆줄과 측선의 일부는 은색이다. 등지느러미는 푸른색을 띠는데, 이는 만새기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측선인 옆줄이 만새기에 비해 더 뚜렷하다.
줄만새기의 주요한 서식지는 태평양, 대서양의 아열대와 열대 해역이다. 대한민국과 일본에서도 서식이 확인되며 지중해에서도 발견된다. 수심 10m~80m의 대륙붕으로 이뤄진 연안에서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의 어류이다. 줄만새기의 평균적인 수명은 3년~4년으로 비교적 짧은 편이다.
줄만새기는 식용으로도 이용이 되는 어종인데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많이 식용하며 주로 회, 구이 등으로 많이 먹는다.
[1]
간행물
"''Coryphaena equiselis''"
2011
몸은 전체적으로 길며, 연장된 머리와 등지느러미로 인해 압축된 형태를 보인다. 성숙한 줄만새기는 이마가 돌출되어 잘 발달해 있다. 등지느러미 각 연조 사이의 간격은 넓고, 뒤쪽 16~18개 연조의 끝은 삼각형 모양이다.
등과 옆구리에는 작고 검은 점들이 흩어져 있으며, 등지느러미 부근의 몸 색깔은 푸른색, 녹색, 청록색이 섞여 있다. 등지느러미의 뿌리 부분을 따라 둥근 점이 한 줄로 나 있으며, 머리에는 갈색 줄이 있다. 줄만새기는 죽으면 몸 색깔이 회색과 녹색으로 변한다.
먹이로는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와 같은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를 잡아먹는 육식성 물고기이다.
3. 서식지 및 생태
식용으로도 이용되는데, 특히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많이 식용하며 주로 회나 구이 등으로 먹는다.
4. 인간과의 관계
참조
[2]
서적
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