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인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인형은 끈이나 철사로 조종하는 인형으로, 고대 이집트, 그리스 등에서 의식이나 인형극에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프랑스에서 성경 이야기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시칠리아에서는 13세기부터 오페라 데이 푸피라는 독특한 인형극이 발전했다. 18세기에는 모차르트, 하이든 등이 줄인형을 위한 오페라를 작곡했고,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영국에서 부흥기를 맞았다. 현대에는 텔레비전과 영화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피노키오', '하우디 두디', '썬더버드' 등이 대표적이다. 줄인형 조작 방식은 아시아식 패들, 수평형, 수직형 등 다양하며, 독일, 영국, 시칠리아, 체코, 미얀마 등 국가별로 독특한 조작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인형극은 고대부터 존재해 온 공연 형태이며, 일부 역사학자들은 배우보다 인형극이 먼저 생겼다고 주장한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꼭두각시놀음 (남사당패)이 널리 행해졌다. 꼭두각시놀음은 풍자와 해학을 담은 내용으로 서민들의 삶을 반영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창작 인형극이 공연되고 있고 여러 극단이 활동하고 있다.
2. 역사
그리스어 단어 νευρόσπαστος (''nevróspastos'')는 '인형'으로 번역되는데, 문자 그대로 '끈으로 당겨진, 끈을 당기는'을 의미한다.[5] 이 단어는 νεῦρον (''nevron'')('힘줄, 근육, 끈' 또는 '철사')[6]과 σπάω (''spáō'')('당기다, 잡아당기다')[7][8]에서 유래했다.
인도어 단어 ''sutradhara''는 ''sutra''에서 유래했으며, 연극 공연(또는 인형극 배우)의 쇼 매니저를 지칭하며, 문자 그대로 '끈을 당기는 사람' 또는 '끈을 잡는 사람'을 의미한다.[12]
2. 1. 고대

인형극은 아주 오래된 공연 형태이며, 일부 역사학자들은 배우보다 먼저 생겼다고 주장한다. 기원전 20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무로 만든 끈 조작 인형으로 빵 반죽 같은 행위를 묘사했다는 증거가 있으며,[3] 철사로 조작하고 관절이 있는 점토와 상아 인형이 이집트 무덤에서 발견되었다.[3] 고대에는 끈으로 조작하는 이 인형을 사용하여 의식과 의례를 보여주었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인형극은 고대 그리스에서 행해졌으며,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5세기의 헤로도토스와 크세노폰의 저작에서 찾아볼 수 있다.[3][4]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년)는 그의 저서 ''동물 운동에 관하여''에서 인형에 대해 논하고 있다.[9]
아르키메데스는 마리오네트 인형을 가지고 작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톤의 저서에도 인형극에 대한 언급이 있다. ''일리아스''와 ''오디세이''는 인형극을 사용하여 공연되었다. 유럽 인형극의 기원은 기원전 5세기에 "평민"에게 인형극을 공연했던 그리스 연극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기원전 3세기에는 이러한 연극이 아크로폴리스의 디오니소스 극장에서 공연되었다.[10]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 기원전 500년경의 점토와 상아 인형이 어린이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이 인형들은 관절이 있는 팔다리를 가지고 있었고, 일부는 머리 위에서 뻗어 나온 철 막대가 있었다. 이 막대는 오늘날 시칠리아 인형극에서와 같이 위에서 인형을 조작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인형 중 몇몇은 막대 대신 끈이 달려 있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 고대 인형들이 작은 크기 때문에 단순한 장난감이었을 뿐 인형극 인형은 아니라고 믿고 있다.[11]
2. 2. 중세 및 르네상스
중세 시대 프랑스에서는 줄인형을 사용하여 성경 이야기를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고, 성모 마리아가 인기 있는 등장인물이었다.[2]
시칠리아에서는 13세기 전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 치하의 프로방스 트루바두르 전통에 뿌리를 둔 인형극 '오페라 데이 푸피(Opera dei Pupi)'가 발전했다. '오페라 데이 푸피'는 시칠리아어로 '인형의 오페라'를 의미한다. 이 인형극은 손으로 만든 나무 인형을 특징으로 하며, ''롤랑의 노래''와 같은 프랑크 낭만시의 복잡하고 화려하게 채색된 장면으로 장식된 당나귀 수레와 함께 공연되었다. 팔레르모의 인형 극장에서 이 인형극을 볼 수 있다.
2. 3. 근현대
18세기에는 모차르트, 글루크, 하이든 등이 줄인형을 위한 오페라를 작곡했다.[13]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영국에서는 해리 왝슬로와 윌도 란체스터 등이 줄인형 부흥을 이끌었다.[13]
독일에서는 아우크스부르거 푸펜키스테가 1948년부터 동화와 진지한 작품을 연극적으로 각색하여 제작해 왔으며, 1953년부터는 텔레비전 시리즈를 만들기 시작했다.[14] 오스트리아에서는 잘츠부르크 줄인형 극장이 1913년 설립되어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공연을 이어가고 있다.[15]
체코에서는 줄인형 극장이 프라하의 엔터테인먼트 역사에서 매우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국립 줄인형 극장 등 다양한 극단이 활동하고 있다.[15] 특히, 줄인형극은 독일어 사용 강요에 맞서 체코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얀마(버마)에서는 '요테(Yoke thé)'라고 불리는 줄인형극이 인기 있는 예술 형식으로, 전통적인 미얀마 오케스트라인 흐사잉 와잉의 음악에 맞춰 공연된다.[25] 
3. 한국의 줄인형
3. 1. 한국의 줄인형 극단 (예시)
4. 현대의 줄인형
현대에는 연극, 오페라뿐만 아니라 영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줄인형이 활용되고 있다.
독일에서는 아우크스부르거 푸펜키스테가 1948년부터 동화와 진지한 작품을 각색하여 줄인형극을 제작해왔다. 1953년부터는 텔레비전 시리즈 제작을 시작하여 ''짐 크노프와 기관차 루카스'', ''얼음 속의 우르멜''과 같은 작품을 선보였다.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 줄인형 극장은 1913년 안톤 아이허 교수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주로 ''박쥐'', ''마술 피리''와 같은 오페라와 ''호두까기 인형''과 같은 발레 작품을 공연한다. 체코에서는 국립 줄인형 극장을 비롯한 여러 극단이 활동 중이며,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 줄인형 공연 등이 유명하다.
영국에서는 20세기 초 해리 왝슬로와 윌도 란체스터가 줄인형 부흥을 이끌었으며, 머리엘과 함께 말번에 란체스터 줄인형 극장을 열었다. 또한, 리틀 엔젤 극장과 인형 극장 바지선 등에서도 줄인형 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스코틀랜드 마스크 및 인형 센터가 줄인형 예술을 지원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노먼 헤더링턴, 피터 스크리븐, 리차드 브래드쇼 OAM 등 여러 인형극 배우들이 활동하고 있다. 프랑스 피카르디에서는 아미앵 출신의 줄인형 라플레르가 유명하며, 리옹에서는 1808년에 만들어진 손 인형 기뇰이 가장 유명하다.
미국에서는 콜 줄인형, 밥 베이커 줄인형 극장, 퍼핏웍스 극장, 인형극 예술 센터, 르 테아트르 드 마리오네트, 국립 줄인형 극장, 프라텔로 줄인형, 빌 바드 극장, 프리스치 줄인형, 조셉 캐시어 등 다양한 단체와 인물들이 줄인형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일본의 극단 로와이얄 드 뤼크스의 "술탄의 코끼리와 소녀"는 거대 인형을 활용한 거리 인형극으로 유명하다. 만화 가라쿠리 서커스에는 무기로 사용되는 다양한 줄인형이 등장한다.
4. 1. 영화 및 텔레비전

피노키오는 1940년에 개봉한 디즈니의 영화로, 줄인형을 주인공으로 한 대표적인 작품이다.[20] 1947년, 하우디 두디는 어린이 텔레비전에 줄인형을 소개했는데, 주인공 하우디 두디를 비롯한 여러 캐릭터가 줄인형이었다.
1950년대, 빌 베어드와 코라 아이젠버그는 텔레비전을 위해 많은 줄인형 쇼를 선보였으며,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의 외로운 양치기 시퀀스를 담당했다.[20]
1960년대 후반, 제리 앤더슨은 아내 실비아 앤더슨과 함께 줄인형과 전자 장치를 결합하여 줄인형의 입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기술인 "슈퍼마리오네이션"을 개발했다.[21] 이 기술을 통해 파이어볼 XL5, 스팅레이, 썬더버드 등 여러 히트작을 제작했다.
2004년에는 장편 줄인형 판타지 영화 스트링스가 제작되었다.
5. 조작 방식
인형극은 오랜 역사를 지닌 공연 예술이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배우보다 인형극이 먼저 생겼다고 주장할 정도다. 기원전 2000년경 이집트에서 나무로 만든 줄인형으로 빵 반죽하는 모습을 묘사했다는 증거가 있으며, 철사로 조작하는 관절이 있는 점토 및 상아 인형이 이집트 무덤에서 발견되기도 했다.[3][4]
고대 그리스에서도 인형극이 행해졌으며, 헤로도토스와 크세노폰의 저작에서 관련 기록을 찾을 수 있다.[3][4]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동물 운동에 관하여''에서 인형의 움직임을 자동 인형에 비유하기도 했다.[9]
줄인형의 조작 방식은 국가 및 지역별, 극단별로 다양하다. 주요 국가별 줄인형 조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미얀마 줄인형(요테): 오페라에서 주로 공연되며, 매우 정교하다. 남성 캐릭터는 18개, 여성 캐릭터는 19개의 줄을 사용하며, 각 인형은 단 한 명의 인형 조종자가 제어한다. 왕, 동물, 장관, 왕자와 공주, 어릿광대 등 27명의 등장인물로 구성된 극단이 일반적이다.[25]
- 체코 줄인형: 손으로 조각하며, 보통 보리수 나무를 사용한다. 중심 막대 외에 팔과 다리에 줄이 달려 있어 숙련된 조작이 필요하다. 입이나 움직이는 귀를 제어하기 위해 줄을 사용하기도 한다. 중심 막대 없이 머리, 어깨, 등에 줄이 부착된 형태도 있는데, 조작이 가장 어렵다.
- 시칠리아 줄인형: 가장 단순한 조작 방식 중 하나로, 주로 나무로 조각된다. 몸체를 통과하여 머리까지 뻗어 있는 튼튼한 막대를 이용해 조작하며, 이 막대와 손에 연결된 하나의 끈으로 인형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 영국 줄인형: 독일 줄인형과 유사하게 보통 9개의 줄을 가진다. 각 무릎, 손, 어깨에 하나씩, 머리에 두 개, 허리 아래쪽에 하나씩 연결된다. 조종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리 막대가 분리된 영국식 수직 형태이다. 선택적으로 팔꿈치, 이마 또는 코에 줄을 연결하기도 한다.[23]
- 독일 줄인형: 다리, 손, 머리, 어깨 및 등에 연결된 8개의 줄을 사용하여 조작하며, 조작부는 수평 형태이다.
5. 1. 아시아식 패들
짧은 손잡이가 달린 둥근 사각형 모양의 패들에 여러 개의 끈이 연결되어 있으며, 모든 끈은 패드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매달려 있다. 반대쪽 손으로 각 끈을 선택하여 당겨서 아래에 매달린 인형을 조종한다.[22]5. 2. 수평형
이 조종 방식은 수평면에서 손으로 잡는 막대이다. 중앙 막대에 직각으로 여러 개의 막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와이어를 통해 손, 어깨, 등 등에 연결된다. 머리 줄을 지탱하는 더 작은 판이 일반적으로 주 막대 아래에 걸려 있다. 마찬가지로 탈착 가능한 클립이 일반적으로 다리 막대를 잡고 있다. 이 조종 방식은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인형에 사용되며, 미국식 컨트롤이라고도 알려져 있다.[1]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 마리오네트 극장도 이 스타일의 변형을 인간 캐릭터에 사용한다.[1] 유사한 조종 방식은 사지 동물을 위해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된다.[1] 동물의 기본 모양을 모방하기 때문에, 좌우로 흔들면 다리 움직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1]5. 3. 수직형
이 유형의 조종 방식은 머리, 어깨, 등에 줄이 부착되며, 직각으로 삽입된 다양한 작은 막대가 있는 수직 막대이다. 이 조종 방식은 일반적으로 반대쪽 손으로 잡고 걸음을 제어하는 분리 가능한 다리 막대가 있다. 팔은 샤프트에 약 45도로 구부러진 구멍에 삽입되고 끝에 루프가 있어 손 줄을 부착하는 와이어로 제어되며, 이는 메인 샤프트를 잡고 있는 손가락으로 움직인다. 메인 수직 막대의 기울기는 머리와 몸을 미세하게 제어한다. 이러한 유형의 조종 방식은 일반적으로 영국식 조종 방식이라고 한다.[1]수직 조종 방식의 또 다른 변형은 유럽에서 발견되며, 일반적으로 머리 중앙에서 위로 뻗어 조종 장치에 단단히 고정된 강성 와이어 로드가 있다. 다리 막대는 메인 수직 막대를 관통하지만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리의 움직임을 허용한다.[1]
5. 4. 국가별 조작 방식
독일 줄인형은 다리, 손, 머리, 어깨 및 등에 연결된 8개의 줄을 사용하여 조작하며, 조작부는 수평 형태이다.영국 줄인형은 독일 줄인형과 유사하게 보통 9개의 줄을 가진다. 각 무릎, 손, 어깨에 하나씩, 머리에 두 개, 허리 아래쪽에 하나씩 연결된다. 조종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리 막대가 분리된 영국식 수직 형태이다. 선택적으로 팔꿈치, 이마 또는 코에 줄을 연결하기도 한다.[23]
시칠리아 줄인형은 가장 단순한 조작 방식 중 하나이다. 주로 나무로 조각되며, 몸체를 통과하여 머리까지 뻗어 있는 튼튼한 막대를 이용해 조작한다. 이 막대와 손에 연결된 하나의 끈이 인형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체코 줄인형은 시칠리아 줄인형보다 복잡하다. 손으로 조각하며, 보통 보리수 나무를 사용한다. 중심 막대 외에도 팔과 다리에 줄이 달려 있어, 더 숙련된 조작 기술이 필요하다. 때로는 입이나 움직이는 귀를 제어하기 위해 줄을 사용하기도 한다. 체코에는 중심 막대 없이 머리, 어깨, 등에 줄이 부착된 줄인형도 있는데, 이는 조작하기 가장 어렵다. 미로슬라프 트레이트나르는 전통적인 체코 줄인형 제작 기술의 장인이자 교사로 인정받고 있다.
미얀마 줄인형(요테)은 모두 줄로 조작되며, 미얀마에서 인기 있는 예술 형태이다. 주로 오페라에서 공연된다. 미얀마 줄인형 극단은 왕, 동물, 장관, 왕자, 공주, 어릿광대 등 27명의 등장인물로 구성되어야 한다.[25] 음악은 전통적인 미얀마 오케스트라인 흐사잉 와잉이 제공한다. 미얀마 줄인형은 매우 정교하며, 남성 캐릭터는 18개, 여성 캐릭터는 19개의 줄을 사용하고, 각 인형은 단 한 명의 인형 조종자가 제어한다.
참조
[1]
서적
Puppetry Today
[2]
서적
Puppets and "popular" Culture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Histories
https://www.perseus.[...]
[4]
서적
Symposium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νευρόσπαστος
https://www.perseus.[...]
[6]
웹사이트
νεῦρον
https://www.perseus.[...]
[7]
웹사이트
σπάω
https://www.perseus.[...]
[8]
웹사이트
List of Ancient Greek words related to puppetry
https://www.perseus.[...]
[9]
서적
On the Motion of Animals
[10]
서적
Puppetry and Puppets
Thames & Hudson
[11]
웹사이트
Observations - Chapter One
http://www.sagecraft[...]
[12]
서적
The Oxford Hindi-English Dictionary
https://dsal.uchicag[...]
Oxford University Press
[13]
뉴스
Marionettes Feature
https://www.britishn[...]
1944-08-02
[14]
웹사이트
Scottish Mask and Puppet Centre
http://www.scottishm[...]
[15]
서적
Czech Puppet Theatre
[16]
웹사이트
Phillip Edmiston Collection
http://www.cabaretpu[...]
2019-05-19
[17]
뉴스
George Cole, Master Of Cole Marionettes
https://www.chicagot[...]
2018-07-26
[18]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www.puppetwor[...]
2016-09-07
[19]
웹사이트
The Cashore Marionettes
http://www.cashorema[...]
2018-07-21
[20]
서적
The Art of the Puppet
[21]
뉴스
Cult - Gerry Anderson - Thunderbirds
https://www.bbc.co.u[...]
BBC Online
[22]
서적
Marionette Plays from Northern Chin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3]
서적
Your Puppetry
Sylvan Press
[24]
웹사이트
Why Czechs don't speak German
https://www.bbc.com/[...]
2018-08-21
[25]
서적
Burmese Culture: General and Particular
https://books.google[...]
Sarpay Beikman Corporation
2018-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