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민혁)는 1948년 중국 국민당 내 좌파 세력이 장제스의 독재에 반대하여 결성한 정당이다. 쑨원의 미망인 쑹칭링을 명예 주석으로 추대하고, 혁명적 삼민주의를 내걸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참여하여 중국 공산당과 협력했다. 현재는 대만과의 관계 개선에 힘쓰며, 중국 통일을 지지하는 인사를 영입하고 있다.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참여하여 정책 자문 및 입법 활동을 하며, 쑹칭링, 리지선, 허샹닝 등이 주요 인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설립된 정당 - 자유민주당 (독일, 1948년)
    자유민주당은 1948년 서독에서 창당되어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자유주의 정당들을 계승하며, 기민련/기사련 또는 사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며 캐스팅보트 역할을 수행했고, 자유시장 경제와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중도우파 정당이다.
  • 1948년 설립된 정당 - 대한청년단
    대한청년단은 이승만 정권의 권력 강화를 위해 조직된 전국적인 우익 청년 단체로, 경쟁 단체 통합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반공 이념 확산에 주력했으나, 정치적 탄압과 4.19 혁명 당시 폭력 진압 가담으로 비판받으며 해체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당 - 자유당 (홍콩)
    홍콩 자유당은 1993년 기업인과 전문직 종사자들이 자유방임주의 경제 정책을 지향하며 창당한 친중파 성향의 보수주의 정당으로,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의 주요 협력 세력이었으나 때로는 대립하기도 하며 정치적 변화를 겪어 현재 입법회에서 4석을 차지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당 - 중국 민주 동맹
    중국 민주 동맹은 중일 전쟁 시기 제3세력으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중국 공산당의 지도하에 중국 특색 사회주의 건설을 지지하는 중국의 정당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국가 행정 기관이며, 국무원 총리가 행정 전반을 지휘·감독하고, 중국 공산당의 지도 하에 운영되며, 2024년 조직법 개정을 통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지도와 이념을 따라야 한다.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 [정당]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 휘장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 휘장
약칭민혁
창립1948년 1월 1일
분파중국 국민당(좌익)
본부베이징시 둥청구 둥화청근 남대가
신문《단결보(团结报)》
《단결(团结)》
당원 수 (2022년)158,000명
국가중국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이념
주요 이념중국 특색 사회주의
중국 민족주의
역사적 이념신삼민주의
좌익 민족주의
정치
의석 (전국인민대표대회, 14기)41석 / 2977석
의석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6석 / 175석
의석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65석 / 544석 (정당 의석)
명칭 (언어별)
중국어 간체中国国民党革命委员会
중국어 정체中國國民黨革命委員會
로마자 병음Zhōngguó Guómíndǎng Gémìngwěiyuánhuì
웨이드-자일스Chung¹-kuo² Kuo²-min²-tang³ Ko²-ming⁴-wei³-yüan²-hui⁴
한국어중국국민당혁명위원회
영어Revolutionary Committee of the Chinese Kuomintang
지도부
주석정젠방
부주석허바오샹 (상무 부주석)
류자창
리후이둥
톈훙치
왕훙
펑궁
우징
오우양쩌화
구전춘
천싱잉

2. 역사

## 역사

### 설립 배경 (1945-1948)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일본에 맞서 연합했던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의 관계는 점차 악화되었고, 결국 양측은 국공 내전을 재개했다.[1][2][3] 1945년과 1946년에 국민당 좌파는 각각 충칭과 광저우에서 삼민주의 동지 연합회와 국민당 민주 촉진 협회를 결성했다.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 독재에 반대하는 국민당의 용공 좌파를 중심으로[22], 1948년 1월, 쑹칭링을 명예 주석, 리지선을 주석으로 하여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생산인민당'이나 '중화민족혁명동맹' 멤버와 같이 한때 국민당을 탈퇴했던 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1947년 11월, 국민당 좌파의 첫 번째 합동 대표자 회의가 홍콩에서 열렸고, 1948년 1월 1일, 회의는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의 공식 설립을 발표했다.[1][2][3] 허샹닝, 펑위샹이 조직의 중앙 지도부로 선출되었다.[4]

설립 당시의 강령에서는 '연소, 용공, 부조공농'이라는 제1차 국공 합작의 이념을 포함하여, '혁명적 삼민주의'를 내걸었다.[22]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을 '쑨원의 유훈을 배반했다'고 하여 적대시했다.

###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1949-1978)

1949년 5월, 당시의 민혁, 민련, 민촉은 중국 공산당에 의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기 전체회의 개최에 다른 민주당파와 함께 응하여, 리지선, 허샹닝, 류야쯔 등을 대표로 파견하여 임시 헌법이 되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공동강령의 채택과 중앙인민정부 선거에 참가했다. 이 선거에서는 쑹칭링, 리지선이 중앙인민정부 부주석으로, 청첸이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 그 외에 탄핑산, 주쉐판, 푸쭤이, 리더취안, 허샹닝이 중앙인민정부의 부 및 위원회의 부장, 주임이 되었다.

1949년 11월 베이징에서 개최된 중국 국민당 좌파 제2차 대표회의에서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 외에 중국 국민당 민주촉진회(민촉)와 삼민주의 동지연합회(민련)는 정식으로 합병했다 (민주당파 중 하나인 중국민주촉진회가 있지만, 이것과는 별개의 조직이다). 민혁은 신중국의 성립 후에 혁명적 삼민주의나 신삼민주의의 방침을 장정에서 삭제했으며, 현재는 이를 내걸지 않고 있다.

1953년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 제2기 중앙위원회 제3차 회의


### 개혁개방 이후 (1979-현재)

현재의 민혁은, 대만의 중국 국민당과 관계가 있는 인물, 대만의 각계와 연관이 있는 중층, 상층의 지식인 채용에 힘쓰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민혁 중앙 주석이었던 리지선의 아들인 리페이야오, 베이핑시(현재의 베이징시) 시장이었던 허쓰위안의 딸인 허루리, 중화민국 베이양 정부 대리 대총통을 역임한 펑궈장의 증손인 펑궁 등이 있다.

현재의 민혁은 티베트를 제외한 중국 대륙의 30개 성, 자치구, 시에 당 지부를 두고 있으며, 당원 수는 2020년 시점에서 약 13만 명이다.

주류는 아니지만 중국 국민당의 분파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중국 국민당'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민중국』 등에서는 민주당파에 대한 설명이 있을 때, 처음에 소개되고 있다.

2. 1. 설립 배경 (1945-1948)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일본에 맞서 연합했던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의 관계는 점차 악화되었고, 결국 양측은 국공 내전을 재개했다.[1][2][3] 1945년과 1946년에 국민당 좌파는 각각 충칭과 광저우에서 삼민주의 동지 연합회와 국민당 민주 촉진 협회를 결성했다.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 독재에 반대하는 국민당의 용공 좌파를 중심으로[22], 1948년 1월, 쑹칭링을 명예 주석, 리지선을 주석으로 하여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생산인민당'이나 '중화민족혁명동맹' 멤버와 같이 한때 국민당을 탈퇴했던 자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1947년 11월, 국민당 좌파의 첫 번째 합동 대표자 회의가 홍콩에서 열렸고, 1948년 1월 1일, 회의는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의 공식 설립을 발표했다.[1][2][3] 허샹닝, 펑위샹이 조직의 중앙 지도부로 선출되었다.[4]

설립 당시의 강령에서는 '연소, 용공, 부조공농'이라는 제1차 국공 합작의 이념을 포함하여, '혁명적 삼민주의'를 내걸었다.[22]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을 '쑨원의 유훈을 배반했다'고 하여 적대시했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1949-1978)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국공 내전이 재개되었다.[1][2][3] 1945년과 1946년에 국민당 좌파는 충칭과 광저우에서 삼민주의 동지 연합회와 국민당 민주 촉진 협회를 각각 결성했다. 1947년 11월, 국민당 좌파의 첫 번째 합동 대표자 회의가 홍콩에서 열렸고, 1948년 1월 1일, 쑨원의 미망인 쑹칭링을 명예 주석으로 추대하며 "중국 국민당 혁명위원회"(민혁)의 공식 설립을 발표하였다.[4] 리지선, 허샹닝, 펑위샹이 조직의 중앙 지도부로 선출되었다.

1949년 5월, 민혁, 민련, 민촉은 중국 공산당의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기 전체회의 개최에 다른 민주당파와 함께 참여하여,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공동강령 채택과 중앙인민정부 선거에 참가했다.[1] 이 선거에서 쑹칭링리지선은 중앙인민정부 부주석, 청첸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4] 탄핑산, 주쉐판, 푸쭤이, 리더취안, 허샹닝은 중앙인민정부의 부 및 위원회의 부장, 주임이 되었다.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위원들은 시 정부 및 중앙 정부에서 직책을 유지했다.[4] 1949년 11월,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제2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중국 민주 촉진 협회, 삼민주의 동지회, 기타 국민당 좌파 구성원들은 통합하여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4]

쑹칭링은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과 명예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했다. 리지선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부주석과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

설립 당시 민혁은 '연소, 용공, 부조공농'이라는 제1차 국공 합작의 이념을 포함하여, '혁명적 삼민주의'를 강령으로 내걸었다.[22]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을 '쑨원의 유훈을 배반했다'고 비판하며 적대시했다. 그러나 신중국 성립 후, 민혁은 혁명적 삼민주의나 신삼민주의 방침을 장정에서 삭제했다.

년도후보자주석단 지명찬성표반대표기권당선
1959년쑹칭링
16px
???
1964년쑹칭링???



2. 3. 개혁개방 이후 (1979-현재)

개혁개방 이후,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이하 민혁)는 변화하는 중국 정치 환경에 적응하며 그 역할을 재정립해왔다.[4][5] 특히 타이완과의 관계 개선에 주력하며, 중국 통일을 지지하는 회원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다.[6]

민혁은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 독재에 반대하는 국민당 내 좌파 인사들을 중심으로, 1948년 쑹칭링을 명예 주석, 리지선을 주석으로 하여 정식 설립되었다.[22]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민혁은 중국 공산당 주도의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참여하여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공동강령 채택 및 중앙인민정부 수립에 기여했다. 쑹칭링, 리지선 등 주요 인사들은 중앙인민정부의 요직을 맡았다.[4]

현재 민혁은 주로 국민당 혁명가들의 후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4][5] 타이완의 중국 국민당과 관계가 있거나, 대만의 각계와 연관이 있는 중층 및 상층의 지식인들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민혁 중앙 주석이었던 리지선의 아들 리페이야오, 베이징 시장이었던 허쓰위안의 딸 허루리, 베이양 정부 대리 대총통을 역임한 펑궈장의 증손 펑궁 등이 있다. 2020년 기준 민혁은 티베트를 제외한 중국 대륙 30개 성, 자치구, 시에 당 지부를 두고 있으며, 당원 수는 약 13만 명에 달한다.

민혁은 중국 국민당의 분파에서 기원했기 때문에, '중국 국민당'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인민중국 등에서는 민주당파를 설명할 때 민혁을 가장 먼저 소개하기도 한다.

3. 조직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중앙위원회 본부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는 중국 공산당의 지도 하에 있는 8개의 소수 정당 중 하나이다.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의 최고 기구는 5년에 한 번 열리는 전국대표대회이다. 2022년 12월에 열린 제14차 전국대표대회가 가장 최근에 열린 당 대회이다.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중앙위원회를 선출한다.

헌법에 따르면,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는 공식적으로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지지하고 중국 공산당의 지도력을 옹호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식 정당들 중에서, 혁명위원회는 중국 공산당 다음으로 공식적으로 두 번째로 랭크되며, 1위 소수 정당이다.

국무원 신문판공실에 따르면,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는 "주로 중국 국민당과 연관이 있거나, 위원회와 역사적, 사회적 관계가 있거나, 대만 동포와 관계가 있는 사람들, 사회 및 법률 문제 전문가, 농업, 농촌 지역 및 농촌 사람들과 관련된 사업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14] 2022년 12월, 당은 약 15만 8천 명의 당원을 보유하고 있었다.[15]

원칙적으로 만 28세 이상으로,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갖고, 중국 대륙에서 학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하며, 노동자, 농민, 학생, 공청단 단원의 신분이 아닌 자가 민혁의 당원이 될 수 있다.[24][25]

3. 1. 중앙 조직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민혁)의 최고 의결 기구는 5년마다 열리는 전국대표대회이다.[12] 가장 최근에 열린 당 대회는 2022년 12월에 개최된 제14차 전국대표대회이다.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중앙위원회를 선출한다. 중앙위원회는 전국대표대회가 열리지 않는 기간 동안 민혁의 최고 기구 역할을 수행한다.[12]

중앙위원회는 판공청, 조직부, 선전부, 연락부, 사회서비스부, 연구부 등 6개의 실무 부서를 두고 있다.[12] 또한 경제위원회, 삼농(三農)위원회, 사회법제위원회, 교과문위체(教科文衛體)위원회, 인구자원환경위원회, 조국평화통일촉진위원회, 이론연구학습위원회, 부녀청년공작위원회 등 8개의 전문 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민혁은 언론 매체로 신문 '통일보/团结报중국어'와 잡지 '통일/团结중국어'을 소유하고 있다.[13] 이 외에도 중화 중산 문화 교류 협회, 민혁 쑨원(孫中山) 연구학회, 민혁 중앙 화원, 단결 출판사, 중국 통화 경제 개발 자문 서비스 센터 등의 하부 기구를 두고 있다.

중앙위원회는 주석이 이끌며, 여러 명의 부주석이 주석을 보좌한다.

3. 2. 지방 조직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는 성, 자치구, 시 단위에 지방 조직을 두고 있다.[23] 1998년까지 한유원(韓有文)이 신장 지부 주석을 역임했다.[17][18]

2020년 기준, 각 성급 지방 정부에서 정·부성장 직책을 맡고 있는 민혁 당원은 다음과 같다.[23]

성명직책학력
천싱잉/陈星莺zh-Hans-CN장쑤성 부성장공학 박사
쑨지예/孙继业zh-Hans-CN산둥성 부성장문학사
장푸밍/张复明zh-Hans-CN산시성 부성장관리학 박사
왕스제/王世杰zh-Hans-CN구이저우성 부성장관리학 박사


3. 3. 역대 지도부

번호주석취임퇴임
1
141x141px
리지선1948년 1월1959년 10월
2
153x153px
허샹닝1960년 8월1972년 9월 1일
3
140x140px
주윈산1979년 10월1981년 4월 30일
4
141x141px
왕쿤룬1981년 9월 9일1985년 8월 23일
5
136x136px
취우1985년 9월1987년 12월
6
119x119px
주쉐판1987년 12월1992년 12월
7
100x100px
리페이야오1992년 12월1996년 2월 2일
8허루리1996년 11월 11일2007년 12월 15일
9저우톄농2007년 12월 15일2012년 12월 18일
10
133x133px
완어샹2012년 12월 18일2018년 3월 18일
11
133x133px
정젠방2022년 12월 10일현직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는 명예 주석직을 두었는데, 쑹칭링(1948–1949), 취우(1988–1992), 주쉐판(1992–1996), 허우징루(1992–1994), 쑨웨치(1992–1995) 등이 역임했다.[16]

4. 이념 및 정책

4. 1. 기본 이념

4. 2. 주요 정책

5. 주요 활동

5. 1. 대만과의 교류 협력

5. 2. 사회 기여 활동

5. 3. 정치 참여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민혁)는 전국인민대표대회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등에 참여하여 정부 정책 자문 및 입법 제안 등의 활동을 한다. 2017-18년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민혁은 2970석 중 43석을, 2022-23년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는 2977석 중 41석을 차지했다.

쑹칭링은 1959년과 1964년에 주석단 지명을 받아 국가주석에 당선되었다. 만어샹은 2013년과 2018년에 2,970표 만장일치로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에 당선되었고, 2023년에는 정젠방이 2,952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사이 츠춘은 2013년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에 2,237표로 당선되었고, 2018년에는 정젠방이 2,158표, 2023년에는 허바오샹이 당선되었다.

6. 주요 인사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이하 민혁) 설립과 발전에 기여한 주요 인물로는 쑹칭링, 리지선, 허샹닝, 펑위샹 등이 있다. 쑹칭링은 1948년부터 1949년까지, 그리고 1959년과 1964년에 주석단 후보로 지명되어 당선되었다.

역대 주석으로는 주윈산, 왕쿤룬, 취우, 주쉐판 등이 활동했다. 이들의 재임 기간은 아래 표와 같다.

No.주석취임퇴임
1리지선1948년 1월1959년 10월
2허샹닝1960년 8월1972년 9월 1일
3주윈산1979년 10월1981년 4월 30일
4왕쿤룬1981년 9월 9일1985년 8월 23일
5취우1985년 9월1987년 12월
6주쉐판1987년 12월1992년 12월
7리페이야오1992년 12월1996년 2월 2일
8허루리1996년 11월 11일2007년 12월 15일
9저우톄농2007년 12월 15일2012년 12월 18일
10완어샹2012년 12월 18일2018년 3월 18일
11정젠방2022년 12월 10일현직



그 외에도 취우는 1988년부터 1992년까지, 주쉐판은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주석을 역임했다. 허우징루와 쑨웨치 또한 1992년부터 각각 1994년, 1995년까지 주석직을 수행했다.

정젠방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을 겸임하고 있다. 허바오샹(수석), 류자창, 리후이둥, 톈훙치, 왕훙, 펑궁, 우징, 어우양쩌화, 구전춘, 천싱잉 등이 현 지도부에 속해있다.

다음은 역대 주석 선거 결과이다.

연도후보자주석단 지명찬성표반대표기권당선
2013년만어샹2,97000
2018년만어샹2,97000
2023년정젠방2,95200



년도후보주석단 지명찬성표반대표기권당선
2013년사이 츠춘2,23700
2018년정젠방2,15800
2023년허바오샹



민혁의 주요 인물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쑹칭링
  • 원원하오
  • 탄핑산
  • 리지선
  • 장즈중
  • 룽윈
  • 허스위안
  • 천사오관
  • 허샹닝
  • 펑위샹
  • 웨일리화
  • 양제
  • 자오쭈캉
  • 사오리쯔
  • 청첸
  • 린보취
  • 허야오주
  • 왕자전
  • 장즈장
  • 탕성즈
  • 두젠스
  • 푸쭤이
  • 리더취안
  • 장쉐밍
  • 슝커우
  • 리위강
  • 단무제
  • 천밍추
  • 차이팅카이
  • 황사오훙
  • 쉐두비
  • 루한
  • 랴오청즈
  • 류원후이
  • 우치웨이
  • 류야오장
  • 정둥궈
  • 류지
  • 위쉐충
  • 덩시허우
  • 양시민
  • 두젠스
  • 류둬취안

6. 1. 역사적 인물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이하 민혁) 설립과 발전에 기여한 주요 인물로는 쑹칭링, 리지선, 허샹닝, 펑위샹 등이 있다. 쑹칭링은 1948년부터 1949년까지, 그리고 1959년과 1964년에 주석단 후보로 지명되어 당선되었다.

역대 주석으로는 주윈산, 왕쿤룬, 취우, 주쉐판 등이 활동했다. 이들의 재임 기간은 아래 표와 같다.

No.주석취임퇴임
1리지선1948년 1월1959년 10월
2허샹닝1960년 8월1972년 9월 1일
3주윈산1979년 10월1981년 4월 30일
4왕쿤룬1981년 9월 9일1985년 8월 23일
5취우1985년 9월1987년 12월
6주쉐판1987년 12월1992년 12월
7리페이야오1992년 12월1996년 2월 2일
8허루리1996년 11월 11일2007년 12월 15일
9저우톄농2007년 12월 15일2012년 12월 18일
10완어샹2012년 12월 18일2018년 3월 18일
11정젠방2022년 12월 10일현직



그 외에도 취우는 1988년부터 1992년까지, 주쉐판은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주석을 역임했다. 허우징루와 쑨웨치 또한 1992년부터 각각 1994년, 1995년까지 주석직을 수행했다. 민혁의 주요 인물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쑹칭링
  • 원원하오
  • 탄핑산
  • 리지선
  • 장즈중
  • 룽윈
  • 허스위안
  • 천사오관
  • 허샹닝
  • 펑위샹
  • 웨일리화
  • 양제
  • 자오쭈캉
  • 사오리쯔
  • 청첸
  • 린보취
  • 허야오주
  • 왕자전
  • 장즈장
  • 탕성즈
  • 두젠스
  • 푸쭤이
  • 리더취안
  • 장쉐밍
  • 슝커우
  • 리위강
  • 단무제
  • 천밍추
  • 차이팅카이
  • 황사오훙
  • 쉐두비
  • 루한
  • 랴오청즈
  • 류원후이
  • 우치웨이
  • 류야오장
  • 정둥궈
  • 류지
  • 위쉐충
  • 덩시허우
  • 양시민
  • 두젠스
  • 류둬취안

6. 2. 현대 주요 인사

정젠방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을 겸임하고 있다. 허바오샹(수석), 류자창, 리후이둥, 톈훙치, 왕훙, 펑궁, 우징, 어우양쩌화, 구전춘, 천싱잉 등이 현 지도부에 속해있다.

다음은 역대 주석 선거 결과이다.

연도후보자주석단 지명찬성표반대표기권당선
2013년만어샹2,97000
2018년만어샹2,97000
2023년정젠방2,95200



년도후보주석단 지명찬성표반대표기권당선
2013년사이 츠춘2,23700
2018년정젠방2,15800
2023년허바오샹



쑹칭링, 원원하오, 탄핑산, 리지선, 장즈중, 룽윈, 허스위안, 천사오관, 허샹닝, 펑위샹, 웨일리화, 양제, 자오쭈캉, 사오리쯔, 청첸, 린보취, 허야오주, 왕자전, 장즈장, 탕성즈, 두젠스, 푸쭤이, 리더취안, 장쉐밍, 슝커우, 리위강, 단무제, 천밍추, 차이팅카이, 황사오훙, 쉐두비, 루한, 랴오청즈, 류원후이, 우치웨이, 류야오장, 정둥궈, 류지, 위쉐충, 덩시허우, 양시민, 두젠스, 류둬취안 등도 민혁의 주요 인사였다.

7. 대한민국과의 관계

7. 1. 정당 간 교류

7. 2. 한반도 문제 관련 입장

8. 평가 및 비판

8. 1. 긍정적 평가

8. 2. 비판적 시각

참조

[1] 웹사이트 Zhōngguó guómíndǎng gémìng wěiyuánhuì https://www2.scut.ed[...] South China University of Technology 2020-07-13
[2] 간행물 Democratic parties and groups in the Preparatory Committee to convene a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https://digitalarchi[...]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2021-03-18
[3] 웹사이트 Song Qingling https://www.britanni[...] 2021-03-18
[4] 웹사이트 Zhōngguó guómíndǎng gémìng wěiyuánhuì jiǎnjiè http://www.minge.gov[...] 2020-07-13
[5] 뉴스 Zhōngguó Guómíndǎng Gémìng Wěiyuánhuì Zhōngyāng Wěiyuánhuì zhǔxí Wàn Èxiāng jìyǔ Xīn Zhōngguó chénglì 70 zhōunián http://cpc.people.co[...] 2019-09-16
[6] 웹사이트 The Revolutionary Committee of the Chinese Kuomintang (RCCK) - China Yearbook 2004 http://english1.engl[...] 2021-03-18
[7] 웹사이트 Understanding China's Political System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21-03-17
[8] 웹사이트 Chinese KMT Revolutionary Committee convenes 14th national congress http://english.scio.[...] 2023-01-01
[9] 웹사이트 http://www.minge.gov[...] 2018-01-11
[10] 웹사이트 http://www.minge.gov[...] 2018-01-11
[11] 웹사이트 我国八个民主党派排序考 http://mg.lishui.gov[...] 2022-12-30
[12] 웹사이트 民革中央机构 http://www.minge.gov[...] 2023-01-22
[13] 웹사이트 Unity Daily http://epaper.tuanji[...] 2018-01-11
[14] 웹사이트 Full Text: China's Political Party System: Cooperation and Consultation http://english.scio.[...] 2024-10-06
[15] 뉴스 Zheng Jianbang elected chairman of Chinese KMT Revolutionary Committee https://english.news[...] 2022-12-27
[1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Central Leadership of the national Revolutionary Committee (including current and previous leaders) http://www.minge.gov[...] 2018-01-11
[17] 서적 China report: political, sociological and military affairs, Issues 19-24 https://books.google[...] Foreign Broadcast Information Service 2011-04-03
[18] 서적 Who's who in China current leaders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s Press 2011-04-03
[19] 문서 省の正副省長・自治区政府の正副主席・直轄市の正副市長。
[20] 웹사이트 民革中央 中国国民党革命委員会章程 http://www.minge.gov[...]
[21]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12-05
[22] 웹사이트 中國國民黨革命委員會行動綱領 https://kknews.cc/ne[...] 每日頭條 2024-02-21
[23] 웹사이트 民主党派及无党籍省级政府首长简介 https://new.qq.com/o[...] 2022-12-27
[24] 웹사이트 民革山东省委员会-民革山东省委员会 http://www.sdmg.gov.[...] 2022-12-27
[25] 웹사이트 《关于民主党派组织发展若干问题座谈会纪要》 http://mm.xxz.gov.cn[...] 2022-12-27
[26] 문서 중화인민공화국에 실제로 존재하고 있지만 정부로 부터 인정받지 못했거나 사실상 정치 모임에 가까운 단체들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