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중국을 대표하는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월드 리그, 네이션스 리그, 챌린저컵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한다. 올림픽에서는 1984년 8위, 2008년 5위를 기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70년대 7위를 두 차례 기록했다.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79년, 1997년, 1999년에 우승했으며, 아시안 게임에서는 3번 우승을 차지했다. 2024년 챌린저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4년 기준 비탈 헤이넨이 감독을 맡고 있다. 아디다스가 키트 제공 업체이며, 중국 건설 은행이 주요 스폰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국가대표팀 -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중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국의 20세 이하 축구 대표팀으로, AFC U-20 아시안컵에서 1985년 우승을 했으며, 2025년 AFC U-20 아시안컵은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한다. - 중국의 국가대표팀 - 중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중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아시아 최강으로 군림하며 동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하는 전성기를 누렸으나, 이후 침체기를 겪었고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 세계 선수권 대회와 동계 아시안 게임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9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하여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하고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했다. -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은 1927년 창설된 일본 배구 협회에서 관리하며, 아시아 선수권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올림픽 금메달 1회, 은메달 1회, 동메달 1회를 획득했으며,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해당 없음 |
연맹 | 중국 배구 협회 (CVA) |
대륙 연맹 | AVC |
감독 | 피탈 헤이넌 |
웹사이트 | 중국 배구 협회 공식 웹사이트 (중국어) |
올림픽 | |
출전 횟수 | 2회 |
첫 출전 | 1984년 |
최고 성적 | 5위 (2008년) |
세계 선수권 | |
출전 횟수 | 16회 |
첫 출전 | 1956년 |
최고 성적 | 7위 (1978년, 1982년) |
월드컵 | |
출전 횟수 | 6회 |
첫 출전 | 1977년 |
최고 성적 | 5위 (1977년, 1981년) |
아시아 선수권 | |
출전 횟수 | 21회 |
첫 출전 | 1975년 |
최고 성적 | [[파일:Gold medal asia.svg|16px|금메달|링크=]] 금메달 (1979년, 1997년, 1999년) |
메달 기록 | |
FIVB 남자 배구 챌린저컵 | 금1, 은0, 동0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금3, 은6, 동6 |
아시안 게임 | 금3, 은4, 동2 |
아시아 컵 | 금2, 은2, 동1 |
FIVB 남자 배구 챌린저컵 | |
2024년 린이 | 팀 (금메달) |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
1979년 마나마 | 팀 (금메달) |
1997년 도하 | 팀 (금메달) |
1999년 테헤란 | 팀 (금메달) |
1983년 도쿄 | 팀 (은메달) |
1987년 쿠웨이트 | 팀 (은메달) |
1995년 서울 | 팀 (은메달) |
2003년 톈진 | 팀 (은메달) |
2005년 수판부리 | 팀 (은메달) |
2011년 테헤란 | 팀 (은메달) |
1975년 멜버른 | 팀 (동메달) |
1989년 서울 | 팀 (동메달) |
1991년 퍼스 | 팀 (동메달) |
2013년 두바이 | 팀 (동메달) |
2015년 테헤란 | 팀 (동메달) |
2021년 지바/후나바시 | 팀 (동메달) |
아시안 게임 배구 | |
1986년 서울 | 팀 (금메달) |
1990년 베이징 | 팀 (금메달) |
1998년 방콕 | 팀 (금메달) |
1982년 뉴델리 | 팀 (은메달) |
1994년 히로시마 | 팀 (은메달) |
2006년 도하 | 팀 (은메달) |
2022년 항저우 | 팀 (은메달) |
1974년 테헤란 | 팀 (동메달) |
1978년 방콕 | 팀 (동메달) |
아시아 남자 배구 컵 | |
2012년 빈옌 | 팀 (금메달) |
2022년 나콘파톰 | 팀 (금메달) |
2010년 우르미아 | 팀 (은메달) |
2016년 나콘파톰 | 팀 (은메달) |
2008년 나콘랏차시마 | 팀 (동메달) |
2. 대회 성적
2. 1. 올림픽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8위를 기록했으며, 6경기를 치러 1승 5패, 4세트 득점, 15세트 실점을 기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으며, 6경기를 치러 2승 4패, 9세트 득점, 19세트 실점을 기록했다. 1964년부터 1980년까지는 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했거나, 보이콧으로 인해 기권했다.올림픽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선수단 | |||||
1984 | 예선 라운드 | 8위 | 6 | 1 | 5 | 4 | 15 | |
2008 | 8강 | 5위 | 6 | 2 | 4 | 9 | 19 | |
합계 | 2/15 | 12 | 3 | 9 | 13 | 34 | — |
2. 2. 세계 선수권 대회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배구 연맹 세계 선수권 대회에 1956년 대회부터 출전하기 시작했다. 1956년, 1962년, 1966년 대회에서는 각각 9위를 기록했다. 1974년 대회에서는 15위, 1978년과 1982년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1986년 대회에서는 12위를 기록했다.1994년 대회에서는 15위, 1998년 대회에서는 15위, 2002년 대회에서는 13위를 기록했다. 2006년 대회에서는 17위, 2010년 대회에서는 19위를 기록했다. 2014년 대회에서는 15위, 2018년 대회에서는 22위, 2022년 대회에서는 24위를 기록하며 하위권에 머물렀다.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대표팀 | |||||
1956 | 결선 조 | 9위 | 11 | 3 | 8 | 12 | 27 | |
1962 | 결선 조 | 9위 | 12 | 5 | 7 | 19 | 21 | |
1966 | 9–16위 | 9위 | 12 | 10 | 2 | 33 | 11 | |
1974 | 13–18위 | 15위 | 11 | 7 | 4 | 22 | 15 | |
1978 | 5–8위 | 7위 | 9 | 5 | 4 | 20 | 16 | |
1982 | 5–8위 | 7위 | 9 | 6 | 3 | 21 | 9 | |
1986 | 9–12위 | 12위 | 8 | 1 | 7 | 4 | 21 | |
1994 | 1라운드 | 15위 | 3 | 1 | 2 | 3 | 6 | |
1998 | 2라운드 | 15위 | 10 | 2 | 8 | 11 | 23 | |
2002 | 2라운드 | 13위 | 6 | 1 | 5 | 6 | 16 | |
2006 | 1라운드 | 17위 | 5 | 2 | 3 | 9 | 13 | |
2010 | 1라운드 | 19위 | 3 | 0 | 3 | 1 | 9 | |
2014 | 2라운드 | 15위 | 9 | 4 | 5 | 12 | 21 | |
2018 | 1라운드 | 22위 | 5 | 0 | 5 | 3 | 15 | |
2022 | 1라운드 | 24위 | 3 | 0 | 3 | 0 | 9 | |
합계 | 15/20 | — |
2. 3. 월드컵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FIVB 배구 월드컵에 1977년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5위를 기록했다. 이후 1981년 대회에서도 5위를 차지했다. 1995년 대회에서는 9위, 1999년 대회에서는 11위, 2003년 대회에서는 10위, 2011년 대회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득 | 세트 실 | 팀 |
---|---|---|---|---|---|---|---|---|
1977 | 5–8위 | 5위 | 8 | 4 | 4 | 17 | 12 | 중국 국가 남자 배구팀/中国国家男子排球队중국어 |
1981 | 풀 리그 | 5위 | 7 | 3 | 4 | 12 | 14 | 중국 국가 남자 배구팀/中国国家男子排球队중국어 |
1995 | 풀 리그 | 9위 | 11 | 3 | 8 | 11 | 26 | 중국 국가 남자 배구팀/中国国家男子排球队중국어 |
1999 | 풀 리그 | 11위 | 11 | 1 | 10 | 10 | 31 | 중국 국가 남자 배구팀/中国国家男子排球队중국어 |
2003 | 풀 리그 | 10위 | 11 | 2 | 9 | 13 | 28 | {{llang |
2011 | 풀 리그 | 11위 | 11 | 1 | 10 | 9 | 30 | {{llang |
합계 | 6/14 | 59 | 14 | 45 | 72 | 141 | — |
2. 4.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에 2회 출전했다. 1997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고, 2005년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2. 5. 월드 리그 (폐지)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월드 리그에 1990년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8위를 기록했다. 이후 1992년 9위, 1993년 7위, 1994년 11위, 1995년 11위, 1996년 6위, 1997년 10위, 2002년 9위, 2004년 10위, 2006년 13위, 2007년 9위, 2008년 7위, 2009년 13위, 2010년 15위, 2014년 23위, 2015년 24위, 2016년 19위, 2017년 17위를 기록했다.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득 | 세트 실 |
---|---|---|---|---|---|---|---|
1990 | 대륙 라운드 | 8위 | 12 | 0 | 12 | 2 | 36 |
1992 | 대륙 라운드 | 9위 | 12 | 3 | 9 | 17 | 31 |
1993 | 대륙 라운드 | 7위 | 20 | 9 | 11 | 36 | 40 |
1994 | 대륙 라운드 | 11위 | 12 | 1 | 11 | 5 | 33 |
1995 | 대륙 라운드 | 11위 | 12 | 4 | 8 | 18 | 28 |
1996 | 결선 라운드 | 6위 | 16 | 4 | 12 | 20 | 40 |
1997 | 대륙 라운드 | 10위 | 12 | 2 | 10 | 8 | 31 |
2002 | 대륙 라운드 | 9위 | 12 | 4 | 8 | 21 | 27 |
2004 | 대륙 라운드 | 10위 | 12 | 3 | 9 | 14 | 31 |
2006 | 대륙 라운드 | 13위 | 12 | 0 | 12 | 4 | 36 |
2007 | 대륙 라운드 | 9위 | 12 | 4 | 8 | 18 | 29 |
2008 | 대륙 라운드 | 7위 | 12 | 6 | 6 | 24 | 23 |
2009 | 대륙 라운드 | 13위 | 12 | 3 | 9 | 14 | 29 |
2010 | 대륙 라운드 | 15위 | 12 | 1 | 11 | 11 | 34 |
2014 | G3 결선 라운드 | 23위 | 8 | 6 | 2 | 20 | 10 |
2015 | G3 결선 라운드 | 24위 | 8 | 6 | 2 | 21 | 15 |
2016 | G2 대륙 라운드 | 19위 | 9 | 4 | 5 | 13 | 17 |
2017 | G2 대륙 라운드 | 17위 | 9 | 5 | 4 | 19 | 16 |
합계 | 18/28 | 198 | 66 | 132 | 265 | 471 |
2. 6. 네이션스 리그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네이션스 리그에서 2018년에 15위, 2019년에 16위, 2022년에 13위, 2023년에 16위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대회에 자격을 획득했으나 기권했다. 2024년에는 자격을 획득하지 못했고, 2025년 대회에는 자격을 획득했다.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획득 세트 | 잃은 세트 |
---|---|---|---|---|---|---|---|
2018 | 예선 라운드 | 15위 | 15 | 3 | 12 | 15 | 39 |
2019 | 예선 라운드 | 16위 | 15 | 1 | 14 | 9 | 42 |
2021 | 자격 획득, 기권 | ||||||
2022 | 예선 라운드 | 13위 | 12 | 3 | 9 | 14 | 28 |
2023 | 예선 라운드 | 16위 | 12 | 2 | 10 | 12 | 33 |
2024 | 자격 미획득 | ||||||
2025 | 자격 획득 | ||||||
합계 | 5/7 | 54 | 9 | 45 | 50 | 142 |
2. 7. 챌린저컵
2023년 대회에서는 8강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24년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우승을 차지했다.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경기 수 | 패배 경기 수 | 획득 세트 수 | 잃은 세트 수 |
---|---|---|---|---|---|---|---|
2023 | 8강 | 5위 | 1 | 0 | 1 | 1 | 3 |
2024 | 결승 | 3 | 3 | 0 | 9 | 1 | |
합계 | 1회 우승 | 2/5 | 4 | 3 | 1 | 10 | 4 |
2. 8. 아시아 선수권 대회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1979년, 1997년, 1999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1983년, 1987년, 1995년, 2003년, 2005년, 2011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3위는 1975년, 1989년, 1991년, 2013년, 2015년, 2021년에 기록했다.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득 | 세트 실 | 선수 명단 |
---|---|---|---|---|---|---|---|---|
1975 | 풀 리그 | 6 | 4 | 2 | 14 | 6 | ||
1979 | 풀 리그 | 우승 | 6 | 6 | 0 | 18 | 1 | |
1983 | 풀 리그 | 8 | 6 | 2 | 21 | 11 | ||
1987 | 결선 라운드 | 준우승 | 7 | 6 | 1 | 21 | N/A | |
1989 | 결선 라운드 | 3위 | 8 | 6 | 2 | 20 | 11 | |
1991 | 풀 리그 | 3위 | 7 | 5 | 2 | 18 | 6 | |
1993 | 결선 라운드 | 4위 | 8 | 5 | 3 | 18 | 9 | |
1995 | 풀 리그 | 준우승 | N/A | |||||
1997 | 풀 리그 | 우승 | 5 | 5 | 0 | 15 | 1 | |
1999 | 풀 리그 | 우승 | 6 | 5 | 1 | 16 | 3 | |
2001 | 결선 라운드 | 4위 | 6 | 3 | 3 | 10 | 11 | |
2003 | 풀 리그 | 준우승 | 6 | 5 | 1 | 17 | 4 | |
2005 | 결선 라운드 | 준우승 | 5 | 4 | 1 | 12 | 8 | |
2007 | 풀 리그 | 4위 | 7 | 5 | 2 | 15 | 13 | |
2009 | 결선 라운드 | 4위 | 8 | 5 | 3 | 20 | 10 | |
2011 | 결선 라운드 | 준우승 | 8 | 5 | 3 | 19 | 11 | |
2013 | 결선 라운드 | 3위 | 7 | 6 | 1 | 20 | 6 | |
2015 | 결선 라운드 | 3위 | 8 | 7 | 1 | 23 | 8 | |
2017 | 결선 라운드 | 6위 | 8 | 4 | 4 | 14 | 12 | |
2019 | 결선 라운드 | 6위 | 8 | 4 | 4 | 15 | 14 | |
2021 | 결선 라운드 | 3위 | 7 | 5 | 2 | 18 | 9 | |
2023 | 결선 라운드 | 4위 | 6 | 4 | 2 | 12 | 13 | |
총계 | 3회 우승 | 22/22 | – | – | – | – | – | — |
2. 9. 아시안 게임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 3위를 차지하며 아시안 게임에 처음 출전했다. 이후 197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3위를 기록했다. 1982년 뉴델리 아시안 게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첫 우승을 달성한 후,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에서는 준우승에 머물렀으나,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다시 우승을 차지하며 아시안 게임 남자 배구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는 4위를 기록했고,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5위,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4위를 기록하며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는 9위에 그쳤으나,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준우승하며 다시 한번 저력을 과시했다.
연도 | 순위 | 경기 | 승리 | 패배 | 세트 획득 | 세트 손실 |
---|---|---|---|---|---|---|
1974 | 5 | 3 | 2 | 10 | 8 | |
1978 | 3위 | 9 | 8 | 1 | 24 | 4 |
1982 | 6 | 5 | 1 | 15 | 5 | |
1986 | 8 | 8 | 0 | 24 | 2 | |
1990 | 우승 | 6 | 6 | 0 | 18 | 3 |
1994 | 준우승 | 5 | 4 | 1 | 14 | 4 |
1998 | 우승 | 6 | 6 | 0 | 18 | 2 |
2002 | 4위 | 5 | 3 | 2 | 13 | 9 |
2006 | 준우승 | 3 | 2 | 1 | 7 | 6 |
2010 | 5위 | 8 | 6 | 2 | 18 | 8 |
2014 | 4위 | 8 | 5 | 3 | 19 | 8 |
2018 | 9위 | 6 | 3 | 3 | 13 | 12 |
2022 | 준우승 | 5 | 4 | 1 | 13 | 4 |
합계 | 3회 우승 | 78 | 63 | 15 | 196 | 75 |
2. 10. 아시아 컵 (AVC 컵)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2008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 이후 2010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대회에서는 첫 우승을 달성했다. 2014년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고, 2016년 대회에서 다시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8년 대회에는 참가 자격을 얻었으나 기권했다. 2022년 대회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세트 득 | 세트 실 | |
---|---|---|---|---|---|---|---|---|
2008 | 결선 라운드 | 6 | 3 | 3 | 14 | 9 | ||
2010 | 결선 라운드 | 6 | 4 | 2 | 14 | 9 | ||
2012 | 결선 라운드 | 6 | 5 | 1 | 17 | 4 | ||
2014 | 결선 라운드 | 5위 | 6 | 4 | 2 | 14 | 10 | |
2016 | 결선 라운드 | 준우승 | 6 | 5 | 1 | 16 | 5 | |
2018 | 참가 자격 획득, 기권 | |||||||
2022 | 결선 라운드 | 우승 | 6 | 6 | 0 | 18 | 5 | |
합계 | 2회 우승 | 6/7 | 36 | 27 | 9 | 93 | 42 |
2. 11. 아시아 챌린지 컵 (AVC 챌린지 컵)
2024년 대회에서 5위를 기록했다. 5경기를 치러 4승 1패, 12세트 득점, 6세트 실점을 기록했다.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리 | 패배 | 세트 득 | 세트 실 |
---|---|---|---|---|---|---|---|
2024 | 5-8위 | 5위 | 5 | 4 | 1 | 12 | 6 |
합계 | 1/4 | 5 | 4 | 1 | 12 | 6 |
3. 역대 대표팀
3. 1. 2024 FIVB 남자 챌린저 컵 선수 명단 (최근)
다음은 2024년 국제 배구 연맹(FIVB) 남자 챌린저 컵에 참가하는 '''중국'''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14인 로스터이다.[1]
감독은 비탈 헤이넌/Vital Heynennl이며, 주장은 장촨이다.
No. | 이름 | 생년월일 | 키 | 체중 | 스파이크 | 블로킹 | 현재 소속팀 | |
---|---|---|---|---|---|---|---|---|
2 | 장촨 (주장) | 1994년 8월 9일 | 2.05m | 94kg | 365cm | 345cm | 프리 에이전트 | |
3 | 왕허빈 | 1999년 6월 27일 | 1.88m | 88kg | 350cm | 340cm | 선전 밍징하이 | |
4 | 리레이 | 2001년 8월 23일 | 2.01m | 92kg | 345cm | 340cm | 산둥 루천 | |
6 | 위위안타이 | 1997년 12월 3일 | 1.86m | 81kg | 345cm | 340cm | 프리 에이전트 | |
8 | 왕둥천 | 2000년 6월 1일 | 2.00m | 95kg | 347cm | 332cm | 프리 에이전트 | |
9 | 리융전 | 1998년 8월 7일 | 1.98m | 92kg | 345cm | 340cm | 저장 스포츠 복권 | |
10 | 양톈위안 | 1994년 6월 28일 | 1.80m | 86kg | 330cm | 320cm | 상하이 브라이트 | |
14 | 자이더쥔 | 2000년 1월 2일 | 1.95m | 91kg | 330cm | 330cm | 산둥 루천 | |
15 | 펑스쿤 | 2000년 8월 26일 | 2.08m | 109kg | 340cm | 330cm | 상하이 브라이트 | |
16 | 취쭝수아이 | 1999년 1월 20일 | 1.86m | 80kg | 330cm | 310cm | 상하이 브라이트 | |
17 | 왕징이 | 1998년 2월 7일 | 2.02m | 92kg | 360cm | 350cm | 산둥 루천 | |
20 | 라오수한 | 1996년 12월 23일 | 2.05m | 99kg | 360cm | 350cm | 푸젠 | |
22 | 장징인 | 1999년 12월 20일 | 2.07m | 106kg | 357cm | 345cm | 벨고로예 벨고로드 | |
30 | 마오톈이 | 1993년 6월 2일 | 2.00m | 90kg | 350cm | 340cm | 톈진 식량 그룹 |
{{Sidebar
|name = 배구 포지션
|width = auto
|headingstyle = background-color:#CCCCCC; text-align:center;
|contentstyle = background-color:#FFFFFF; text-align:left; font-size:90%;
|heading1 = 배구의
|content1 =
; S 세터
- ---
; OH 아웃사이드 히터
- 윙 스파이커
- 에이스 어태커
; OP 아포짓 스파이커
- 유니버설
- 슈퍼 에이스
- ---
; MB 미들 블로커
- ---
; L 리베로
- ---
; R 레시버
}}
3. 2. 역대 주요 선수
장샹, 저우지아난, 왕자웨이, 셰궈천, 선푸린, 위다웨이, 런치[3][6][7][9] 등은 중국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들이다. 1994년 FIVB 남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선푸린 감독의 지휘 아래 장샹, 셰궈천 등이 활약했다.[6] 1998년 대회에서는 왕자웨이 감독과 함께 저우지아난, 장샹 등이 참여했다.[7] 2006년에는 저우지아난 감독, 위다웨이, 런치 등이 대표팀에서 활동했다.[9]3. 3. 역대 감독
다이 팅빈 (1977–1982)주 지아민 (1983)
주 즈화 (1984–1988)
위 유웨이 (1989–1990)
선 푸린 (1991–1997, 2019)
왕 지아웨이 (1997–2000)
디 안허 (2001–2005)
저우 지아난 (2005–2012)
시에 구오천 (2013–2016)
라울 로자노/Raúl Lozano영어 (2017–2019, 아르헨티나/Argentinaes)
선 푸린 (2019–2020)
우 셩 (2021–2023)
비탈 헤이넨/Vital Heynen영어 (2024–현재, 벨기에/Belgique프랑스어)
4. 팀 스폰서
4. 1. 키트 제공 업체
다음 표는 중국 배구 국가대표팀의 키트 제공업체 역사를 보여준다.
4. 2. 주요 스폰서
중국 건설 은행(China Construction Bank)이 주요 스폰서이다.참조
[1]
웹사이트
世挑杯中國男排14人名單公佈 軒寧掛帥江川任隊長
https://portal.sina.[...]
2024-07-03
[2]
웹사이트
China Volleyball at the 1984 Los Angeles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2023-09-23
[3]
웹사이트
CHN / China – Team Composition
http://www.fivb.org/[...]
FIVB
2023-09-23
[4]
웹사이트
中国男排征战巴黎奥运会资格赛14人名单
http://www.volleychi[...]
2023-09-28
[5]
웹사이트
China Volleyball Qualifying Tournament
https://en.volleybal[...]
2023-10-02
[6]
웹사이트
Men Volleyball XIII World Championship 1994 Piraeus (GRE) – 29.09 – 08.10 – Champion Italy
https://web.archive.[...]
todor66.com
2023-09-23
[7]
웹사이트
Men Volleyball XIV World Championship 1998 Japan – 13–29.11 – Champion Italy
https://web.archive.[...]
todor66.com
2023-09-23
[8]
웹사이트
Team Rosters
http://www.fivb.org/[...]
FIVB
2023-09-23
[9]
웹사이트
FIVB Men's World Championship 2006 / Team Roster CHN
http://www.fivb.org/[...]
FIVB
2023-09-23
[10]
웹사이트
CHN / China – Team Composition
http://www.fivb.org/[...]
FIVB
2023-09-23
[11]
웹사이트
Team – China – FIVB Volleyball Men's World Championship Poland 2014
http://poland2014.fi[...]
FIVB
2014-09-06
[12]
웹사이트
Team Roster – China – FIVB Volleyball Men's World Championship Italy and Bulgaria 2018
http://italy-bulgari[...]
FIVB
2023-09-23
[13]
웹사이트
中国男排征战2022年世锦赛14人名单确定
http://www.volleychi[...]
Volley China
2022-08-23
[14]
웹사이트
China Men's World Championship 2022
https://en.volleybal[...]
2023-09-23
[15]
웹사이트
Team Rosters
http://www.fivb.org/[...]
FIVB
2023-10-02
[16]
웹사이트
China – Team Composition – FIVB Volleyball Men's World Cup 2011
http://www.fivb.org/[...]
FIVB
2023-10-02
[17]
웹사이트
Teams & Coaches – World Grand Champions Cup 2005
http://www.fivb.org/[...]
FIVB
2023-10-02
[18]
웹사이트
2023年世界男排联赛中国队名单
http://www.volleychi[...]
2023-05-02
[19]
웹사이트
杭州第19届亚运会排球比赛中国队参赛名单
http://www.volleychi[...]
2023-09-12
[20]
웹사이트
中國男排征戰亞挑杯14人名單公佈 張景胤江川領銜
https://portal.sina.[...]
2024-05-29
[21]
웹사이트
Asian Volleyball Confederation (AVC)
https://web.archive.[...]
FIVB
2010-08-07
[22]
간행물
2022年バレーボールネーションズリーグ男子大阪大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