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독합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독합작은 19세기 후반부터 1930년대까지 독일과 중국 간의 정치, 경제, 군사적 협력을 의미한다. 19세기 말, 독일은 청나라의 근대화를 지원하며 군사적, 산업적 지원을 제공했다. 1920년대에는 독일 군사 고문단이 중국 국민당 정부를 지원하여 군사 현대화를 도왔고, 1930년대 나치 독일은 경제적 이익과 군수 자원 확보를 위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독일은 1930년대 후반 일본과의 관계를 중시하면서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단절되었다. 이러한 협력은 중국의 근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국민당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전한 후에도 지속적인 교류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의 군사사 - 중국 위군
    중국 위군은 중일 전쟁 시기 일본의 지원을 받아 중국 내에 존재했던 괴뢰 군사 조직을 통칭하며, 최대 118만 6천 명의 병력으로 점령지 경비, 공산주의 게릴라 토벌, 일본군 작전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 중화민국의 군사사 - 국민혁명군
    국민혁명군은 1924년 중국 국민당이 군벌 종식과 중국 통일을 위해 창설한 군사 조직으로, 쑨원의 삼민주의를 이념으로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직되었고, 북벌을 통해 중국 통일에 기여했으나, 이후 국공내전을 거치며 중화민국 국군으로 개편되었다.
  • 중화민국의 군사사 - 5·24 사건
    5·24 사건은 1957년 5월 24일 미국 군인의 대만인 살해 사건에 대한 미국의 무죄 판결에 반발하여 타이베이에서 발생한 반미 시위로, 미국 대사관 등이 파괴되고 양국 관계가 악화되었으나 동맹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
중독합작
중독 협력 (1912년~1941년) 개요
장제스와 한스 폰 젝트
장제스와 한스 폰 젝트
기간1912년 ~ 1941년
장소중국
목표중국의 군사 및 산업 현대화
주요 협력 분야군사
산업
기술
교육
배경
중국의 상황신해혁명 이후 정치적 혼란
군벌 시대
경제적 어려움
열강의 침략 위협
독일의 상황제1차 세계 대전 패전 후 경제적 어려움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한 군사적 제약
해외 시장 개척 필요
협력 내용
군사 협력독일 군사 고문단 파견 (한스 폰 젝트 등)
중국군 현대화 지원
독일 무기 판매
군사 학교 설립 지원
산업 협력독일 기술 및 장비 제공
중국 산업 발전 지원 (광업, 철도, 전력 등)
합작 회사 설립
교육 협력중국 학생 독일 유학 지원
독일 대학 중국 분교 설립
독일어 교육 강화
주요 인물
중국 측쑨원
장제스
쑹쯔원
쿵샹시
독일 측한스 폰 젝트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헤르만 괴링
히얄마르 샤흐트
영향 및 결과
긍정적 영향중국 군사력 강화
중국 산업 발전
중국 교육 수준 향상
독일 경제 회복에 기여
부정적 영향일본의 경계심 강화
중일 전쟁 발발 요인 중 하나
독일의 나치 정권 등장 이후 협력 관계 악화
협력 종료
배경중일 전쟁 발발 (1937년)
독일의 일본과의 관계 강화
중국의 연합국 합류
종료 시점1941년 독일의 대중국 원조 중단
평가
역사적 의의중국 근대화에 기여
독일 경제 회복에 기여
국제 관계에 영향
추가 정보
참고 문헌櫻井よしこ, 「日中戦争、日本より中国に戦意」, 週刊新潮2009年1月15日号 日本ルネサンス 第345回, 櫻井よしこ, 2009.1.15

2. 배경

초기 중국-독일 관계는 시베리아를 통한 육로 무역으로 시작되었으나, 러시아의 통행세 부과로 인해 해상 무역으로 전환되었다. 1750년대 프로이센 왕국이 해상 무역을 시작했고, 1861년 청나라제2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한 후 체결된 톈진 조약을 통해 프로이센을 비롯한 여러 유럽 국가와 중국과의 공식적인 상업 관계가 시작되었다.[29]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10년 동안, 중-독 관계는 다소 약화되었다. 1902년 영일 동맹1907년 삼국 동맹으로 인한 독일의 정치적 고립이 그 이유 중 하나였다. 독일은 1907년에 독일-중국-미국 협상을 제안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36]

1912년 독일은 새로운 중국 공화정 정부에 600만 독일 금 마르크 차관을 제공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독일은 자오저우만 조차지를 중국에 반환하겠다고 제안했으나, 일본이 칭다오 전투에서 자오저우만 조차지를 침공하며 이 제안은 무산되었다.[37] 독일은 유럽 전선에 집중하면서 동아시아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했다.

1917년 8월 14일, 중국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고 한커우톈진의 독일 조계지를 되찾았다. 중국은 연합국에 합류한 대가로 독일의 다른 영향권 반환을 약속받았지만, 파리 평화회의에서 일본의 주장이 우선시되면서 베르사유 조약을 통해 칭다오와 자오저우만 지역이 일본에 할양되었다. 이러한 연합국의 배신은 5.4 운동이라는 중국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을 촉발시켰고, 북양 정부는 조약 서명을 거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중-독 관계에 큰 타격을 주었다. 오랜 무역 관계는 단절되었고 금융 구조와 시장은 파괴되었다. 1913년 중국에서 사업을 하던 독일 기업은 প্রায় 300개였으나, 1919년에는 단 2개만 남았다.[38]

2. 1. 청나라와 독일 제국

19세기 후반, 중국과의 무역은 영국이 주도했지만, 독일은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무역 규모를 기록했다.[29] 독일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영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해 1885년 중국 직항 증기선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같은 해 독일 은행 및 산업 조사 그룹을 파견하여 1890년 독일-아시아 은행을 설립했다.[29]

청나라 정부는 독일을 근대화의 협력자로 인식했다. 1880년대 독일 조선소 불칸 슈테틴은 청나라 북양정부 함대를 위해 정원함과 진원함을 건조했다.[30][31][32] 1895년 청일전쟁 패배 후, 위안스카이는 독일에게 신건육군 창설을 요청했고, 독일은 군사, 산업, 기술 분야에서 지원을 제공했다. 예를 들어, 1880년대 후반 독일 회사 크루프는 다롄 주변 요새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29]

빌헬름 2세 통치 기간, 독일은 더욱 적극적인 제국주의 정책을 펼쳤다. 1898년 3월, 독일은 자오저우만을 99년간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개발에 착수했다.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중국 주재 독일 공사 클레멘스 폰 케텔러가 살해되자, 빌헬름 2세는 강경 대응을 명령했다.[33] 1900년 7월 27일, 빌헬름 2세는 독일군이 국제구호군에 기여한 것을 기념하는 연설에서 "훈족 침략자"에 대한 언급을 했는데,[34]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이 독일을 공격하는 프로파간다에 사용되었다.[35]

3. 바이마르 공화국과 중화민국 (1920년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군사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게 되었다. 독일 육군은 10만 명 이상을 보유할 수 없었고, 군수품 생산도 크게 줄었다.[39] 그러나 이 조약은 독일이 군사력을 완전히 혁신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고, 많은 군수 기업들은 여전히 기술과 설비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래서 독일 군수 기업들은 소련, 아르헨티나 등 다른 나라들과 협력하여 무기를 생산하고 판매했다.[39]

한편, 위안스카이 사후 중국북양정부가 붕괴되고 군벌 시대가 시작되었다. 독일 무기 상인들은 중국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상업적 관계를 재건하려 했다.[39] 1921년에는 중국-독일 협약이 체결되었는데, 이는 중화민국이 베르사유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 국민당 정부 역시 독일의 지원을 원했다. 독일 유학 경험이 있는 주자화는 1926년부터 1944년까지 양국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40] 중국이 독일과의 관계를 중시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40]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제국주의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았다.
  • 소련과 달리 독일은 중국 정치에 개입하려 하지 않았다.
  • 장제스독일의 통일에서 배울 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독일은 중국의 발전에 중요한 파트너로 여겨졌다.

중국 선전 그림 (1930년경)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과의 군사 협력을 기념함

3. 1. 막스 바우어 군사고문단

1926년, 주자화의 초청으로 막스 바우어가 중화민국에 대한 투자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했다.[41] 1927년 바우어는 광저우에 도착하여 장제스의 고문관이 되었다.[41] 이후 46명의 다른 독일 군관들이 국민혁명군의 고문과 훈련을 맡았고, 바우어 자신은 1929년 군벌들과의 전쟁에서 국민당이 승리할 수 있는 전략을 고안했다.[41]

군사 고문으로 초빙된 막스 바우어


바우어는 황포군관학교의 군사 훈련에 착수하고, 국민혁명군을 축소하여 소수 정예 부대로 재편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1928년 바우어는 중국의 산업화 노력을 위해 영구적인 고문 임무를 맡고 독일로 돌아갔다.[42] 그러나 독일 회사들은 중국의 정치적 불안정과 1920년 카프 폭동에 바우어가 참여한 점, 그리고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직접적인 군사 투자가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중국에 투자하기를 주저했다.[42] 중국으로 돌아오던 중 막스 바우어는 천연두에 걸려 상하이에서 사망하여 그곳에 안장되었다.[42] 바우어 사후 헤르만 크리벨 중령이 고문단장을 이어 1년 5개월 동안 역임했다.

바우어의 국민정부에 대한 관여는 이후 중독협력의 기초가 되었다.

4. 나치 독일과 중화민국 (1930년대)

1933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이 집권하면서 독일의 대중국 정책은 더욱 구체화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정부는 극동 지역에 대한 불간섭 원칙을 유지했지만, 독일 국방군과 산업계는 중국과의 무역 이익을 중시했다. 나치 독일은 전쟁 경제 추진을 위해 중국의 희귀 자원, 특히 텅스텐과 안티몬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독일 제국은 다른 유럽 열강들과 마찬가지로 중화민국 승인을 꺼렸으나, 1913년 위안스카이가 총통으로 취임한 후 승인했다.[1]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중국은 칭다오를 탈환하기 위해 연합국 측에 참전했다.

위안스카이 사후, 북양 정부가 붕괴되고 군벌 간 내전이 발발하면서 독일 병기 제조사들은 중국에 무기와 군사 지원을 제공하며 상권 확대를 꾀했다. 광저우의 국민당 정부 또한 독일의 지원을 요청했고, 독일에서 교육받은 주가화1926년부터 1944년까지 독일과의 교섭을 주도했다.

중국이 독일을 외교 상대로 원한 이유는 독일의 기술력 외에도, 제1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식민지를 잃어 제국주의적 정책을 포기했기 때문에 중국인들의 호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또한 소련과 달리 정치에 개입하여 공산주의 세력 확장을 꾀하지 않은 점도 이유로 꼽힌다. 국민당의 장제스는 독일의 통일이 중국 재통일에 참고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1928년 국민정부의 북벌로 중국이 통일되었지만, 세계 대공황의 여파와 독일 군사 고문단장 해임 등으로 1930년부터 1932년까지 중독 관계는 정체되었다. 1931년 만주 사변과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이 발발했을 때, 독일 군사 고문단이 중국군을 지원하기도 했다.

4. 1. 경제 및 군사 협력 강화

1934년 1월, 중국 내 모든 독일 산업 이익을 통합하기 위해 '''산업 제품 무역 회사'''(Handelsgesellschaft für industrielle Produktede, Hapro)가 베를린에서 설립되었다.[7] 이 회사는 독일이 중국에 대한 간섭을 강화하는 것에 대한 외국의 항의를 피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1934년 8월 23일, 하프로와 중국 간에 "중국 희소 자원 및 독일 농업·공업 제품 교환 조약"이 체결되어, 중화민국 국민정부는 독일 제품과 그 개발 지원과 교환으로 중국산 군수 자원 제공을 약속했다.

중독 협력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프로젝트는 1936년 삼년 계획으로, 중국 정부의 자원 위원회와 하프로사가 관리했다.[7] 이 계획은 모든 텅스텐 및 안티몬 운영의 독점, 후베이성, 후난성, 쓰촨성에 중앙 철강 및 기계 공장 건설, 발전소 및 화학 공장 개발 등 여러 기본 구성 요소로 구성되었다. 1936년, 히틀러는 중국에 1억 마르크의 차관을 제공했으며, 이 차관으로 중국은 독일로부터 무기를 구입했다.[22] 또한, 10년 동안 매년 1,000만 마르크 상당의 광물 자원이 독일로 제공될 예정이었다.[22]

프로젝트 비용 초과분은 1932년과 1936년 사이에 텅스텐 가격이 두 배 이상 상승했다는 사실에 의해 부분적으로 완화되었다.[7]

중국군은 독일 무기 제조업체와 중공업의 중요한 고객이었다. 주석텅스텐을 포함한 중국의 대 독일 수출 또한 중요하게 여겨졌다.[7] 절정에 달했을 때, 독일은 중국의 대외 무역의 17%를 차지했고, 중국은 아시아에서 독일 기업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였다.

슈탈헬름을 쓴 중국 군인이 Pak 36 대전차포를 발사

4. 2. 독일 군사고문단의 역할

한스 폰 젝트와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등 독일 군사 고문들은 국민혁명군의 훈련과 현대화에 크게 기여했다.[6] 폰 젝트는 작고 기동성이 뛰어나며 장비가 잘 갖춰진 부대를 중심으로 군대를 재편할 것을 제안했고, 이를 위해 '훈련 여단' 창설과 장교단 선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팔켄하우젠은 일본 제국과의 장기전을 대비한 전략을 제시했는데, 여기에는 황하 방어선 유지, 중국 북부 지역의 점진적 포기, 게릴라전 활용 등이 포함되었다.[6] 그는 또한 침투 전술에 능숙한 기동 부대 창설을 강조하여, 소화기에 의존하는 전술을 통해 중국군의 전술을 개선하고자 했다.[6]

폰 젝트의 계획은 국방군을 모델로 한 60개 정예 사단으로 군대를 감축하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1930년대 중반까지 약 8만 명의 군인이 독일식 훈련을 받았다.[6] 이들은 황포군관학교 출신 장교들과 함께 중국 중앙군을 형성했다.[6]

4. 3. 나치 외무부의 중국 정책 논쟁

1930년대 독일 외무부 내에서는 중화민국과의 관계를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일본과의 동맹을 강화할 것인지를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9]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와 외무부는 중화민국과의 관계 유지를 선호한 반면,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일본과의 동맹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일본은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만주국을 세웠는데, 독일이 만주국을 인정할지 여부가 중요한 문제였다. 1934년 초, 주일 독일 대사 헤르베르트 폰 디르크센은 만주국을 인정하여 일본의 팽창주의를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노이라트와 외무부는 중국소련이 이를 포위 시도로 인식할 것을 우려하여 반대했다.

결국 리벤트로프의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독일의 외교 정책은 변화하게 되었다.

4. 4. 방공 협정과 관계 악화

1936년 11월 25일, 독일은 일본과 방공 협정을 체결했다. 비록 중국에도 가입 제안이 있었지만, 장제스(장중정) 정부는 일본군이 중국에서 철수하지 않는 한 일본과 협력하려 하지 않았고, 일본은 이를 거부했다.[10] 이는 중국이 일본과의 전쟁에서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유일한 강대국인 소련을 자극하려 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했다.[10] 방공 협정은 독일이 중국에서 일본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시작을 알렸다.[10]

쿵샹시아돌프 히틀러 (베를린)


1937년 6월, 중국 재무부 장관 쿵샹시와 다른 두 명의 중국 국민당 관리들은 독일을 방문하여 독일이 일본으로의 재정렬을 되돌리도록 설득하려 했다.[11][12] 한스 게오르크 폰 마켄젠과의 회담에서 쿵샹시는 일본이 독일의 신뢰할 만한 동맹국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칭다오 침공과 태평양 섬의 이전 독일 식민지를 예로 들었다. 그는 중국은 진정한 반공산주의 국가이지만 일본은 단지 "과시"하고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13] 폰 마켄젠은 그와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가 외무부를 책임지는 한 중독 관계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쿵샹시는 또한 얄마르 샤흐트를 만나 방공 협정이 중국에 대한 독일-일본 동맹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독일은 중국에 를 대출하는 것을 기꺼이 할 것이며 일본에게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13] 쿵샹시는 6월 11일 헤르만 괴링을 방문하여, 괴링은 그에게 일본이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 왕국이 동맹을 깨고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 사실을 언급하며, "극동 이탈리아"라고 생각하며, 독일은 절대로 일본을 신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14] 쿵샹시는 6월 13일 히틀러를 만나 독일이 극동에서 어떠한 정치적 또는 영토적 요구도 없으며, 중국에 대한 독일의 유일한 관심은 사업이라고 확신시켰다. 히틀러는 또한 중국과 일본이 협력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이탈리아 왕국유고슬라비아 왕국 사이에서 그랬던 것처럼 어떠한 분쟁도 중재하겠다고 제안했다. 히틀러는 또한 강력한 중앙 정부를 건설한 것에 대해 장제스를 존경한다고 언급했다.[15]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 독일은 오스카 트라우트만 주중 대사를 통해 중화민국과 일본의 평화 협상을 중재하려 했지만, 1937년 12월에 난징이 함락된 후에는 양국이 납득할 만한 화해 권고를 할 수 없었고, 독일의 중재에 의한 휴전 가능성은 완전히 사라졌다.

1938년 전반기에 독일은 만주국을 정식으로 승인했다. 그해 4월, 헤르만 괴링에 의해 중화민국으로의 군수 물자 수출이 금지되었다. 더 나아가 같은 해 5월에는 일본의 요청을 받아들여, 독일은 군사 고문단을 중국에서 철수시켰다.

4. 5. 외교 관계 단절

1938년 전반기, 독일은 만주국을 정식으로 승인했다. 그해 4월, 헤르만 괴링은 중화민국으로의 군수 물자 수출을 금지했다. 같은 해 5월에는 일본의 요청으로 독일은 중국에서 군사 고문단을 철수시켰다.[25]

1941년 7월, 독일은 충칭으로 옮겨간 국민정부와의 관계를 끊고, 난징의 친일 정권인 왕징웨이 정권을 중국의 공식 정부로 승인했다. 같은 해 12월 대동아 전쟁 발발을 계기로, 장제스 정부는 연합국의 일원으로서 12월 9일에 독일에 선전포고를 했다.

5. 유산과 영향

1930년대 중독 합작은 쑨원이 이상으로 삼았던 "중국의 국제화"에서 가장 성공적인 사례였다. 이 관계는 단기간에 끝났지만, 국민당 정부가 국공 내전에서 패배하여 타이완으로 철수한 후 교류가 재개되었다. 종전 후 타이완의 급속한 산업 발전은 1936년부터 시작된 3개년 계획의 성과라고도 할 수 있다. 중화민국의 정부 고관, 대신, 학자, 장제스의 아들(나중에 양자로 밝혀짐) 장위국과 같은 군 고위 간부 다수가 독일에서 교육을 받았다.

중화민국은 서독과 정식 국교가 없었지만(분열된 중화인민공화국동독과만 국교를 맺었다[26]), 1963년에 Ming-teh-Gruppe|명덕소조de (zh)라고 불리는 독일 연방군의 Oskar Munzel|오스카 문첼de 소장 지휘하의 군사 고문단이 1975년에 해산될 때까지 존재했으며, 장위국이 그 연락 역할을 맡았다.[27][28]

참조

[1] 논문 American Recognition Policy toward the Republic of China, 1912-1913 1933-06
[2] 서적 China Year Book, 1929–1930
[3] 서적 Sun Yat-sen 1953
[4] 문서 China's nation building effort, AN Young
[5] 간행물 L'Allemagne et la Chine Journée Industrielle 1931-12
[6] 논문 Sun Yat-sen and Germany in 1921-1924 1968
[7] 서적 Chu 1943
[8] 웹사이트 World War 2 Flying Ace Arthur Chin's Amazing True Story https://disciplesoff[...] 2015-10-07
[9] 학위논문 Journey to the East: The German Military Mission in China, 1927-1938 http://rave.ohiolink[...] 2011
[10] 논문 The Making of the Guomindang's Japan Policy, 1932–1937: The Roles of Chiang Kai-Shek and Wang Jingwei Sage Publications 2002-04
[11] 웹사이트 Kung with Hitler http://www.ullsteinb[...]
[12] 웹사이트 Kung and Kuomintang with Adolf Hitler http://www.ullsteinb[...]
[13] 문서 Akten zur deutschen auswärtigen Politik 1918–1945/ADAP
[14] 문서 Cheng Tian Fang's Memoir, volume 13. Cheng was Chinese ambassador to Germany by then.
[15] 문서 Cheng's Memoir, vol. 13.
[16] 서적 History of World War II: Volume 1 - Origins and Outbreak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5
[17] 서적 The Sino-Japanese War, 1937–41: From Marco Polo Bridge to Pearl Harbor Macmillan
[18] 웹사이트 Chronology of World War II Diplomacy 1939 - 1945 https://worldatwar.n[...]
[19] 웹사이트 World War II: China's Declaration of War Against Japan, Germany and Italy (December 9, 1941) https://www.jewishvi[...]
[20] 서적 The Chinese in Europe Palgrave Macmillan 1998
[21] 웹사이트 Gedenktafel Chinesenviertel Schmuckstraße https://upload.wikim[...] Wikimedia Commons 2013-03-17
[22] 웹사이트 「日中戦争、日本より中国に戦意」 https://yoshiko-saku[...] 櫻井よしこ 2009-01-15
[23] 논문 "<論説>日独防共協定像の再構成(2・完) : ドイツ側の政治過程を中心に" http://id.nii.ac.jp/[...] 성성대학법학회 1987-07
[24] 문서 하버드 대학의 William C. Kirby 교수는, 시멘스 사가 네덜란드의 여러 회사를 통해 중국에 무기를 팔고 있었다고 지적하고 있다.William C. Kirby,Germany and Republican China,Stanford University Press (1984)외. 요미우리 신문 「20세기 취재반・20세기 유럽 대전」중공문고도 참조
[25] 서적 역사통 2011년 3월호 와크 (미디어 기업)
[26] 웹사이트 中德建交背景情况 https://www.fmprc.go[...] 2002-10-22
[27] 웹사이트 蔣介石 曾聘德軍顧問訓練國軍 http://la.worldjourn[...] 북미세계일보 2013-05-15
[28] 서적 German Military Advisors in Taiwan 1963-1975 (明德專案 : 德國軍事顧問在台工作史實) Transoxania Publishing Corp 2007
[29] 웹인용 Joanne Miyang Cho, and David M. Crowe, eds. Germany and China: Transnational Encounter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2014) https://www.h-net.or[...]
[30] 서적 The Turret Ship Chen Yuen (1882) Seaforth Publishing 2018
[31] 서적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860–1905 Conway Maritime Press 1979
[32] 서적 The Chinese Steam Navy Chatham Publishing 2000
[33] 서적 The Siege at Peking Dorset Press 1990
[34] 문서 Fleming, p. 136
[35] 서적 Kirby 1984
[36] 서적 1984
[37] 뉴스 Adelaide Advertiser 1914-12-28
[38] 서적 1929
[39] 간행물 China Year Book, 1929–1930
[40] 서적 1953
[41] 논문 China's nation building effort
[42] 서적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