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미·카리브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미·카리브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41년부터 1961년까지 총 10번 개최된 축구 대회이다. 코스타리카가 7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엘살바도르, 파나마, 아이티가 각각 1회 우승을 차지했다. 1938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 축구 연맹 창설로 기틀이 마련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첫 대회는 1941년에 개최되었다. 1961년에는 북미 축구 연맹(NAFC)과 통합되어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이 창설되면서 CONCACAF 챔피언십(현 CONCACAF 골드컵)으로 이어졌다. 지미 메자(코스타리카)는 11골로 역대 최다 득점자이며, 온두라스가 니카라과를 10-0으로 꺾은 경기가 최다 점수 차 승리 기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축구 - 북미 축구 선수권 대회
북미 축구 선수권 대회는 북미 축구 연맹 결성 후 북미 국가 간 축구 교류 활성화와 국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창설되어 멕시코와 캐나다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CONCACAF 골드컵의 전신으로 북미 지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중미·카리브 축구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이름 | CCCF 챔피언십 |
![]() | |
주최 | CCCF |
창설 | 1941년 |
폐지 | 1961년 |
지역 |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
참가 팀 수 | 9개 팀 (1961년) |
출전권 | 팬아메리칸 챔피언십 (1960년까지) |
관련 대회 | CONCACAF 챔피언십 |
최다 우승 팀 | (7회 우승) |
일반 정보 | |
연맹 | 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창설 년도 | 1938년 |
폐지 년도 | 1961년 |
지역 |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
최다 우승 | (7회) |
2. 역대 대회
wikitext
CCCF 선수권 대회 | ||||||
---|---|---|---|---|---|---|
횟수 | 연도 | 개최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1회 | 1941 | 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 | 엘살바도르 | 퀴라소 | 파나마 |
2회 | 1943 | 엘살바도르 | 엘살바도르 | 과테말라 | 코스타리카 | 니카라과 |
3회 | 1946 | 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 | 과테말라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4회 | 1948 | 과테말라 | 코스타리카 | 과테말라 | 파나마 | 퀴라소 |
5회 | 1951 | 파나마 | 파나마 | 코스타리카 | 니카라과 | —[6] |
6회 | 1953 | 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 | 온두라스 | 과테말라 | 퀴라소 |
7회 | 1955 | 온두라스 | 코스타리카 | 퀴라소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8회 | 1957 | 퀴라소 | 아이티 | 퀴라소[7] | 온두라스 | 파나마 |
9회 | 1960 | 쿠바 | 코스타리카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온두라스 | 수리남 |
10회 | 1961 | 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아이티 |
1938년 파나마 시티에서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 축구 연맹(CCCF)이 창설되면서 지역 대회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1년 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첫 대회 개최가 미뤄졌다.
3. 역사
첫 대회는 1941년 5월 코스타리카의 수도 산호세에서 열렸다. 초기에는 5개 팀만 참가하여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개최국 코스타리카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코스타리카의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와 퀴라소의 한스 나자르가 8골로 공동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코스타리카의 우고 수니가는 4경기에서 5실점만 허용하며 최소 실점 골키퍼로 기록되었다.[1]
1943년 12월, 제2회 대회는 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의 호르헤 "엘 마히코" 곤살레스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개최국 엘살바도르가 우승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대회 조직위원회는 엘살바도르의 우승을 확신하여 성대한 축하 행사를 준비했다. 하지만 결승전에서 코스타리카가 3만 명의 엘살바도르 관중 앞에서 4-2로 승리하면서 엘살바도르의 우승 축하 계획은 무산되었다. 이에 분노한 엘살바도르 팬들이 코스타리카와 과테말라 선수들에게 격렬하게 항의했고, 군 병력이 투입되어 코스타리카 선수단을 호텔까지 호위해야 했다. 호텔 주변은 팀의 패배에 분노한 군중에게 포위되기도 했다. 엘살바도르와 과테말라가 승점 동률을 이루어 우승을 결정하기 위한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러야 했으나, 과테말라 대표단은 이전 코스타리카 선수단이 겪었던 위협적인 상황을 우려하여,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 때문에 기권했다. 따라서 엘살바도르가 골득실에서 앞서 우승팀으로 결정되었다.[2]
1946년 제3회 대회는 다시 코스타리카 산호세에서 열렸고, 코스타리카가 과테말라를 승점 1점 차로 제치고 우승했다. 1948년 과테말라에서 열린 제4회 대회에서도 코스타리카가 파나마와의 경기에서 극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우승을 확정,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이 대회에서 하우메 메사는 11골로 대회 최다 득점자가 되었으며, 이는 1941년 그의 형 '펠로' 메사가 세운 기록과 같다. 마누엘 칸티요는 5경기 8실점으로 최소 실점 골키퍼로 기록되었다.[3]
1951년 파나마에서 열린 제5회 대회는 소아마비 발병 우려로 니카라과, 파나마, 코스타리카 3개국만 참가했다. 코스타리카는 젊은 선수 위주로 팀을 구성하여 니카라과에 8-1 대승을 거뒀으나, 이어진 파나마와의 경기에서 0-2로 패했으며, 경기는 매우 거칠게 진행되었다. 2라운드에서 코스타리카는 파나마와 1-1로 비겼다. 파나마는 니카라과를 7-2로 이기면서 최종 우승을 차지했고, 코스타리카는 준우승에 머물렀다. 우승 덕분에 개최국 파나마는 1952년 범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진출권을 획득했다.[4]
1953년 코스타리카에서 열린 제6회 대회에서 코스타리카는 6경기 무패(19득점 2실점)를 기록하며 수준 높은 경기력과 볼거리를 선보였고, 압도적인 승점 12점으로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55년 온두라스 테구시갈파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제7회 대회에서도 코스타리카는 남은 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우승, 1956년 범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진출권을 얻었다. 이 대회에서는 과테말라가 코스타리카와의 경기 도중 발생한 사건으로 인해 기권하는 일이 있었다. 대회 조직위원회는 처음에 과테말라의 기권으로 관련 팀들에게 승점을 부여하려 했으나, 퀴라소의 항의와 FIFA 협의 후 관련 경기 결과를 모두 무효 처리하기로 결정했다.
1957년 퀴라소 빌렘스타트에서 열린 제8회 대회에는 코스타리카가 불참했고, 아이티가 우승했다.
1960년 쿠바 아바나에서 열린 제9회 대회는 쿠바 혁명(1959년) 직후 혼란한 상황에서 개최되었다. 대회는 수리남(당시 네덜란드령 기아나), 온두라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코스타리카, 개최국 쿠바 5개국이 참가하여 단일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코스타리카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와 승점 동률을 이룬 후 우승 결정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우세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4-0으로 승리했고, 통산 6번째 우승컵은 다시 코스타리카의 차지가 되었다. 코스타리카의 공격수 알베르토 아르미호는 5골로 대회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마지막 대회인 제10회 대회는 1961년 3월 코스타리카 산호세에서 열렸다. 코스타리카의 막강한 공격력은 압도적이었고, 대회 7경기에서 총 32골을 기록했다. 코스타리카 팀의 활약은 대회 10골을 기록한 후안 울로아가 이끌었으며, CCCF 챔피언십의 마지막 우승을 차지했다. 코스타리카는 무패 우승으로 대회의 마지막 챔피언이 되었다. 그들은 10번의 대회 동안 총 7개의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는 코스타리카 축구가 중미·카리브 지역에서 최강자로 군림했던 시대를 상징한다.[8]
1961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 축구 연맹(CCCF)과 북미 축구 연맹(NAFC)이 통합하여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이 창설되었다. 이에 따라 CCCF 챔피언십은 CONCACAF 챔피언십(현 CONCACAF 골드컵)으로 계승되었다.
다음은 역대 CCCF 챔피언십의 상위 4개 팀 목록이다.[8]CCCF 챔피언십 결과 연도 개최국 width=1% rowspan=12| 최종 순위 우승 준우승 3위 4위 1941
상세 정보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퀴라소 식민지 파나마 1943
상세 정보엘살바도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니카라과 1946
상세 정보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과테말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1948
상세 정보과테말라 코스타리카 과테말라 파나마 퀴라소 식민지 1951
상세 정보파나마 파나마 코스타리카 니카라과 — 1953
상세 정보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과테말라 퀴라소 식민지 1955
상세 정보온두라스 코스타리카 퀴라소 식민지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1957
상세 정보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아이티 퀴라소 식민지 온두라스 파나마 1960
상세 정보쿠바 코스타리카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온두라스 수리남 1961
상세 정보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아이티
3. 1. 대회 진행 방식
초기 대회는 참가국 수가 적었기 때문에 모든 참가팀이 서로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리그전 방식으로 우승팀을 결정했다. 이후 참가국 수가 점차 늘어나면서 대회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 늘어난 참가팀을 여러 조로 나누어 조별 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의 상위 팀들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최종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특히 1960년 대회는 범아메리카 선수권 대회의 예선을 겸하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4. 국가별 우승 횟수
wikitext
5. 주요 기록
다음은 역대 대회의 우승 감독 목록이다.
연도 | 감독 | 국적 |
---|---|---|
1941 | 알레한드로 모레라 소토 | 코스타리카 |
1943 | 아메리코 곤잘레스 | 엘살바도르 |
1946 | 에르난 볼라뇨스 | 코스타리카 |
1948 | 에르난 볼라뇨스 | 코스타리카 |
1951 | 오스카 렌돌 고메스 | 파나마 |
1953 | 오토 붐벨 | 코스타리카 |
1955 | 알프레도 피에드라 | 코스타리카 |
1957 | 댄 게오르기아디스 | 아이티 |
1960 | 루벤 아모린 | 코스타리카 |
1961 | 에두아르도 토바 무이뇨 | 코스타리카 |
5. 1. 최다 득점자
코스타리카의 지미 메자는 CCCF 선수권 대회에서 총 11골을 기록하여 역대 최다 득점자로 기록되었다.득점자 | 골 |
---|---|
지미 메자 | 11 골 |
카를로스 움베르토 톨레도 | 10 골 |
펠로 메자 롤도포 라미네스 고도이 찰스 페놀 한스 나하르 | 8 골 |
라파엘 아라나 | 6 골 |
알베르토 울로아 | 5 골 |
로돌포 에레라 마리오 무리요 후안 프란시스코 바라사 | 4 골 |
5. 2. 한 대회 최다 득점
코스타리카의 지미 메자는 한 대회에서 '''11골'''을 기록하며 역대 중미·카리브 축구 선수권 대회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득점자 | 골 |
---|---|
코스타리카 지미 메자 | 11 골 |
과테말라 카를로스 움베르토 톨레도 | 10 골 |
코스타리카 펠로 메자 온두라스 롤도포 라미네스 고도이 아이티 찰스 페놀 퀴라소 한스 나하르 | 8 골 |
파나마 라파엘 아라나 | 6 골 |
코스타리카 알베르토 울로아 | 5 골 |
코스타리카 로돌포 에레라 엘살바도르 마리오 무리요 엘살바도르 후안 프란시스코 바라사 | 4 골 |
5. 3. 최소 실점 골키퍼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최소 실점 골키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7골 이상 점수 차이로 승리한 경기 목록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5. 4. 최다 점수 차 승리
다음은 7골 이상의 점수 차이로 가장 크게 승리한 CCCF 선수권 대회 경기들이다.승리 팀 | 점수 | 패배 팀 | 대회 |
---|---|---|---|
온두라스 | 10–0 | 니카라과 | 1946 코스타리카 |
엘살바도르 | 10–1 | 니카라과 | 1946 코스타리카 |
엘살바도르 | 10–2 | 니카라과 | 1961 코스타리카 |
퀴라소 | 9–1 | 니카라과 | 1941 코스타리카 |
엘살바도르 | 8–0 | 니카라과 | 1941 코스타리카 |
퀴라소 | 8–0 | 니카라과 | 1953 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 | 8–0 | 아이티 | 1961 코스타리카 |
엘살바도르 | 8–1 | 니카라과 | 1943 엘살바도르 |
코스타리카 | 8–1 | 니카라과 | 1951 파나마 |
코스타리카 | 7–0 | 파나마 | 1941 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 | 7–0 | 니카라과 | 1943 엘살바도르 |
코스타리카 | 7–0 | 파나마 | 1946 코스타리카 |
과테말라 | 7–0 | 니카라과 | 1946 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 | 7–0 | 파나마 | 1948 과테말라 |
참조
[1]
웹사이트
Costa Rica won the first Central American and Caribbean Football Championship undefeated
http://wvw.nacion.co[...]
2021-01-06
[2]
웹사이트
A fateful ending but one that ended with El Salvador as champion
http://wvw.nacion.co[...]
2021-01-06
[3]
웹사이트
Costa Rica won the 1946 and 1948 titles
http://wvw.nacion.co[...]
2021-01-06
[4]
웹사이트
Indiscipline led to Panama's crown in 1951
http://wvw.nacion.co[...]
2021-01-06
[5]
웹사이트
CCCF and Concacaf Championships
https://www.rsssf.or[...]
2012-04-08
[6]
문서
Only three teams competed.
[7]
문서
The Territory of Curaçao officially became the Netherlands Antilles on 15 December 1954 although the national football team played under the name of '''Curaçao''' until 1958.
[8]
웹사이트
CCCF and Concacaf Championships
http://www.rsssf.com[...]
RSSSF
2012-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