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중화인민공화국 상무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 상무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대외무역을 관장하고 대외 무역 협상을 담당하는 부처이다. 1949년 중앙인민정부 무역부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3년 현재의 상무부로 출범했다. 외국인 투자 규제, 지식재산권 관련 업무, 홍콩, 마카오, 대만과의 경제 관계를 담당하며, 반독점 관련 업무도 수행한다. 상무부에는 25개의 직능국이 있으며,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업부 - 영국 사업·에너지·산업전략부
    영국 사업·에너지·산업전략부(BEIS)는 사업, 에너지, 산업 전략, 과학, 연구, 무역 등 다양한 정책 분야를 담당하며, 경제 성장 지원, 에너지 공급 안정성 확보, 영국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역할을 수행한다.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 중화인민공화국 수리부
    중화인민공화국 수리부는 중국의 수자원 관리를 담당하는 중앙 정부 기관으로, 용수 허가, 관개 시설 관리, 수자원 보전, 홍수 및 가뭄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주요 강 유역별 위원회를 지휘·감독한다.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 중화인민공화국 교통운수부
    중화인민공화국 교통운수부는 중국의 철도, 도로, 수로, 항공 등 교통 시스템 발전과 정책 집행을 총괄하는 국무원 산하 부처로, 여러 기관 통합과 기능 이관을 통해 영향력이 확대되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 정보 공개 부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국가 행정 기관이며, 국무원 총리가 행정 전반을 지휘·감독하고, 중국 공산당의 지도 하에 운영되며, 2024년 조직법 개정을 통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지도와 이념을 따라야 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상무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상무부 로고
본청
정식 명칭중화인민공화국 상무부
로마자 표기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Shāngwùbù
설립일2003년 3월
관할 정부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본부 위치베이징
소속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이전 기관대외무역경제합작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조직
부장왕원타오
부부장왕쇼우원
국제 무역 부대표링지
부부장성치우핑
부부장궈팅팅
부부장리페이
기율 검사 및 감독 팀장투겅신
국제 무역 협상 대표왕원

2. 연혁

3. 기능

중화인민공화국 상무부(MOFCOM)는 중국의 대외 무역을 관리하고, 중국을 대표하여 대외 무역 협상을 하는 기관이다.[6] 외국인 투자 규제도 담당한다.[7] 상무부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와 함께 국가 차원 및 경제특구에 대한 외국인 투자의 네거티브 리스트를 만든다.[4] 중국 기업이 국제 계약 사업을 하려면 상무부의 인증을 받아야 하며, 해외에서 사업하는 중국 계약자는 현지 중국 대사관의 상무영사관으로부터 서한을 받아야 한다.[5]

상무부는 재정 및 세금 분야의 국가 전략 계획 수립, 중앙 재정 예산안 작성, 중앙 재정 지출 감독, 국가 자본 및 국가 사회보험 기금의 예산 및 회계 감사도 담당한다.[7] 또한 지식재산권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협상 기관이다.[6]

홍콩, 마카오 및 대만과의 경제 관계도 책임진다.[4] 이를 위해 안민(安民) 부장과 전 홍콩 재정장관인 장건충(張建忠, Antony Leung)은 더욱 긴밀한 경제 동반자 관계 협정(CEPA)을 체결했다. 안 부장과 현 재정장관인 쩡쥔화(John Tsang)은 CEPA의 후원하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협정을 협상하고 있다. 상무부와 마카오 경제재정사무국(Secretariat for Economy and Finance of Macau) 간에도 유사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중국 독점금지법(2008~2018) 제정 후 10년 동안 상무부는 법률에 따른 합병 규제를 담당했다.[7] 다른 반독점 조사는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과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담당했다.[7] 이 기간 동안 상무부는 두 건의 합병을 금지하고 36건의 거래에 대해 구제 조치를 취했는데, 이 모든 거래에는 외국 다국적 기업이 포함되어 있었다.[7] 2018년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이 설립되어 중국의 주요 반독점 규제 기관이 되었다.[7]

상무부는 관련 정책 분야의 법률 및 규정 제정을 지원한다.[7]

4. 조직

중국 상무부 장관급 부장관은 중국의 2자 및 다자간 무역 협정을 대표하는 국제무역대표를 맡고 있다.[4]

상무부의 조직은 크게 부서, 전문, 행정/기업 서비스, 중국 국제무역경제협력학회로 나뉜다.[9]

부서
대외경제협력
수출입 공정무역
시장경제질서
외국인투자관리
시장운영
대외원조
조약 및 법률
WTO 업무
서비스 무역
시장 시스템
종합
전문
상업 개혁
아시아 업무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 업무
미주 및 오세아니아 업무
국제 무역 및 경제 업무
대만, 홍콩, 마카오
일반 경제 업무
대외 무역
전기기계 제품 및 과학기술 산업
행정/기업 서비스
총무처
인사
정책 연구
재정
피해조사
협상 사무소
퇴직 공무원
공산당 위원회
징계 감독 및 조사반
징계 감독국
중국 국제무역경제협력학회
세계 경제
소비 및 유통
국제 무역
외국인 투자
산업 개발 및 전략
상품 연구
국제 서비스 무역
해외 투자 및 경제 협력
아시아 및 아프리카 연구
개발 협력
신용 및 전자상거래
전략 무역 및 안보


4. 1. 장관

wikitext

이름취임퇴임
상무부장
예지장1949년 10월1952년 8월
외교무역부장
예지장[8]1952년 8월1967년 6월
린하이윈[8]1967년 6월1970년 7월
바이샹궈[8]1970년 7월1973년 10월
리창[8]1973년 10월1981년 9월
정투빈1981년 9월1982년 3월
외경무역부장
천무화1982년 3월1985년 3월
정투빈1985년 3월1990년 12월
리란칭1990년 12월1993년 3월
외무경제협력부장
우이1993년 3월1998년 3월
스광성1998년 3월2003년 3월
상무부장
뤼푸위안2003년 3월2004년 2월
보시라이2004년 2월2007년 12월
천더밍2007년 12월2013년 3월
가오후청2013년 3월2017년 2월
종산2017년 2월2020년 12월
왕원타오2020년 12월현직


4. 2. 내부 기관

중국 상무부는 다음과 같은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9]

부서
대외경제협력
수출입 공정무역
시장경제질서
외국인투자관리
시장운영
대외원조
조약 및 법률
WTO 업무
서비스 무역
시장 시스템
종합
전문
상업 개혁
아시아 업무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 업무
미주 및 오세아니아 업무
국제 무역 및 경제 업무
대만, 홍콩, 마카오
일반 경제 업무
대외 무역
전기기계 제품 및 과학기술 산업
행정/기업 서비스
총무처
인사
정책 연구
재정
피해조사
협상 사무소
퇴직 공무원
공산당 위원회
징계 감독 및 조사반
징계 감독국
중국 국제무역경제협력학회
세계 경제
소비 및 유통
국제 무역
외국인 투자
산업 개발 및 전략
상품 연구
국제 서비스 무역
해외 투자 및 경제 협력
아시아 및 아프리카 연구
개발 협력
신용 및 전자상거래
전략 무역 및 안보



25개의 직능국(일본의 에 해당)은 다음과 같다.


  • 사무청
  • 인사교육노동국
  • 정책연구실
  • 조약법률국
  • 계획재정국
  • 아시아국
  • 서아시아·아프리카국
  • 유럽국
  • 미주·오세아니아국
  • 대만·홍콩·마카오국
  • 국제경제무역관계국
  • 세계무역기구국(WTO 중국정부통보자문국)
  • 대외무역국
  • 기계·전자제품 수출입국(국가기계·전자제품 수출입사무실)
  • 과학기술발전·기술무역국
  • 시장체계정비국
  • 상업개혁발전국
  • 시장운영조절국(국가 마·견직물협조사무실)
  • 외국투자관리국
  • 대외경제협력국
  • 수출입공정무역국
  • 산업피해조사국
  • 정보화국
  • 외사국

5. 대한민국 주재 사무소

서울특별시에 상무참사처, 부산광역시에 경제상무실을 두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hinese Ministry of Foreign Trade and Economic Cooperation https://www.fmprc.go[...] 2021-11-30
[2] 서적 China's Relations with Africa: a New Era of Strategic Engagemen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
[3] 서적 How China Escaped the Poverty Trap Cornell University Press 2016
[4] 웹사이트 Decoding Chinese Politics https://asiasociety.[...] 2023-10-02
[5] 서적 The Latecomer's Rise: Policy Banks and the Globalization of China's Development Fin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
[6] 서적 China in Global Govern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Implications for Global Distributive Justice Palgrave Macmillan 2023
[7] 서적 High Wire: How China Regulates Big Tech and Governs Its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8] 서적 The Foreign Trade of China: Policy, Law,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9]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8-04-01
[10]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主席令 http://www.npc.gov.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