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겅은 중국 공산당의 군인이자 혁명가로, 중일 전쟁, 국공 내전, 한국 전쟁 등에서 활약하며 중국 혁명에 크게 기여했다. 1903년 후난성에서 태어나 황푸 군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장제스의 신임을 얻었으나 공산당 활동을 시작했다. 중일 전쟁에서 팔로군 제386여단 사령관으로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국공 내전에서는 제4집단군 사령관으로 윈난성에 진입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펑더화이를 보좌했으며, 전후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공정학원을 설립하여 군사 기술 인력을 양성했다. 그는 1955년 대장 계급을 받았으며, 베트남 독립을 지원하기도 했다. 1961년 상하이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왕훙원
    왕훙원은 문화대혁명 시기 4인방으로 부상하여 중국공산당 부주석까지 올랐으나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몰락한 정치인으로, 급격한 권력 상승과 몰락은 권력 남용과 개인숭배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안춘생
    안춘생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광복 후 육군 장성, 국회의원, 광복회 회장, 독립기념관장 등을 역임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김광협
    김광협은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한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되었으나, 김일성 주체사상 비판으로 숙청된 인물이다.
  • 후난성 출신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후난성 출신 - 우씽
    중국의 남성 음악가 우씽은 2018년 가족과 함께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데뷔, 2020년 "명일지자 슈퍼밴드"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인 후 은하계악단으로 데뷔하여 활동 중이며, 캐나다 요크 대학교 미디어 전공을 중단하고 음악에 전념하고 있다.
천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천겅
출생일1903년 2월 27일
출생지후난성 샹샹시
사망일1961년 3월 16일
사망지상하이시, 중화인민공화국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배우자왕건영, 부아
자녀5명
부모천다오량, 펑쉐셴
모교황포군관학교, 항일군정대학
최종 계급대장
복무중국인민해방군
복무 기간1923년–1961년
주요 전투중국 국공 내전, 중일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한국 전쟁
수상[[파일:Order of Bayi 1st Class.svg|50px]] 팔일훈장 (1급 훈장), [[파일:Order of Independence and Freedom 1st Class.svg|50px]] 독립자유훈장 (1급 훈장), [[파일:Order of Liberation 1st Class.svg|50px]] 해방훈장 (1급 훈장)
주요 직책
로마자 표기
병음Chén Gēng
군사 경력
소속중국인민해방군육군
임관1924년 - 1961년
최종 계급대장
지휘진기노예군구 제4종대 사령원, 진사집단 사령원, 중원야전군 제4종대 사령원, 제4병단 사령원, 윈난군구 사령원, 중국인민지원군 제3병단 사령원, 군사공정학원 원장
훈장
훈장 내역일급 팔일 훈장, 일급 독립자유 훈장, 일급 해방 훈장

2. 생애

천겅은 1903년 2월 27일 후난성 샹샹 시에서 태어났다. 12명의 형제자매 중 둘째였으며, 할아버지 천이화이는 쩡궈판이 이끈 샹군의 장교였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부유했으며, 13세에 아버지가 정해준 결혼을 거부하고 집을 떠나 군벌의 군대에 합류하기도 했다. 18세에 군대를 떠난 후에는 마오쩌둥을 만나 영향을 받았다.[1]

1922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한 천겅은 1924년 황푸 군관학교 1기생으로 입학하여 군사 이론과 실전을 익혔다. 당시 천겅, , 은 학교의 3대 수재로 불렸다. 장제스의 신임을 얻어 그의 수비대 사령관이 되었으며, 1925년 천중밍에 대한 2차 공격에서 장제스의 목숨을 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1927년 국민당이 공산당과 관계를 끊자 천겅은 상하이에서 공산주의자 요원으로 지하 활동을 시작했다.

1933년 3월, 다리 부상 치료를 위해 상하이에 갔다가 국민당에 체포되었으나, 과거 장제스의 목숨을 구한 인연으로 가택 연금으로 옮겨졌고, 쑹칭링 등의 도움으로 탈출에 성공했다. 이후 중앙 소비에트 지역으로 이동하여 펑파이 양인 보병 학교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1934년 10월부터 1935년 12월까지 구이저우성에서, 1936년에는 산시성, 산시성, 간쑤성에서 국민당 군대와 싸웠다. 1937년 2월에는 항일 군정 대학에 입학하여 항일 투쟁을 준비했다.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천겅은 팔로군 제386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특히 그의 여단은 뛰어난 전투력으로 명성을 떨쳤다. 1940년 백단대전 기간에는 자신의 여단을 이끌고 산시성으로 이동하여 일본군에 맞섰다.

1945년 일본 항복 후, 천겅의 여단은 산시-허난-허베이-산둥 군구의 제4열이 되었고, 상당 전투, 다퉁-푸저우 전투 등 국공 내전의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 전쟁이 끝난 후 제4열은 제4집단군으로 재편되었고, 천겅은 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맡아 1949년 윈난성에 진입했다.[1]

1950년에는 오랜 친구인 호치민의 요청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들어가 보응우옌잡을 도와 프랑스군을 공격했다. 이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중국인민지원군 제3군 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역임하며 펑더화이 사령관을 보좌했다. 펑더화이가 1952년 귀국하자 임시로 총사령관 직을 대리하여 갱도 구축, 해안 방어 강화 등의 작전을 지휘했다.[1]

전쟁 후 1952년 7월 하얼빈에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공정학원을 설립하여 군사 기술 전문가 양성에 힘썼다. 이 학교는 단기간에 중국 최고 명문 대학 중 하나로 성장했다. 천겅은 또한 중국의 탄도 미사일 및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에도 참여했다. 1955년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대장 칭호를 받았으며, 제1기 국방위원회 위원을 지냈다.[2] 1961년 3월 16일, 상하이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3]

천겅의 삶은 중국 혁명과 전쟁의 격동기를 거치며 혁혁한 공을 세운 군인이자 교육자로서, 중국 공산당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Navbox

|name = PLA Da Jiang

|title = 원수 (大将)

|state = }

|image =

|imageleft =

|listclass = hlist

|list1 =

# 쑤위

# 쉬하이둥

# 황커청

# 천겅

# 탄정

# 샤오징광

# 장윈이

# 뤄루이칭

# 왕수성

# 쉬광다

}}

{{Navbox

|name = 윈난 지도자

|title = 윈난성 정치 지도자 (1949년 이후)

|listclass = hlist

|group1 = 당 위원회
서기

|list1 =


  • 쑹런충
  • 셰푸즈
  • 옌훙옌
  • 저우싱
  • 자치윈
  • 안핑성
  • 푸차오주
  • 가오옌
  • 링후안
  • 바이언페이
  • 친광룽
  • 리지헝
  • 천하오
  • 루안청파
  • 왕닝


|group2 = 인민대표대회
주임

|list2 =

  • 안핑성
  • 류밍후이
  • 리구이잉
  • 인쥔
  • 바이언페이
  • 친광룽
  • 리 지헝
  • 천하오
  • 루안청파
  • 왕닝


|group3 = 성 정부
성장

|list3 =

  • 천겅
  • 궈잉추
  • 위이촨
  • 저우싱
  • 탄푸런
  • 저우싱
  • 자치윈
  • 안핑성
  • 류밍후이
  • 푸차오주
  • 허즈창
  • 리지팅
  • 쉬룽카이
  • 친광룽
  • 리 지헝
  • 천하오
  • 루안청파
  • 왕위보


|group4 = 정치협상회의
주석

|list4 =

  • 셰푸즈
  • 류밍후이
  • 옌훙옌
  • 안핑성
  • 리치밍
  • 주자비
  • 량자
  • 류수성
  • 링후안
  • 양충후이
  • 왕쉐런
  • 뤄정푸
  • 리장
  • 류샤오카이


}}

2. 1. 초기 생애

1903년 후난성 샹샹시에서 태어난 천겅은 12명의 형제자매 중 둘째였다. 그의 할아버지 천이화이는 쩡궈판이 이끈 샹군의 장교였으며, 그는 1644~1911년까지 존재했던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 장군, 유학자였다. 퇴임 후 천이화이는 포상금으로 농지를 매입했고, 천겅이 태어날 무렵 그의 가족은 수백 무의 땅을 소유하여 이 지역에서 가장 부유한 가문 중 하나가 되었다. 천겅의 아버지의 이름은 천다오량이었고, 어머니의 이름은 펑쉐시안이었다. 그러나 그의 유일한 형이 어릴 때 병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천겅은 집안의 장남이 되었다.

13세 때 그의 아버지는 두 살 연상의 딸과 결혼을 주선했지만 천겅은 결혼을 거부하고 가족을 떠나 군벌의 군대에 합류했다. 18세에 군대를 떠난 천겅은 절망감에 휩싸여 후난 철도국에서 접수원으로 일자리를 찾았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마오쩌둥을 만났다.

1922년 천겅은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고 1924년 황포 군관학교에서 공부했다. 당시 천겅, , 은 학교의 3대 수재로 여겨졌다. 천겅은 장제스의 신임을 얻어 그의 수비대 사령관이 되었다. 1925년 10월, 지역 군벌 천중밍에 대한 2차 공격 중에 장제스는 엄청난 패배를 겪었고, 장제스는 수치심에 휩싸였지만 도망치기를 거부하고 자살을 시도했다. 천겅은 그의 권총을 빼앗아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약 10km를 등에 업고 갔다. 그는 그렇게 장제스의 신임을 얻었지만, 1927년 국민당이 공산당과 관계를 끊었을 때 천겅은 상하이에서 공산주의자 요원으로 지하 활동을 했다.

2. 2. 황푸 군관학교 입학 및 초기 경력

1924년 천겅은 황푸 군관학교 1기생으로 입학하여 졸업 후 국민당 군대에서 중국 공산당 비밀 요원으로 활동했다.[1] 당시 천겅, , 은 학교의 3대 수재로 여겨졌다. 천겅은 장제스의 신임을 얻어 그의 수비대 사령관이 되었다.[1]

1925년 10월, 지역 군벌 천중밍에 대한 2차 공격 중 장제스는 패배 후 자살을 시도했으나, 천겅이 그의 권총을 빼앗고 약 10km를 업어 옮겨 위기에서 벗어나게 했다. 그는 이 일로 장제스의 신임을 얻었지만, 1927년 국민당이 공산당과 관계를 끊자 천겅은 상하이에서 공산주의자 요원으로 지하 활동을 했다.

2. 3. 국공 내전 시기

1935년, 천겅은 국민당 군대에서 탈출하여 대장정에 합류했다.[1]

국공 내전 시기에는 중공 중앙 특과에서 활동하며 공산당원을 국민당 중앙 기관에 잠입시켜 정보를 입수하는 공작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공산당은 국민당의 움직임을 미리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었다.

2. 4. 중일 전쟁 시기

중일 전쟁 발발 후 천겅은 팔로군 제386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승리했다. 그의 여단은 중국 최고로 여겨졌다.[1] 1940년에는 백단대전 기간 동안 자신의 여단을 이끌고 산시 성으로 이동했다.[1] 또한 그는 진(晋) 동남으로 진격하여 장생구, 칠언촌, 광양 등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후 한장(邯鄲-장치) 국도를 따라 남하하여 신두령, 향당포 전투에서도 승리했다. 1938년 4월에는 장락촌 전투를 지휘하여 일본군을 격파했다.

천겅은 기남과 노서북 지역을 전전하며 진기예와 기남 항일 근거지를 창설하는 데 기여했다. 1939년 2월, 위현 상성에서 매복 작전을 펼쳐 일본군 제10사단의 일부를 격파했다. 1940년에는 태악군구 사령원에 임명되어 백단대전 중 정태 철도 격파전과 수료 전역에 참가하여 유사현성을 공략했다. 1941년에는 태악 종대 사령원에 임명되어 태악 항일 근거지를 발전시켰으며, 1942년 10월에는 팔로군 총부에 의해 군중성 유격 전쟁의 모범으로 칭찬받았다.

2. 5. 한국 전쟁 참전

1951년 4월, 중국인민지원군 제3병단 사령관 겸 정치위원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펑더화이 사령관을 보좌했다.[1] 천겅은 갱도 구축, 해안 방어 강화, 종심 방어 계획을 수립하여 "지구전, 적극 방어" 방침을 세웠다. 펑더화이가 1952년 귀국하자 임시로 총사령관 직을 대리했다. 1952년 6월 중국으로 귀국했다.

2. 6. 전후 활동 및 사망

1952년 7월, 천겅은 하얼빈의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공정학원 원장으로 전출되어 중국으로 돌아와 연구설계제작 분야의 군사 엔지니어 양성을 담당했다. 이 직위는 그가 사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1] 1954년 10월에는 중국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을 맡았다. 1955년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대장 칭호를 받았으며 제1기 국방위원회 위원을 지냈다.[2]

1956년, 중국 공산당 제8차 당대회에 출석하여 중앙위원에 당선되었고,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부부장,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이후 중국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직에서 해임되었다. 1961년 3월 16일, 상하이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3]

3. 업적 및 평가

천겅은 중국 공산당의 주요 인물로서 군사적, 정치적, 교육적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정치적 업적1922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한 천겅은 당 중앙위원, 국방부 부부장,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등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중국 혁명에 기여했다. 1924년 황포 군관학교에서 수학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당시 그는 , 과 함께 학교의 3대 수재로 불렸다. 장제스의 신임을 얻어 그의 수비대 사령관이 되었으며, 1925년 10월 천중밍에 대한 2차 공격에서 장제스가 패배 후 자살을 시도하자 그를 구출하기도 했다. 이 일로 장제스의 신임을 얻었지만, 1927년 국민당이 공산당과 관계를 끊자 상하이에서 공산주의 요원으로 지하 활동을 했다.

1933년 3월, 다리 부상 치료를 위해 상하이에 갔다가 국민당에 체포되었으나, 과거 장제스의 목숨을 구한 덕분에 가택 연금으로 옮겨졌다. 이후 쑹칭링 등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중앙 소비에트 지역으로 이동, 펑파이 양인 보병 학교(彭湃杨殷步兵学校)의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군사적 업적천겅은 중일 전쟁국공 내전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제386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일본 제국 육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여단을 중국 최고로 만들었다. 1940년 백단대전 당시에는 여단을 이끌고 산시성으로 이동했다. 일본 항복 후 그의 여단은 산시-허난-허베이-산둥 군구의 제4열이 되었으며, 상당 전투, 다퉁-푸저우 전투, 린펀-푸산 전투와 뤼량 전투, 푸니우산 동쪽 기슭에서의 전투, 화이하이 전투 등 국공 내전의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 전쟁이 끝난 후 제4열은 제4집단군이 되었고 그는 사령관 겸 정치 위원을 역임, 1949년에는 군대를 이끌고 윈난성에 진입했다. 특히 대장정 참여 당시 군사위원회 간부단 단장으로서 교평도를 점령하여 홍1방면군 주력의 진사강 도하를 보장하는 데 기여했다.
베트남 지원오랜 친구였던 호치민의 요청으로 1950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파견되어 보응우옌잡을 지원했다. 그는 중국 국경을 따라 프랑스군 기지를 공격하는 작전을 지휘하며 베트남 독립에 크게 기여했다. 국경 전역에서 지휘 역할을 수행하며 베트남 인민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호치민은 천겅의 헌신에 감사를 표하며 다음과 같은 한시를 선물했다.

:지팡이 짚고 높은 곳에 올라 진지를 바라보니

:만 리 산에 만 리 구름이 감싸네

:의로운 병사의 웅장한 기운 소 머리를 삼키고

:맹세코 승냥이와 이리 같은 침략군을 멸하리라
한국 전쟁 참전이후 한국 전쟁에 참전, 중국 인민지원군 제3군 사령관 겸 정치 위원을 역임했으며, 펑더화이가 중국으로 귀국하자 임시로 지휘를 맡았다. 1955년 9월에는 상장으로 진급했다. 그의 매형인 탄정 또한 그의 영향을 받아 공산당에 가입, 같은 시기에 상장 계급을 받았다.
교육자로서의 면모한국 전쟁에서 돌아온 후 하얼빈에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공정학원을 설립하여 기술 무기 개발에 참여했으며, 1952년 7월에는 해당 학원의 원장으로 전출되어 연구설계제작 분야의 군사 엔지니어 양성을 담당했다. 이 학교는 단기간에 중국 최고 명문 대학 중 하나가 되었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 이 직위를 유지했으며, 이후 중국의 탄도 미사일 및 핵무기 프로그램에 집중했다. 또한 루쉰에게 어위완 홍군의 상황을 소개하며 교류하기도 했다.

천겅은 1961년 3월 16일, 상하이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Navbox

|name = PLA Da Jiang

|title = 원수 (大将)

|state = }

|image =

|imageleft =

|listclass = hlist

|list1 =

# 쑤위

# 쉬하이둥

# 황커청

# 천겅

# 탄정

# 샤오징광

# 장윈이

# 뤄루이칭

# 왕수성

# 쉬광다

}}

{{Navbox

|name = 윈난 지도자

|title = 윈난성 정치 지도자 (1949년 이후)

|listclass = hlist

|group1 = 당 위원회
서기

|list1 =


  • 쑹런충
  • 셰푸즈
  • 옌훙옌
  • 저우싱
  • 자치윈
  • 안핑성
  • 푸차오주
  • 가오옌
  • 링후안
  • 바이언페이
  • 친광룽
  • 리지헝
  • 천하오
  • 루안청파
  • 왕닝


|group2 = 인민대표대회
주임

|list2 =

  • 안핑성
  • 류밍후이
  • 리구이잉
  • 인쥔
  • 바이언페이
  • 친광룽
  • 리 지헝
  • 천하오
  • 루안청파
  • 왕닝


|group3 = 성 정부
성장

|list3 =

  • 천겅
  • 궈잉추
  • 위이촨
  • 저우싱
  • 탄푸런
  • 저우싱
  • 자치윈
  • 안핑성
  • 류밍후이
  • 푸차오주
  • 허즈창
  • 리지팅
  • 쉬룽카이
  • 친광룽
  • 리 지헝
  • 천하오
  • 루안청파
  • 왕위보


|group4 = 정치협상회의
주석

|list4 =

  • 셰푸즈
  • 류밍후이
  • 옌훙옌
  • 안핑성
  • 리치밍
  • 주자비
  • 량자
  • 류수성
  • 링후안
  • 양충후이
  • 왕쉐런
  • 뤄정푸
  • 리장
  • 류샤오카이


}}

3. 1. 군사적 업적

천겅은 국공 내전, 중일 전쟁, 한국 전쟁 등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중일 전쟁 당시 그는 제386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일본 제국 육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여단을 중국 최고로 만들었다. 1940년 백단대전 기간에는 여단을 이끌고 산시성으로 이동했다.

국공 내전 중에는 상당 전투, 다퉁-푸저우 전투, 린펀-푸산 전투, 뤼량 전투, 푸니우산 동쪽 기슭 전투, 화이하이 전투 등 중요한 전투에서 군대를 지휘했다. 특히 화이하이 전역에서는 쉬저우 이남에서 징푸 철도(톈진-푸커우)를 차단하여 화동 야전군의 황바이타오 병단 포위 작전을 지원하고, 난핑에서 황웨이 병단을 요격하여 국민당군 쉬저우 집단을 고립시키는 데 기여했다. 황웨이 병단 포위 작전 중에는 동집단을 지휘하여 해당 병단을 격멸했다.

1949년 4월에는 창장 도하를 지휘하여 저장-장시 선을 칭진하고 난창을 해방했다. 광둥 전역에서는 예젠잉과 함께 제4, 제15병단을 지휘하여 광저우를 해방시키고, 퇴각하는 적을 추격하여 위한모 부대 주력을 격멸했다. 이후 레이저우 반도로 진입하여 바이충시 집단의 해상 퇴로를 차단하고, 보바이 지구에서 제3, 제11병단의 대부분을 격멸했다. 윈난성으로 진격하여 뎬난 전역을 지휘, 국외 도주를 시도한 국민당군을 격멸했다.

한국 전쟁에서는 중국 인민지원군 제3군 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역임하며 대한민국의 자유 수호를 위해 헌신한 국군과 유엔군에 맞서 용맹을 떨쳤다. 펑더화이가 중국으로 돌아간 후에는 임시로 지휘를 맡기도 했다.

이처럼 천겅은 국공 내전과 한국 전쟁 등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전략적 판단력을 보여주며 중공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3. 2. 정치적 업적

천겅은 중국 공산당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당 중앙위원, 국방부 부부장,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등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중국 혁명에 기여했다.

1922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한 천겅은 1924년 황포 군관학교에서 수학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당시 그는 , 과 함께 학교의 3대 수재로 불렸다. 장제스의 신임을 얻어 그의 수비대 사령관이 되었으며, 1925년 10월, 천중밍에 대한 2차 공격에서 장제스가 패배 후 자살을 시도하자 그를 구출하기도 했다. 이 일로 장제스의 신임을 얻었지만, 1927년 국민당이 공산당과 관계를 끊자 상하이에서 공산주의 요원으로 지하 활동을 했다.

1933년 3월, 다리 부상 치료를 위해 상하이에 갔다가 국민당에 체포되었으나, 과거 장제스의 목숨을 구한 덕분에 가택 연금으로 옮겨졌다. 이후 쑹칭링 등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중앙 소비에트 지역으로 이동, 펑파이 양인 보병 학교(彭湃杨殷步兵学校)의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1934년 10월부터 1935년 12월까지 구이저우성에서, 1936년에는 산시성, 산시성, 간쑤성에서 국민당 군대와 싸웠다. 1937년 2월에는 항일 군정 대학에 입학했다.

중일 전쟁 발발 후 제386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일본 제국 육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여단을 중국 최고로 만들었다. 1940년 백단대전 당시에는 여단을 이끌고 산시성으로 이동했다. 일본 항복 후 그의 여단은 산시-허난-허베이-산둥 군구의 제4열이 되었으며, 상당 전투, 다퉁-푸저우 전투, 린펀-푸산 전투와 뤼량 전투, 푸니우산 동쪽 기슭에서의 전투, 화이하이 전투 등 국공 내전의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 전쟁이 끝난 후 제4열은 제4집단군이 되었고 그는 사령관 겸 정치 위원을 역임, 1949년에는 군대를 이끌고 윈난성에 진입했다.

오랜 친구인 호치민의 요청으로 1950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들어가 보응우옌잡을 도와 프랑스 기지에 대한 공격을 지원했다. 이후 한국 전쟁에 참전, 중국 인민지원군 제3군 사령관 겸 정치 위원을 역임했으며, 펑더화이가 중국으로 귀국하자 임시로 지휘를 맡았다. 1955년 9월에는 상장으로 진급했다. 그의 매형인 탄정 또한 그의 영향을 받아 공산당에 가입, 같은 시기에 상장 계급을 받았다.

한국 전쟁에서 돌아온 후 하얼빈에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공정학원을 설립하여 기술 무기 개발에 참여했으며, 이 학교는 단기간에 중국 최고 명문 대학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중국의 탄도 미사일 및 핵무기 프로그램에 집중했다. 1961년 3월 16일, 상하이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3. 3. 교육자로서의 면모

1952년 7월, 천겅은 하얼빈의 중국 인민해방군 군사공정학원 원장으로 전출되어 중국으로 돌아와 연구설계제작 분야의 군사 엔지니어 양성을 담당했다. 이 직위는 그가 사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1] 천겅은 기술 무기 개발에 참여하며 군사공정학원을 중국 최고 명문 대학 중 하나로 키워냈다.

3. 4. 호치민과의 관계 및 베트남 지원

천겅은 오랜 친구였던 호치민의 요청을 받아 1950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파견되어 보응우옌잡을 지원했다. 그는 중국 국경을 따라 프랑스군 기지를 공격하는 작전을 지휘하며 베트남 독립에 크게 기여했다.

천겅은 국경 전역에서 지휘 역할을 수행하며 베트남 인민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그의 뛰어난 군사 전략과 지도력은 베트남 독립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호치민은 천겅의 헌신에 감사를 표하며 다음과 같은 한시를 선물했다.

:지팡이 짚고 높은 곳에 올라 진지를 바라보니

:만 리 산에 만 리 구름이 감싸네

:의로운 병사의 웅장한 기운 소 머리를 삼키고

:맹세코 승냥이와 이리 같은 침략군을 멸하리라

3. 5. 대장정 참여와 루쉰과의 교류

천겅은 대장정 참여 당시 군사위원회 간부단 단장으로서 교평도를 점령하여 홍1방면군 주력의 진사강 도하를 보장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그는 루쉰에게 어위완 홍군의 상황을 소개하며 교류하기도 했다.

4. 인간적인 면모

천겅은 동료들에게 다정한 태도를 보이고 유쾌한 성격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호감을 샀다. 그는 1927년 중일 전쟁에서 사망한 왕건잉(王根英)과 결혼하여 아들을 남겼다. 이후 1942년 2월 푸야(傅涯)와 결혼하여 1명의 딸과 3명의 아들을 두었다. 자녀로는 엔지니어 천즈페이(陈知非), 군인 천즈젠(陈知建), 의사이자 교수인 외동딸 천즈진(陈知进), 군인 천즈슈(陈知庶), 정치인 천즈야(陈知涯)가 있다.

천겅은 익살꾼이자 장난꾸러기로 알려져 있었으며, 재능 있는 연기자로서 개그와 연극에 능했다. 이러한 유쾌한 성격은 그의 지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공산당 동료들뿐만 아니라 황푸 군관 학교 동창생들, 심지어 장제스에게도 호감을 샀다. 특히 1920년대 초, 천겅이 장제스의 생명을 구한 일은 장제스의 신임을 얻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이는 1933년 천겅이 구금되었을 때 석방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천겅은 장제스의 신임에도 불구하고 공산당의 길을 선택했다.

또한 천겅은 동료들에게 다정한 태도를 보여 펑더화이와 푸안슈의 결혼을 주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공산당원이자 황푸 군관 학교 출신으로, 꿍더린 감옥에서 석방된 옛 동창생들을 방문한 유일한 인물이기도 했다. 그는 보수적인 인사들에게도 인간적인 면모를 보였다.

4. 1. 익살꾼이자 장난꾸러기

천겅은 동료들 사이에서 익살꾼이자 장난꾸러기로 잘 알려져 있었다. 그는 재능 있는 연기자였으며, 그의 개그와 연극으로 유명했다. 이러한 유쾌한 성격은 그의 지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공산당 동료들뿐만 아니라 황푸 군관 학교 동창생들, 심지어 장제스에게도 호감을 샀다. 이는 10년 전에 장제스의 생명을 구했던 것과 더불어, 1933년 장제스의 구금에서 풀려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동료들에게 다정한 태도를 보였으며, 펑더화이와 푸안슈의 결혼을 주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공산당원이자 황푸 군관 학교 출신으로, 꿍더린 감옥에서 석방된 옛 동창생들을 방문한 유일한 인물이었다.

4. 2. 장제스와의 관계

1920년대 초, 천겅은 장제스의 생명을 구한 적이 있었는데, 이 인연으로 장제스의 신임을 얻었다. 천겅의 유쾌한 성격과 뛰어난 연기력 또한 장제스의 호감을 사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1933년 천겅은 장제스가 공산당에 의해 구금되었을 때 석방을 위한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천겅은 장제스의 신임에도 불구하고 공산당의 길을 선택했다.

4. 3. 동료들과의 관계

천겅은 동료들 사이에서 익살꾼이자 장난꾸러기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재능 있는 연기자였으며, 그의 개그와 연극은 지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쾌한 성격 덕분에 공산당 동료들뿐만 아니라 황푸 군관 학교 동창생들, 심지어 장제스에게도 호감을 샀다. 장제스의 생명을 구했던 일과 더불어, 이는 1933년 장제스의 구금에서 풀려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천겅은 동료들에게 다정한 태도를 보였으며, 펑더화이와 푸안슈의 결혼을 주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공산당원이자 황푸 군관 학교 출신으로, 꿍더린 감옥에서 석방된 옛 동창생들을 방문한 유일한 인물이었다.

5. 가족 관계

1927년 천겅은 왕건잉과 결혼하여 아들을 하나 낳았다. 왕건잉은 중일 전쟁에서 사망했다. 아들은 엔지니어로 활동하는 천즈페이이다.

1942년 2월, 푸야와 재혼하여 딸 하나와 아들 셋을 두었다. 딸은 의사이자 교수인 천즈진이며, 아들은 군인인 천즈젠과 천즈슈, 그리고 정치인인 천즈야이다. 푸야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천즈진은 외동딸이다.

천겅은 동료들 사이에서 익살꾼이자 장난꾸러기로 유명했으며, 그의 유쾌한 성격은 지하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 그는 황푸 군관 학교 동창생들과 장제스에게도 호감을 샀다. 과거 장제스의 생명을 구했던 일과 더불어, 이러한 친분은 1933년 장제스의 구금에서 풀려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펑더화이와 푸안슈의 결혼을 주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꿍더린 감옥에서 석방된 옛 동창생들을 방문하기도 했다.

5. 1. 왕건잉

1927년, 천겅은 왕건잉(王根英)과 결혼했으나, 왕건잉은 중일 전쟁 중 사망했다. 왕건잉은 아들 천즈페이(陈知非)를 남겼다. 천즈페이는 훗날 엔지니어가 되었다.

1942년 2월, 천겅은 푸야(傅涯)와 재혼하여 딸 하나와 아들 셋을 두었다. 자녀는 다음과 같다.

  • 천즈젠(陈知建): 군인
  • 천즈진(陈知进): 의사이자 교수, 외동딸
  • 천즈슈(陈知庶): 군인
  • 천즈야(陈知涯): 정치인


천겅은 동료들 사이에서 익살꾼이자 장난꾸러기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재능 있는 연기자였으며, 그의 개그와 연극은 지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쾌한 성격 덕분에 공산당 동료들뿐만 아니라 황푸 군관 학교 동창생들, 심지어 장제스에게도 호감을 샀다. 1933년 장제스의 구금에서 풀려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배경에는 10년 전 장제스의 생명을 구했던 일화와 이러한 인간적인 매력이 있었다. 그는 펑더화이와 푸안슈의 결혼을 주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또한 천겅은 공산당원이자 황푸 군관 학교 출신으로, 꿍더린(功德林) 감옥에서 석방된 옛 동창생들을 방문한 유일한 인물이었다.

5. 2. 푸야와 자녀들

푸야와 결혼 후 딸 천즈진과 아들 천즈젠, 천즈슈, 천즈야를 낳았다.

  • 천즈젠은 군인으로 활동한다.
  • 천즈진은 의사이자 교수로, 푸야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외동딸이다.
  • 천즈슈는 군인으로 활동한다.
  • 천즈야는 정치인으로 활동한다.

6. 어록

천겅(陈赓)은 중국 공산당의 군사 전략가이자 장군으로, 그의 어록은 그의 군사적 사고와 리더십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다음은 그의 주요 어록이다.


  • "전쟁은 정치의 연장선이다." 이 말은 클라우제비츠의 명제를 인용한 것으로, 전쟁의 정치적 성격을 강조한다.
  • "적을 과소평가하지 말고, 우리 자신을 과대평가하지 마라." 이는 신중하고 객관적인 태도를 강조하는 말이다.
  • "고난을 두려워 말고, 희생을 두려워 마라." 혁명 정신과 헌신을 강조하는 그의 신념을 보여준다.
  • "대중의 지지를 얻는 것이 승리의 열쇠다." 이는 인민의 지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국 공산당의 통치 철학을 반영한다.
  • "학습은 멈추지 않아야 한다. 끊임없이 배우고 발전해야 한다." 이는 마오쩌둥의 학습 중시 사상과 맥을 같이한다.
  • "용감하게 싸우고, 지혜롭게 싸워라." 용맹함과 지략을 겸비한 군인이 될 것을 강조한다.


천겅의 어록은 그의 군사적 업적과 함께 중국 인민해방군의 정신적 유산으로 남아 있으며, 현대 중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6. 1. 호치민에게 보낸 시

호치민은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을 지원하러 온 천겅에게 다음과 같은 한시를 선물했다.

:지팡이 짚고 높은 곳에 올라 진지를 바라보니

:만 리 산에 만 리 구름이 감싸네

:의로운 병사의 웅장한 기운 소 머리를 삼키고

:맹세코 승냥이와 이리 같은 침략군을 멸하리라

참조

[1] 웹인용 陈赓创建哈军工 http://news.xinhuane[...] 新华网 2008-02-27
[2] 서적 中华人民共和国军事史要 军事科学出版社
[3] 서적 《中国人民解放军将帅名录》 解放军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