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도는 일본에서 제작된 곧은 칼의 한 종류로, 고대 중국과 한반도에서 유래한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다양한 형태의 직도가 존재했으며, 시대에 따라 쓰루기, 호토-타치 등의 스타일이 나타났다. 고분 시대에는 중국과 일본 고유의 스타일이 공존했으며, 아스카 시대 말기에 쇠퇴하여 나라 시대에는 호토-타치 스타일만 남았다. 무기로서의 직도는 헤이안 시대 중반에 사라졌으며, 이후 일본도의 주류는 곡선 형태의 타치로 대체되었다. 직도는 주로 의례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이세 신궁의 스가리노 온타치와 같은 화려한 장식의 칼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도검 - 닌자도
닌자도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닌자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짧고 직검 형태의 일본 검으로,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20세기 이후 대중 매체에서 닌자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져 감상용 모의도나 코스프레용 소품 등으로 제작되고 있다. - 일본의 도검 - 쿠사나기의 검
쿠사나기의 검은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검으로, 야마타노오로치 퇴치 후 발견되어 천황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삼종의 신기 중 하나로 아쓰타 신궁에 봉안되어 있다. - 외날도검 - 샤슈카
샤슈카는 북캅카스에서 유래하여 코사크를 통해 널리 보급된 짧은 사브르 형태의 검으로,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대에 군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의례용, 격투술 훈련 도구, 수집품 등으로 활용된다. - 외날도검 - 사브르
사브르는 9세기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의 곡선형 검에서 유래하여 17세기 헝가리 후사르 기병을 통해 서유럽에서 널리 사용된, 한쪽 날만 있는 도검으로 기병의 주요 무기였으며, 현대에는 의장용이나 펜싱 종목으로 사용된다. - 고대의 도검 - 글라디우스
글라디우스는 고대 로마 군인들이 사용한 검으로, 히스파니아 검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찌르기와 베기에 모두 사용되었고 로마 군대의 주요 백병전 무기였다. - 고대의 도검 - 비파형동검
비파형동검은 청동기 시대에 제작된 악기 비파 모양의 유물로, 랴오닝 지역에서 시작되어 한반도로 전파되었으며 고조선과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직도 | |
---|---|
개요 | |
종류 | 일본도 |
형태 | 직도 (곧은 칼) |
명칭 | |
일본어 | 직도 (直刀, chokutō) |
일본어 (별칭) | 대도 (太刀, tachi), 대도 (大刀, tachi) |
특징 | |
형태적 특징 | 곧은 칼날을 가진 일본도 |
역사적 맥락 | 일본 고대 시대에 주로 사용됨. 이후 굽은 칼의 등장으로 쇠퇴함. |
현대적 맥락 |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주로 역사 연구나 검도 등의 무술 수련용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됨. |
참고 | '대도(太刀, tachi)'는 일반적으로 굽은 칼을 지칭하지만, 때로는 직도를 지칭하기도 함. 짧은 직도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음. |
2. 역사
시기 | 명칭 | 기간 |
---|---|---|
고대 | 조코토(上古刀) | ~ 서기 900년경 |
중세 | 고토(古刀) | 서기 900년 ~ 1596년경 |
근세 | 신토(新刀) | 1596년 ~ 1780년 |
신신토(新々刀) | 1781년 ~ 1876년 | |
현대 | 겐다이토(現代刀) | 1876년 ~ 현재 |
초쿠토는 일반적으로 '히라-즈쿠리'와 '키리하-즈쿠리 츠쿠리코미' (칼날 스타일)로 제작되어, 이러한 형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후대의 타치와 카타나와 매우 다르다. 이 시대의 검은 조코토로 분류되며, 종종 일본도와 구별하여 언급된다.[6]
2. 1. 고대 (조코토)
쓰루기는 일본에서 제작된 가장 초기의 검 유형이었다.[3][7] 반면에, 초쿠토(直刀)는 일본에서 제작된 가장 초기의 검 유형 중 하나였으며, 그 기본 스타일과 제작 기술은 고대 중국과 한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초쿠토는 한나라 시대에 한반도와 중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해졌다.[8][1]고분 시대 (300~538)에는 다양한 종류의 초쿠토가 존재했으며, 중국에서 유래된 스타일과 일본 고유의 스타일이 있었다.[9] 環頭大刀|칸토-타치일본어는 중국식으로, 손잡이 끝에 용이나 봉황 모양의 고리 장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3] 頭椎大刀|카부츠치-타치일본어는 손잡이 끝에 주먹 모양의 장식이 있는 일본 고유의 스타일이다.[10][3] 鹿角装刀剣|롯카쿠-소토켄일본어 역시 일본 고유의 스타일로, 사슴 뿔로 장식되어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스타일은 쓰루기에도 적용되었다.[11][3]
이러한 다양한 스타일을 포함한 초쿠토는 아스카 시대 (593~710) 말기에 쇠퇴했으며, 손잡이 끝의 장식이 직육면체인 方頭大刀|호토-타치일본어라는 스타일만 나라 시대 (710~794)부터 살아남았다.[12]
일본에서 직도의 출현은 야요이 시대 후기 중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분구묘 등의 유적에서 서일본을 중심으로 출토되고 있다. 자루의 꼬리에 철제 고리가 달린 '소환두대도' 외에도 고리가 없는 것도 출토되었지만, 대부분은 중국 대륙에서 수입된 것으로 생각된다.
철제 도검이 일본에서 생산되기 시작한 것은 고분 시대 이후이지만, 고분 시대 전반에는 직도보다는 직날, 양날의 직검이 많았다. 양날의 검은 5세기 말까지 쇠퇴하고, 고분 시대 후기 이후에는 직도가 사용되었다. 같은 시대 후기의 직도는 "장식 부착 대도"라고 불리며, 금, 은, 금동 장식의 화려한 도장구로 장식된 것이 대량으로 출현했다. 본래의 무기로서의 사용 외에, 의례용(의장)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칼날에 문자가 새겨진 것도 드물게 보인다.
2. 2. 중세 (고토)
헤이안 시대 (794~1185) 중반, 무기로서의 초쿠토는 사라지고, 오늘날 우리가 일본도라고 부르는 휨이 있는 칼이 등장했다. 이 곡선을 가진 최초의 검은 도호쿠 지방의 에미시가 사용하던 와라비테토(:ja:蕨手刀)를 개량하여 만든 케누키가타-타치(:ja:毛抜形太刀)였다.[13][14] 케누키가타-타치는 타치로 진화하여 오랫동안 일본도의 주류가 되었다.[15]2. 3. 근세 (신토, 신신토)
1596년부터 1780년까지 제작된 일본도는 신토(新刀)로, 1781년부터 1876년까지 제작된 일본도는 신신토(新々刀)로 분류된다.[6] 이 시기에는 다양한 유파와 도공들이 등장하여 일본도 제작 기술이 발전했다.2. 4. 현대 (겐다이토)
1876년 이후 현대에 제작되는 일본도를 겐다이토(現代刀)라고 한다.[6] 전통적인 제작 방식을 계승하는 도공들과 현대적인 기술을 접목하는 도공들이 공존한다.3. 종류
오늘날 일본에서는 '초쿠토' 이후의 기술로 만들어진 곧은 칼도 '초쿠토'라고 부르며, 전통 의식에 사용되기도 한다. 스가리노 온타치(須賀利御太刀일본어[16])는 아마테라스에게 바쳐진 '초쿠토' 중 하나로, 이세 신궁의 주요 신에게 바쳐졌으며 '초쿠토' 중 가장 화려한 칼 장식 중 하나이다.
3. 1. 직도 (초쿠토)
오늘날 일본에서는 '초쿠토' 이후의 기술로 만들어진 곧은 칼도 '초쿠토'라고 부르며, 전통 의식에 사용되기도 한다. 스가리노 온타치(須賀利御太刀일본어[16])는 이세 신궁의 주요 신인 아마테라스에게 바쳐진 '초쿠토' 중 하나로, 가장 화려한 칼 장식 중 하나이다. 전통에 따르면, 이세 신궁과 그 신성한 보물은 7세기부터 20년마다 동일한 사양으로 재현되었다고 한다. '스가리노 온타치'는 804년에 편찬된 皇太神宮儀式帳|고타이 진구 기시키초일본어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이후 모든 '식년천궁'(20년마다 재건, 式年遷宮)마다 칼집과 칼 부속품에 새로운 장식이 추가되어 현재의 디자인이 완성된 것으로 여겨진다.[17] 현재 이세 신궁에 봉헌된 '스가리노 온타치'는 2013년에 다시 만들어졌으며, 신토 시대(1596–1781)의 단조 방식과 헤이안 시대(794–1185)의 칼 장식 스타일을 정확하게 계승한 것으로 여겨진다.[18][19][20]
일본에서 직도의 출현은 야요이 시대 후기 중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서일본을 중심으로 분구묘 등의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자루 끝에 철제 고리가 달린 '소환두대도' 외에도 고리가 없는 것도 출토되었지만, 대부분 중국 대륙에서 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철제 도검이 일본에서 생산되기 시작한 것은 고분 시대 이후이지만, 고분 시대 전반에는 직도보다는 직날, 양날의 직검이 많았다. 양날의 검은 5세기 말까지 쇠퇴하고, 고분 시대 후기 이후에는 직도가 사용되었다. 같은 시대 후기의 직도는 "장식 부착 대도"라고 불리며, 금, 은, 금동 장식의 화려한 도장구로 장식된 것이 대량으로 출현했다. 본래의 무기로서의 사용 외에 의례용(의장)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칼날에 문자가 새겨진 것도 드물게 보인다.
에미시는 고사리손 칼이라고 불리는 직도를 사용했지만, 점차 자루 부분이 굽어져 기승하여 내려치는 사용법에 적합하게 되었고, 털뽑이형 고사리손 칼을 거쳐 점차 왜인에게 전해져 만도(彎刀)가 되었으며, 털뽑이형 태도를 거쳐 일본도로 진화해 갔다.
이와 관련하여 쓰노 히토시는 방두대도 중 공철(共鉄)로 만들어진 것이 일본도의 출발점이라고 주장하며 일본도의 기원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나카노오오에 황자, 나카토미노 카마코 등이 일으킨 을사의 변 무렵부터 기리하즈쿠리 직도가 출토된 것으로 보아, 아스카 시대에는 이미 히라즈쿠리·기리하즈쿠리 직도가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물명 | 출토지 | 시기 | 크기(cm) | 비고 |
---|---|---|---|---|
도다이지 산 고분 출토 환두대도 | 문화청 | 2세기 | 115.0 | 중요문화재 |
에다후네야마 고분 출토 은상감명 직도 | 도쿄 국립 박물관 | 5 - 6세기 | 90.6 | 국보 |
금동장 환두대도 (킨도소칸토노타치) | 고치 고무라 신사 | 7세기 | 칼날 길이 68.2, 전체 길이 119.0 | 국보 |
병자초림검 (헤이시쇼린켄) | 시텐노지 | 7세기 | 칼날 길이 65.8 | 국보 |
칠성검 (시치세이켄) | 시텐노지 | 7세기 | 칼날 길이 62.1 | 국보 |
수룡검 (스이류켄) | 도쿄 국립 박물관 | 8세기 | 칼날 길이 62.1 | 중요문화재 |
금은전장 당대도 (킨긴덴소노카라타치) | 쇼소인 보물 | 8세기 | 칼날 길이 78.2 | |
흑칠검 (코쿠시츠켄) | 구라마데라 | 9세기 | 칼날 길이 76.7 | 중요문화재 |
소속 (소하야) | 기요미즈데라 (가토시) | 9세기 | 칼날 길이 41.1 | 중요문화재 |
니시노야마 고분 출토품 금장 대도 | 교토 대학 종합 박물관 | 9세기 | 현존 길이 71.5, 휨 0.5 | 국보 |
후츠노미타마 검 (후츠노미타마노츠루기) | 가시마 신궁 | 9세기 | 223.5 | 국보 |
직도 | 개인 소장 | 8세기 | 칼날 길이 62.2 | 중요문화재 |
이시도롱키리 돗테츠 | 개인 소장 | 에도 시대 | 약 64.5 | 칼날 명 "나가소네 코리 뉴도 돗테츠 이시도롱키리" |
스가리 오타치 | 이세 신궁내궁 | 어장속신보 중 하나 |
이시도롱키리 돗테츠는 혼아미 코손의 저서 『칼 이야기 조각』에서 돗테츠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라다 미치히로의 저서 『대일본도검사』에서는 휨이 거의 없어 진정한 '''직도'''라고 평가한다.[21]
4. 제작 기술
주어진 원본 소스에 내용이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한국과의 관계
일본에서 직도가 나타난 것은 야요이 시대 후기 중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분구묘 등의 유적에서 서일본을 중심으로 출토되고 있다.[1] 자루 끝에 철제 고리가 달린 '소환두대도' 외에도 고리가 없는 것도 출토되었지만, 대부분 중국 대륙에서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2]
철제 도검이 일본에서 자체 생산되기 시작한 것은 고분 시대 이후이지만, 고분 시대 전반에는 직도보다는 곧은 날의 양날 직검이 많았다. 양날 검은 5세기 말까지 쇠퇴하고, 고분 시대 후기 이후에는 직도가 사용되었다.[3]
5. 1. 고대
일본에서 직도가 나타난 것은 야요이 시대 후기 중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분구묘 등의 유적에서 서일본을 중심으로 출토되고 있다.[1] 자루 끝에 철제 고리가 달린 '소환두대도' 외에도 고리가 없는 것도 출토되었지만, 대부분 중국 대륙에서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2]철제 도검이 일본에서 자체 생산되기 시작한 것은 고분 시대 이후이지만, 고분 시대 전반에는 직도보다는 곧은 날의 양날 직검이 많았다. 양날 검은 5세기 말까지 쇠퇴하고, 고분 시대 후기 이후에는 직도가 사용되었다.[3] 같은 시대 후기의 직도는 "장식 부착 대도"라고 불리며, 금, 은, 금동 장식의 화려한 도장구로 장식된 것이 대량으로 출현했다.[4] 본래 무기로서의 사용 외에 의례용(의장)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칼날에 문자가 새겨진 것도 드물게 보인다.
에미시는 고사리손 칼이라 불리는 직도를 사용했지만, 점차 자루 부분이 굽어져 기승하여 내려치는 사용법에 적합하게 되었고, 털뽑이형 고사리손 칼을 거쳐 점차 왜인에게 전해져 만도(彎刀)가 되었으며, 털뽑이형 태도를 거쳐 일본도로 진화해 갔다.
쓰노 히토시는 방두대도 중 공철(共鉄)로 만들어진 것이 일본도의 출발점이라 주장하며 일본도 기원에 의문을 제기했다.[5]
6. 문화적 상징성
일본도는 일본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갖는다.
참조
[1]
서적
Katana: The Samurai Swor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1-03-15
[2]
서적
The connoisseur's book of Japanese swords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1998-03-30
[3]
서적
The Japanese sword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1983-05-30
[4]
서적
The Japanese sword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1983-05-30
[5]
웹사이트
太刀・大刀
https://kotobank.jp/[...]
2015-07-22
[6]
웹사이트
Transition of kotō, shintō, shinshintō, and gendaitō.
https://web.archive.[...]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Touken World
[7]
웹사이트
特別展「出雲-聖地の至宝-」展に荒神谷遺跡出土の銅剣がずらり.
https://web.archive.[...]
[8]
서적
The Craft of the Japanese Sword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1987
[9]
서적
Encyclopedia of the Japanese Swords
2020
[10]
웹사이트
Kabutsuchi-tachi.
https://web.archive.[...]
Kotobank
[11]
웹사이트
Rokkaku-sōtōken.
https://web.archive.[...]
Kotobank
[12]
서적
金の大刀と銀の大刀-古墳・飛鳥時代の貴族と階層-平成8年度秋季特別展大阪府立近つ飛鳥博物館図録 9 二 大刀外装の変化
https://ci.nii.ac.jp[...]
Osaka Prefectural Chikatsu Asuka Museum
1996-10
[13]
서적
The Review of the Study of History : Shigaku Kenkyu
http://ir.lib.hirosh[...]
広島史学研究会
2000-06-30
[14]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Japan: From the Age of the Samurai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Praeger
2014-01-15
[15]
간행물
歴史人
2020-09
[16]
문서
Not 大刀, but 太刀
[17]
웹사이트
須賀利御太刀 写し (A replica of the Sugari no Ontachi).
https://web.archive.[...]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18]
웹사이트
伊勢神宮の神宝 御太刀 ―宝刀の魅力―
https://web.archive.[...]
神宮の博物館 Jingu Museum official site
[19]
웹사이트
美を継ぐ神宝―伊勢の神宮 御装束神宝調製. p.2.
https://web.archive.[...]
家庭画報
[20]
웹사이트
モノづくり再生は新旧技術のコラボレーションで. p.3.
https://web.archive.[...]
旭化成
[21]
서적
大日本刀剣史. 下巻
春秋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