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직산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산읍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의 읍이다. 삼국시대에는 나혜홀 사산현이었고, 고려 시대에는 천안부 직산현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직산군에 속했으며, 1914년 천안군에 편입되었다. 2002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4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주요 시설로는 충남테크노파크, 직산역, 북천안 나들목 등이 있으며, 직산향교, 직산현관아 등의 문화재가 있다. 특산물로는 포도와 배가 있으며, 직산 최씨, 직산 백씨, 직산 조씨 등이 본관인 성씨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북구의 행정 구역 - 부성동
    부성동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부성1동과 부성2동으로 구성되며, 과거 공업 지역에서 주거 지역으로 변화하고 상업, 주거 지역과 택지 개발, 공단 등을 포함한다.
  • 서북구의 행정 구역 - 성환읍
    성환읍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부에 위치한 읍으로, 경기도 평택시와 인접하며 성환역과 성환버스터미널을 통해 교통을 이용할 수 있고, 성환 배의 주산지로서 매년 성환 배 축제가 개최된다.
  • 2002년 설치 - 단원구
    단원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의 행정 구역으로, 2002년에 설치되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고 시흥시, 화성시와 접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과 영동고속도로 서안산 나들목이 지나간다.
  • 2002년 설치 - 안중읍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안중읍은 1987년 출장소에서 시작하여 면으로 승격 후 2002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주변 지역을 편입하여 10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현화지구 개발로 인구 증가와 함께 도서관, 공장, 학교, 아파트 단지 등의 주요 시설이 있으며, 국도와 서해선 안중역(예정)을 통해 교통망이 연결된다.
  • 천안시의 행정 구역 - 서북구
    천안시 서북구는 2008년 신설된 천안시의 2개 구 중 하나로, 백제 초기 유적지와 성거산, 망향의동산 등의 관광 명소, 남서울대, 백석대 등의 교육기관, 그리고 천안배, 거봉포도 등의 특산물이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 천안시의 행정 구역 - 백석동 (천안시)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은 쌍용동에서 분동되어 현재 백석1동과 백석2동으로 나뉘며, 천안종합운동장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하고 흰색 바위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진 지역이다.
직산읍
기본 정보
이름직산읍
한자 표기稷山邑
영어 표기Jiksan-eup
광역시도충청남도
시군구천안시 서북구
면적30.6
읍사무소삼은4길 2 (삼은리)
홈페이지직산읍 행정복지센터
인구 통계
세대8,992
세대 조사 기준2016.12.31.
인구20,900
인구 조사 기준2016.12.31.
행정 구역
법정리14
행정리59
133
지도 정보

2. 역사

직산읍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일제강점기에 천안군에 편입되었다가 2002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하위 섹션에 이미 상세하게 해당 내용이 모두 작성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중복되거나 추가할 정보가 없다.

2. 1. 삼국시대 ~ 조선시대

삼국시대에는 나혜홀, 사산현이었다. 남북국시대에는 백성군 사산현이었다. 고려시대에는 천안부 직산현(稷山縣)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직산군 동변, 서변, 일서면이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직산군 동변면 일원천안군 성산면 일원군동리, 남산리, 판정리
직산군 서변면 일원군서리, 삼은리, 수헐리
직산군 일서면 일원상덕리, 양당리, 부송리, 자은가리, 석곡리, 마정리, 신갈리, 모시리

[1]

2. 2. 일제강점기 ~ 현재

1914년 4월 1일 직산군 동변면(東邊面)과 서변면(西邊面), 일서면(一西面)을 천안군(天安郡) 성산면(城山面) 14개 리로 통폐합하였다.[1]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직산군 동변면 일원천안군 성산면 일원군동리, 남산리, 판정리
직산군 서변면 일원군서리, 삼은리, 수헐리
직산군 일서면 일원상덕리, 양당리, 부송리, 자은가리, 석곡리, 마정리, 신갈리, 모시리



1917년 10월 1일 직산면(稷山面)으로 개칭하였다.[2]

1963년 1월 1일 천안군을 천원군(天原郡)으로 개칭하였다.[3]

1991년 1월 1일 천원군을 천안군으로 개칭하였다.[4]

1995년 5월 10일 천안군 등을 천안시로 개편하였다.[5]

2002년 1월 1일 직산읍으로 승격하였다.[6]

3. 행정 구역 (법정리)

법정리명설명
군동리 (郡東里)과거 직산군의 중심지였던 구직산[7]의 일부이다. 직산현 읍내 동쪽 마을이므로 동리(東里)라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군동리가 되었다. 직산현 관아가 이곳에 있었다.
군서리 (郡西里)과거 직산군의 중심지였던 구직산[7]의 일부이다. 직산현 읍내 서쪽 마을이므로 서리(西里)라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군서리가 되었다. 직산향교, 온조왕사당이 이곳에 있다.
판정리 (板井里)성환에서 구직산 북쪽을 거쳐 입장으로 가는 길목에 있다. 판정 마을에 물이 좋고 물맛이 매우 좋은 우물이 있어 널판으로 우물 밑과 옆을 짜서 샘을 보호하였다는 것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1914년 판정리와 산직리가 통합되어 판정리가 되었다.
남산리 (南山里)구직산 남쪽에 있는 남산(南山) 아래에 있는 지역으로, 마을 이름도 남산에서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성산면(城山面)의 남산리가 되었다.
수헐리 (愁歇里)직산과 성환 사이의 길목에 있다. 옛 지명으로 시름세[8], 수흘리라 불렀는데 고려 초 이전부터 길손이 쉬어가는 원이 있었던 곳이라고 전해진다. 고려 태조 왕건이 이곳에 있는 원(院)에서 쉬면서 동쪽의 산[9]을 바라보며 제사를 지내고 근심을 풀어 잘 쉬어 갔던 사실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삼은리 (三隱里)현재 직산읍의 중심지이다. 철도와 도로 교통이 발달하면서 직산사거리와 직산읍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성거읍 신월리와 함께 시가지가 형성되었고, 과거 직산군의 중심지였던 구직산 지역 대신 직산읍의 중심지가 되었다. 북쪽으로 성환, 동쪽으로 성거, 남쪽으로 천안시내로 향하는 도로가 삼은리를 통과한다. 1914년 자은방리·삼거리가 합쳐져 삼거리의 삼(三)자와 자은방리의 은(隱)자를 따서 삼은리가 되었다. 충남테크노파크가 있으며, 성거읍 신월리에 서북구청이 있다.
상덕리 (上德里)직산과 성환 사이의 도로 서편에 있다. 1914년 덕령동, 상남리가 합쳐져 상남리의 자와 덕령동의 자를 따서 상덕리가 되었다.
부송리 (富松里)경부선 철도 서쪽에 있으며, 직산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1914년 부대리와 송기리가 합쳐져 부대리의 부(富)자와 송기리의 송(松)자를 따서 부송리가 되었다.
모시리 (毛枾里)경부선 철도 서쪽에 있으며, 직산역이 있다. 1914년 시목리, 모사리, 천안시 북면 입암리, 업성리 각 일부를 합쳐 모사리의 모(毛)자와 시목리의 시(枾)자를 따서 모시리가 되었다. 천안4공단의 일부가 이 지역에 걸쳐 있다.
자은가리 (自隱加里)직산 서부에 있는 근교 농촌 지역이다. 가명(加明)이라는 대신이 이곳에 와서 은거하였다는 이야기에서 자은가(自隱加), 자은리(自隱里), 자은가리, 잔가리 등의 지명이 유래되었고, 1914년 자은가리가 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양당리 (良當里)직산 서부에 있는 근교 농촌 지역이다. 1914년 양전리, 당곡리 일부가 합쳐져 양전리의 자와 당곡리의 자를 따서 양당리가 되었다.
신갈리 (新葛里)직산 서부에 있으며 천안4공단의 일부를 이룬다. 1914년 신성리와 갈산리가 합쳐져 신갈리가 되었다. 천안서북소방서가 이 지역에 있다.
마정리 (馬井里)직산 서부에 있는 근교 농촌 지역이다. 1914년 마산리, 독정리, 미륵산리가 합쳐져 마산리의 마(馬), 독정리의 정(井)자를 따서 마정리가 되었다. 마정공단이 이곳에 있다.
석곡리 (石谷里)음봉성환 사이의 70번 국지도 길목에 있다. 성환읍 방면으로 크게 나 있는 도로와 성환행 시내버스 때문에 직산읍 중심지인 삼은리보다 성환읍(성환리)이 더 가깝다. 돌이 많아서 돌실 또는 석곡이라 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4. 주요 시설

5. 공공 시설


  • 직산우체국 (삼은리, 삼은3길 17)
  • 직산보건지소 (성거읍 신월리, 봉주로 75)
  • 직산읍 작은도서관 (삼은리, 삼은4길 2)

6. 교육

7. 교통

경부선 직산역경부고속도로 북천안 나들목이 있다.

7. 1. 철도

경부선 직산역

7. 2. 도로

8. 문화재


  • 직산향교 (군동리, 충청남도 기념물 제109호)
  • 직산현관아 (군서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2호)

9. 특산물

10. 본관 성씨

세종실록지리지 149권, 충청도 청주목 직산현 조에 따르면 직산의 토성은 최(崔)·유(兪)·백(白)·조(趙)이다.[10]


  • '''직산 최씨(稷山崔氏)''' 시조 최홍재(崔弘宰)는 형부상서, 추밀원사판삼사사, 참지정사를 지냈다. 중서시랑평장사를 거쳐 문하시랑평장사가 되었다. 참지정사 판호부사, 좌리공신 검교태부를 거쳐 다시 문하시랑평장사로 치사하였다. 자는 영여(令如), 시호는 양숙(襄肅)이다.
  • '''직산 유씨(稷山兪氏)'''
  • '''직산 백씨(稷山白氏)''' 시조 백양신(白良臣)은 고려 때 평장사를 지냈다고 한다. 후손 백문보(白文寶)는 고려 말 우왕의 사부였는데, 정당문학을 지내고 직산군에 봉해졌다. 한림봉 아래에 전장이 있었다고 한다. 자는 화부(和父), 호는 담암(淡庵),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2000년 인구는 28가구 93명이다.
  • '''직산 조씨(稷山趙氏)''' 시조 조성(趙成)은 백제 개국공신으로 온조왕을 도와 위례성에서 백제를 건국하고, 한산으로 천도하여 백제 창업에 공을 세워 경양군 예성부원군 하남백에 봉해졌다고 한다. 후손들이 직산을 본관으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10] 조원우(趙元祐)는 다른 계통으로 고려 때 친어군지휘사를 지냈고, 아들 조광보(趙光甫)가 호부상서에 올랐다고 한다.

참조

[1] 법령 충청남도령 제3호 1914-03-16
[2] 법령 충청남도령 제8호 1917-09-25
[3] 법률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4] 법률 충청북도제원군등4개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0-12-31
[5] 법률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05-10
[6] 조례 천안시조례 제508호 2001-12-31
[7] 문서
[8] 웹사이트 시름세삼거리 http://map.daum.net/[...]
[9] 문서
[10] 서적 직산조씨갑자대동보(稷山趙氏甲子大同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