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례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례성은 백제의 초기 도읍으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라 천안 성거산 위례성으로 추정되었으나, 정약용은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하남 위례성과 하북 위례성을 구분했다. 하남 위례성은 기원전 5년부터 476년까지 백제의 수도였으며, 서울 몽촌토성 및 풍납토성에 비정된다. 하북 위례성은 하남 위례성 이전의 도읍으로 추정되며, 북한산 동쪽 기슭, 세검정, 중랑천 등 다양한 지역이 후보지로 거론된다. 삼국사기에는 위례성의 위치가 명확히 기록되어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로왕 - 도림
    도림은 장수왕의 명을 받아 백제에 첩자로 잠입하여 개로왕의 신임을 얻고, 바둑을 통해 대규모 토목 공사를 부추겨 백제의 국력을 소진시켜 장수왕의 백제 공격에 기여한 인물이다.
  • 개로왕 - 도미 부부 설화
    도미 부부 설화는 《삼국사기》에 기록된 백제 개루왕 시대의 설화로, 권력자의 횡포와 백성의 저항을 다루며 역사적 사실 여부 논쟁과 함께 설화의 무대를 두고 여러 지역에서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이 창작되었다.
  • 온조왕 - 소서노
    소서노는 졸본 부여 또는 연타발의 딸로, 북부여 우태와 혼인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았으며, 고구려 동명성왕과 혼인하여 고구려 건국을 돕고 두 아들과 함께 백제를 건국한 인물이다.
  • 온조왕 - 마려
    마려는 고구려 동명성왕의 아들 온조와 함께 백제를 건국하고 좌보 벼슬을 지내며 백제 초기 정치 체제 확립에 기여한 인물이다.
  • 광주시의 역사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경기도)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경기도의 옛 군으로, 고려 시대 광주를 거쳐 조선 시대 광주부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와 현대에 행정구역 개편 및 성남시, 하남시 분리 후 2001년 광주시로 승격되었다.
  • 광주시의 역사 - 반월면
    반월면은 1914년부터 1994년까지 수원군에 존재했던 면으로, 과거 광주군 지역이었으나 안산군을 거쳐 수원군에 편입되면서 북방면, 성곶면, 월곡면이 합쳐져 개칭되었고, 이후 일부가 의왕읍과 안산시에 편입된 후 폐지되어 안산시, 수원시, 군포시로 분할 편입되었다.
위례성
개요
유형백제 초기 수도
위치서울 (유력)
주요 유적풍납토성 (유력)
명칭
한국어위례성 (慰禮城)
로마자 표기Wiryeseong
일본어 (가타카나)ウィレソン
일본어 (히라가나)いれいじょう (이레이조) / いれのさし (이레노사시)
역사
건설 시기백제 초기
역할백제의 초기 수도
관련 유적풍납토성
위치 비정
주요 비정 위치서울 송파구 풍납동 (풍납토성 유력)
서울 강동구 암사동 (일부 주장)
경기도 하남시 (일부 주장)
기타 정보
관련 문화재천안 성거산 위례성 (충청남도 기념물)

2. 명칭의 유래

위례성이라는 명칭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다. 한강의 옛 이름인 아리수(阿利水)·욱리하(郁利河)에서 유래했다는 설,[9] 백제 왕의 호칭이었던 어라하(於羅瑕)에서 비롯되었다는 설,[9] 그리고 울타리를 뜻하는 순우리말 '우리'에서 나왔다는 설 등이 있다.[9]

3. 위치

고려와 조선 시대까지 삼국유사에서 위례성의 위치를 직산으로 비정함에 따라, 천안 성거산 위례성을 위례성으로 추정해 왔다. 그러나 이후 정약용삼국사기에 강을 건너 도읍을 옮겼다는 기록에 주목하여 위례성을 하남과 하북으로 분리하여 하북 위례성을 한강 이북 지역, 구체적으로는 북한산 동쪽 기슭에 옛 성곽이 남아 있고, 일대의 지명이 한양고현이라는 점에서 이 일대를 하북 위례성으로 추정했다.[6] 삼국유사에서 위례성을 직산으로 추정한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475년 남쪽으로 피난한 문주왕이 잠시 머물렀던 곳이라는 의견과, 웅진 천도 후 지명이 옮겨져 간 현상으로 보는 의견이 있다.[5] 한편, 삼국사기에서는 위례성을 "위치는 알 수 없고 지명만 남아있는 곳"으로 분류했다.

3. 1. 역사적 기록과 견해

고려·조선 시대에는 삼국유사의 기록을 바탕으로 천안 성거산 위례성을 위례성으로 추정했다.[9][6] 그러나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하북위례성과 하남위례성을 구분하고, 하북위례성을 한강 이북, 즉 북한산 동쪽 기슭으로 비정하였다.[9][6] 이는 당시 한양고현(漢陽古縣)이라는 지명과 옛 성곽의 존재를 근거로 한 것이다.[9][6]

삼국유사에서 위례성을 직산으로 비정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나, 475년 남쪽으로 피난한 문주왕이 잠시 머물렀던 곳이라는 설과[5], 웅진 천도 이후 지명이 이동된 현상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9][5] 한편, 삼국사기에는 위례성이 "위치는 알 수 없고 지명만 남아있는 곳"으로 기록되어 있다.[9]

3. 2. 하남 위례성

하남 위례성은 기원전 5년부터 476년까지 백제의 수도였으며, 한성(漢城)이라고도 한다.[5] 일반적으로 서울 몽촌토성 및 풍납토성에 비정되지만, 유적・유물의 조사가 빈약하여 명확한 해답이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5]

온조왕 세력은 한강 이북 지역에 정착한 후, 낙랑말갈 등 북쪽으로부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에 좋고, 토지가 비옥한 한강남한산 사이에 도읍을 정한 것으로 추정된다.[6]

고려조선 시대까지 삼국유사에서 위례성의 위치를 직산으로 비정한 것에 따라, 천안 성거산 위례성을 위례성으로 추정해 왔다. 하지만 이후 정약용삼국사기에 강을 건너 도읍을 옮겼다는 기록에 주목하여, 위례성을 하남과 하북으로 분리해 하북위례성을 한강 이북 지역으로 추정하였다. 삼국유사에서 위례성을 직산으로 추정한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475년 남쪽으로 피란하던 문주왕이 잠시 머무른 곳이라는 의견과, 웅진 천도 후 지명이 옮겨간 현상으로 보는 의견이 있다.[9] 한편 삼국사기에서는 위례성을 "위치는 알 수 없고 지명만 남아있는 곳"으로 분류하였다.

3. 3. 하북 위례성

정약용삼국사기에 강을 건너 도읍을 옮겼다는 기록에 주목하여, 위례성을 하남과 하북으로 분리해 하북위례성을 한강 이북 지역으로, 구체적으로는 북한산 동쪽 기슭에 옛 성곽이 남아있고 일대 지명이 한양고현(漢陽古縣)이라는 점에서 이 일대를 하북위례성으로 추정하였다.[9] 삼국유사에서 위례성을 직산으로 추정한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475년 남쪽으로 피란하던 문주왕이 잠시 머무른 곳이라는 의견과, 웅진 천도 후 지명이 옮겨간 현상으로 보는 의견이 있다.[9] 한편 삼국사기에서는 위례성을 "위치는 알 수 없고 지명만 남아있는 곳"으로 분류하였다.

하북 위례성은 하남 위례성을 수도로 정하기 전 잠시 동안 백제의 도읍이었던 곳으로 추정된다.[6] 위치는 세검정, 중랑천, 상계동, 우이동 등 다양하게 추정되며, 방학동 토성을 하북 위례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6] 그러나, 삼국사기의 초기 기록을 부정하는 입장에서는 하북 위례성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백제의 도읍이 처음부터 하남 위례성이었다고 본다.[6][5]

참조

[1] 웹사이트 하북위례성(河北慰禮城) – 디지털도봉구문화대전 http://dobong.grandc[...] 2019-05-14
[2] 문서 This is not to be confused with modern [[Hanam]] city, which also means "south of the (Han) river."
[3] 웹사이트 위례성(慰禮城)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5
[4] 문서 『[[日本書紀]]』の秘訓(『[[釈日本紀]]』による)に基づく訓み。
[5] 웹사이트 위례성(慰禮城) http://encykorea.aks[...] 韓国学中央研究院 1997
[6] 웹사이트 하북위례성 http://dobong.grandc[...] 韓国学中央研究院・道峰区庁 2013
[7] 웹인용 네이버 백과사전 https://terms.naver.[...] 2024-09-12
[8]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 https://encykorea.ak[...] 2024-09-12
[9] 백과사전 위례성(慰禮城) http://encykorea.aks[...] 2018-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