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대는 1871년 메이지 정부가 창설한 일본 육군의 지방 주둔 부대이다. 어친병을 모체로 하여, 1871년 도호쿠, 규슈 지방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이후 1873년 6개 진대 체제로 확대되었다. 징병제 시행과 함께 사족 출신 병력과 징집병이 혼재되었으며, 세이난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88년 사단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1년 설립된 단체 - 전미 총기 협회
    전미 총기 협회(NRA)는 1871년 설립된 미국의 비영리 단체로, 총기 소유 권리를 옹호하고 사격술 훈련을 제공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여 총기 규제에 반대하는 로비 활동을 펼치고 다양한 논란과 비판을 받는다.
  • 1871년 설립된 단체 - 잉글랜드 럭비 연맹
    잉글랜드 럭비 연맹은 1871년에 설립된 잉글랜드의 럭비 유니온 관리 기구로, 국내 럭비 운영, 국가대표팀 운영, 선수 육성을 담당하며, 2,000개 이상의 클럽과 250만 명 이상의 선수를 관리하고 있다.
  • 일본 제국 육군의 부대 - 731부대
    731부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시 일본 제국이 만주국에서 비밀리에 운영한 생물학전 부대로, 한국인, 중국인, 러시아인 등을 대상으로 끔찍한 인체 실험을 자행하며 생물학 무기 개발 및 실전 사용에 관여했지만, 종전 후 관련자들은 미국의 비호 아래 처벌을 피하여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미완으로 남았다.
  • 일본 제국 육군의 부대 - 방역급수부
    방역급수부는 일본 제국 육군의 부대로, 수질 분석, 약품 취급, 식수 정화 및 살균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일부 부대는 생물학 무기 개발 및 인체 실험에 관여하기도 했다.
진대
진대 (鎭臺)
유형군사 조직
존속 기간1868년 ~ 1888년
창설1868년(게이오 4년)
폐지1888년(메이지 21년)
개요
설치 목적국내의 치안 유지
설치 배경보신 전쟁 이후 사회 불안
주요 역할각 지역의 군사적 거점 역할 수행
관할 지역도카이도
도산도
호쿠리쿠도
산요도
산인도
난카이도
사이카이도
조직 체계진대 사령부
보병 연대
포병 연대
공병 대대
기병 대대
연혁
1868년 1월야마토, 오사카, 효고에 설치
1868년 5월에도에 설치
1868년 7월진대부를 폐지하고 도쿄 부를 설치
1871년 4월도쿄, 오사카, 구마모토, 센다이에 설치
1873년 1월히로시마에 설치
1875년 5월나고야에 설치
1888년 5월6개 진대를 폐지하고 제1사단부터 제6사단까지 6개 사단을 설치
특징
군사적 역할초기에는 보신 전쟁 후의 사회 혼란을 진압하는 역할 수행
이후에는 각 지역의 군사적 거점으로서 역할 수행
조직 변화시대의 변화에 따라 조직이 변화
관련 항목
관련 법령진대 조례
관련 기관육군성
관련 인물모리 모토토시

2. 역사

1868년 3월 13일(게이오 4년 2월 20일) 메이지 정부 직속 군대로 어친병이 창설되었다.[32] 어친병은 가고시마, 야마구치, 고치로 구성되었으며, 그 편성 비용은 궁내성의 정액금을 할애하여 병부성에 하사되어 성립되었다.[32]

1871년 6월 10일(메이지 4년 4월 23일)에는 도호쿠 지방에 동산도 진대(본영 이시노마키, 분영 후쿠시마·모리오카)와 규슈 지방에 서해도 진대(본영 고쿠라, 분영 하카타, 히타)의 2개 진대가 설치되었다.[28] [8] 그러나 실제로 부대 편성을 한 것은 서해도 진대뿐이었다.[28]

같은 해 10월 4일(메이지 4년 8월 20일)에는 기존의 동산도 진대와 서해도 진대가 폐지되고, 도호쿠 진대(센다이), 도쿄 진대, 오사카 진대, 진세이 진대(구마모토)의 4개 진대가 설치되었다.[28] [8] 이 진대들은 어친병에서 전임된 자와 사족 출신 지원병으로 편성되었으며, 남은 각 번 상비군은 무장 해제될 예정이었다.[28] 이들을 '''사관 진대'''(しかんちんだい) 혹은 '''사진대'''(しちんだい)라고 칭했으며[8] [29] [30], 각 2, 3개의 분영을 두고, 수(帥) 이하의 관직을 정했다.[8]

1873년에는 나고야 진대와 히로시마 진대가 증설되어, 홋카이도를 제외한 지역이 6군관, 14사관으로 나뉘었다.[8] 군관에는 진대, 사관에는 영소가 설치되었다.[8] 새롭게 설치된 것은 나고야 진대와 히로시마 진대로, 오사카 진대에서 호쿠리쿠 지방이 나고야 진대로, 주고쿠·시코쿠 지방이 히로시마 진대로 각각 이관되었다.[8] 또한, 도호쿠 진대는 센다이 진대로, 진세이 진대는 구마모토 진대로, 도시명을 붙이는 명칭으로 변경했다.[8] 홋카이도에는 진대가 없고, 대신 둔전병이 배치되었다.

1873년의 징병령 시행과 함께, 징집된 병사가 진대에 입대하게 되었다. 이 징병에 대해, 종래의 사족 지원병을 장병이라고 불러 구별했다. 장병의 비율은 점차 낮아졌지만, 진대의 정원 충족은 쉽지 않았고, 사족 중심의 군대에서 급격하게 변화하지는 않았다. 진대 시대 최대의 전쟁이었던 세이난 전쟁에서는, 정규 진대 병력 외에 근위병, 둔전병, 경시대, 추가 모집 병력이 사족 출신 병력으로 더해져, 사족이 관군 장병의 절반을 차지했다.

메이지 6년(1873년) 7월 당시의 군관·영소는 다음과 같다. (보병 연대는 다음 해 이후에 편성)

군관·진대영소보병 연대
제1군관·도쿄 진대도쿄보병 제1연대
사쿠라보병 제2연대
니가타보병 제3연대
제2군관·센다이 진대센다이보병 제4연대
아오모리보병 제5연대
제3군관·나고야 진대나고야보병 제6연대
가나자와보병 제7연대
제4군관·오사카 진대오사카보병 제8연대
오쓰보병 제9연대
히메지보병 제10연대
제5군관·히로시마 진대히로시마보병 제11연대
마루가메보병 제12연대
제6군관·구마모토 진대구마모토보병 제13연대
고쿠라보병 제14연대



메이지 11년(1878년) 12월 10일, 전시에는 감군부장(동부·중부·서부)은 사단 사령관, 진대 사령관은 여단 사령관의 역할을 맡았다. 메이지 18년(1885년) 5월 18일에는 감군부장은 군단장, 진대 사령관은 사단장으로 변경되었다. 메이지 19년(1886년)에는 감군이 폐지되었다.

1888년5월 12일, 진대는 폐지되고 사단으로 개편되었다.

메이지 21년(1888년) 5월 사단으로 개편

진대 → 사단보병 여단위수지보병 연대위수지
도쿄 진대

제1사단
(제1사관)
보병 제1여단도쿄보병 제1연대도쿄
보병 제15연대다카사키
보병 제2여단사쿠라보병 제2연대사쿠라
보병 제3연대도쿄
센다이 진대

제2사단
(제2사관)
보병 제3여단센다이보병 제4연대센다이
보병 제16연대니가타
보병 제4여단아오모리보병 제5연대아오모리
보병 제17연대센다이
나고야 진대

제3사단
(제3사관)
보병 제5여단나고야보병 제6연대나고야
보병 제18연대도요하시
보병 제6여단가나자와보병 제7연대가나자와
보병 제19연대나고야
오사카 진대

제4사단
(제4사관)
보병 제7여단오사카보병 제8연대오사카
보병 제9연대오쓰
보병 제8여단히메지보병 제10연대히메지
보병 제20연대오사카
히로시마 진대

제5사단
(제5사관)
보병 제9여단히로시마보병 제11연대히로시마
보병 제21연대히로시마
보병 제10여단마쓰야마보병 제12연대마루가메
보병 제22연대마쓰야마
구마모토 진대

제6사단
(제6사관)
보병 제11여단구마모토보병 제13연대구마모토
보병 제23연대구마모토
보병 제12여단고쿠라보병 제14연대고쿠라
보병 제24연대후쿠오카


2. 1. 초기 진대 설치 (1871년)

1868년 3월 13일(게이오 4년 2월 20일) 메이지 정부 직속 군대로 어친병이 창설되었다.[32] 어친병은 가고시마, 야마구치, 고치로 구성되었으며, 그 편성 비용은 궁내성의 정액금을 할애하여 병부성에 하사되어 성립되었다.[32]

1871년 6월 10일(메이지 4년 4월 23일)에는 도호쿠 지방에 동산도 진대(본영 이시노마키, 분영 후쿠시마·모리오카)와 규슈 지방에 서해도 진대(본영 고쿠라, 분영 하카타, 히타)의 2개 진대가 설치되었다.[28] [8] 그러나 실제로 부대 편성을 한 것은 서해도 진대뿐이었다.[28]

같은 해 10월 4일(메이지 4년 8월 20일)에는 기존의 동산도 진대와 서해도 진대가 폐지되고, 도호쿠 진대(센다이), 도쿄 진대, 오사카 진대, 진세이 진대(구마모토)의 4개 진대가 설치되었다.[28] [8] 이 진대들은 어친병에서 전임된 자와 사족 출신 지원병으로 편성되었으며, 남은 각 번 상비군은 무장 해제될 예정이었다.[28] 이들을 '''사관 진대'''(しかんちんだい) 혹은 '''사진대'''(しちんだい)라고 칭했으며[8] [29] [30], 각 2, 3개의 분영을 두고, 수(帥) 이하의 관직을 정했다.[8]

2. 2. 6진대 체제 확립 (1873년)

1871년 메이지 신정부는 중앙집권 체제 강화를 위해 군비 통제 및 편성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 그 일환으로, 1871년 2월에는 궁내성의 지원을 받아 어친병을 정식 편성하였다.[32] 같은 해 4월 23일 (1871년6월 10일)에는 동산도 진대(본영 이시노마키, 분영 후쿠시마모리오카)와 서해도 진대(본영 고쿠라, 분영 하카타, 히타)를 설치했다.[28] 그러나 당시 진대는 내부 조직이나 지휘 체계가 명확히 규정되지 않아 출장 기관의 성격이 강했다.[28]

1871년 10월 4일(메이지 4년8월 20일)에는 기존의 동산도, 서해도 진대를 폐지하고 도호쿠 진대(센다이), 도쿄 진대, 오사카 진대, 진세이 진대(구마모토)의 4진대를 설치했다.[28] [8] 이들은 '''사관 진대'''(しかんちんだい) 혹은 '''사진대'''(しちんだい)라고 불렸으며,[8] [29] [30] 각 진대에는 2, 3개의 분영을 두고 수(帥) 이하의 관직을 설치했다.[8]

1873년 1월 9일, 나고야 진대와 히로시마 진대를 추가 설치하여 6진대 체제를 확립했다.[28] 이와 함께 도호쿠 진대는 센다이 진대로, 진세이 진대는 구마모토 진대로 개칭되었으며, 이들을 합쳐 '''육관 진대'''(ろっかんちんだい)라고 칭했다.[8] [31] 1873년 1월 10일에는 징병령이 시행되어,[8] 징집된 병사들이 진대에 입대하게 되었다.

1873년 7월, 진대 조례 개정을 통해 각 진대에 사령 장관 1인을 두었으며,[8] 1875년 11월에는 육군성 직제를 정하고 6진대의 사령 장관을 각 1명 장관으로 임명했다.[8] 1879년 9월에는 진대 사령 장관의 호칭을 진대 사령관으로 변경했다.[8]

메이지 6년(1873년) 7월 당시의 군관 및 영소는 다음과 같다.

군관·진대영소
제1군관·도쿄 진대도쿄
사쿠라
니가타
제2군관·센다이 진대센다이
아오모리
제3군관·나고야 진대나고야
가나자와
제4군관·오사카 진대오사카
오쓰
히메지
제5군관·히로시마 진대히로시마
마루가메
제6군관·구마모토 진대구마모토
고쿠라


2. 3. 징병제 도입과 진대의 변화

메이지 신정부는 근대적 중앙집권 체제 구축의 일환으로 군비 통제 및 편성을 추진했다.[32] 이 과정에서 전국적인 상비군 편성이 필요했고, 막번 체제 하의 번병과 구 무사단을 해체하고 새로운 편성 절차를 밟아야 했다.[32]

1871년 2월, 가고시마, 야마구치, 고치 출신으로 구성된 어친병이 편성되었다.[32] 어친병의 편성 비용은 궁내성의 예산으로 충당되었다. 지방에서는 각 번이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인근 번에 병력 파견(출장)을 요청하고 그 비용을 번에서 부담하는 방식으로 병력이 운용되었다.

1871년 6월 10일 (메이지 4년 4월 23일), 태정관은 도호쿠 지방에 동산도 진대(본영 이시노마키, 분영 후쿠시마·모리오카)와 규슈 지방에 서해도 진대(본영 고쿠라, 분영 하카타, 히타) 설치를 포고했다.[28] [8] 그러나 실제 부대 편성은 서해도 진대만 이루어졌다.[28]

1871년 8월 29일 (메이지 4년 7월 14일) 폐번치현으로 전국이 메이지 정부 직할이 되면서, 병부성 직원령이 발표되어 홋카이도, 이시노마키, 도쿄, 오사카, 고쿠라의 5진대 체제가 제시되었다.[28] [33] 그러나 홋카이도는 인구가 적어 진대 설치가 연기되었다.

1871년 10월 4일 (메이지 4년 8월 20일) 구 2진대가 폐지되고, 도호쿠 진대(센다이), 도쿄 진대, 오사카 진대, 진세이 진대(구마모토)의 4진대가 설치되었다.[28] [8] 이 진대는 어친병 출신자와 사족 지원병으로 편성되었고, 각 번의 상비군은 무장 해제되었다.[28]

1873년에는 나고야 진대와 히로시마 진대가 증설되어, 홋카이도를 제외한 지역이 6군관, 14사관으로 나뉘었다.[8] 군관에는 진대, 사관에는 영소가 설치되었다.[8] 도호쿠 진대는 센다이 진대로, 진세이 진대는 구마모토 진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8] 홋카이도에는 진대 대신 둔전병이 배치되었다.

같은 해 징병령 시행으로 징집된 병사들이 진대에 입대하면서, 기존 사족 지원병은 장병으로 불리며 구별되었다. 장병 비율은 점차 감소했지만, 진대 정원 충족은 쉽지 않았고, 사족 중심의 군대에서 급격한 변화는 없었다. 세이난 전쟁에서는 정규 진대 병력 외에 근위병, 둔전병, 경시대, 추가 모집 병력이 사족 출신 병력으로 충원되어, 사족이 관군 장병의 절반을 차지했다.

군관·진대영소보병 연대
제1군관·도쿄 진대도쿄보병 제1연대
사쿠라보병 제2연대
니가타보병 제3연대
제2군관·센다이 진대센다이보병 제4연대
아오모리보병 제5연대
제3군관·나고야 진대나고야보병 제6연대
가나자와보병 제7연대
제4군관·오사카 진대오사카보병 제8연대
오쓰보병 제9연대
히메지보병 제10연대
제5군관·히로시마 진대히로시마보병 제11연대
마루가메보병 제12연대
제6군관·구마모토 진대구마모토보병 제13연대
고쿠라보병 제14연대


2. 4. 진대에서 사단으로 (1888년)

메이지 신정부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근대적 중앙집권 체제에 기반한 병력 군비의 통제와 편성이었다. 이 과정에서 전국 통일적인 상비군의 편성에 있어서는 막번 체제 하에서의 번병, 구 무사단의 해체와 새로운 편성 절차가 과제였다.[32] 최초의 획기는 1871년 2월에 정식으로 편성된 어친병이었으며, 가고시마, 야마구치, 고치로 구성된 어친병의 편성 비용은 궁내성의 정액금을 할애하여 병부성에 하사되어 성립되었다.

1871년6월 10일(메이지 4년4월 23일)에 현재의 도호쿠 지방에 동산도 진대(본영 이시노마키, 분영 후쿠시마·모리오카), 현재의 규슈 지방에 서해도 진대(본영 고쿠라, 분영 하카타, 히타)의 2진대를 설치할 것을 포고했다.[28] [8] 그러나, 실제로 부대 편성을 한 것은 서해도 진대뿐이었다.[28] 같은 해 10월 4일(메이지 4년8월 20일)에 구 2진대를 폐지하고, 도호쿠 진대(센다이), 도쿄 진대, 오사카 진대, 진세이 진대(구마모토)의 4진대가 설치되었다.[28] [8]

1873년에 2개의 진대가 증설되어, 홋카이도를 제외한 지역을 6군관, 14사관으로 나누었다.[8] 군관에는 진대, 사관에는 영소가 설치되었다.[8] 새롭게 설치된 것은 나고야 진대와 히로시마 진대로, 오사카 진대에서 호쿠리쿠 지방이 나고야 진대로, 주고쿠·시코쿠 지방이 히로시마 진대로 각각 이관되었다.[8] 또한, 도호쿠 진대는 센다이 진대로, 진세이 진대는 구마모토 진대로, 도시명을 붙이는 명칭으로 변경했다.[8]

1873년의 징병령 시행과 함께, 징집된 병사가 진대에 입대하게 되었다. 진대 시대 최대의 전쟁이었던 세이난 전쟁에서는, 정규 진대 병력 외에 근위병, 둔전병, 경시대, 추가 모집 병력이 사족 출신 병력으로 더해져, 사족이 관군 장병의 절반을 차지했다.

메이지 6년(1873년) 7월 당시의 군관·영소는 다음과 같다. (보병 연대는 다음 해 이후에 편성)

군관·진대영소보병 연대
제1군관·도쿄 진대도쿄보병 제1연대
사쿠라보병 제2연대
니가타보병 제3연대
제2군관·센다이 진대센다이보병 제4연대
아오모리보병 제5연대
제3군관·나고야 진대나고야보병 제6연대
가나자와보병 제7연대
제4군관·오사카 진대오사카보병 제8연대
오쓰보병 제9연대
히메지보병 제10연대
제5군관·히로시마 진대히로시마보병 제11연대
마루가메보병 제12연대
제6군관·구마모토 진대구마모토보병 제13연대
고쿠라보병 제14연대



메이지 11년(1878년) 12월 10일, 전시에는 감군부장(동부·중부·서부)은 사단 사령관, 진대 사령관은 여단 사령관의 역할을 맡았다. 메이지 18년(1885년) 5월 18일에는 감군부장은 군단장, 진대 사령관은 사단장으로 변경되었다. 메이지 19년(1886년)에는 감군이 폐지되었다.

1888년5월 12일, 진대는 폐지되고 사단으로 개편되었다.

3. 편제

3. 1. 1873년 7월 당시 군관 및 영소

4. 전시의 역할

5. 역대 진대사령관 및 참모장

{{둘러보기 상자

|이름 = 일본군 진대사령관

|제목 = 일본 육군 역대 진대사령관 및 참모장

|listclass=hlist

|제목모양 =

|bodystyle =

|groupstyle=

|belowstyle=

|abovestyle=

|그림=

100px


| group1 = 1. 동경

| list1=

'''사령관'''

  • 사령장관: 미우라 고로, 야마다 아키요시, 다네다 마사아키, 노즈 시즈오, 노즈 미지쓰라
  • 사령관: 노즈 미지쓰라,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대리), 미우라 고로, 미요시 시게오미


'''참모장'''

오카자와 구와시, 노기 마레스케, 야마구치 모토오미, 니시 간지로, 오시마 요시마사

| group2 = 2. 센다이

| list2 =

'''사령관'''

  • 사령장관: 미요시 시게오미, 시오야 하루요시(대리), 후쿠하라 미노루(대리), 후쿠하라 미노루
  • 사령관: 시조 다카우타, 사쿠마 사마타, 소가 스케노리, 사쿠마 사마타


'''참모장'''

시오야 하루요시, 후쿠하라 미노루, 나가야 시게나, 가와카미 소로쿠, 오누마 와타루, 오시마 요시마사(심득), 다카시마 노부시게

| group3 = 3. 나고야

| list3 =

'''사령관'''

  • 사령장관: 노자키 사다즈미(어용취계), 이비 아키라(심득), 시조 다카우타
  • 사령관: 시조 다카우타, 이비 아키라, 시게노 키요히코, 구로카와 미치노리


'''참모장'''

이비 아키라, 나가야 시게나, 야마카와 히로시, 니시 간지로, 사카모토 스미히로

| group4 = 4. 오사카

| list4 =

'''사령관'''

  • 사령장관: 시조 다카우타, 도리오 고야타, 미요시 시게오미, 시조 다카우타(대리)
  • 사령관: 미요시 시게오미, 소가 스케노리,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야마지 모토하루,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참모장'''

이비 아키라, 다카시마 노부시게, 쓰치야 요시나리, 오가와 마타지, 하세가와 요시미치, 이바라키 고레아키, 야마네 노부나리

| group5 = 5. 히로시마

| list5 =

'''사령관'''

  • 사령장관: 시나가와 우지아키(어용취계), 다카하시 가쓰마사(심득), 이다 유즈루, 다카하시 가쓰마사(심득), 미우라 고로, 이다 유즈루
  • 사령관: 이다 유즈루, 구로사와 미치노리, 노자키 사다즈미, 노즈 미치쓰라


'''참모장'''

다카하시 가쓰마사, 나카무라 시게토오, 쓰치야 요시나리, 구니시 요리마사, 하세가와 요시미치, 오가와 마타지, 아오야마 아키라(심득), 시오야 카타쿠니

| group6 = 6. 구마모토

| list6 =

'''사령관'''

  • 사령장관: 기리노 도시아키, 다니 다테키, 노즈 시즈오(대리), 노즈 시즈오, 다네다 마사아키, 오야마 이와오(겸무), 다니 다테키, 소가 스케노리
  • 사령관: 소가 스케노리,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야마지 모토하루, 구니시 요시마사, 미요시 시게오미, 미우라 고로, 야마지 모토하루


'''참모장'''

나카무라 신이치로(심득), 사쿠마 사마타, 와타나베 오우, 다카시마 시게노리, 가바야마 스케노리, 노자키 사다즈미, 구니시 요리마사, 야마구치 모토오미, 가와무라 가게아키(심득)

}}

5. 1. 도쿄 진대

5. 2. 센다이 진대

5. 3. 나고야 진대

5. 4. 오사카 진대

5. 5. 히로시마 진대

5. 6. 구마모토 진대

참조

[1] 서적 鎭臺條例改正 https://dl.ndl.go.jp[...] 日本マイクロ写真 2020-12-12
[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 문서 久我通久ヲ大和国鎮台ニ任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 문서 鎮台ヲ大坂及ヒ兵庫ニ置キ醍醐忠順外二名ヲシテ之ヲ督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7] 문서 佐渡裁判所ヲ置キ府中藩兵之ニ属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 문서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五巻・官職八・陸軍武官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0] 문서 三職ヲ八課ニ分ツ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 문서 大和鎮台ヲ置キ尋テ廃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3] 문서 大阪鎮台ヲ置キ尋テ裁判所ト為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 문서 兵庫鎮台ヲ置キ尋テ裁判所ト為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6] 문서 江戸鎮台ヲ置ク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 문서 有栖川熾仁親王ヲ江戸鎮台ニ拝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 문서 江戸鎮台官員ヲ置ク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 문서 江戸鎮台ノ衙門ヲ西城ニ設ク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2] 문서 江戸鎮台府管轄国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4] 문서 鎮将府職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5] 문서 有栖川熾仁親王ノ鎮台ヲ罷メ三条実美ヲ以テ鎮将ニ拝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7] 문서 三条右大臣以下ニ鎮将等ノ諸職ヲ命免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8] 웹사이트 『新修 大津市史』5 近代 第1章 近代大津の出発 http://www.furuyatet[...] 1982-07
[29] 문서 兵部大輔山県有朋外二名兵備将来ノ目途上言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0] 문서 第9号壬申4月7、8、9、10、11、12、13日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1] 문서 六管鎮台表 明治6年1月9日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 간행물 日露戦争前における戦時編制と陸軍動員計画思想(1) : 鎮台編制下の過度期的兵員併用・供給構造の成立 https://doi.org/10.3[...] 北海道教育大学 2004-02
[3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4] 웹사이트 『新修 大津市史』5 근대 제1장 근대大津の出発 http://www.furuyatet[...] 198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