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양옥은 명나라 말기의 여장군으로, 현재의 충칭시 출신이다. 남편 마천승과 함께 양응룡의 난을 진압하고, 후금의 침략에 맞서 싸웠으며, 사숭명의 반란을 평정하는 등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발휘했다. 숭정제의 근왕령에 응하여 군대를 이끌고 수도를 구원하여 숭정제의 칭찬을 받았으며, 장헌충의 난에도 맞서 싸웠다. 명나라 멸망 후 남명 정권을 섬기며 저항하다가 1648년 사망했다. 그녀는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여성 전사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박물관에 유물이 전시되고 동상이 세워지는 등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진양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충정후(忠貞侯) |
본명 | 진양옥(秦良玉) |
자 | 정소(貞素) |
작위 | 충정후(忠貞侯) |
시호 | 충정(忠貞) |
성별 | 여성 |
출생일 | 1574년 1월 24일 |
출생지 | 명나라 사천성 중경부 충주 |
사망일 | 1648년 7월 11일(향년 74세) |
사망지 | 남명 사천성 중경부 석주 옥음루 |
묘소 | 진양옥 능원 |
사원 종류 | 사당 |
사원 | 태보사 |
가족 | 부친: 진규 배우자: 마천승 자녀: 마상린 형제자매: 진방병 (오빠) 진민병 (남동생) 친인척: 진익명 |
직책 | |
국가 | 남명 |
직책 | 태자태보 |
임기 | 1646년 2월 ~ 1648년 7월 11일 |
직책2 | 사천초토사 |
임기2 | 1646년 2월 ~ 1648년 7월 11일 |
국가3 | 명나라 |
직책3 | 사천총병관 |
임기3 | 1621년 ~ ? |
보좌관 칭호3 | 부총병 |
보좌관3 | 진익명 |
국가4 | 명나라 |
직책4 | 석주선무사 |
임기4 | 1613년 ~ 1621년 |
전임4 | 마천승 |
후임4 | 마상린 |
군주 칭호4 | 황제 |
군주4 | 만력제 태창제 천계제 |
군사 정보 | |
국적 | 명나라 |
충성 | 명나라 |
복무 | 명군 |
최종 계급 | 정1품 중군도독부좌도독 |
서훈 | 상주국광록대부 태자태보 일품부인 이품고명부인 충정후 |
지휘 | 백간병 |
전쟁 및 전투 | |
참전 | 파주의 역 |
2. 생애
진양옥은 중경부 충주(현재의 충칭시충현) 출신으로, 스주 선위사(宣慰使) 마천승의 아내였다. 만력 27년 (1599년), 양응룡의 난에 남편과 함께 종군하여 500명의 병사를 지휘, 난천에서 1등 전공을 세웠으나, 마천승은 무고로 옥사했다. 이후 진양옥이 스주를 통치했다.[2]
천계 원년 (1621년), 후금 침입에 맞서 오빠 진방병, 남동생 진민병과 요동을 지켰으나, 진방병은 전사했다. 진양옥은 진방병과 유족의 보장을 조정에 요청, 진방병은 도독첨사(都督僉事)로 추증되고 유족에게 세습되었다.[2]
같은 해, 사숭명의 반란에 진양옥은 사자를 베어 죽이고, 진민병, 진방병의 아들 진익명, 진공명을 이끌고 진압, 사천을 평정했다.[2]
숭정 3년 (1630년), 후금 군세가 명을 침략, 숭정제의 근왕령에도 4개 성이 함락되는 위기 속에서, 진양옥만이 군대를 이끌고 경성을 구원했다. 숭정제는 그녀와 백간병들의 충의에 감동, 위업을 기리는 시 4수를 하사했다. 진양옥은 시[2]와 은상을 받고 4개 성 회복 명을 받아 귀환, 이후에도 많은 적을 물리쳤다.
숭정 13년 (1640년), 장헌충과 싸웠으나 고전, 사천은 장헌충에게 지배당했다. 숭정 17년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숭정제 사망, 명이 멸망했으나, 진양옥은 남명 홍광제를 섬겨 관작을 받았다. 스주에서 융무 2년 (1646년) 장헌충 사망 시까지 싸웠다.[2]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진양옥은 만력 2년 정월 초이틀(1574년 1월 24일) 신시에 사천 충주 명옥계에서 묘족 가족의 딸로 태어났다. 진양옥의 부친인 진규(秦葵)는 과거에 합격해 공생(貢生)의 자리에 올랐던 사람으로 독서를 좋아하고 특히 병법에 능통하였으며, 세 자녀들 중 진양옥을 제일 총애했다. 진규는 소녀들 역시 소년들과 같은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신념을 지니고 있었으며, 따라서 아들들뿐만 아니라 양옥에게도 역사와 유교 고전 및 무술을 가르쳤다. 그 결과 진양옥은 다른 형제자매보다 더 깊이 무술을 배우며 점차 궁술과 승마에 능숙해졌고 이에 진규가 병법까지 전수하자 곧 병법에도 숙달하였으며, 시 짓는 솜씨로도 유명해졌다. 진양옥이 능숙하게 병법 및 무술을 익히자 진규는 "형제들 중 누구도 그녀와 견주지 못하니 양옥이 남자가 아닌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라고 말했으며, 이에 양옥은 "금산금차를 어찌 맛보겠습니까! 아들이 병사들을 장악해야 하며, 부인성이나 낭자군은 도리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진양옥은 현재의 충칭시 중현에 위치한 중저우(忠州)에서 먀오족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 진규(秦葵)는 과거 시험에서 공생(貢生)의 자격을 얻었다. 그는 여자도 남자와 똑같은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믿었기에 진양옥으로 하여금 오빠들과 함께 역사와 사서오경을 공부하게 했다. 그는 또한 그들에게 무술을 가르쳤다. 진양옥은 오빠들보다 무술을 더 깊이 배우고 궁술과 승마에 능숙해졌다. 그녀는 또한 한시에도 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2. 2. 마천승과의 혼인
1595년, 진양옥은 석주선무사[5] 겸 석주토사 자리를 대행하던 담씨의 아들 마천승(馬千慕)과 혼인하였다.[6][7] 이들 부부는 좋은 결혼 생활을 했고, 마천승은 종종 그녀의 조언을 구했다. 진양옥은 성 주위에 수재 발생을 막고 경작지에 물을 댈 수 있게 하는 기반 시설 역할을 하는 인공하천인 옥대하를 설치하고 축대를 쌓아 홍수 피해를 방지하는 등 치수에 힘썼다.[8] 또한 군사에도 관심을 기울여 남편 마천승과 함께 석주에 가뭄의 영향을 덜 받는 옥수수를 심어 자체적인 역량과 보급을 갖추게 하였다. 한편, 자신이 물푸레나무로 만든 창인 백간창으로 백성들이 평소에는 생업에 종사하다 비상시에 전투에 나설 수 있도록 훈련시켜 백간병을 양성하였다.[8] 백간창은 창날과 그 반대쪽에 각각 갈고리와 단단한 철고리가 달린 것이 특징이며,[9] 전투 시 흰색 막대의 갈고리를 자르고 당기거나 철제 고리를 망치 무기로 사용할 수 있었고, 전방에 경사가 가파른 산을 만났을 때에도 창의 갈고리와 철고리를 연결하여 평지를 걷는 것처럼 재빠르게 올라갈 수 있었다.[10] 이렇게 백간병 부대를 양성한 진양옥 부부는 이들을 이끌고 명나라 남서쪽 경계에서 지역 군벌과의 소규모 전투에 동참하였다.[8]2. 3. 파주의 역 (양응룡의 난)
만력 27년(1599년) 파주토사 양응룡이 귀주에서 난을 일으켰다. 명나라 조정에서는 난을 진압하기 위해 마천승에게 3,000명의 백간병을 주었고, 진양옥에게는 500명의 백간병을 주어 참전하게 했다. 진양옥과 마천승은 등관을 수비하였다. 이듬해 양응룡은 명군 진영에 연회가 열린 틈을 타 기습을 감행했지만, 진양옥 부부가 선봉에 서서 양응룡의 군대를 물리쳤다. 그 후 진양옥은 다른 장군들과 힘을 합쳐 양응룡의 난을 완전히 진압하였다. 진양옥은 남천로에서 제일 큰 군사적 전공을 거두었지만, 조정에 자신의 전공을 보고하지 않았다.[2]2. 4. 남편의 죽음과 석주 통치
만력 41년(1613년), 남편 마천승이 유력 환관인 구성운(邱乘雲)을 모욕했다는 누명을 쓰고 체포되어 투옥된 후 옥사하였다. 본래 마천승의 뒤를 이어 아들 마상린이 석주의 선무사 겸 토사가 되어야 했으나, 마상린이 어려서 어머니인 진양옥이 아들 대신 마천승의 석주토사직과 백간병 부대를 이어받았다.[2]2. 5. 혼하 전투와 후금과의 전쟁
태창 1년(1620년), 후금의 누르하치가 요동을 공격하자 조정에서는 진양옥에게 3급 관복을 하사하고 군대를 파견하도록 명령하였다. 이에 진양옥은 오빠 진방병과 남동생 진민병에게 백간병 3천 명을 주어 요동으로 출병시켰고, 자신은 아들 마상린과 함께 산해관에 주둔하며 요동군에게 보급할 군량과 군마를 모았다.[11]천계 1년(1621년), 심양이 후금에게 함락되자, 이를 수복하기 위해 혼하를 건너던 진방병과 진민병이 후금군과 만나 혼하 전투가 일어났다. 진방병과 진민평의 백간병 부대는 후금 팔기군의 공격을 3번이나 격퇴했지만, 결국 전투에서 패배하여 진방병을 포함한 2,000명 이상의 백간병이 전사하였다.[11] 진양옥은 혼하 전투에서 살아남은 진민병을 포함한 소수의 백간병들과 합류하여 후금군이 물러갈 때까지 산해관을 굳게 지켰다.
이후 후금군이 물러가자 천계제는 진양옥을 칭찬하며 2품의 관직과 관복을 하사하였다. 진양옥이 혼하 전투에서 사망한 동생 진방병과 유족에 대한 보상을 조정에 요구하자, 조정은 이를 수락하여 진방병을 도독승사로 추증하고 유족에게 해당 관직을 세습하도록 하였다. 그 후 진양옥은 사천성의 병력을 징집하라는 명을 받고 사천으로 돌아갔다.[11]
숭정 3년(1630년), 후금 군세가 명을 침략하여 4개의 성이 함락되는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도, 진양옥은 숭정제의 근왕령(왕군이 열세에 놓였을 때 왕을 구하기 위해 지방에서 원군을 보내는 명령)에 응하여 사재로 군대를 이끌고 경성을 구원하러 갔다. 숭정제는 국가를 위해 싸우는 그녀와 백간병들의 충의에 감동하여 그 위업을 기리는 시 4수를 지어 하사했다.[2] 진양옥은 숭정제가 지은 시 4수와 기타 은상을 받고 4개의 성을 회복하라는 명을 받고 귀환했다.
2. 6. 사안의 난 진압
같은 해, 사천과 귀주에서 안방언과 함께 사안의 난을 일으킨 사숭명이 항복을 권유하려 사자를 보내자 진양옥은 사자의 목을 베었다. 9월에 사숭명의 반란을 토벌하려 진격해 성도의 신도를 수복하고 사숭명을 크게 물리쳤다.[12] 이에 천계제는 그녀를 사천도독첨사, 사천총병관으로 임명하고 일품부인에 봉하였다.[12]그 다음 해인 천계 2년(1622년)에 진양옥은 성도의 포위를 풀고 중경으로 돌아가 이랑관, 불도관을 비롯해 중경을 수복하였으며,[12] 천계 3년(1623년)에 오빠 진민병, 조카 진익명, 진전명을 이끌고 출전하여 사숭명에게 대승을 거뒀지만, 이듬해 안방언과의 전투에서 진민병이 전사하였다.
2. 7. 기사의 변과 숭정제의 찬사
숭정 2년(1630년) 후금군이 명나라 수도 북경을 포위하며 기사의 변이 일어났는데, 이때 각지의 세력이 숭정제의 근왕령[13]에 응하지 않은 채 4개의 성이 함락되는 절체절명의 상황이었다. 이때 진양옥만이 사천성에서 군대를 이끌고 와 수도를 방어하였다. 그 후 진양옥은 숭정제에게 소환되어 그녀의 위업을 기리는 4개의 시를 하사받았으며,[14] 황제에게 4개 성의 회복을 명령받은 채 귀환한 후 수많은 적들을 퇴치하였다.숭정 3년 (1630년)에 후금 군세가 다시 명을 침략했을 때도, 진양옥은 사재를 털어 군대를 이끌고 경성을 구원하러 갔다. 숭정제는 국가를 위해 싸우는 진양옥과 백간병들의 충의에 감동하여 그 위업을 기리는 시 4수를 지어 하사했다. 진양옥은 숭정제가 지은 시 4수[2]와 기타 은상을 받고 4개 성을 회복하라는 명을 받고 귀환했다. 그 후에도 진양옥은 계속해서 수많은 적들을 물리쳤다.
2. 8. 장헌충의 난과 말년
숭정 6년(1634년), 장헌충이 반군을 이끌고 사천을 침략하자 진양옥은 아들 마상린(馬祥麟)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출정하여 장헌충을 격퇴하였고, 그 공으로 이품고명부인에 봉해졌다.[12] 숭정 9년(1637년)에는 장헌충을 기습해 큰 피해를 입히고 장헌충에게 큰 부상을 입혔다. 숭정 12년(1640년)에는 나여재의 반군에게 심각한 타격을 입혔으며,[15] 또 다른 반군 지휘관 동산호를 기습해 그를 포함한 600명의 반군을 참수했다. 숭정제는 진양옥의 공로를 인정해 "충정후(忠貞侯)"라는 후작위와 태자태보(太子太保)[16]라는 관직을 수여했다. 같은 해부터 사천순무 소첩춘과 함께 장헌충 토벌에 다시 참여했지만, 진양옥의 계책을 다른 장수들이 받아들이지 않아 고전했다. 숭정 16년(1644년) 봄, 장헌충 군대가 귀주를 공격하자 진양옥은 지원군을 이끌었지만, 수적 열세와 소첩춘의 잘못된 판단으로 대패하여 백간병들이 궤멸되었고, 진양옥은 단기로 탈출해 사천성으로 후퇴했다. 그 후 장헌충이 사천을 장악했지만, 진양옥은 자신의 근거지인 석주만은 끝까지 방어했고,[8] 부하들에게 장헌충을 따르는 것을 금지했다.[17]같은 해인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이자성이 명의 수도 북경을 함락하면서 명나라는 멸망했고, 잔존 명 세력이 강남에 남명이라는 망명 정권을 수립하자 진양옥은 남명 정권에 충성했다. 석주의 일부를 통치하던 진양옥은 농업 자급자족 정책을 실시해 약 10만 명의 난민을 정착시켰다. 1646년 명목상 황제였던 융무제로부터 태자태보 및 사천초토사로 임명되고 충정후에 봉해졌다.[18] 이후 죽을 때까지 장헌충과 청군에 맞서 남명 정권을 수호하기 위한 싸움을 계속하다 영력 2년(1648년) 충칭에서 74세로 사망하여 충정(忠貞)이라는 시호를 받고 충칭시 스주현 다허구 야춘촌에 매장되었다.
3. 평가 및 유산
진량옥의 삶은 그녀의 무기와 갑옷과 함께 충칭시 스주현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그녀의 동상은 중현의 스바오자이에 있는 간위당에 있으며, 이는 싼샤 댐 프로젝트 동안 보존되었다.[1] 화목란, 량훙위, 허위펑과 함께 진량옥은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여성 전사이자 여걸 중 한 명이다.
이십사사에서 진량옥은 궁정 관리와 장군의 열전에 그녀의 전기(biography)가 등재된 유일한 여성이었다.
4. 대중문화 속 진양옥
진양옥은 문신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있으며, 대개 목계영과 함께 등장한다.
진양옥은 코에이의 비디오 게임 ''삼국지 11''에서 32명의 특별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나온다.
진양옥은 모바일 RPG 비디오 게임 ''Fate/Grand Order''에서 플레이 가능한 랜서 클래스 서번트로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iscoverYangtze
http://www.discovery[...]
[2]
기타
[3]
서적
Men and Women in Qing China: Gender in the Red Chamber Dream (Sinica Leiden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4]
기타
[5]
기타
[6]
서적
萇楚齋隨筆
[7]
기타
[8]
웹인용
중국학 위키백과 진양옥
http://chinesewiki.u[...]
[9]
웹인용
女将秦良玉:崇禎寫詩讚她"鴛鴦袖裡握兵符"
http://www.chinanews[...]
2021-05-07
[10]
저널
明史秦良玉傳與女傑秦良玉演義比較研究
2012-11
[11]
웹인용
長城英烈:女英雄秦良玉
https://www.bohaitru[...]
2021-05-07
[12]
웹인용
네이버 지식백과 중국인물사전 진양옥
[13]
기타
[14]
기타
[15]
기타
[16]
기타
[17]
기타
[18]
서적
《仕女‧第九章 封侯將軍秦良玉:鴛鴦袖里握兵符,何必將軍是丈夫》
https://books.google[...]
山東畫報出版社
200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