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시외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과거에는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이었으나 창원시로 통합된 후 진해시외버스정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동아여객이 터미널을 운영하며, 고속버스 노선은 동서울, 동대구, 광주 방면으로 운행하고, 시외버스 노선은 거제, 서울남부, 부산, 울산, 김해 방면으로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해구 - 진해역
진해역은 1926년 진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지되었지만 진해 군항제 기간에는 벚꽃 관광열차가 운행된다. - 진해구 - 해군사관학교 (대한민국)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는 1893년 통제영학당을 기원으로 1949년 개칭된 4년제 사관학교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위치하며 "진리를 구하자, 허위를 버리자, 희생하자"라는 교훈 아래 해군 장교를 양성한다. - 창원시의 건축물 - 중리역
중리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리에 있는 경전선 역으로, 1923년 영업을 시작하여 1998년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현재는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 창원시의 건축물 - 창원역
창원역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05년 개통 이후 진해선 개통과 KTX, SRT 정차를 통해 중요성이 커졌으며, 현재는 최신 시설을 갖춘 선상역사에서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진해선은 화물 전용선으로 운영된다.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창녕시외버스터미널
창녕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하며 수도권과 영남권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터미널이다.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밀양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하여 시외버스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영남권 주요 도시와 밀양시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그리고 밀양시 전역과 주변 지역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망을 제공한다.
진해시외버스터미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
공식 명칭 | 진해시외버스정류장 |
종류 | 터미널 |
국가 | 대한민국 |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태평로34번길 17 (인의동) |
개장 | 2001년 |
운영 기관 | 동아여객 |
표기 | 진해 |
운행 정보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웹사이트 |
2. 역사
과거에는 현재의 kt 진해전화국터에 터미널을 사용하였다. 이 당시 구포, 부산, 울산, 진주 노선을 운영하였다. 제일여객이 부도난 후 2001년부터 동아여객이 터미널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거 진해시였던 시절에는 터미널 명칭이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이었으나 창원시로 통합된 후 2010년 7월 1일부터 '''진해시외버스정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14년 12월 18일, 기존 동대구 ~ 내서,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면서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2] 2015년 10월 30일에는 김해행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고, 2016년 2월 1일에는 광주 ~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었다. 2016년 6월 13일에는 동서울 ~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었으며, 2017년 3월 9일에는 진영(신도시)행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2. 1. 터미널의 변천
과거에는 현재의 kt 진해전화국터에 터미널을 사용하였다. 이 당시 구포, 부산, 울산, 진주 노선을 운영하였다. 제일여객이 부도난 후 2001년부터 동아여객이 터미널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거 진해시였던 시절에는 터미널 명칭이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이었으나 창원시로 통합된 후 2010년 7월 1일부터 '''진해시외버스정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2014년 12월 18일, 기존 동대구 ~ 내서,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면서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2] 2015년 10월 30일에는 김해행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고, 2016년 2월 1일에는 광주 ~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었다. 2016년 6월 13일에는 동서울 ~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었으며, 2017년 3월 9일에는 진영(신도시)행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2. 2. 명칭 변경
과거에는 현재의 kt 진해전화국터에 터미널을 두고 구포, 부산, 울산, 진주 노선을 운영하였다. 제일여객이 부도난 후 2001년부터 동아여객이 터미널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거 진해시였던 시절에는 터미널 명칭이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이었으나 창원시로 통합된 후 2010년 7월 1일부터 '''진해시외버스정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14년 12월 18일부터 동대구 ~ 내서, 마산 고속버스 노선을 진해로 연장하면서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하게 되었다.[2]2. 3. 고속버스 운행 개시
과거에는 현재의 kt 진해전화국터에 터미널을 두고 구포, 부산, 울산, 진주 노선을 운영하였다. 제일여객 부도 후 2001년부터 동아여객이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과거 진해시였던 시절에는 터미널 명칭이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이었으나 창원시로 통합된 후 2010년 7월 1일부터 '''진해시외버스정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14년 12월 18일부터 동대구 ~ 내서, 마산 고속버스 노선을 진해로 연장하면서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2] 2016년 2월 1일에는 광주 ~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2016년 6월 13일에는 동서울 ~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었다.3. 운행 노선
3. 1. 고속버스
노선간격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