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남부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남부버스터미널은 1972년 용산에서 시외버스터미널로 운영을 시작하여, 1990년 서초동으로 이전했다.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26개의 승차홈과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동서울종합터미널
동서울종합터미널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중 하나로, 전국 각지로 향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지하철 강변역과 연결되고 공항 리무진 버스도 운행하지만, 현대화 사업 후 상가가 퇴거하여 홈페이지나 앱으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는 서울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며 도심 순환, 청계·고궁, 서울파노라마 등 다양한 테마 코스와 야간 코스를 제공하는 시티투어 버스 서비스로, 2층 버스와 트롤리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버스들이 운행된다. - 서울 서초구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서울 서초구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1972년 설립 - 립푸
- 1972년 설립 - 통일주체국민회의
통일주체국민회의는 유신헌법에 의해 대통령 선출, 국회의원 추천, 헌법 개정안 의결 등의 기능을 수행한 헌법기관이었으나, 박정희 대통령의 장기 집권 도구로 활용되었다는 비판을 받으며 1972년부터 1980년까지 존속했다.
서울남부버스터미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울남부터미널 |
![]() | |
종류 | 터미널 |
국가 | 대한민국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92 (서초동) |
개장 | 1968년 8월 12일 |
이전 | 1990년 7월 |
운영 기관 | 엔티산업 |
터미널 코드 | 050 |
표기 | 남서울 (서울남부, 서초동)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웹사이트 | 서울남부터미널 웹사이트 |
웨이백 | 과거 웹사이트 |
2. 연혁
- 1972년 8월 : 용산시외버스터미널 설립[3]
- 1990년 7월 : 서초동으로 이전
- 2003년 4월 : 한터디앤디, 남부터미널 인수
- 2015년 6월 : 대한전선 자회사 동안디앤아이, 터미널 면허 취득
- 2015년 12월 15일 : 엔티산업, 인수 운영
2. 1. 설립 초기 (1968년 ~ 1990년)
1968년 8월 12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 69-9 위치에 서울남부종합터미널이 기공되었다.[3] 1972년 8월, 용산시외버스터미널이 설립되어 운영되기 시작하였다.2. 2. 서초동 이전 및 확장 (1990년 ~ 현재)
1990년 7월 서초동으로 터미널을 이전하여 운영하기 시작했다.[3] 2003년 4월 한터디앤디가 설립되어 남부터미널을 인수, 운영하였다. 2015년 6월 대한전선 산하 자회사인 동안디앤아이가 터미널 면허를 신규 취득하였고, 2015년 12월 15일 엔티산업이 인수하여 운영하고 있다.3. 운행 노선
서울남부버스터미널에서는 다양한 방면으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모든 고속버스 노선은 과거 시외버스에서 전환된 노선이다.
방면 | 행선지 |
---|---|
수도권 방면 | 공도, 국제대, 대림동산, 동아방송대, 동탄, 두원공대, 백암, 서정리, 송탄, 숙성, 신갈, 안성, 안정리, 안중, 양지, 용이동[10], 일죽, 좌전, 죽산, 죽전, 중앙대 안성, 청북, 청북공단, 평택, 평택항, 포승공단, 한경대 |
강원권 방면 | 장평[11], 주문진[11], 진부[11], 횡계[11] |
충청권 방면 | 강경, 강외, 계동, 계룡, 고남, 고북, 공주[12], 관기, 광정, 광천, 광혜원, 구룡, 규암, 기지시, 꽃지, 남서울대, 내포시, 노성, 논산, 논티, 당진, 대룡, 대소, 대전[13], 대전청사, 대천해수욕장[14], 덕산, 동학사, 만리포, 모란, 무극, 미원, 보령, 보은, 봉강교, 부여, 삽교, 삽교천(운정리), 상월, 상판, 서산, 서천[15], 석송, 선문대, 성환, 세종, 속리산, 송악신도시, 수덕사, 신례원, 신양, 신장, 신창, 신평, 신풍, 안면도, 어송, 예산, 오송역, 오송복합단지, 옥산, 아산, 우석대[16] 운곡, 운산, 유구, 유성, 음성, 감곡, 음암, 이월, 이인, 인풍, 임천, 입포, 장내, 장항, 적암, 정산[17], 주교, 주포, 중장, 진천, 창기리, 창리, 천안, 천안3공단, 청소, 청양, 청주, 청주공항, 청주대, 청주북부(오창), 춘장대욕장, 충북혁신도시[18], 충주[19], 탄천, 탕정, 태안, 판교, 하마루, 한산, 한서대, 합덕, 해남, 해미, 홍산, 홍성, 화양 |
호남권 방면 | 강진, 광주전남혁신도시, 구례, 구천동, 무주, 무주안성, 삼례, 삼례3공단, 완주혁신도시[20], 우석대[16], 익산, 인월[24], 임실, 장계, 장수, 전주, 전주대 |
영남권 방면 | 거창, 고령, 고성, 거제고현[21], 김천[22], 낙서, 남지, 남해, 대의, 덕산, 마산남부[23], 마천[24], 백무동[24], 부곡, 부산사상[25], 사천, 산청, 삼가, 삼천포, 상주, 생초, 서상[24], 성주, 안의, 양산, 영산, 용원[26], 원지, 장승포, 장유, 전도, 지리산(백무동)[27], 지리산(중산리)[28], 진교, 진주, 진해, 창녕, 통영, 하동, 함안[29], 함양[24], 합천, 해운대[30][31], 현풍, 화개, 화령 |
- 노선 변동 현황
- * 2015년: 나주 빛가람혁신도시로 운행하는 노선이 신설되었다.[5]
- * 2016년 1월 20일: 해운대, 군위행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 * 2017년 1월 24일: 대전 경유 김천행 직통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6]
- * 2017년 12월 6일: 광양, 동광양행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 중단되었다.[7]
- * 2018년 4월 9일: 구례, 하동행 시외버스 노선이 악양 경유를 중단하였다.[8]
- * 2018년 7월 1일: 양산, 언양행 시외버스 노선이 양산행으로 단축되었다.[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