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진해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진해구는 경상남도 동부 해안 남단에 위치하며 진해만을 끼고 있는 지역이다. 삼국시대에는 웅지현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웅천현, 웅천도호부로 개칭되었다. 1904년 러일전쟁 발발 이후 일본 해군 군항 도시로 발전하여, 1912년 진해면으로 개편되었고, 1955년 진해시로 승격되었다. 2010년 마산시, 창원시와 통합하여 창원시 진해구로 변경되었다. 벚꽃으로 유명하며, 매년 4월 진해군항제가 열린다. 주요 관광지로는 진해루, 제황산공원 등이 있으며, 해군사관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시의 구 - 의창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는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경남 행정 및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며 주요 교육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21만 8,589명이다.
  • 창원시의 구 - 마산합포구
    창원시 마산합포구는 마산시 인구 증가로 설치, 폐지되었다가 창원시 통합 과정에서 재신설되었으며, 옛 지명 '합포'를 포함한 명칭으로 구산면, 진동면 등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마산어시장, 마산가고파국화축제, 경남 마산로봇랜드와 경남대학교를 포함한 교육 기관이 위치한다.
  • 경상남도의 구 - 의창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는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경남 행정 및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며 주요 교육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21만 8,589명이다.
  • 경상남도의 구 - 마산합포구
    창원시 마산합포구는 마산시 인구 증가로 설치, 폐지되었다가 창원시 통합 과정에서 재신설되었으며, 옛 지명 '합포'를 포함한 명칭으로 구산면, 진동면 등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마산어시장, 마산가고파국화축제, 경남 마산로봇랜드와 경남대학교를 포함한 교육 기관이 위치한다.
  • 진해구 - 진해역
    진해역은 1926년 진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지되었지만 진해 군항제 기간에는 벚꽃 관광열차가 운행된다.
  • 진해구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위치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터미널로, KT 진해전화국 터에 있던 초기 정류장에서 시작하여 2001년부터 동아여객이 운영하며 2010년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2014년 고속버스 노선 개통 후 동서울, 대구, 광주 방면 고속버스와 서울남부, 부산, 울산, 김해, 고현 방면 시외버스가 운행 중이며 일부 노선은 심야 운행을 한다.
진해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행정구역명진해구
로마자 표기Jinhae-gu
한글 표기진해구
한국 한자 표기鎭海區
가타카나 표기치네=쿠
면적120.14㎢
총인구191,225
남자 인구98,295
여자 인구92,930
인구 조사 연도2023
상위 행정 구역창원시
하위 행정 구역15동
행정 구역 분류 코드38040
구 나무히노키
구 꽃벚꽃
구 새갈매기
공식 웹사이트진해구청 홈페이지
추가 정보
총 인구 (2024년 6월)189,647명
세대수 (2024년 6월)84,766
행정동13
법정동65
구청장정현섭
국회의원이종욱 (국민의힘, 창원시 진해구)
구청 소재지진해구 진해대로 1101 (풍호동)
구화벚꽃
구목편백
구조백구

2. 지리

경상남도의 동부 해안 남단에 위치하며, 진해 도심의 남쪽에는 진해만이 있다. 육지의 3면(동·서·북)은 장복산(582m), 불모산(801m) 등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시의 남쪽에 면한 바다는 남쪽으로 거제도, 동쪽으로 가덕도, 서쪽으로 구산면고성반도에 의해 외해와 차단된 으로 이루어져 있다. 만의 안쪽은 넓고 수심이 깊지만 풍파가 잔잔해 좋은 항만 조건을 갖추고 있어 대한민국 해군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해군사관학교가 위치해 있다.

3. 역사

진해시 시절에 사용된 깃발


진해군항(1950년경)


고대 가야 지역에 속했으며, 삼국시대에는 웅지현(熊只縣)이라 불렸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웅신현(熊神縣)으로 개칭되어 의안군(義安郡, 현 창원시)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1018년(현종 9년)에는 금주부(金州府, 현 김해시)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조선 문종 때 웅천현(熊川縣)으로 독립하였다. 1510년(중종 5년) 삼포왜란의 여파로 잠시 웅천도호부로 승격되었으나 곧 현으로 다시 강등되었다. 조선 초기, 현재의 제덕동 괴정리 일대에 내이포(乃而浦) 왜관(倭館, 제포왜관이라고도 함)이 설치되어 부산포와 함께 일본과의 주요 교역 거점인 삼포 중 하나였다. 15세기 말에는 약 2,500명의 일본인이 거주하는 최대 거류지였으나, 이들의 활동은 조선과의 마찰을 일으켜 1510년 삼포왜란으로 이어졌다. 왜란 이후 내이포가 유일한 개항지가 되기도 했으나, 1544년 사량진왜변으로 다시 국교가 단절되었다. 1547년 정미약조로 국교가 회복되었으나, 교역항은 부산으로 한정되어 내이포에서의 무역은 중단되었다. 웅천현은 도자기 산지로도 알려져 일본에서 '웅천(こもがい|고모가이일본어)'이라 불리는 고려다완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 임진왜란 때는 마쓰우라 시게노부에 의해 웅천의 도공들이 일본 히라도로 끌려가 삼천내 가마를 열게 되면서 웅천에서의 도자기 생산은 맥이 끊겼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내이포 부근에는 웅천왜성이 건설되었다.

1895년 갑오개혁으로 진주부 웅천군으로 개편되었고,[13] 1896년에는 경상남도 웅천군이 되었다.[14] 1908년 9월, 웅천군은 진해군(현 마산합포구 진동면·진북면·진전면 일대)과 함께 창원부에 통합되었다.[15] 1910년 10월 1일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칭되었다.[16]

1904년 러일전쟁 발발 후, 일본 해군은 진해만 일대를 장악하고 거제도에 해군 기지 건설을 시작했으며, 진해만은 일본해 해전 당시 일본 연합함대의 집결지가 되었다. 러일전쟁 후 일본은 진해만에 대규모 군항 건설을 계획하고 현재의 위치를 선정하여 1910년부터 군항과 시가지 건설을 시작했다. 1912년 1월 1일, 일제강점기 하에 마산부 웅중면 전부와 웅서면 일부를 합쳐 진해면(鎭海面)으로 개편하였다.[17] 이는 본래 진해군과는 다른 지역으로, 일본 해군의 군사적 목적에 따라 명명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진해의 명칭 유래 참조) 1916년에는 진해요항부가 설치되었고, 진해는 일본 해군의 주요 군항 도시로 발전하여 1933년 12월 2일 진해읍으로 승격하였다.[18] 시 중심부의 로터리 등은 당시 일본식 도시 계획의 흔적이다.

1945년 광복 후, 진해의 해군 시설은 대한민국 해군의 전신인 조선해안경비대가 인수하여 사용하였다. 1946년에는 해군사관학교가, 1949년에는 대한민국 해병대가 이곳에서 창설되었다.

1955년 9월 1일, 창원군 진해읍이 진해시(鎭海市)로 승격하여 창원군에서 분리되었다.[19] 이후 인근 지역을 편입하며 시세를 확장했다. 1975년 8월 1일에는 창원군 웅천면을 편입했고,[20] 1984년 12월 18일에는 의창군 웅동면을 편입했다.[21] 1997년 12월 1일에는 웅동2동(가덕도 등) 일부가 부산광역시 강서구로 편입되었다.

진해시는 인접한 마산시, 창원시와 함께 마창진이라는 광역 도시권을 형성하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2010년 7월 1일, 마산시, 창원시와 통합하여 창원시 진해구로 개편되었다. 2020년 1월 1일에는 행정동인 중앙동과 태평동이 충무동으로 합동되었다.

'''행정 구역 변천 요약'''

시대연도내용
삼국시대-웅지현(熊只縣)
통일신라757년웅신현(熊神縣) (의안군 영현)
고려1018년금주부 속현
조선문종 재위 기간웅천현(熊川縣) 독립
대한제국1895년진주부 웅천군[13]
대한제국1896년경상남도 웅천군[14]
대한제국1908년 9월창원부 통합[15]
일제강점기1910년 10월 1일마산부 개칭[16]
일제강점기1912년 1월 1일마산부 웅중면·웅서면 일부 → 진해면(鎭海面) 신설[17]
일제강점기1914년창원군 진해면
일제강점기1933년 12월 2일창원군 진해읍 승격[18]
대한민국1955년 9월 1일진해시(鎭海市) 승격[19]
대한민국1975년 8월 1일창원군 웅천면 편입[20]
대한민국1984년 12월 18일의창군 웅동면 편입[21]
대한민국1997년 12월 1일웅동2동 일부 부산 강서구 편입
대한민국2010년 7월 1일마산시, 창원시와 통합, 창원시 진해구 출범
대한민국2020년 1월 1일중앙동·태평동 → 충무동 합동


3. 1. 진해의 명칭 유래

'진해'(鎭海)라는 이름은 본래 현재의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일대에 있었던 진해군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오늘날의 진해 지역은 원래 웅천군에 속했다. 1912년, 일본 제국은 한반도를 강점한 후 이 지역에 해군 군항을 건설하면서 웅중면 전체와 웅서면 일부를 통합하여 '진해면'(鎭海面)으로 개편하였다. 이때 '바다를 제압한다'는 제국주의적 의도를 담아 '진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22] 이 때문에 본래 진해군이었던 지역(진동면·진북면·진전면)은 새로 명명된 진해와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삼진(三鎭) 지역'으로 불리게 되었다.

4. 행정 구역

진해구의 행정구역은 13동 285통 2,079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해구의 면적은 123.67km2이며[23], 인구는 2020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19만2755 명, 8만1838 가구이다.[24]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 (명)세대행정 지도
충무동忠武洞18.07km217,3557,753
진해구 행정구역
여좌동餘佐洞4.54km28,7544,359
태백동太白洞1.77km25,0402,638
경화동慶和洞2.12km211,4024,637
병암동屛岩洞1.71km27,5453,349
석동石洞2.24km217,4636,910
이동泥洞0.91km28,5764,568
자은동自隱洞6.11km221,4608,728
덕산동德山洞2.04km210,2244,139
풍호동豊湖洞7.38km226,0839,143
웅천동熊川洞27.78km212,7335,275
웅동1동熊東一洞32.75km26,4652,745
웅동2동熊東二洞12.72km239,65517,594
진해구鎭海區123.67km2192,75581,838


  • 인구·세대는 2020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행정동법정동
충무동|화천동, 송학동, 평안동, 대흥동, 충무동, 인사동, 여좌동, 제황산동, 신흥동, 동상동, 도만동, 도천동, 비봉동, 송죽동, 수송동, 현동, 태평동, 광화동, 중평동, 근화동, 익선동, 회현동, 통신동, 중앙동, 창선동, 부흥동, 대영동, 앵곡동, 숭인동, 인의동, 남빈동, 충의동, 대죽동, 속천동, 안곡동, 무송동
여좌동|여좌동, 태백동, 충무동, 현동
태백동|태백동, 여좌동, 경화동
경화동|경화동
병암동|경화동, 석동, 이동
석동|이동, 석동
이동|덕산동, 석동, 자은동, 이동
자은동|자은동, 덕산동
덕산동|덕산동, 자은동, 풍호동
풍호동|자은동, 풍호동, 장천동, 행암동, 원포동
웅천동|원포동, 죽곡동, 명동, 성내동, 북부동, 서중동, 남문동, 제덕동, 수도동, 연도동
웅동1동|남양동, 마천동, 소사동, 대장동, 두동
웅동2동|용원동, 청안동, 가주동, 안골동


5. 인구

창원시 진해구의 연도별 인구 추이[25]

연도총인구
2010년178,199명
2015년185,733명
2020년201,547명


6. 관광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진해루


벚꽃으로 유명한 진해는 1910년 군항시설 공사를 시작한 이래 해군의 주요 기지가 되었으며, 관련 시설들이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매년 4월에 열리는 진해군항제는 대표적인 관광 행사이다.

진해 여좌천의 벚꽃


진해군항제1952년 4월 13일, 대한민국 최초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동상을 진해 북원로터리에 세우고 추모제를 거행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1963년부터 정식 축제로 개최되었으며, '진해 벚꽃축제'라는 이름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축제는 매년 4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열린다.

이 기간에는 평소 일반인 출입이 제한되는 해군사관학교해군 진해기지사령부 일부 구역이 개방되어 정해진 시간 동안 방문할 수 있다. 경화역 주변은 만개한 벚꽃으로 터널을 이루는 장관을 연출하며, 축제 기간에는 서울역 등 전국 각지에서 통해역까지 임시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다만, 이 시기에는 진해구 시가지의 교통이 매우 혼잡하며, 안민드림로드와 같은 일부 도로는 통제될 수 있다.

진해의 벚꽃은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 해군이 도시 경관 조성과 토지 보전을 목적으로 매화, 복숭아, 소나무 등과 함께 심기 시작한 것에서 유래한다. 해군의 상징처럼 여겨져 지속적으로 식재되었고, 1920년대 중반에는 이미 벚꽃 명소로 알려져 1926년 진해선 개통 이후에는 벚꽃놀이 철에 임시 열차가 운행될 정도였다.[3]

그러나 1945년 해방 이후, 벚꽃이 일본의 국화라는 인식 때문에 대부분 베어졌다.[4] 상황이 바뀐 것은 1962년, 벚꽃(소메이요시노)의 원산지가 한국(제주도)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부터이다.[5] 이 주장은 벚꽃이 일본 나무가 아닌 우리 땅에서 자생한 것이라는 인식을 확산시켰고,[6] 1974년 4월에는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지시로 대규모 벚꽃 식수 운동이 벌어져 현재의 벚꽃 명소로서의 진해가 부활하게 되었다.

하지만 진해의 대표적인 벚꽃 명소인 여좌천 주변 벚나무의 99.7%, 경화역 주변 벚나무의 91.1%는 1960년대에 일본에서 들여온 일본산 소메이요시노 품종이며, 나머지도 일본산 시다레자쿠라 등인 것으로 밝혀져 원산지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7]

  • '''진해루''': 충무동 해안가에 위치한 누각으로, 주변 해안도로(진희로)와 함께 바다 풍경을 감상하기 좋은 곳이다.
  • '''진해해양공원''': 진해 명동에 조성된 해양공원으로, 전망대 역할을 하는 창원솔라타워가 있다.
  • '''진해제황산공원''': 시가지 중심부에 위치한 공원이다.
  • '''가덕도 등대''': 진해 앞바다 가덕도에 위치하며, 날씨가 좋으면 일본쓰시마섬까지 조망할 수 있다.
  • '''성흥사 계곡''': 장복산 자락에 위치하며 여름철 피서지로 인기가 있다. (웅동성흥사 대웅전 포함)
  • '''장복산 계곡''': 양어장이 있다.
  • '''기타 명소''': 충무공 동상, 천자봉, 웅천현성, 구산성지, 안골포굴강, 진해웅동용추폭포, 진해웅동대장.소사천, 도요지, 이승만 전 대통령 별장 및 정자 등이 있다.


과거 진해 흰돌메공원은 물고기가 많고 잘피와 수달이 서식할 정도로 물이 깨끗하여 해안길 산책과 해돋이 명소로 유명했으나,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의 매립 사업으로 인해 현재는 사라졌다. 와성만과 웅동만 일대의 매립은 지역의 소중한 자연환경을 잃게 만들었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진해신항 및 부산신항 건설 등 지속적인 매립 공사로 인해 진해만 일대의 해양 오염이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7. 교통

진해구는 인근의 부산, 진주, 대구 방면으로 간선도로가 연결되며 김해국제공항과도 인접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철도의 경우, 창원과 연결되는 진해선이 도심 북부를 지나가지만, 2015년 1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정기 여객 열차 운행은 중단되었다.

버스 교통의 경우, 진해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과거에는 고속버스를 타려면 창원시 의창구창원종합버스터미널이나 마산회원구마산고속버스터미널까지 가야 했으나, 2009년 서울남부버스터미널행 노선 신설을 시작으로 현재는 동대구, 서대구, 동서울 등 주요 도시로 가는 고속버스 노선이 운행 중이다.코버스 또한, 창원시의 다른 지역이나 부산 서부 지역으로 가는 버스 노선도 자주 운행되고 있다.

7. 1. 철도

진해역


한국철도공사진해선이 진해구를 지나간다. 진해선에 위치한 역과 현재 상태는 아래와 같다.

역명상태비고
경화역여객 업무 중단
진해역여객 업무 중단과거 진해군항제 기간 임시 여객 취급 (현재 중단)
통해역여객 업무 중단일반인 출입 금지, 과거 군항제 기간 임시 여객 취급



2015년 1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정기 여객 열차 운행이 종료되었다.

7. 2. 버스

진해구에는 진해시외버스터미널용원시외버스정류장이 있다. 창원시의 시내버스와 창원시의 공영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특히 공영버스는 진해구 내에서만 운행하며, 대중교통 접근이 어려운 웅천동과 웅동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한다. 구체적으로 350번 버스는 웅천동 일대를, 351번과 352번 버스는 웅동 일대를 담당한다. 351번의 지선 노선인 351-1번은 웅동중학교를 경유하여 운행하고 있다.

인근의 창원시 다른 지역(옛 마산 지역, 옛 창원 지역)에서 진해구로 들어오는 버스가 자주 운행된다. 또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도 많은 버스편이 운행되고 있다.

8. 교육

해군사관학교를 비롯하여 다수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대학교
구분학교명
국립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9. 문화재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서적 竹国 1999
[3] 서적 竹国 1999
[4] 서적 竹国 1999
[5] 서적 竹国 1999
[6] 간행물 鎮海地域李忠武公護国精神宣揚会 パンフレット 1999
[7] 웹사이트 「진해 군항제 벚나무는 일본 벚나무 일색」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23-03-24
[8] 웹인용 2024년 6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웹인용 2024년 6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0] 웹사이트 `창마진` 통합시 명칭 `창원시`로 잠정 결정 http://news.mk.co.kr[...] 2010-02-17
[11] 뉴스 창원ㆍ마산ㆍ진해 통합시 이름은 `창원시'(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2-17
[12] 웹사이트 기록사랑마을 지정현황 http://www.archives.[...]
[13] 법률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14] 법률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5] 법률 칙령 제69호 군을합치는데관한안건
[1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7호
[17] 웹사이트 진해 연혁 https://www.changwon[...] 2021-12-19
[1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1-01-29
[19] 법률 법률 제373호 진해시 설치에 관한 법률
[20]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21]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 관할 구역 변경 및 면 설치 등에 관한 규정
[22] 웹사이트 진해의 유래
[23] 웹사이트 지적공부등록현황 https://www.changwon[...] 2021-08-14
[2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2021-08-12
[25] 웹사이트 창원시 정보통계시스템 http://stat.changwon[...]
[26] 웹사이트 진해우체국 http://www.cha.go.kr[...]
[27] 웹사이트 안중근 의사 유묵 - 임적선진위장의무 http://www.cha.go.kr[...]
[28] 웹사이트 안중근 의사 유묵 - 청초당 http://www.cha.go.kr[...]
[29] 웹사이트 중완구 http://www.cha.g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