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등화 서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등화 서비스(DiffServ)는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 트래픽에 서로 다른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DiffServ는 트래픽을 클래스로 분류하고 각 클래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대규모, 클래스 기반의 트래픽 관리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개별 플로우를 기반으로 하는 IntServ와 대조된다. DiffServ는 IPv4 및 IPv6 헤더의 DS 필드를 사용하여 트래픽 클래스를 식별하며, 홉별 동작(PHB)을 통해 각 라우터에서 트래픽을 처리한다. 표준화된 트래픽 클래스를 통해 네트워크 간 상호 운용성을 높이며, EF, AF, DF, CS 등의 PHB가 존재한다. 관리자는 DiffServ 도메인을 구성하여 정책을 구현하며, 분류, 표시, 리마킹 등의 과정을 거쳐 트래픽을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구조 - 네트워크 접속 지점
네트워크 접속 지점(NAP)은 미국에서 ISP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연결점 중 하나이며, 미국 과학재단이 지원하여 설립되었고, 현재는 공용 교환 설비를 제공하지만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은 NAP를 거치지 않고 처리된다. - 인터넷 구조 - 사물인터넷
사물 인터넷은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통해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효율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키지만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인터넷 표준 - DNSSEC
DNSSEC는 DNS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정보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응답 레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DNS 위장 공격을 막는 기술로, RRSIG, DNSKEY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체인을 구성하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활용한다. - 인터넷 표준 - IPv6
IPv6는 IPv4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로, 128비트 주소 체계를 통해 사실상 무한대에 가까운 IP 주소를 제공하며, 주소 자동 설정, 패킷 처리 효율성 향상, 보안 기능 강화 등의 특징을 갖는다.
차등화 서비스 | |
---|---|
개요 | |
종류 | 네트워크 아키텍처 |
특징 | 트래픽 우선 순위화 |
기술 정보 | |
작동 방식 | 트래픽을 다양한 클래스로 분류하고 각 클래스에 차등화된 서비스를 제공 |
적용 계층 | IP 계층 |
주요 메커니즘 | 패킷 분류 및 마킹 트래픽 조정 (Traffic Conditioning) 큐 관리 (Queue Management) 자원 할당 (Resource Allocation) |
표준 및 프로토콜 | |
IETF RFC | RFC 2474 RFC 3260 |
활용 | |
주요 사용 분야 | VoIP (Voice over IP) 화상 회의 온라인 게임 실시간 스트리밍 |
목표 | 중요한 트래픽의 지연 시간 및 손실 감소, 네트워크 효율성 향상 |
장점 | |
서비스 품질 (QoS) 향상 | 특정 트래픽에 대한 우선 순위 제공을 통해 사용자 경험 개선 |
네트워크 효율성 증가 | 네트워크 자원 효율적 활용 |
단점 | |
복잡성 | 구현 및 관리가 복잡할 수 있음 |
오버헤드 | 패킷 마킹 및 분류 과정에서 오버헤드 발생 가능 |
관련 기술 | |
CoS (Class of Service) | 레이어 2에서의 서비스 품질 제공 |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트래픽 엔지니어링 및 QoS 제공에 사용될 수 있음 |
참고 | |
DiffServ 설계 패턴 |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차등화 서비스 (Differentiated service (design pattern)) |
2. 배경
현대의 데이터 네트워크는 음성, 비디오, 음악 스트리밍, 웹 페이지 및 이메일 등 매우 다양한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의 서비스 품질(QoS) 메커니즘은 복잡하고 공공 인터넷의 요구에 맞춰 확장되기 어려웠다. 1998년 12월, IETF는 IPv4, IPv6 헤더에서의 차등화 서비스(DS 필드)인 RFC 2474를 공개했다.[1] 이는 IPv4 TOS 필드를 DS 필드로 대체했다. 현재는 주요 프로토콜 라우터들이 차등 등급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DiffServ를 사용하며, TOS와 기타 통합 서비스(IntServ)와 같은 네트워크 계층 QoS 메커니즘을 대부분 대체했다.[1]
DiffServ는 트래픽 관리를 위한 대단위, 클래스 기반 매커니즘이다. 반면, IntServ는 세분화된 플로우 기반 메커니즘이다.[9]
관리자에 의해 정의된 일반적인 DiffServ 정책을 구현하는 라우터 집단을 DiffServ 도메인이라고 한다.
DiffServ 도메인에 들어오는 네트워크 트래픽은 분류 및 조절의 대상이 된다. 트래픽은 소스 주소, 목적지 주소, 트래픽 유형 등 다양한 매개변수에 따라 분류되어 특정 트래픽 클래스에 할당된다. 트래픽 분류자는 수신한 패킷의 DiffServ 표시를 따르거나 무시, 또는 재정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사업자는 지정된 클래스의 트래픽 양과 유형을 엄격하게 제어하기 위해 DiffServ 도메인에 들어올 때 표시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각 클래스의 트래픽은 속도 제한, 트래픽 폴리서, 트래픽 셰이핑 등에 의해 추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10]
3. 트래픽 관리 매커니즘
DiffServ는 트래픽 분류 원칙에 따라 작동하며, 표준화된 트래픽 클래스 집합을 권장한다.[9] 그러나 어떤 트래픽 유형을 우선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은 포함하지 않는다. DiffServ는 패킷을 특정 클래스로 분류 및 표시하고, DiffServ 인식 라우터는 PHBs를 구현하여 트래픽 클래스와 관련된 패킷 포워딩 속성을 정의한다. 서로 다른 PHB는 낮은 패킷 손실 또는 낮은 네트워크 지연 시간 등을 제공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4. DiffServ 도메인
5. 분류 및 표시
홉별 동작(PHB)은 IP 헤더의 DS 필드에 의해 결정되며, DS 필드는 6비트의 '''차등화 서비스 코드 포인트''' ('''DSCP''') 값을 가진다.[11] 이론적으로는, 한 네트워크가 다른 DSCP들을 이용하면서 다른 트래픽 클래스를 64개(26)까지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네트워크가 일반적으로 정의되는 PHB를 사용한다.
5. 1. 홉별 동작 (PHB)
DiffServ에서 1대의 코어 라우터에 의한 전송 처리를 '''홉별 동작''' (Per-Hop Behavior, '''PHB''')라고 한다. PHB마다 사용되는 DSCP 값이 정해져 있다. IETF에서 표준화된 PHB는 다음과 같다.[1]
DiffServ에서는, 계측 결과 위반이 발견되면, 일단 마킹된 패킷에 대해 우선 순위가 낮은 다른 마크로 변경하는 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처리를 리마킹이라고 한다.
5. 1. 1. Expedited Forwarding (EF)
Expedited Forwarding영어 (EF)는 단말 간의 대역폭 보장을 수행하는 가상 전용선 서비스를 위한 PHB이다. 오버 프로비저닝을 통해 트래픽을 제어한다.[1] 코어 라우터에서는 우선순위 큐잉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제어한다.[1] 낮은 지연, 낮은 손실, 낮은 지터의 특성을 가지며 음성, 비디오 및 기타 실시간 서비스에 적합하다.[1] EF 트래픽의 과부하는 큐잉 지연을 유발하고 클래스 내 지터 및 지연 허용 오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락 제어, 트래픽 폴리싱 및 기타 메커니즘이 EF 트래픽에 적용될 수 있다.[1] EF에 권장되는 DSCP는 101110B (46 또는 2EH)이다.[1]
5. 1. 2. Assured Forwarding (AF)
Assured Forwarding (AF)는 EF보다 느슨한 보장 서비스로, 최소 대역폭 보장이 부착된 베스트 에포트 서비스용 PHB이다.[1] DiffServ 네트워크의 에지 라우터에서는 계약분을 초과한 트래픽에 속하는 패킷에 마크를 붙이고, 코어 라우터가 혼잡해지면 마크가 붙은 패킷을 우선적으로 폐기한다.[1] AF를 위해 AF1 ~ AF4, 4개의 클래스가 표준화되어 있으며, 각 클래스는 3개의 DSCP 값을 사용한다.[1] 따라서 DSCP 값으로는 AF11 ~ AF43, 12개가 사용된다.[1]
AF 동작 그룹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한 클래스 내의 모든 트래픽을 사용하여 네 개의 개별 AF 클래스를 정의한다.[1] 각 클래스 내에서 패킷에는 삭제 우선순위(높음, 중간, 낮음. 여기서 높은 우선순위는 삭제 빈도가 "더" 높다는 의미)가 부여된다.[1] 클래스와 삭제 우선순위의 조합은 AF11부터 AF43까지 12개의 개별 DSCP 인코딩을 생성한다.[1]
삭제 확률 | 클래스 1 | 클래스 2 | 클래스 3 | 클래스 4 |
---|---|---|---|---|
낮음 | AF11 (DSCP 10) 001010 | AF21 (DSCP 18) 010010 | AF31 (DSCP 26) 011010 | AF41 (DSCP 34) 100010 |
중간 | AF12 (DSCP 12) 001100 | AF22 (DSCP 20) 010100 | AF32 (DSCP 28) 011100 | AF42 (DSCP 36) 100100 |
높음 | AF13 (DSCP 14) 001110 | AF23 (DSCP 22) 010110 | AF33 (DSCP 30) 011110 | AF43 (DSCP 38) 100110 |
여러 클래스의 트래픽 간에는 우선순위와 비례적 공정성에 대한 척도가 정의된다.[1] 클래스 "간" 혼잡이 발생하면 더 높은 클래스의 트래픽에 우선순위가 부여된다.[1] 엄격한 우선순위 대기열을 사용하는 대신, 공정 대기열 또는 가중 공정 대기열과 같은 보다 균형 잡힌 대기열 서비스 알고리즘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1] 클래스 "내" 혼잡이 발생하면 삭제 우선순위가 높은 패킷이 먼저 삭제된다.[1] 테일 드롭과 관련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무작위 초기 감지와 같은 더 정교한 삭제 선택 알고리즘이 자주 사용된다.[1]
5. 1. 3. Default Forwarding (DF)
는 코드 포인트의 사용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 와 같은 다른 RFC는 이러한 권장 사항을 업데이트했다. 기본 전달(Default Forwarding, DF) PHB는 유일하게 요구되는 동작이다. 기본적으로, 다른 정의된 클래스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않는 모든 트래픽은 DF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최선형(best-effort) 전달 특성을 가진다. DF에 권장되는 DSCP는 0이다. Best Effort PHB (BE)라고 불리기도 한다.5. 1. 4. Class Selector (CS)
클래스 선택자(Class Selector) PHB는 Cisco가 구현한 IP 우선 순위(IP precedence)를 사용하는 QoS 보장 방식과 호환되는 PHB이다. CS PHB에는 8개의 DSCP가 할당되어 있다. 클래스 선택자 코드 포인트는 'xxx000' 형식이며, 처음 세 비트는 이전 IP 우선순위 비트와 같다.각 IP 우선순위 값은 차등화 서비스 클래스로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P 우선순위 0은 CS0, IP 우선순위 1은 CS1로 매핑된다. 차등화 서비스를 인식하지 못하는 라우터가 IP 우선순위 마킹을 사용한 패킷을 수신하더라도, 차등화 서비스 라우터는 해당 인코딩을 클래스 선택자 코드 포인트로 이해할 수 있다.
는 코드 포인트 사용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권장 사항을 제공하며, 와 같은 다른 RFC에서 이러한 권장 사항이 업데이트되었다.
서비스 클래스 | DSCP 이름 | DSCP 값 | IP 우선순위 | 애플리케이션 예시 |
---|---|---|---|---|
표준 | CS0 (DF) | 0 | 0 (000) | NTP |
낮은 우선순위 데이터 | CS1 | 8 | 1 (001) | 파일 전송 (FTP, SMB) |
네트워크 운영, 관리 및 유지보수 (OAM) | CS2 | 16 | 2 (010) | SNMP, SSH, Ping, Telnet, syslog |
브로드캐스트 비디오 | CS3 | 24 | 3 (011) | RTSP 브로드캐스트 TV, 라이브 오디오 및 비디오 이벤트 스트리밍, 비디오 감시, 주문형 비디오 |
실시간 인터랙티브 | CS4 | 32 | 4 (100) | 게임, 낮은 우선순위 비디오 회의 |
시그널링 | CS5 | 40 | 5 (101) | 피어 투 피어 (SIP, H.323), 클라이언트-서버 IP 텔레포니 시그널링 (H.248, MEGACO, MGCP, SCCP) |
네트워크 제어 | CS6 | 48 | 6 (110) | 라우팅 프로토콜 (OSPF, BGP, ISIS, RIP) |
향후 사용을 위해 예약됨 | CS7 | 56 | 7 (111) | |
5. 1. 5. Voice Admit
음성 허용 동작은 신속 전달 PHB와 동일한 특성을 갖지만, 호 수락 제어(CAC) 절차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허용된다. 음성 허용에 권장되는 DSCP는 101100B (44 또는 2CH)이다.[1]5. 2. 리마킹
DiffServ영어에서는 계측 결과 위반이 발견되면, 일단 마킹된 패킷에 대해 우선순위가 낮은 다른 마크로 변경하는 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처리를 '''리마킹'''이라고 한다.[2]6. 정적 및 동적 서비스
DiffServ를 고정적인 서비스로 실시하는 경우, 각 사용자 및 네트워크 운영자(ISP, 통신 사업자 등) 간에 미리 서비스 수준 협약(SLA)을 체결하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고정적으로 설정하면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요구는 때에 따라 변화하므로, 그때마다 필요한 서비스 레벨 사양(SLS)을 지정할 수 있는 편이 네트워크를 보다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동적으로 SLS를 지정하는 상대를 대역폭 브로커(Bandwidth Broker)라고 한다. 대역폭 브로커는 네트워크 자원을 관리하고, 어드미션 제어를 수행한다. 대역폭 브로커에 대한 자원 요청을 위한 프로토콜로 RSVP(자원 예약 프로토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COPS(공통 개방 정책 서비스) 등의 프로토콜을 통해 대역폭 브로커에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대역폭 브로커는, 고속 연구·교육용 네트워크 최첨단 기술을 개발해 온 Internet2 프로젝트 등에서 연구되어 왔다.[5]
7. RMD (DiffServ에서의 자원 관리)
Westberg, Karagiannis 등[6]은 DiffServ를 위한 자원 관리 방법으로 RMD(DiffServ에서의 자원 관리, Resource Management in DiffServ)를 제안했으며, RMD를 QoS-NSLP로 실현하기 위해, QoS-NSLP를 위한 QoS 사양 기술법(QSPEC) 중 하나로 RMD-QOSM[7]을 IETF에 제안했다. RMD에서는 시그널링 방식으로 RSVP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사용된다. RMD는 IntServ와 DiffServ를 조합한 QoS 보증법 중 하나로 간주된다.
8. QoS 모델 비교
네트워크가 혼잡할 때 모든 종류의 트래픽에 대해 동등하게 QoS를 보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DiffServ에서는 트래픽을 몇 개의 클래스로 나누고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등 차등적으로 처리한다.
DiffServ를 구현하려면 네트워크 입구 라우터에서 플로우 종류에 따라 클래스를 분류하고, IP 패킷의 DS 필드에 그 결과 (DSCP)를 기록한다. 네트워크 코어 라우터에서는 DS 필드 값에 기반하여 패킷 스케줄링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DiffServ | IntServ | |
---|---|---|
확장성 | 양호 | 불량 |
시그널링 프로토콜 | 아니오 | 예 |
자원 할당 | 클래스 | 플로우 |
상태 정보 | 클래스 | 플로우 |
플로우의 집약 | 예 | 가능 |
글로벌한 구현 | 어렵지 않음 | 어려움 |
트래픽 제어 액션 | 에지 | 전체 네트워크 |
호스트와 라우터의 변경 | 소규모 | 대규모 |
QoS 보장 | 중간 | 매우 좋음 |
9. 디자인 고려 사항
차등화 서비스(DiffServ)에서 모든 정책 결정과 분류는 DiffServ 도메인 간 경계에서 수행된다.[1] 이는 인터넷 코어에서 라우터가 요금 징수나 계약 시행과 같은 복잡한 문제에 얽매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통합 서비스(IntServ)와 달리 DiffServ는 사전 설정, 예약, 각 흐름에 대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종단 간 협상이 필요하지 않다.
개별 라우터가 DS 필드를 처리하는 방식은 구성에 따라 다르므로 종단 간 동작을 예측하기 어렵다.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둘 이상의 DiffServ 도메인을 통과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더욱 복잡해진다. 상업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는 최종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클래스의 종단 간 연결을 판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제공업체의 골드 패킷이 다른 제공업체의 브론즈 패킷일 수 있기 때문이다. DiffServ 또는 기타 IP 기반 QoS 마킹은 서비스 품질이나 지정된 서비스 수준 계약(SLA)을 보장하지 않는다. 발신자는 패킷을 마킹함으로써 해당 패킷을 특정 서비스로 처리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이것이 실제로 발생한다는 보장은 없다. 경로에 있는 모든 서비스 제공업체와 해당 라우터가 해당 정책에 따라 패킷을 적절하게 처리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10. DiffServ RFCs
- RFC|RFC영어 2474 — IPv4 및 IPv6 헤더에서 차등화 서비스 필드(DS 필드)의 정의. RFC 2474의 8비트 DS 필드(하위 2비트는 사용되지 않음)는 이후 현재의 6비트 DS 필드와 별도의 2비트 ECN 필드로 분할되었다.
- RFC|RFC영어 2475 — 차등화 서비스 아키텍처.
- RFC|RFC영어 2597 — 보장 전달 PHB 그룹.
- RFC|RFC영어 2983 — 차등화 서비스와 터널.
- RFC|RFC영어 3086 — 도메인별 차등화 서비스 동작의 정의 및 사양 규칙.
- RFC|RFC영어 3140 — 홉별 동작 식별 코드. (RFC 2836을 대체.)
- RFC|RFC영어 3246 — 신속 전달 PHB. (RFC 2598을 대체.)
- RFC|RFC영어 3247 — EF PHB(신속 전달 홉별 동작)의 새로운 정의에 대한 보충 정보.
- RFC|RFC영어 3260 — Diffserv에 대한 새로운 용어 및 설명. (RFC 2474, RFC 2475 및 RFC 2597 업데이트.)
- RFC|RFC영어 4594 — DiffServ 서비스 클래스에 대한 구성 지침.
- RFC|RFC영어 5865 — 용량 허용 트래픽에 대한 차등화 서비스 코드 포인트(DSCP). (RFC 4542 및 RFC 4594 업데이트.)
- RFC|RFC영어 8622 — 차등화 서비스를 위한 낮은 노력 홉별 동작(LE PHB). (RFC 4594 및 RFC 8325 업데이트, RFC 3662를 대체.)
참조
[1]
간행물
S3700HI Ethernet Switches Configuration Guide - QoS
http://enterprise.hu[...]
Huawei
2016-10-07
[2]
웹사이트
Implementing Quality of Service Policies with DSCP
http://www.cisco.com[...]
Cisco
2010-10-16
[3]
웹사이트
Filtering DSCP
https://blog.wiresha[...]
2016-07-29
[4]
논문
A Two-bit Differentiated Services Architecture for the Internet
IETF
1999-07
[5]
문서
"The Survey of Bandwidth Broker”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02-05
[6]
문서
"Resource Management in Diffserv (RMD): A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Behavior Overview,"
7th IFIP/IEEE Workshop on Protocols for High-Speed Networks (PfHSN’2002)
[7]
문서
"RMD-QOSM - The Resource Management in Diffserv QOS Model"
IETF
[8]
문서
RFC 3260
[9]
문서
RFC 4594
[10]
문서
RFC 2597 Section 3
[11]
문서
RFC 2474
[12]
문서
RFC 6088
[13]
웹인용
Implementing Quality of Service Policies with DSCP
http://www.cisco.com[...]
Cisco
2010-10-16
[14]
웹사이트
Filtering DSCP
https://blog.wires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