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귀리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새귀리속(Bromus)은 벼과의 식물 속으로, 전 세계 온대 지역에서 발견되며, 형태적 특징으로 다른 벼과 속과 구별된다. 어원은 라틴어 'bromos'에서 유래되었으며, "귀리" 또는 "야생 귀리"를 의미한다. 참새귀리속은 한해살이풀, 두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로, 조밀하거나 열린 원추꽃차례를 갖는다. 일부 종은 가축 사료나 식량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잡초로 여겨진다. 북미에서는 5개의 절로 분류되며,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아풀아과 - 맥류
맥류는 벼과 잎새풀아과에 속하는 식물로,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이 있으며 식용, 사료용, 목초, 잡초 등으로 활용된다. - 포아풀아과 - 담상이삭풀속
담상이삭풀속은 벼과 잎새풀아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농업, 조경, 생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참새귀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Bromus Scop. |
명명자 | Scop. |
상위 분류군 정보 표시 수준 | 4 |
상위 분류군 권위 | Dumort. (1824) |
하위 분류군 계급 | 절 |
하위 분류군 | 브로모프시스 브로무스 케라토클로아 게네아 네오브로무스 |
이명 | Anisantha K.Koch Avenaria Heist. ex Fabr. Bromopsis (Dumort.) Fourr. Calliagrostis Ehrh. Ceratochloa P.Beauv. Euraphis (Trin.) Kuntze Forasaccus Bubani Genea (Dumort.) Dumort. Michelaria Dumort. Nevskiella V.I.Krecz. & Vved. Serrafalcus Parl. Stenofestuca (Honda) Nakai Triniusa Steud. Trisetobromus Nevski |
![]() |
2. 어원
속명 ''Bromus''는 라틴어 ''bromo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그리스어 βρομός|βρομόςgrc에서 차용된 단어이다. βρομός|βρομόςgrc와 bromosla는 "귀리"를 의미하지만, bromosla는 특히 ''귀리''(Avena sativa, 히포크라테스의 "급성 질환의 요법" 2.43, 디오스코리데스 2.94, ''폴레모 히스토리쿠스'' 88)와 ''털귀리''(Theophrastus의 ''식물지'' 8.9.2, 의사 디오스코리데스 4.137)를 지칭했던 것으로 보인다. 속명은 "귀리" 또는 "야생 귀리"를 뜻하는 라틴어 고유어인 avēnala에서 유래되었다.
벼과의 외떡잎식물군인 참새귀리속(''Bromus'' L.)은 한해살이풀, 두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이며, 선형의 잎을 가지고 있다. 잎집은 깨끗한 원통형이다.
일부 나비목 유충은 팔랑나비(`Carterocephalus palaemon`)와 같이 참새귀리속을 먹이 식물로 사용한다.[1] 세계의 온대에서 아한대에 걸쳐 약 100종이 있으며, 일본에는 10종 이상이 있다.[1] 가까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도 있지만, 그 대부분은 귀화종으로 생각된다.[1] 또한, 오키나와에는 그것의 대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1]
Bromus영어 종은 현재 인간에게 경제적 가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참새귀리속 망고는 역사적으로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 원주민들이 가축 사료와 식량으로 재배했다.[4] 멕시코 북부의 타라후마라 인디언들은 일부 토종 참새귀리속 종의 곡물을 사용하여 그들의 문화적 음료를 만드는 데 발효를 돕는다. 빈곤 참새귀리 (Bromus sterilis)와 리프거트 참새귀리와 같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일부 종은 잎이 빨리 경화되고 규소 함량이 높아 가축에게 해로울 수 있으므로 가축 사료로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 러시아 일부 지역이 원산지인 초원 참새귀리와 같은 다른 종은 북미 대평원에서 사료로 심어진다. 참새귀리는 대부분의 종이 특징 없는 외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관상 식물로 재배되지 않는다. 일부는 침식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지만 대부분의 참새귀리속은 확산되어 침입성 잡초가 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관리해야 한다. 치트그래스 (Bromus tectorum)는 북미 서부 대부분 지역 (남부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캘리포니아까지)에서 특히 골치 아픈 잡초이다.
''Bromus''영어(새귀리속) 식물 종은 일반적으로 현재 인간에게 경제적 가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참새귀리속 망고(Bromus mango)는 역사적으로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 원주민들이 가축 사료와 식량으로 재배했다.[4] 멕시코 북부의 타라후마라 인디언들은 일부 토종 참새귀리속 종의 곡물을 사용하여 그들의 문화적 음료를 만드는 데 발효를 돕는다. 빈곤 참새귀리(''B. sterilis''la)와 리프거트 참새귀리( ''B. diandrus''la)와 같은 이름이 증명하듯이, 일부 종은 잎이 빨리 경화되고 높은 규소 함량으로 인해 가축에게 해로울 수 있으므로 가축 사료로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 러시아 일부 지역이 원산지인 초원 참새귀리와 같은 다른 종은 북미 대평원에서 사료로 심어진다. 참새귀리는 대부분의 종이 특징 없는 외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관상 식물로 재배되지 않는다. 일부는 침식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지만 대부분의 참새귀리속은 확산되어 침입성 잡초가 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관리해야 한다. 치트그래스(''Bromus tectorum'')는 북미 서부 대부분 지역(남부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캘리포니아까지)에서 특히 골치 아픈 잡초이다.
분류학자들은 ''참새귀리속''에서 관찰되는 형태적 변이를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분류 체계를 만들어냈다. 북미에서는 형태적으로 유사한 5개의 종 그룹, 즉 절이 일반적으로 인식된다.[7] ''Bromus''절과 ''Genea''절은 구세계(유라시아)가 원산지이지만, 많은 종이 북미로 도입되었다. ''Bromopsis'', ''Neobromus'', 그리고 ''Ceratochloa'' 절은 북미에 여러 원종을 가지고 있다.
3. 형태적 특징
꽃차례는 원추꽃차례로, 좌우로 소수의 가지를 뻗어 그 끝에 여러 개의 작은 이삭을 붙이지만, 작은 이삭의 수가 적거나 가지가 짧아져서 더 단순한 꽃차례가 되는 경우도 있다. 작은 이삭은 크고 1cm 이상인 것이 보통이며, 3cm가 되는 예도 있다. 잎을 구성하는 잎과 잎집은 털이 없거나, 드문드문 털이 있거나, 털이 있을 수 있다. 꽃차례는 조밀하거나 열린 원추꽃차례이며, 보통 아래로 처지거나 흔들리고, 때로는 퍼진다 (예: 좀참새귀리인 ''B. japonicus'').[1]
작은 이삭은 크고, 다수의 꽃을 포함한다. 구조적으로는 단순한 것으로, 한 쌍의 포영 위에, 다수의 동일한 양성 소화가 좌우 두 줄로 늘어선다. 외형은 선형에서 타원형, 좌우에서 다소 편평하다.
포영 중 첫 번째 포영은 두 번째 포영에 비해 한 바퀴 작고, 들어가는 맥도 적다. 호영은 포영과 비슷하고 한 바퀴 크다. 이것들은 모두 좌우에서 접혀 있으며, 배면은 둥글거나 능선이 있다. 호영은 포영과 비슷하지만 더 크고, 끝은 움푹 들어가 있고 그 사이에서 까끄라기가 나온다. 하지만 까끄라기가 매우 작아서 눈에 띄지 않는 것도 있다. 전체적으로 털이 없거나 약간의 털이 있어도 소화의 기부에서 솜털이 나오지는 않는다.[1]
참새귀리속은 잎집이 대부분의 길이에서 닫혀(융합) 있고, 까끄라기가 보통 정단 아래에 삽입되며, 씨방에 털이 있는 부속지를 갖는 등 여러 형태학적 특징의 조합으로 다른 벼과 속과 구별된다.[1] 이삭이 크고 눈에 띄는 특징 때문에 다른 속과 혼동되는 경우는 드물다. 까끄라기가 긴 것은 새포아풀속, 짧은 것은 독보리속의 쥐보리 등과 다소 유사하지만, 꽃차례의 형태가 다르고, 역시 이삭이 그만큼 크지는 않다.[1]
4. 생태
5. 이용
대부분은 흔한 잡초이며,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 많다. 목초로 사용되는 예도 있다.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의 대부분은 귀화종이다. 참고로, 오키나와에서는 이 모든 종을 볼 수 없다.
6. 관리 및 문제점
대부분은 흔한 잡초이다.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 많다. 목초로 사용되는 예도 있다.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의 대부분은 귀화종이다. 참고로, 오키나와에서는 이 모든 종을 볼 수 없다.
7. 분류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포아풀아과 style="width:75%;" |
7. 1. 한국의 참새귀리속
제공된 소스는 일본의 참새귀리속에 대한 내용이며, "한국의 참새귀리속" 섹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에 기반하여 섹션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계통 분류
다음은 2017년 린지(R. J. Soreng) 등과 2015년 롭(R. Robb) 등의 연구[7]에 기초한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이다.
1 | 2 | 3 | 4 | 5 | 6 | 7 |
---|---|---|---|---|---|---|
포아풀아과 | 담상이삭풀족 | 나르두스상족 | ||||
리게움족 | 나르두스족 | colspan="3" | | ||||
colspan="2" rowspan="6" | | 산기장족 | colspan="5" | | ||||
브릴키니아족 | 쌀새족 | colspan="3" | | ||||
암펠로데스모스족 | 나래새족 | colspan="3" | | ||||
용수염족 | 핵심 포아풀아과 | 숲개보리족 | ||||
포아풀족 | 보리상족 | 리틀레달레아족 | 참새귀리족 | 보리족 |
참조
[1]
간행물
WCSP
[2]
웹사이트
The grass genera of the world: descriptions, illustrations,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including synonyms, morphology, anatomy, physiology, phytochemistry, cytology, classification, pathogens, world and local distribution, and references
http://delta-intkey.[...]
2009-08-19
[3]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4]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2005
[5]
문서
Dumortier, Barthélemy Charles Joseph. Observations sur les Graminées de la Flore Belgique 82, 86, 115. 1824.
[6]
문서
Linnaeus, Carl von. Species Plantarum 1: 76. 1753.
[7]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