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개밀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숲개밀속은 포아풀아과 숲개보리족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이다. 숲개밀속에는 여러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숲개밀, B. distachyon 등이 있다. 과거에는 더 많은 종이 숲개밀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밀풀속, 새속, 담상이삭풀속 등으로 재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아풀아과 - 맥류
맥류는 벼과 잎새풀아과에 속하는 식물로,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이 있으며 식용, 사료용, 목초, 잡초 등으로 활용된다. - 포아풀아과 - 참새귀리속
참새귀리속은 벼과에 속하며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풀 등 다양한 형태로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에 분포하는 약 100종의 식물군이다. - 1812년 기재된 식물 - 옻나무
옻나무는 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는 관목으로, 옻칠의 원료로 사용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우루시올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어린 새순은 식용으로, 열매는 왁스 추출 및 약재로 이용된다. - 1812년 기재된 식물 - 애기나리속
애기나리속은 줄기 잎이 어긋나게 달리고 검은색 장과를 맺는 여러해살이풀로, 히말라야, 인도,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콜키쿰과에 속하고 한국에는 애기나리, 윤판나물 등이 자생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숲개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Brachypodium |
명명자 | P.Beauv., 1812 (Brid. 1826은 선태식물) |
모식종 | Brachypodium pinnatum |
모식종 명명자 | (L.) P.Beauv. |
이명 | Disticheia Ehrh. Trachynia Link Brevipodium Á.Löve & D.Löve |
분류학적 정보 | |
상위 분류 | Harz (1880)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포아풀아과 |
족 | 숲개밀족 Brachypodieae |
족 명명자 | Harz, 1880 |
속 | 숲개밀속 Brachypodium |
속 명명자 | P.Beauv., 1812 |
하위 분류 | |
종 |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 숲개밀( ''B. sylvaticum'' (Huds.) P.Beauv.)[26]
- ''B.'' × ''ambrosii'' Sennen[26]
- ''B.'' × ''apollinaris'' Sennen[26]
- ''B. arbuscula'' Gay ex Knoche[26]
- ''B. atlanticum'' Dobignard[26]
- ''B. bolusii'' Stapf[26]
- ''B.'' × ''cugnacii'' A.Camus[26]
- ''B.'' × ''diazii'' Sennen[26]
- ''B. distachyon'' (L.) P.Beauv.[26]
- ''B. flexum'' Nees[26]
- ''B. glaucovirens'' (Murb.) Sagorski[26]
- ''B. humbertianum'' A.Camus[26]
- ''B. kawakamii'' Hayata[26]
- ''B. kotschyi'' Boiss.[26]
- ''B. madagascariense'' A.Camus & H.Perrier[26]
- ''B. mexicanum'' (Roem. & Schult.) Link[26]
- ''B. peregrinum'' Stanisl. & Tzvelev[26]
- ''B. perrieri'' A.Camus[26]
- ''B. phoenicoides'' (L.) Roem. & Schult.[26]
- ''B. pinnatum'' (L.) P.Beauv.[26]
- ''B. pringlei'' Scribn. ex Beal[26]
- ''B. retusum'' (Pers.) P.Beauv.[26]
이전에 수많은 종을 숲개밀속으로 분류했으나 현재는 밀풀속, ''Anthosachne'', 새속, 담상이삭풀속, ''Brachysteleum'', 고사리새속, ''Cutandia'', ''Distichlis'', 갯보리속, 김의털속, ''Festucopsis'', 쥐보리속, ''Micropyrum'', 포아풀속, ''Ptychomitrium'', ''Rostraria'', 밀속, 들묵새속)으로 이동하여 분류한다.[26]
2. 1. 주요 종
- 숲개밀( ''B. sylvaticum'' (Huds.) P.Beauv.)
- ''B.'' × ''ambrosii'' Sennen
- ''B.'' × ''apollinaris'' Sennen
- ''B. arbuscula'' Gay ex Knoche
- ''B. atlanticum'' Dobignard
- ''B. bolusii'' Stapf
- ''B.'' × ''cugnacii'' A.Camus
- ''B.'' × ''diazii'' Sennen
- ''B. distachyon'' (L.) P.Beauv.
- ''B. flexum'' Nees
- ''B. glaucovirens'' (Murb.) Sagorski
- ''B. humbertianum'' A.Camus
- ''B. kawakamii'' Hayata
- ''B. kotschyi'' Boiss.
- ''B. madagascariense'' A.Camus & H.Perrier
- ''B. mexicanum'' (Roem. & Schult.) Link
- ''B. peregrinum'' Stanisl. & Tzvelev
- ''B. perrieri'' A.Camus
- ''B. phoenicoides'' (L.) Roem. & Schult.
- ''B. pinnatum'' (L.) P.Beauv.
- ''B. pringlei'' Scribn. ex Beal
- ''B. retusum'' (Pers.) P.Beauv.
이전에 수많은 종을 숲개밀속으로 분류했으나 현재는 밀풀속, 새속, 담상이삭풀속, 고사리새속, 갯보리속, 김의털속, 쥐보리속, 포아풀속, 밀속, 들묵새속 등으로 이동하여 분류한다.
2. 2. 기타 종
''B.'' × ''ambrosii'' Sennen, ''B.'' × ''apollinaris'' Sennen, ''B. arbuscula'' Gay ex Knoche, ''B. atlanticum'' Dobignard, ''B. bolusii'' Stapf, ''B.'' × ''cugnacii'' A.Camus, ''B.'' × ''diazii'' Sennen, ''B. flexum'' Nees, ''B. glaucovirens'' (Murb.) Sagorski, ''B. humbertianum'' A.Camus, ''B. kawakamii'' Hayata, ''B. kotschyi'' Boiss., ''B. madagascariense'' A.Camus & H.Perrier, ''B. mexicanum'' (Roem. & Schult.) Link, ''B. peregrinum'' Stanisl. & Tzvelev, ''B. perrieri'' A.Camus, ''B. phoenicoides'' (L.) Roem. & Schult., ''B. pringlei'' Scribn. ex Beal 등이 있다.[26]이전에 수많은 종을 숲개밀속으로 분류했으나 현재는 밀풀속, ''Anthosachne'', 새속, 담상이삭풀속, ''Brachysteleum'', 고사리새속, ''Cutandia'', ''Distichlis'', 갯보리속, 김의털속, ''Festucopsis'', 쥐보리속, ''Micropyrum'', 포아풀속, ''Ptychomitrium'', ''Rostraria'', 밀속, 들묵새속 등으로 이동하여 분류한다.[26]
2. 3. 과거 숲개밀속으로 분류되었던 종
과거 숲개밀속(''Brachypodium'')으로 분류되었던 종은 현재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다.[26]- 숲개밀( ''B. sylvaticum'' (Huds.) P.Beauv.)
- ''B.'' × ''ambrosii'' Sennen
- ''B.'' × ''apollinaris'' Sennen
- ''B. arbuscula'' Gay ex Knoche
- ''B. atlanticum'' Dobignard
- ''B. bolusii'' Stapf
- ''B.'' × ''cugnacii'' A.Camus
- ''B.'' × ''diazii'' Sennen
- ''B. distachyon'' (L.) P.Beauv.
- ''B. flexum'' Nees
- ''B. glaucovirens'' (Murb.) Sagorski
- ''B. humbertianum'' A.Camus
- ''B. kawakamii'' Hayata
- ''B. kotschyi'' Boiss.
- ''B. madagascariense'' A.Camus & H.Perrier
- ''B. mexicanum'' (Roem. & Schult.) Link
- ''B. peregrinum'' Stanisl. & Tzvelev
- ''B. perrieri'' A.Camus
- ''B. phoenicoides'' (L.) Roem. & Schult.
- ''B. pinnatum'' (L.) P.Beauv.
- ''B. pringlei'' Scribn. ex Beal
- ''B. retusum'' (Pers.) P.Beauv.
이 종들은 현재 밀풀속, 새속, 담상이삭풀속, 고사리새속, 갯보리속, 김의털속, 쥐보리속, 포아풀속, 밀속, 들묵새속 등으로 재분류되었다.[26]
3. 계통 분류
숲개밀속은 포아풀아과 숲개보리족에 속한다.[27]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포아풀아과
|-
|
{| class="wikitable"
|-
|담상이삭풀족
|-
|
{| class="wikitable"
|-
!나르두스상족
|-
|
|-
|
{| class="wikitable"
|-
|산기장족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용수염족
|-
!핵심 포아풀아과
|-
|
{| class="wikitable"
|-
|숲개보리족
|-
|
{| class="wikitable"
|-
|포아풀족
|-
!보리상족
|-
|
{| class="wikitable"
|-
|리틀레달레아족
|-
|
|}
|}
|}
|}
|}
|}
|}
|}
|}
|}
|}
참조
[1]
서적
Bilder ur Nordens Flora
1901-1905
[2]
논문
Contr. U.S. Natl. Herb. 24: 196
1925
[3]
웹사이트
Brachypodium P. Beauv.
http://www.tropicos.[...]
[4]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5]
웹사이트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100-101
https://www.biodiver[...]
1812
[6]
웹사이트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plante XIX (19)
https://www.biodiver[...]
1812
[7]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368 短柄草族 duan bing cao zu Poaceae Tribe Brachypodieae
http://www.efloras.o[...]
[8]
웹사이트
Flora of Pakistan, Brachypodium P. Beauv.
http://www.efloras.o[...]
[9]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genere Brachypodium
http://luirig.alterv[...]
[10]
웹사이트
Sanbi Red List of South African Plants
http://redlist.sanbi[...]
[1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https://onlinelibrar[...]
[12]
웹사이트
The grass genera of the world: descriptions, illustrations,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including synonyms, morphology, anatomy, physiology, phytochemistry, cytology, classification, pathogens, world and local distribution, and references
http://delta-intkey.[...]
2009-08-19
[13]
서적
Flora : The Gardener's Bible : More than 20,000 garden plants from around the world
Cassell
[14]
뉴스
Stone Age flour found across Europe
http://www.nature.co[...]
2011-10-12
[15]
논문
Thirty thousand-year-old evidence of plant food processing
https://www.pnas.org[...]
2010-11-02
[16]
웹사이트
The Plant List search for Brachypodium
http://www.theplantl[...]
[17]
간행물
Linnaea 43: 15, 16
1880
[18]
간행물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100, 15, pl. 19, f. 35
1812
[19]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https://onlinelibrar[...]
[20]
웹사이트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100-101
http://www.biodivers[...]
1812
[21]
웹사이트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plante XIX (19)
http://www.biodivers[...]
1812
[22]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368 短柄草族 duan bing cao zu Poaceae Tribe Brachypodieae
http://www.efloras.o[...]
[23]
웹사이트
Flora of Pakistan, Brachypodium P. Beauv.
http://www.efloras.o[...]
[24]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genere Brachypodium
http://luirig.alterv[...]
[25]
웹사이트
Sanbi Red List of South African Plants
http://redlist.sanbi[...]
[26]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7]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https://onlinelibr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