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파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조적 파괴는 기존의 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이 개념은 1848년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자본주의의 위기를 설명하며 처음 언급했으며, 이후 베르너 솜바르트, 미하일 바쿠닌 등을 거쳐 요제프 슘페터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슘페터는 자본주의의 본질을 끊임없는 혁신과 그에 따른 기존 구조의 파괴로 보았으며, 이는 경제 성장과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라고 주장했다. 현대에는 데이비드 하비, 마누엘 카스텔스 등 다양한 학자들이 창조적 파괴 개념을 발전시켜, 기술 혁신, 사회 변화, 문화 현상 등을 설명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창조적 파괴는 파괴적인 측면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하며, 정치적 규제와 불황으로 인해 혁신이 저해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프 슘페터 -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요제프 슘페터의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는 자본주의 발전과 쇠퇴, 사회주의 작동 가능성, 민주주의와의 관계를 분석하며, 마르크스 학설 비판적 평가와 함께 자본주의의 '창조적 파괴'를 통한 사회주의 이행 가능성을 제시하고 민주주의 본질 탐구 및 사회주의와의 양립 가능성을 논하는 책이다. - 오스트리아 학파 - 한스헤르만 호페
한스-헤르만 호페는 독일 출신의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이자 철학자로, 극단적인 자유지상주의와 무정부 자본주의를 주장하며, 민주주의 비판과 사유 재산 중심의 이념 제시, 극단적인 이민 제한 주장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는 인물이다. - 오스트리아 학파 - 콘도르 작전
콘도르 작전은 1970년대 남미 군사 독재 정권들이 '마르크스 혁명 세력 제거'를 명분으로 자행한 초국가적 비밀 공작으로, 납치, 고문, 살해 등 극심한 인권 유린을 초래했으며 미국의 묵인 또는 지원 의혹이 있는 잔혹한 작전이다. - 혁신경제학 - 과학 정책
과학 정책은 국가가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수립하는 정책으로, 공공 사업 및 과학 자금 지원에 영향을 미치며,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 혁신 정책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 혁신경제학 - 창의성
창의성은 새롭고 유용한 결과물을 생산하거나 독창적이고 가치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뇌의 상호작용, 확산적 사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 등과 관련되며, 훈련 등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
창조적 파괴 | |
---|---|
기본 정보 | |
유형 | 경제 이론 |
창시자 | 요제프 슘페터 |
창시 시기 | 1942년 |
주요 내용 | |
내용 | 기술 혁신 산업 구조 변화 경제 성장 |
특징 | |
설명 | 새로운 기술, 제품, 서비스의 출현으로 기존 산업 구조가 붕괴하고 새로운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 기업의 흥망성쇠와 경제 발전의 동력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기술 혁신 슘페터 자본주의 경제 발전 혁신 불확실성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1942) by 요제프 슘페터 |
2. 역사
카바예로와 해머의 실증 연구에 따르면, 1972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의 제조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불황기에 사회적으로 유용한 기업의 도산이 증가하고, 신규 진입은 어려워져 노후화된 기업이 존속하는 경향이 나타났다.[75]
1990년대 일본의 경우, 창업률은 계속 하락하여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전후 최저 수준을 기록한 반면, 폐업률은 상승했다.[75] 잃어버린 20년 동안 일본에서는 대기업만 남고 자금력이 부족한 벤처 기업이 먼저 도산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불황으로 인해 젊은이들의 실업률이 높아져 혁신을 이끌어야 할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면서, 혁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75]
'창조적 파괴'라는 용어는 "이상적인 것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현실에 대한 파괴가 필수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파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창조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는 아니다. 따라서 공공 활동의 이상적인 목표가 명확히 제시될 필요가 있다.[76]
2. 1. 마르크스의 사상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848년 공산당 선언에서 자본주의의 위기 경향을 "대량의 생산력의 강제적 파괴"라고 표현했다.[4] 이들은 현대 부르주아 사회가 거대한 생산 수단과 교환 수단을 불러왔지만, 이는 마치 주문으로 불러낸 지하 세계의 힘을 제어할 수 없는 마법사와 같다고 비유했다.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상업적 위기는 기존 생산물뿐만 아니라 이전에 창출된 생산력의 상당 부분을 파괴하며, 이는 과잉 생산이라는 전염병으로 이어진다. 사회는 일시적인 야만 상태로 되돌아가고, 산업과 상업은 파괴된 것처럼 보인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부르주아지가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대량의 생산력의 강제적 파괴"와 새로운 시장 정복, 낡은 시장의 철저한 착취를 제시했다. 이는 더 광범위하고 파괴적인 위기를 초래하고, 위기 예방 수단을 감소시킨다고 지적했다.[4]몇 년 후, 『그룬트리세』에서 마르크스는 "자본에 외적인 관계가 아닌, 자본의 자기 보존의 조건으로서 자본의 폭력적 파괴"를 언급했다.[5] 그는 자본주의 생산의 창조적 힘과 자본 가치의 파괴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이는 자본주의가 내부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모순은 폭발, 격변, 위기로 이어지며, 노동의 일시적인 중단과 자본의 상당 부분 소멸을 통해 자본은 다시 생산력을 완전히 활용할 수 있는 지점으로 돌아간다고 설명했다.[5][17]
『잉여 가치 이론』(1863)에서 마르크스는 상품 가치의 파괴가 사용 가치, 교환 가치, 또는 둘 다에 영향을 미치는 시나리오를 구별했다.[10] 그는 교환 가치의 파괴가 새로운 자본 투자의 기회를 제공하며, 생산-가치 절하 사이클의 반복을 야기한다고 설명했다. 위기를 통한 자본의 파괴는 가치의 평가 절하를 의미하며, 이는 상품 가격 하락의 파멸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는 사용 가치의 파괴를 일으키지 않으며, 한 사람이 잃는 것은 다른 사람이 얻는다. 낡은 자본가들은 파산하지만, 사회의 명목 자본, 즉 기존 자본의 교환 가치의 큰 부분은 파괴되지만, 이 파괴 자체가 사용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재생산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보았다.[18]
사회 지리학자 데이비드 하비는 마르크스와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 개념 사용 방식을 비교했다. 그는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창의성을 칭찬하면서도 자멸성을 강조한 반면, 슘페터 학파는 자본주의의 창의성을 찬양하고 파괴성은 사업 수행의 정상적인 비용 문제로 취급했다고 요약했다.[19]
2. 2. 초기 사용 사례
베르너 솜바르트는 카를 마르크스의 저술을 바탕으로 창조적 파괴 개념을 발전시켰으며, 1913년 저서 『전쟁과 자본주의』에서 "파괴로부터 새로운 창조 정신이 일어난다"고 주장했다.[20]1859년 찰스 다윈은 『종의 기원』에서 "오래된 형태의 멸종은 새로운 형태의 생성에 거의 불가피한 결과"라고 언급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디오니소스를 통해 근대성의 창조적 파괴를 표현하며, "성전을 세우려면 성전을 파괴해야 한다"는 보편적 원리를 주장했다.[21]
러시아 아나키스트 미하일 바쿠닌은 1842년에 "파괴에 대한 열정 역시 창조적인 열정이다!"라고 외쳤다.[22]
2. 3. 슘페터의 공헌
요제프 슘페터는 1942년 저서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에서 "창조적 파괴"라는 용어를 널리 알렸다. 슘페터는 이 개념을 통해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의 장기 파동 주기가 기술 혁신에 의해 주도된다는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23] 그는 이 책에서 "창조적 파괴"를 마르크스주의 사상에서 유래했다고 명시하며, 혁신에 따른 파괴적인 변혁 과정을 설명했다.슘페터는 자본주의의 본질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Capitalism|캐피털리즘|자본주의영어는 본질적으로 경제 변화의 한 형태이며, 정체되지 않는다. 자본주의 엔진을 움직이는 근본적인 원동력은 새로운 소비재, 생산 방법, 운송 방법, 시장, 그리고 자본주의 기업이 창출하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 조직에서 비롯된다. 새로운 시장 개척과 조직 개발은 경제 구조를 내부에서 혁신하고, 낡은 구조를 파괴하며, 새로운 구조를 창출한다. 이러한 창조적 파괴 과정은 자본주의의 본질이며, 모든 자본주의 기업이 생존해야 하는 환경이다.[24]
슘페터는 자본주의에서 기업가의 혁신적인 진입이 경제 성장을 지속시키지만, 기존 기업과 이전 기술, 조직, 규제 및 경제 패러다임에서 독점 권한을 누리던 노동자들의 가치를 파괴한다고 보았다.[25]
그러나 슘페터는 이 과정이 결국 자본주의 자체의 제도적 틀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비관적으로 전망했다.[9] 그는 자본주의가 사회의 이전 틀을 무너뜨리면서 발전 장벽뿐 아니라 붕괴를 막는 부벽도 제거한다고 보았다. 이는 제도적 사목 제거뿐 아니라 자본주의 계층의 공생 파트너 제거 문제이기도 했다. 슘페터는 자본주의 과정이 봉건 사회의 제도적 틀을 파괴한 것처럼 자본주의 자신의 틀도 약화시킨다고 주장했다.
슘페터(1949)는 중서부 철도화를 예시로 들며, 일리노이 중앙 철도 건설이 새로운 도시 건설과 토지 경작으로 좋은 사업이었지만, 서부의 기존 농업에는 사형 선고였다고 설명했다.[26]
과거 제록스(Xerox)[27], 폴라로이드(Polaroid Corporation)[28]처럼 새로운 산업을 혁신하고 지배했던 기업들은 경쟁자들이 더 나은 디자인이나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이윤(Profit (accounting))을 감소시키고 지배력을 상실하게 만들었다. 기술 분야에서는 카세트 테이프가 8트랙을, 컴팩트 디스크가 카세트 테이프를, MP3 플레이어 다운로드가 컴팩트 디스크를 대체했으며, 현재는 웹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가 이들을 대체하고 있다. 구식 기술로 돈을 벌던 기업들이 새로운 기술 환경에 반드시 잘 적응하는 것은 아니다.
성공적인 혁신은 일시적인 시장 지배력의 원천이지만, 기존 기업의 이윤과 지위를 약화시키고 결국 경쟁 진입자의 새로운 발명에 굴복한다. 창조적 파괴는 경쟁적 시장에서 독점 시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의 전환 등 산업 변화의 역학을 설명하는 강력한 경제 개념이다.[33] 이는 내생적 성장 이론과 진화 경제학에 영감을 주었다.[34]
3. 현대적 발전
현대적 발전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루트비히 라흐만은 시장 경제의 진정한 사회적 결과는 부의 평준화이며, 부는 오랫동안 같은 사람의 손에 머물러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부의 소유주들을 호텔 손님이나 기차 승객에 비유하며, 그들은 항상 존재하지만 오랫동안 같은 사람들은 아니라고 설명했다.[7]
데이비드 하비는 자본주의가 과잉 축적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 환경에 대한 투자를 통해 "공간적 해결"[44]을 찾는다고 보았다. 그는 자본주의가 인프라, 건물 등 고정 자산 투자를 통해 잉여 자본을 흡수하지만,[45] 이러한 고정된 생산력은 자체적인 한계를 만들어낸다고 지적했다.
마셜 버먼은 저서 『견고한 모든 것은 사라진다: 근대성의 경험』에서 마르크스주의적 "창조적 파괴"를 근대 사회의 주요 과정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제시했다.[11] 그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건설된 모든 것은 결국 파괴되고 대체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더욱 수익성 있는 형태로 영원히 지속될 수 있다고 보았다.
마누엘 카스텔스는 정보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 자본주의가 지구의 특정 지역에 투자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철수하는 과정을 재해석했다.[12] 그는 세계화 시대에 자본주의가 거의 즉각적인 흐름으로 특징지어지며, "흐름의 공간"이라는 새로운 공간적 차원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52]
다니엘레 아르키부기는 2008년 경제 위기를 정보 통신 기술(ICT)이 제공하는 기회의 둔화와 연관시켰다.[56] 그는 새로운 경제 회복은 몇 가지 핵심적인 기술적 기회가 식별되고 유지될 때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57]
일본의 경우 1990년대 잃어버린 20년 동안 창업률이 감소하고 폐업률이 증가했으며, 특히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창업률은 전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75] 이는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가 고착화되고 혁신이 저해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즉, 창조적 파괴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좀비 기업'들이 연명하며 경제 활력을 떨어뜨린 것이다.[75]
카바예로-해머의 실증 연구에 따르면, 1972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의 제조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불황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유용한 기업의 도산이 증가하고, 신규 진입이 어려워져 노후화된 기업이 존속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3. 1. 다양한 관점
루트비히 라흐만은 시장 경제의 진정한 사회적 결과는 부의 평준화이며, 부는 오랫동안 같은 사람의 손에 머물러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부의 소유주들을 호텔 손님이나 기차 승객에 비유하며, 그들은 항상 존재하지만 오랫동안 같은 사람들은 아니라고 설명했다.[7]데이비드 하비는 자본주의가 과잉 축적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 환경에 대한 투자를 통해 "공간적 해결"[44]을 찾는다고 보았다. 그는 자본주의가 인프라, 건물 등 고정 자산 투자를 통해 잉여 자본을 흡수하지만,[45] 이러한 고정된 생산력은 자체적인 한계를 만들어낸다고 지적했다.
마셜 버먼은 저서 『견고한 모든 것은 사라진다: 근대성의 경험』에서 마르크스주의적 "창조적 파괴"를 근대 사회의 주요 과정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제시했다.[11] 그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건설된 모든 것은 결국 파괴되고 대체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더욱 수익성 있는 형태로 영원히 지속될 수 있다고 보았다.
마누엘 카스텔스는 정보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 자본주의가 지구의 특정 지역에 투자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철수하는 과정을 재해석했다.[12] 그는 세계화 시대에 자본주의가 거의 즉각적인 흐름으로 특징지어지며, "흐름의 공간"이라는 새로운 공간적 차원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52]
다니엘레 아르키부기는 2008년 경제 위기를 정보 통신 기술(ICT)이 제공하는 기회의 둔화와 연관시켰다.[56] 그는 새로운 경제 회복은 몇 가지 핵심적인 기술적 기회가 식별되고 유지될 때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57]
3. 2. 한국 경제에의 적용
일본의 경우 1990년대 잃어버린 20년 동안 창업률이 감소하고 폐업률이 증가했으며, 특히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창업률은 전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75] 이는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가 고착화되고 혁신이 저해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즉, 창조적 파괴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좀비 기업'들이 연명하며 경제 활력을 떨어뜨린 것이다.[75]카바예로-해머의 실증 연구에 따르면, 1972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의 제조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불황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유용한 기업의 도산이 증가하고, 신규 진입이 어려워져 노후화된 기업이 존속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4. 비판 및 논쟁
창조적 파괴는 기존 산업과 일자리의 파괴를 필연적으로 동반하여 사회적 저항과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혁신의 결과가 소수에게 집중되고 다수는 소외되는 양극화 심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72] 일부 경제학자들은 혁신이 가치 창출보다는 임대료 추구에 더 가깝다고 주장한다.[72]
정치인들이 진입 및 퇴출 규제를 통해 창조적 파괴를 방해하여 산업 재편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73] 안드레이 슐라이퍼와 시메온 디앙코프는 이러한 규제가 경쟁과 혁신을 늦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74]
카바예로-해머의 실증 연구에 따르면, 불황은 사회적으로 유용한 기업의 도산을 증가시키고 신규 진입을 어렵게 만들어 노후화된 기업의 존속을 돕는 경향이 있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동안 폐업률이 창업률보다 높아, 대기업만 남고 벤처 기업은 자금력 부족으로 먼저 도산하는 경우가 많았다. 불황 시기에는 젊은 층의 실업률이 높아져 혁신을 이끌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얻기 어려워 혁신이 정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75]
창조적 파괴는 "이상적인 것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현실에 대한 파괴"가 불가피하다는 의미이지, 파괴 속에서 자연스럽게 창조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는 아니다. 따라서 공공 활동의 "이상"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76]
또한, 창조적 파괴가 환경 파괴를 가속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67]
5. 대중문화에서의 창조적 파괴
영화 ''다른 사람의 돈''(1991)은 뉴잉글랜드의 작은 마을에 있는 상장된 전선 및 케이블 회사의 인수를 둘러싼 두 개의 연설을 통해 창조적 파괴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제시한다. 한 연설은 기업 사냥꾼이, 다른 연설은 직원과 마을을 보호하는 데 주된 관심을 가진 회사의 최고 경영자(CEO)가 한다.[4]
6. 같이 보기
- 파괴적 혁신
- 슘페터의 폭풍
- 산업 구조의 전환
참조
[1]
웹사이트
Schumpeter's Theory of Creative Destruction - Engineering and Public Policy - College of Engineering - Carnegie Mellon University
http://www.cmu.edu/e[...]
2023-08-13
[2]
서적
Encyclopedia of Creativity, Invention,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2017
[3]
논문
Creative Destruction
2020
[4]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https://archive.org/[...]
Penguin
2010-11-07
[5]
서적
Grundrisse: Foundations of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rough draft)
https://books.google[...]
Penguin
2010-11-07
[6]
서적
Theories of Surplus-Value: "Volume IV" of Capital
https://books.google[...]
Lawrence & Wishart
2010-11-10
[7]
서적
Friedrich Nietzsche (1844–1900)
[8]
서적
Krieg und Kapitalismus
https://archive.org/[...]
2010-11-07
[9]
서적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11-23
[10]
서적
Limits to Capital
https://archive.org/[...]
Verso
2010-11-07
[11]
서적
All that is Solid Melts into Air: The Experience of Modernity
https://books.google[...]
Viking Penguin
2010-11-07
[12]
서적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ers
2010-11-07
[13]
서적
Innovation and Economic Crisis. Lessons and Prospects from the Economic Downturn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6-06-25
[14]
서적
Endogenous growth theory
https://mitpress.mit[...]
MIT Press
2023-12-29
[15]
서적
Why nations fail: the origins of power, prosperity and poverty
https://www.univ.ox.[...]
Crown Publishers
2024-11-02
[16]
논문
Sombart and German (National) Socialism
[17]
논문
Marx's "Grundrisse": Vision of Capitalism's Creative Destruction
[18]
서적
Limits to Capital
https://archive.org/[...]
Verso
[19]
서적
The Enigma of Capital and the Crises of Capitalism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2010-11-10
[20]
서적
Krieg und Kapitalismus
https://archive.org/[...]
Duncker & Humblot
[21]
서적
Modernism: A Guide to European Literature 1890–1930
https://books.google[...]
Penguin
[22]
문서
The Reaction in Germany, From the Notebooks of a Frenchman
http://www.marxists.[...]
1842-10-01
[23]
서적
Business History Review 80
http://hbswk.hbs.edu[...]
Cambridge Journals Online
2012-02-23
[24]
서적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11-23
[25]
논문
Dynamic Competition in Antitrust Law
[26]
논문
Schumpeter and Regional Innovation
Elgar Publ.
[27]
논문
Surviving the gales of creative destruction: the determinants of product turnover
2006-03-01
[28]
뉴스
Warner Music reveals streaming income has overtaken download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05-12
[29]
블로그
Creative Destruction and Innovation in The News Industry
http://johngaynardcr[...]
2009-01-21
[30]
뉴스
Seattle P-I to publish last edition Tuesday
http://www.seattlepi[...]
2009-03-16
[31]
웹사이트
Series ID CES5051913001 and CES5051111001
http://www.bls.gov
2013-04-22
[32]
블로그
Could LinkedIn and Viadeo Creatively Destroy the Traditional French Networks?
http://johngaynardcr[...]
2009-01-13
[33]
논문
Dynamic Competition in Antitrust Law
2009-12-01
[34]
논문
Technology, institutions, and innovation systems
2002-02-01
[35]
서적
Recent Economic Changes and Their Effect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Wealth and Well-Being of Society
https://archive.org/[...]
D. Appleton and Co.
[36]
웹사이트
The Market and the Distribution of Wealth
https://mises.org/li[...]
2011-09-30
[37]
서적
Social Justice and the C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38]
서적
The Limits to Capital
https://archive.org/[...]
Verso
[39]
서적
The Urbanization of Capital: Studies in the History and Theory of Capitalist Urbanizati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0]
서적
Spaces of H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서적
Spaces of Capital: Towards a Critical Geography
https://archive.org/[...]
Routledge
[42]
서적
Spaces of Neoliberalization: Towards a Theory of Uneven Geographical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43]
서적
The Enigma of Capital and the Crises of Capitalism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2010-11-10
[44]
서적
Spaces of Capital: Towards a Critical Geography
https://archive.org/[...]
Routledge
[45]
서적
The Enigma of Capital and the Crises of Capitalism
https://books.google[...]
Profile Books
2010-11-10
[46]
서적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https://books.google[...]
Wiley
[47]
서적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Wiley
[48]
서적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Wiley
[49]
비디오
Crises of Capitalism
http://comment.rsabl[...]
RSA Animates
2010-06-28
[50]
서적
All That is Solid Melts into Air
[51]
학술지
Looking the Negative in the Face: Creative Destruction and the Modern Spirit in Photography, Photomontage, and Collage
https://www.assembla[...]
[52]
서적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53]
서적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54]
서적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54]
학술지
Manuel Castells' Technocultural Epoch in "The Information Age"
2006-03-01
[55]
서적
As Time Goes By: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s to the Information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Technological Revolutions and Financial Capital. The Dynamics of Bubbles and Golden Ages
Edward Elgar
[56]
서적
Innovation and Economic Crisis Lessons and Prospects from the Economic Downturn
https://www.routledg[...]
Routledge
[57]
학술지
Blade Runner economics: Will innovation lead the economic recovery?
https://eprints.bbk.[...]
2017-04-01
[58]
학술지
A Model of Growth Through Creative Destruction
[59]
서적
Creative Destruction: A Six-stage Process for Transforming the Organiza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5
[60]
서적
The Creative Destruction of Manhattan, 1900–1940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1]
학술지
Recreating place, replacing memory: Creative destruction at the Singapore River
2005-12-01
[62]
학술지
Fascinating Les Halles
2007-06-01
[63]
서적
Against Theater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64]
서적
Creative Destruc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65]
서적
Still the New World: American Literature in a Culture of Creative Destru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Second Edition
[66]
학술지
Flirting with Fascism. Neocon theorist Michael Ledeen draws more from Italian fascism than from the American Right
http://www.amconmag.[...]
2003-06-30
[67]
학술지
Global Sustainability and the Creative Destruction of Industries
[68]
학술지
Creating Sustainable Value
[69]
학술지
Innovation, Creative Destruction and Sustainability
[70]
학술지
Sustainable Innovation Through an Entrepreneurship Lens
[71]
논문
Creative Destruction: Building Toward Sustainability
[72]
논문
Has Creative Destruction become more Destructive?
https://epub.ub.uni-[...]
2016-10-01
[73]
웹사이트
Debt Enforcement around the World
https://scholar.harv[...]
[74]
웹사이트
The Regulation of Entry
https://scholar.harv[...]
[75]
서적
震災恐慌!〜経済無策で恐慌がくる!
宝島社
[76]
간행물
流言流行への一撃㉕ 「先行き不透明」を悪化させる小泉改革
ベストブック
[77]
웹인용
Creative Destruction in Economics: Nietzsche, Sombart, Schumpeter
http://www.springerl[...]
2013-07-08
[78]
서적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New Brunswick (U.S.A.) and London (U.K.)
[79]
웹인용
Schumpeter in the Context of Two Canons of Economic Thought
https://doi.org/10.1[...]
2010-07-14
[80]
웹인용
Before Schumpeter: forerunners of the thory of the entrepreneur in 1900s German political economy - Werner Sombart, Friedrich von Wieser
http://dx.doi.org/10[...]
2012-12-31
[81]
서적
Capitalism, Socialism & Democracy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문화예술이 경제의 핵심 동력이다 [왜냐면]
기술패권 전쟁..'SBS X 그랜드 퀘스트' 이정동 교수 "'AI 광개토 전략' 필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