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책봉은 동아시아 및 서양에서 국가 또는 개인의 지위와 권위를 인정하는 외교적, 의례적 행위를 의미한다. 동양에서는 중국 왕조의 천자가 주변 국가의 군주에게 작위를 내리는 방식으로, 정치적 정통성을 부여하고 종주국과 책봉국의 관계를 형성했다. 서양에서는 교황이 군주에게, 또는 군주가 기사에게 작위를 수여하는 방식을 통해 권위를 인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책봉 | |
---|---|
책봉 | |
한자 표기 | 冊封 |
간체자 | 册封 |
병음 | cè fēng |
한국어 | 책봉 |
로마자 표기 | chaek bong |
일본어 | 冊封 (さくほう) |
베트남어 | Sắc phong |
정의 | |
정의 |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조공 관계에서, 중국의 황제가 주변국의 왕을 임명하는 의례. |
역사 | |
책봉의 시작 | 기원전 시기 주나라의 천자가 제후를 임명하던 것에서 유래. |
책봉의 확대 | 한나라 이후 주변국과의 관계에서 의례화됨. |
책봉 관계 국가 | 한국 일본 류큐 베트남 등 |
책봉의 의의 | 주변국의 왕권에 대한 정통성 부여. 중국 중심의 국제 질서 유지. |
책봉 절차 | |
사신 파견 | 책봉을 요청하는 사신을 중국에 파견. |
고명과 인신 수여 | 중국 황제가 책봉을 허락하고, 고명과 인신을 수여. |
책봉 의례 거행 | 책봉받은 국가는 책봉 의례를 거행하고, 중국에 조공을 바침. |
한국의 책봉 | |
한국의 책봉 관계 | 고조선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중국 왕조와 책봉 관계를 유지. |
조선의 책봉 | 명나라와 청나라로부터 책봉을 받음. |
책봉의 영향 | 한국의 정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침. |
2. 동양의 책봉
동양에서의 책봉은 중국 왕조의 천자로부터 정통성을 인정받기 위한 외교 방식이었다. 자국의 왕후나 왕태자를 임명하거나 신하에게 관직을 부여하는 것도 책봉에 속한다.
책봉국 군주는 "지역명(혹은 민족명) + 작위" 형식의 칭호를 받고, 종주국의 작위를 받으며 맹약을 맺어 신하가 되었다. 책봉국은 종주국에 조공을 바치고, 연호와 력법(정삭)을 사용해야 했다. 종주국은 책봉국에 출병 명령을 내릴 수 있었고, 책봉국은 공격받았을 때 지원을 요청할 수 있었다. 책봉받은 군주는 책봉국 내에서 자치권을 가졌으나, 책봉국의 영토는 종주국의 영토가 아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책봉 체제는 종주국 중심의 외교 관계였다.
동아시아의 책봉 체제 중에서는 중국을 종주국으로 하는 것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역사적으로 베트남이나 조선 등도 주변 지역 정권이나 "만이" 국가에 대해 책봉을 실시했다. 예를 들어 베트남 광남국(阮主) 시대와 阮朝 초기에는 비엔티안이나 고선 군주를 책봉했다.
2. 1. 중국
중국의 책봉은 주(周) 시대 종법 제도를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천자가 제후나 신하에게 토지와 재산, 작위를 분배하고, 그 내용을 기록한 문서를 통해 권위를 부여하는 의식이었다. 이 문서는 책(策) 또는 책(冊)이라 불렸고, 죽간이나 목간(간독(簡牘))을 끈으로 엮은 형태였다. 책봉을 받은 사람(수명자)은 이 문서를 가지고 돌아와 자택의 사당(종묘(宗廟))에 모시고, 조상에게 보고함으로써 책봉이 완료되었다.[2] [3]이러한 책봉 의식은 왕위 계승이나 제후 분봉과 같은 중요한 정치 행위에 행해졌으며, 정치적 정당성을 보이기 위해 군주의 독단적인 결정이 아니라 하늘이나 천명, 조상의 신들의 뜻에 따른 것임을 보여주는 역할을 했다.[2] [3] 역대 왕조는 이러한 이념으로 통치 권력과 권위의 정당성을 보였고, 성대하고 엄숙한 의식을 거행함으로써 그것을 신하에게 분배했다.
책봉을 받은 군주는 왕이나 후와 같은 종주국의 작위를 받고, 종주국과 맹약을 맺어 종주국 군주의 신하가 되었으며, 그가 지배하는 국가는 책봉국으로 여겨졌다. 책봉국 군주에게 주어지는 칭호는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 또는 민족 개념과 연결되어 "지역명(혹은 민족명) + 작위"의 형식을 취했다.
책봉은 봉건제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었으며, 책봉받은 군주는 책봉국 내에서 기본적으로 자치권을 가졌다. 하지만 책봉국의 영토는 책봉국의 것이지 종주국의 영토는 아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책봉 체제는 외교 관계이며, 종주국을 중심으로 하는 외교 질서였다.
책봉국은 종주국에 조공을 바치고, 종주국의 연호, 력법(정삭)을 사용할 의무를 지녔다. 종주국은 책봉국에 출병 등의 명령을 내릴 수 있었지만, 책봉국은 공격을 받았을 때 종주국에 지원을 요청할 수 있었다.
동아시아의 책봉 체제 중에서는 중국을 종주국으로 하는 것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역사적으로 베트남이나 조선 등도 주변 지역의 정권이나 이른바 "만이" 국가에 대해 책봉을 실시하기도 했다.
2. 2. 한국
한국은 고대부터 중국 왕조로부터 책봉을 받는 국가 중 하나였으며, 이를 통해 국가의 정통성과 지위를 인정받았다. 조선 시대에는 명나라와 청나라로부터 책봉을 받았으며, 동시에 소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여진족 등 주변 집단에 대해 독자적인 책봉을 시행하기도 했다.2. 3. 베트남
베트남은 중국 왕조로부터 책봉을 받았으며, 광남국(阮主) 시대와 응우옌 왕조 초기에는 비엔티안이나 고선의 군주를 책봉하는 등 소중화사상을 나타냈다.[1]3. 서양의 책봉
서양에서의 책봉은 바티칸의 교황으로부터 정통성을 입증하는 방식과, 중세 유럽에서 임금이 상대의 어깨에 검을 올린 후 작위를 수여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1]
3. 1. 교황의 책봉
서양에서의 책봉은 바티칸의 교황으로부터 정통성을 입증하는 방식이 동양과 비슷하다.[1] 중세 유럽에서는 임금이 상대의 어깨에 검을 올린 후 수여할 작위를 말하는 방법도 책봉에 속한다.[1]
3. 2. 군주의 책봉
서양에서의 책봉은 바티칸시국의 교황으로부터 정통성을 입증하는 방식은 동양과 비슷하다. 하지만 중세 유럽에서는 임금이 상대의 어깨에 검을 올린 후 수여할 작위를 말하는 방법도 책봉에 속한다.
참조
[1]
논문
高麗前期の冊立儀礼と后妃
[2]
논문
中国周代の儀礼と王権
2004-01-30
[3]
논문
「中国周代の儀礼と王権」へのコメント―「礼」と「家・国一体化」及びその文化の特質―
2004-01-30
[4]
논문
郭先生発表へのコメント
2004-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