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칙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칙명은 군주가 내리는 명령을 의미하며, 한국, 일본, 영국 등에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에 왕지, 교지 등의 명칭으로 불리다가 갑오개혁 이후 칙명으로 통칭되었고 대한제국 시기에는 황제의 명령을 칙명이라 불렀다. 일본에서는 천황의 의사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칙지 등의 칙서를 지칭하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정부 부처에서 작성하여 의회에 제출되는 칙명 문서(Command Papers)가 존재하며,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지 - 상곡마씨 교지
    상곡 마씨 교지는 마하백과 마두원 부자의 관직 관련 기록을 담은 1286년부터 1892년까지의 고신교지 및 추증교지를 포함하며, 상곡 마씨 가문의 관직 경력과 사회적 지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고 1850년 보물로 지정된 교지도 포함되어 있다.
  • 교지 - 조흡 사패왕지
    조흡 사패왕지는 고려 시대 왕이 신하에게 토지와 노비를 하사한 문서로, 조흡은 충렬왕에게 토지 20결과 노비 2명을 하사받았으며, 고려 시대 토지 제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이다.
  • 고문서학 - 스트라스부르 서약
    스트라스부르 서약은 842년 샤를마뉴의 손자들에 의해 맺어진 맹세로, 고대 프랑스어와 고대 고지 독일어로 기록되어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고문서학 - 태평어람
    《태평어람》은 북송 태종의 칙명으로 편찬된 1000권의 유서로, 천문, 지리,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유실된 고대 문헌을 포함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
  • 영국 정부 - 영국 하원
    영국 하원은 잉글랜드 의회를 모태로 하여 현재의 형태를 갖춘 영국 의회의 하원으로, 상원과 함께 영국의 입법부를 구성하며, 정부 감시, 법률 제정, 예산 승인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영국 정부 - 영국의 헌법
    영국의 헌법은 성문헌법이 아닌 법률, 관습, 판례, 국제법으로 이루어진 불문헌법 체계로서, 의회 주권, 법치주의, 민주주의, 국제주의를 핵심 원칙으로 하며 역사적 개혁과 최근의 인권법 제정 및 사법부 독립 강화에도 불구하고 성문헌법 제정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칙명

2. 한국의 칙명

한국 역사에서 '칙명'(勅命)은 주로 왕조 시대 군주의 명령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특히 대한제국 시기 황제의 명령을 공식적으로 칙명이라 불렀으며[1], 그 이전 조선 시대에는 다른 명칭으로 왕의 명령을 지칭하였다.

2. 1. 조선시대

조선시대 왕의 명령은 시대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렸다. 초기에는 왕지(王旨)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1425년(세종 7년) 7월부터는 교지(敎旨)라는 명칭으로 바뀌었으며, 이는 주로 4품 이상의 관직 임명장에 사용되었다. 이후 1894년(고종 31년) 11월, 갑오개혁의 영향으로 왕의 명령을 칙명(勅命)이라 부르게 되었다.

2. 2. 대한제국 시기

1894년(고종 31년) 11월 갑오개혁의 영향으로 왕의 명령을 '칙명'(勅命)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이후 1897년 대한제국이 선포되면서 황제의 명령을 공식적으로 칙명이라고 하였다.

3. 일본의 칙명

일본에서 칙명(勅命, ちょくめい일본어)은 주로 특정 인물이나 조직 등을 대상으로 천황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문서나 명령을 가리킨다. 구두로 전달되는 명령은 '''칙어'''(ちょくご일본어)라고 하여 구분한다.

3. 1. 역사

일본서기』 등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금석문으로는 덴무 천황 시대에 개장(改葬)된 후네오키노미야츠코의 묘지에서, 후네오키노미야츠코가 스이메이 천황으로부터 칙(勅)에 의해 관위를 받았다는 내용이 확인된다.

다이호 율령이 제정된 이후에는 공식령에 근거하여 발급된 칙지 등의 칙서를 주로 지칭하게 되었다.

또한, 나라 시대덴표호지 8년(764년)에는 칙 및 칙서의 수행과 천황 및 궁중의 용무를 담당하는 칙지성|ちょくししょう/てしのつかさ일본어이 설치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기관은 엔랴쿠 원년(782년)의 행정 정비 과정에서 조궁성과 함께 폐지되었다.

4. 영국의 칙명 문서

영국에서 칙명 문서(Command Paperseng)는 정부 부처에서 작성하여 의회에 제출하는 공식 문서를 의미한다.

4. 1. 특징


  • 정부 부처에서 작성된다.
  • 폐하 인쇄소를 대신하여 인쇄된다.
  • 해당 정부 장관이 "폐하의 칙령에 따라" 영국 의회에 제출한다.
  • 영국 하원영국 상원에서 기록한다.
  • 정부 부처에서 gov.uk에 게시한다.
  • 법정 납본 대상이다.

4. 2. 번호 매기기 체계

칙명 문서는 고유 번호를 가지며, 1870년부터는 시대별로 다른 접두사와 함께 일련번호가 부여되었다. 이 접두사는 '칙령'의 약어이며, 새로운 번호 체계를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었다.

접두사날짜번호
(없음)1833–18691 ~ 4222
C.1870–1899C.1 ~ C.9550
Cd.1900–1918Cd.1 ~ Cd.9239
Cmd.1919–1956Cmd.1 ~ Cmd.9889
Cmnd.1956–1986Cmnd.1 ~ Cmnd.9927
Cm.1986–2018Cm.1 ~ Cm.9756
CP2019–CP 1 이상


참조

[1] 서적 Learning the Law Stevens
[2] 간행물 The Australian Guide to Legal Citation Melbourne University Law Review Association Inc. Melbourne Journal of Law International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