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국으로 가는 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국으로 가는 길'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들이 가스실로 향했던 길을 의미하는 연극 작품이다. 연극은 적십자 조사관의 독백으로 시작하여, 나치에 의해 연출된 장면, 수용소 사령관과 적십자 대표의 대화, 유대인 죄수에게 오페라 제작을 강요하는 장면 등으로 구성된다. 작품은 테레지엔슈타트 게토에서 벌어진 일들을 배경으로, 인간의 부조리함을 드러낸다. 이 연극은 '인디펜던트', '뉴욕 타임스' 등으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스페인, 영국,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공연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지만지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서울에서도 공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희곡 - 라 셀레스티나
    《라 셀레스티나》는 페르난도 데 로하스가 쓴 스페인 희비극으로,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넘어가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셀레스티나를 중심으로 젊은 귀족 칼리스토와 멜리베아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다룬다.
  • 스페인의 희곡 - 푸엔테오베후나
    푸엔테오베후나는 1476년 스페인 사건을 배경으로 로페 데 베가가 쓴 희곡으로, 권력 남용에 맞선 민중의 봉기를 다루며, 여성의 역할과 명예를 강조한다.
천국으로 가는 길
기본 정보
천국으로 가는 길 (연극) 포스터
천국으로 가는 길 (연극) 포스터
원제The Way to Heaven
국가미국
언어영어
장르연극
초연2005년 5월 19일
초연 장소뉴욕
창작 정보
작가후안 루이스 데 알라르콘
번역가탄 린드
작곡가마이클 로스
감독마이클 그레프
제작 정보
극장셰리 극장
제작자뉴 컬리어스 극단
한국어 공연
제목천국으로 가는 길
극단국립극단
공연 기간2010년 11월 5일 ~ 2010년 11월 21일
공연 장소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연출서충식
각색고연옥
출연강신구
김명국
김재건
안병경
유성진
이승훈
최명경
최지훈
하동기
황세원

2. 줄거리

2009년 뉴욕 공연에 대한 ''뉴욕 타임스''의 리뷰에 따르면, 이 연극은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극은 적십자 조사관의 독백으로 시작된다. 다음으로, 인형에게 수영을 가르치는 어린 소녀와 같이 나치에 의해 연출된 일련의 장면들이 펼쳐진다. 세 번째 장면에서 수용소 사령관은 적십자 방문객을 맞이한다(실제로 여러 위원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방문했다). 사령관은 적십자 대표에게 "세상은 통합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라고 말한다.[2]

사령관은 게르숌 고트프리트라는 유대인 죄수에게 적십자 방문객을 위한 오페라를 제작하도록 강요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고트프리트는 배우들에게 이 작품을 공연하기 위해 "그들의 말과 몸짓에 집중하라"고 촉구한다. 그는 그들이 관객들이 알고 있고 죄수들이 두려워하는, 테레지엔슈타트에서 죄수들을 죽음의 수용소로 데려가는 매일의 열차들을 무시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는 겁에 질린 젊은 연기자에게 "우리가 잘하면, 저 기차 중 하나에서 엄마를 다시 볼 수 있을 거야"라고 말한다.[2]

3. 작품 배경

'히멜베크(Himmelweg)'는 '천국으로 가는 길'을 뜻하는 독일어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대인들이 수용소에서 가스실로 이동한 길을 말한다.[1] 그 길은 곧 죽음으로 가는 길이자, 극단적인 두려움이나 공포를 경험해야 하는 길이었다.[1] 작가는 600만 명으로 추산되는 유대인 학살이라는 비극을 소재로, 희생자나 가해자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일어났을지도 모르는 일을 연극적으로 상상하며 인간의 부조리한 면을 드러낸다.[1]

프리모 레비는 "한 번 일어난 일은 다시 일어날 수 있으며 기억하지 않는 과거는 다시 반복될 수 있다"고 성찰했다.[1] 이 작품은 이러한 프리모 레비의 성찰에 대한 깊은 지지로, 역사적 비극을 유대인과 독일인만의 문제로 치부하거나 이미 끝난 일로 간과하지 않기를 바란다.[1]

4. 역사적 사실

Himmelweg|히멜베크de는 ‘천국으로 가는 길’을 뜻하는 독일어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대인들이 수용소에서 가스실로 이동한 길을 말한다. 이 단어는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 가스실로 들어가는 길을 나타내기 위해 schlauch|슐라우흐de(독일어로 호스 또는 튜브)와 번갈아 사용되었다.[9]

테레지엔슈타트 게토에는 프라하의 고아원에서 강제 이송된 유대인 아이들로 구성된 어린이 오페라단이 있었으며, 이들은 수감자가 작곡한 《브룬디바르》를 적십자 위원들에게 공연했다.[7]

독일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덴마크 정부의 압력에 의해서만 테레지엔슈타트에 적십자 위원회 입장을 허가했다. 덴마크 왕은 추방된 유대인 시민들이 살해당하고 있다는 보고에 대해 적십자가 조사할 것을 요구했다. 방문 직전, 나치는 과밀을 해소하기 위해 7,503명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로 이송하고, 테레지엔슈타트를 깨끗하게 정리하여 모델 공동체로 꾸몄다. 적십자 방문객들은 새로 심어진 꽃밭과 갓 페인트칠한 집들을 보았다.[1]

1944년까지 테레지엔슈타트 방문은 적십자가 알게 된 홀로코스트에 대한 축적된 정보의 일부에 불과했다. 역사학자들은 적십자의 테레지엔슈타트에 대한 15페이지 보고서가 나치 점령 유럽에서 대량 살인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지 않았다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한다.[8]

5. 반응 및 평가

《인디펜던트》는 "천국으로 가는 길"을 "매력적이고 교묘하게 구성된 연극"이라고 평가했다.[3]

nytheatre.com은 "천국으로 가는 길"이 나치 가해자, 적십자 위원, 유대인 피해자를 다루는 방식에 있어 "매우 지적이고 놀랍도록 공정하다"고 평가했다.[4]

뉴욕 타임스》는 이 작품을 "간결하고 우아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2]

6. 공연 역사

2003년 말라가의 테아트로 알라메다에서 초연되었으며, 2004년에는 마드리드의 테아트로 마리아 게레로에서 공연되었다.[3] 2005년에는 영어로 번역되어 런던의 로열 코트 극장에서 상연되었다.[3] 이후 더블린, 오슬로, 파리, 부에노스아이레스, 브뤼셀, 뉴욕, 로스앤젤레스, 멜버른 등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공연되었으며, 최근에는 위니펙, 매니토바, 캐나다, 아테네, 서울, 바르셀로나에서도 공연되었다.

2009년 뉴욕 공연 당시 ''뉴욕 타임스''는 이 연극이 "유럽과 남아메리카에서 히트작"이라고 언급했다.[2] 같은 해 버닝 콜 극단과 뉴욕시의 ''에퀼리쿠아 프로두치오네스''에 의해 미국에서 제작되었다. 2010–2011 시즌에는 ''에퀼리쿠아 프로두치오네스''와 레퍼토리 에스파뇰에 의해 오프브로드웨이에서 공동 제작되었으며, 2011년에는 델라웨어 대학교 REP에서 공연되었다. 모든 미국 제작은 매튜 언니스트가 연출했다.[5]

2017년에는 ''런던 스페인 연극 축제 (페스텔론)''의 일환으로 런던 무대에 올려졌다.[6]

참조

[1] 백과사전 THERESIENSTADT: "RED CROSS VISIT" http://www.ushmm.org[...] US Holocaust Memorial Museum
[2] 뉴스 Nazi Camp Persists in Charade of Decency http://theater2.nyti[...] The New York Times 2009-05-20
[3] 뉴스 'Way To Heaven,' Royal Court Theatre Upstairs, Lond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5-06-22
[4] 웹사이트 Review: "Way to Heaven" http://www.nytheatre[...] 2009-05-10
[5] 웹사이트 Way to Heaven http://www.nytheatre[...] 2009-05-10
[6] 웹사이트 Festival of Spanish Theatre in London (''Festelón'') https://www.britishs[...]
[7] 논문 "The Brundibár Project: Memorializing Theresienstadt Children's Opera" http://muse.jhu.edu/[...] 2000
[8] 서적 The Red Cross and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9] 서적 Brecht and Company: Sex, Politics,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Drama Grove Pres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