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병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병희는 1939년 출생하여 2022년 사망한 고전 번역가이다.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독문학과 고전 문학을 수학했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동백림 사건으로 인해 10년간 자격 정지를 당한 기간 동안 번역 활동에 몰두했으며, 단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명예교수로 은퇴했다. 플라톤, 호메로스, 헤시오도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고대 그리스 및 로마 문학 작품과 알베르트 슈바이처의 자서전을 번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 천씨 - 천성관
천성관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사 시절 주요 사건 수사를 지휘하고 검찰 주요 보직을 역임했으나, 검찰총장 후보자 시절 각종 비리 의혹으로 도덕성 논란을 겪으며 사퇴하였다. - 영양 천씨 - 천경자
천경자는 전라남도 고흥 출신의 대한민국 화가이자 수필가로, 독자적인 화풍을 개척하여 '길례언니',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 등 다수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미인도' 위작 사건 이후 절필 후 미국으로 떠났다가 서울시립미술관에 작품을 기증했다. - 대한민국의 번역가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대한민국의 번역가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대학 강사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대학 강사 - 정희진
정희진은 여성학, 평화학 연구자이자 작가로서, 여성학 학위를 취득 후 한국여성의전화 활동, 강연, 저술 활동을 하며 녹색당 당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천병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천병희 |
원어 이름 | 千丙熙 |
출생일 | 1939년 5월 1일 |
출생지 |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
사망일 | 2022년 12월 22일 |
사망지 | 대한민국 |
직업 | 번역가 |
배우자 | 허화자 |
자녀 | 2남 3녀 |
학력 | |
학력 | 부산고등학교 서울대학교(독어독문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독어독문학 / 석사, 박사)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독문학, 고전 문학 / 수학) |
2. 생애
천병희는 부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독문학과 고전 문학을 수학했다. 1966년 귀국 후 동백림 사건으로 10년간 자격 정지를 당해 번역에 몰두했다. 1981년 단국대학교 교수로 취임, 1982년 《국가》와 《일리아스》를 번역 출판했다. 1985년 박사 학위를 받고, 2004년 단국대학교 명예교수가 되었다. 2022년 12월 22일 사망했다.[6]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천병희는 1939년 5월 1일 (음력 3월 12일)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에서 태어났다.[2] 중학교를 졸업하고 부산고등학교에 입학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독일어를 처음 배웠는데, 선생님의 인품을 존경하여 2학년 겨울방학 때 하루에 단어 100개씩 한 달 동안 독일어 단어 3,000개를 외우기도 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56년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 입학했다. 2학년 때 장익봉 교수로부터 플라톤의 《향연》 수업을 들으며, 고대 그리스 작품의 번역을 처음 꿈꿨다.[3]1961년에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독문학과 고전 문학을 수학했으며, 그리스어와 라틴어도 공부했다. 5년 유학 기간 동안 북바덴 주가 주관하는 그리스어 검정시험(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도 통과하였다.[3] 1964년에는 횔덜린에 대한 연구로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4]
2. 2. 동백림 사건과 번역 활동
1966년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뒤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에서 3개월 동안 전임강사로 근무하던 중 동백림사건이 발발했다.[3] 천병희는 동백림 사건이 없었다면 원전 번역에 이처럼 기여하지 못했을 것이라 회고했다. 동백림사건의 여파로 10년 동안 자격 정지를 받아 이 기간에 번역 활동에 몰두했기 때문이다. 1981년에 단국대학교 인문학부 교수로 취임하였다. 1972년에 시작한 플라톤 《국가》 원전 번역은 1982년에 출판되었다. 같은 해 《일리아스》도 출판되었는데, 국내 첫 원전 번역이었다.[3]2. 3. 교수 생활과 학문적 업적
1966년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뒤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에서 3개월 동안 전임강사로 근무하던 중 동백림 사건이 발발했다. 천병희는 동백림 사건이 없었다면 원전 번역에 이처럼 기여하지 못했을 것이라 회고했다. 동백림 사건의 여파로 10년 동안 자격정지를 받아 이 기간에 번역 활동에 몰두했기 때문이다.[3] 1981년에 단국대학교 인문학부 교수로 취임하였다. 1972년에 시작한 플라톤의 《국가》 원전 번역은 1982년에 출판되었다. 같은 해 《일리아스》도 출판되었는데, 국내 첫 원전 번역이었다.[3]1985년에는 횔덜린의 핀다르 수용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5] 2004년에 단국대학교에서 은퇴하여 명예교수가 되었다.[6]
3. 역서
천병희는 그리스어와 라틴어 원전을 전문적으로 번역하는 번역가이다. 그의 번역 작업은 고대 서양 문학과 철학을 한국 독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3. 1. 그리스어 원전 번역
저자 | 작품명 |
---|---|
플라톤 | 전집 |
호메로스 | 《일리아스》, 《오뒷세이아》 |
헤시오도스 | 《신들의 계보》(신통기) |
아폴로도로스 |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 |
헤로도토스 | 《역사》, 《정체》 |
아리스토텔레스 | 《시학》, 《정치학》 |
롱기누스 | 《숭고에 관하여》 |
아이스퀼로스 | 전집 |
소포클레스 | 전집 |
에우리피데스 | 전집 |
아리스토파네스 | 전집 |
크세노폰 | 《아나바시스》 |
아이소포스 | 《이솝 우화》 |
메난드로스 | 전집 |
3. 2. 라틴어 원전 번역
- 플루타르코스 - 《수다에 관하여》, 《플루타르코스 영웅전》(발췌본)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명상록》
- 키케로 - 《노년에 관하여 우정에 관하여》
- 세네카 - 《인생은 왜 짧은가》
- 호라티우스 - 《시학》
- 오비디우스 - 《변신이야기》, 《로마의 축제일》
- 키케로 희곡
3. 3. 독일어 원전 번역
알베르트 슈바이처의 자서전 《나의 생애와 사상》참조
[1]
웹인용
[월요 문화인]천병희 단국대 명예교수
https://m.khan.co.kr[...]
2022-12-22
[2]
서적
고성의 겉살과 속살을 찾아서
고성문화원
2013
[3]
웹인용
“끝까지 읽도록 쉽게 번역하는데 공을 많이 들였죠”
https://www.hani.co.[...]
한겨레
2022-12-22
[4]
논문
Holderlin und Grichentum
서울대학교 대학원
1964
[5]
논문
휠덜린의 핀다르 受容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5
[6]
웹인용
고전번역가 천병희 단국대 명예교수 별세…플라톤 전집 등 완역
https://www.yna.co.k[...]
2022-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