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주교 춘천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주교 춘천교구는 1939년 4월 25일 경성대목구에서 분리되어 설정되었으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릉시, 속초시, 동해시 북부, 철원군, 화천군, 홍천군, 양양군, 고성군, 인제군, 양구군, 평창군 북부와 경기도 가평군, 포천시를 관할한다. 1962년 정식 교구로 설정되었으며, 초대 지목구장 오윈 맥폴린 신부, 2대 지목구장 퀸란 신부, 3대 교구장 구 토마스 주교, 4대 교구장 박 토마스 주교, 5대 교구장 장익 주교, 6대 교구장 김운회 주교, 7대 교구장 김주영 주교가 교구를 이끌었다. 현재 춘천, 남춘천, 중부, 서부, 영동, 영북 등 6개 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갈바리의원, 모현센터의원, 노체리안드리자애병원 등의 의료 기관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설립된 종교 단체 - 호아하오교
    호아하오교는 1939년 후인 푸 소가 창시한 베트남의 민간 신앙으로, 불교, 조상 숭배, 샤머니즘, 유교 교리를 융합하여 메콩 델타 지역 농민들에게 큰 호소력을 지녔으며, 베트남에서 네 번째로 큰 종교이다.
  • 1939년 설립된 종교 단체 -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는 사이타마현, 도치기현, 군마현, 이바라키현을 관할하는 교구로, 1939년 요코하마 교구에서 분리된 우라와 지목구로 설립, 1957년 우라와 교구로 승격, 2003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일본사도좌대리구의 역사와 연관되어 마리오 미치아키 야마노우치 주교가 교구장을 맡고 있다.
  • 천주교 춘천교구 - 강릉 임당동성당
    본문 내용이 제공되지 않아 강릉 임당동성당에 대한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천주교 춘천교구 - 포천성당
    포천성당은 [정의 또는 핵심 설명]이며, [추가적인 주요 정보 또는 특징]이다.
  • 춘천시 - 춘천문화방송
    1968년 개국한 춘천문화방송은 강원도 지역 방송사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강원 영서 중·북부와 경기 북동부 일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고, 국제 교류 및 지역 뉴스, 프로그램 제작, AM 라디오 송출 종료 후 FM 방송으로 전환 등의 활동을 한다.
  • 춘천시 - KBS춘천방송총국
    KBS춘천방송총국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권역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총국으로, 1944년 춘천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오랜 역사를 거쳐 1986년 총국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TV, 2TV, 라디오, DMB 방송 등을 통해 지역 소식을 전달하고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천주교 춘천교구
지도
춘천교구 관할 구역
춘천교구의 관할 구역
기본 정보
관할대한민국(일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할 구역강원특별자치도 북부
관구서울
면적12,016 ㎢
인구1,139,033 명 (2017년)
가톨릭 신자89,446 명 (2017년)
가톨릭 신자 비율7.9% (2017년)
본당 수61개
주보 성인예수 성심
설립1939년 4월 25일 (지목구 설정)
소속로마 가톨릭교회
교회법라틴 교회
전례로마 전례
주교좌 성당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구성
교구장김주영 (시몬) 주교
명예 주교김운회 (루카)
사제 수123명
기타 정보
웹사이트천주교 춘천교구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1939년 4월 25일, 경성대목구에서 춘천지목구가 분리 설정되면서 춘천교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광주지목구 감목대리였던 오윈 맥폴린 신부가 초대 지목구장을 겸임하였다.[1] 1940년 12월 8일 퀸란 신부(구인란 토마스 몬시뇰)가 2대 지목구장으로 임명되었고,[1] 1942년에는 서울대목구장 노기남(바오로) 주교가 춘천지목구장 서리를 겸직하게 되었다.[1]

1955년 9월 20일 춘천지목구는 춘천대목구로 승격되었고,[1] 1962년 3월 10일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정식 교구로 설정되었다.[1] 1965년 2월 22일에는 원주교구가 춘천교구에서 분리·설정되었다.[5]

1969년 5월 1일 교구 관할 구역 조정으로 풍수원 본당, 횡성 본당, 평창 본당이 원주교구 소속이 되고, 포천군과 가평군이 춘천교구 관할이 되었다.[1]

1994년 11월 20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장익(십자가 요한) 신부를 춘천교구장으로 임명하였고,[1] 2010년 1월 28일 교황 베네딕토 16세김운회 (루카)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를 춘천교구장으로 임명하였다.[1]

2. 1. 교구 설정 이전

1939년 4월 25일 포교성성에서 경성대목구로부터 춘천지목구를 분리 설정하면서, 광주지목구 감목대리였던 오윈 맥폴린 신부가 초대지목구장을 겸임하였다.[1]

1940년 12월 8일에는 퀸란 신부(구인란 토마스 몬시뇰)가 2대 지목구장으로 임명되었다.[1]

1942년 사도좌는 서울대목구장 노기남(바오로) 주교를 춘천지목구장 서리로 겸직 임명하였다.[1]

1948년 6월 묵호 본당이, 9월에는 홍천군의 물굽이 본당(현 양덕원)이 설립되었다.[1]

1949년에는 1월 춘천시 소양로 본당, 8월 15일 속초 본당(현 동명동 본당), 10월 7일 가평군 청평 본당이 차례로 설립되었다.[1]

1954년 6월 26일에는 인제 본당이 설립되었다.[1]

2. 2. 교구 설정 이후

1939년 4월 25일 포교성성에서 경성대목구로부터 춘천지목구를 분리 설정하면서, 광주지목구 감목대리 오윈 맥폴린 신부가 초대 지목구장을 겸임하였다.[1] 1940년 12월 8일에는 퀸란 신부(구인란 토마스 몬시뇰)가 2대 지목구장으로 임명되었다.[1] 1942년 사도좌는 서울대목구장 노기남(바오로) 주교를 춘천지목구장 서리로 겸직 임명하였다.[1]

1948년 6월 묵호 본당이, 9월에는 홍천군의 물굽이 본당(현 양덕원)이 설립되었다.[1] 1949년에는 1월 춘천시 소양로 본당, 8월 15일 속초 본당(현 동명동 본당), 10월 7일 가평군 청평 본당이 차례로 설립되었다.[1] 1954년 6월 26일에는 인제 본당이 설립되었다.[1]

1955년 9월 20일 춘천지목구는 춘천대목구로 승격되었고,[1] 11월 23일 명동 성당에서 구토마 신부의 주교 서품식이 거행되었다.[1] 1956년 철원 본당,[1] 1958년 8월 14일 고성군 간성 본당, 9월 1일 가평 본당,[1] 1959년 9월 1일 철원군 김화 본당이 설립되었다.[1]

1962년 3월 10일 교황 요한 23세는 한국 교계제도를 설정하여 춘천교구를 비롯한 각 교구를 정식 교구로 설정하였다.[1] 7월 26일 퀸란 주교는 죽림동 주교좌 성당에서 춘천 교구장 착좌식을 가졌다.[1] 1965년 2월 22일 춘천교구에서 원주교구가 분리·설정되었고,[5] 3월 15일 화천 본당,[1] 9월 26일 춘천시 운교동 본당이 설립되었다.[1]

1966년 5월 11일 스튜어트 신부(박 토마스)가 두 번째 주교 서품 및 5대 교구장 착좌식을 가졌고,[1] 12월 29일 양구 본당이 설립되었다.[1] 1967년 1월 1일 속초시 교동 본당이 설립되었고,[1] 9월 3일 주문진 본당은 프란치스코회에서 맡아 수도회 사목을 시작하였다.[1] 1968년 5월 28일 홍천군 서석 본당,[1] 9월 29일 평창군 진부 본당이 설립되었다.[1]

1969년 5월 1일 교구 관할 구역 조정으로 풍수원 본당, 횡성 본당, 평창 본당이 원주교구 소속이 되고, 포천군과 가평군이 춘천교구 관할 구역이 되면서 포천 본당, 청평 본당, 가평 본당이 춘천교구에 소속되었다.[1] 11월 20일 춘천시 효자동 본당이 설립되었다.[1] 1970년 11월 25일 포천군 운천 본당,[1] 1971년 11월 17일 포천군 일동 본당,[1] 1974년 11월 1일 강릉시 옥천동 본당,[1] 1976년 8월 20일 홍천군 성산 본당,[1] 9월 1일 고성군 거진 본당이 설립되었다.[1]

1980년 7월 3일 춘천시 후평동 본당,[1] 1984년 4월 9일 속초시 설악동 본당,[1] 1987년 10월 20일 강릉시 노암동 본당,[1] 1988년 8월 17일 가평군 현리 본당,[1] 1990년 11월 인제군 신남 본당,[1] 1991년 8월 15일 포천군 송우리 본당,[1] 8월 16일 철원군 갈말 본당,[1] 11월 1일 속초시 청호동 본당,[1] 1994년 5월 29일 강릉시 옥계 본당,[1] 6월 1일 인제군 기린 본당과 원통 본당이 설립되었다.[1]

1994년 11월 20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장익(십자가 요한) 신부를 춘천교구장으로 임명하였고,[1] 12월 14일 죽림동 주교좌 성당에서 장익 주교 서품 및 6대 교구장 착좌식이 거행되었다.[1] 1996년 1월 4일 강릉시 초당 본당,[1] 8월 16일 평창군 횡계 본당,[1] 1997년 9월 1일 춘천시 강촌 본당,[1] 1998년 2월 15일 홍천군 내면 본당,[1] 9월 1일 춘천시 애막골 본당과 퇴계 본당,[1] 1999년 9월 1일 춘천시 우두 본당과 홍천군 연봉 본당이 설립되었다.[1] 2004년 3월 1일 강릉시 솔올 본당이 설립되었다.[1]

2010년 1월 28일 교황 베네딕토 16세김운회 (루카)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를 춘천교구장으로 임명하였고,[1] 3월 25일 제7대 춘천교구장 김운회 주교 착좌식이 거행되었다.[1] 2010년 8월 20일 춘천, 오음리, 양구 간 배후령 터널이 개통됨에 따라 양구본당이 춘천으로 이전하였다.[1]

2. 3. 본당 설립

1948년 6월 묵호 본당, 9월 홍천군 물굽이 본당(현 양덕원)이 설립되었다.[5] 1949년 1월 춘천시 소양로 본당, 8월 15일 속초 본당(현 동명동 본당), 10월 7일 가평군 청평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54년 6월 26일 인제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56년 철원 본당, 1958년 8월 14일 고성군 간성 본당, 9월 1일 가평 본당, 1959년 9월 1일 철원군 김화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65년 3월 15일 화천 본당, 9월 26일 춘천시 운교동 본당, 1966년 12월 29일 양구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67년 1월 1일 속초시 교동 본당이 설립되었고, 9월 3일 주문진 본당은 프란치스코회에서 맡아 수도회 사목을 시작했다.[5] 1968년 5월 28일 홍천군 서석 본당, 9월 29일 평창군 진부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69년 교구 관할 구역 조정으로 풍수원 본당, 횡성 본당, 평창 본당이 원주교구로 소속되고, 포천군, 가평군이 춘천교구 관할이 되면서 포천 본당, 청평 본당, 가평 본당이 춘천교구에 소속되었다.[5] 11월 20일 춘천시 효자동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70년 11월 25일 포천군 운천 본당, 1971년 11월 17일 포천군 일동 본당, 1974년 11월 1일 강릉시 옥천동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76년 8월 20일 홍천군 성산 본당, 9월 1일 고성군 거진 본당, 1980년 7월 3일 춘천시 후평동 본당, 1984년 4월 9일 속초시 설악동 본당, 1987년 10월 20일 강릉시 노암동 본당, 1988년 8월 17일 가평군 현리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90년 11월 인제군 신남 본당, 1991년 8월 15일 포천군 송우리 본당, 8월 16일 철원군 갈말 본당, 11월 1일 속초시 청호동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94년 5월 29일 강릉시 옥계 본당, 6월 1일 인제군 기린 본당, 원통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96년 1월 4일 강릉시 초당 본당, 8월 16일 평창군 횡계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97년 9월 1일 춘천시 강촌 본당, 1998년 2월 15일 홍천군 내면 본당, 9월 1일 춘천시 애막골 본당, 퇴계 본당이 설립되었다.[5] 1999년 9월 1일 춘천시 우두 본당, 홍천군 연봉 본당, 2004년 3월 1일 강릉시 솔올 본당이 설립되었다.[5] 2010년 8월 20일 춘천, 오음리, 양구 간 배후령 터널 개통으로 양구본당이 춘천으로 이전하였다.[5]

3. 관할 구역 및 현황

천주교 춘천교구는 강원특별자치도경기도 일부, 그리고 휴전선 이북 지역까지 광범위한 지역을 관할한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릉시, 속초시, 동해시 북부(구 명주군 묵호읍 지역), 철원군, 화천군, 홍천군, 양양군, 고성군, 인제군, 양구군, 평창군 북부(봉평면, 용평면, 대관령면, 진부면)와 경기도 가평군, 포천시를 포함한다. 또한, 휴전선 이북의 강원도 북한지역 대부분(이천군, 판교군, 세포군, 평강군, 김화군, 창도군, 통천군, 고성군, 철원군, 회양군, 금강군)도 관할하는데, 원래 강원도가 아닌 북강원도는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관할이다.

춘천교구는 여러 지구로 나뉘어 각 지역의 본당들을 관리한다. 각 지구별 관할 지역 및 본당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관할 구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릉시, 속초시, 동해시 북부(구 명주군 묵호읍 지역), 철원군, 화천군, 홍천군, 양양군, 고성군, 인제군, 양구군, 평창군 북부(봉평면, 용평면, 대관령면, 진부면)와 휴전선 이북의 강원도 북한지역 대부분(이천군, 판교군, 세포군, 평강군, 김화군, 창도군, 통천군, 고성군, 철원군, 회양군, 금강군)을 관할한다. 단, 원래 강원도가 아닌 북강원도는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관할이다. 경기도 가평군, 포천시도 관할 구역이다.

3. 2. 관할 지구 및 본당

지구관할 지역본당
춘천지구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북부, 화천군, 양구군해안, 양구, 화천, 샘밭, 우두, 만천, 후평동, 효자동, 운교동, 소양로, 죽림동(주교좌)
남춘천지구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부, 경기도 가평군미원, 현리, 청평, 가평, 강촌, 거두리, 스무숲, 퇴계, 애막골
중부지구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홍천군내면, 원통, 기린, 신남, 인제, 성산, 서석, 양덕원, 연봉, 홍천
서부지구경기도 포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내촌, 갈말, 김화, 철원, 가산, 솔모루, 일동, 이동, 운천, 포천
영동지구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평창군 북부, 동해시 북부봉평, 입암, 솔올, 대관령, 진부, 묵호, 옥계, 주문진, 초당, 노암동, 옥천동, 임당동
영북지구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고성군, 양양군물치, 대진, 양양, 거진, 간성, 청호동, 설악동, 동명동, 교동
준본당꽃동네(남춘천지구 관할)


4. 역대 교구장

대수이름직책재임 기간
1오언 맥폴린 신부(골)초대 지목구장1939년 ~ 1940년 12월
2구 토마스 신부(골)2대 지목구장1940년 ~ 1941년 12월
3노기남 주교지목구장 서리1942년 1월 ~ 1945년 8월
4구 토마스 주교(골)3대 지목구장, 초대 대목구장, 초대 교구장1945년 ~ 1966년 2월
5박 토마스 주교(골)2대 교구장1966년 2월 ~ 1994년 5월
6장익(십자가의 요한) 주교3대 교구장1994년 11월 11일 ~ 2010년 1월 28일
7김운회 주교4대 교구장2010년 1월 28일 ~ 2020년 11월 21일
8김주영 주교5대 교구장2020년 11월 21일 ~ 현재


5. 의료 기관

기관명소재지운영 주체
갈바리의원강릉시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모현센터의원포천시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노체리안드리자애병원가평군가평 꽃동네


참조

[1] 웹사이트 Diocese of Ch'unch'on http://www.catholic-[...] 2008-05-17
[2] 웹사이트 Diocese of Chuncheon http://www.gcatholic[...] Giga Catholic 2014-02-12
[3] 뉴스 두 주교가 아낀 춘천의 젊은 사제, 80년 교구 염원 이뤘다 http://www.kado.net/[...] The Kangwon Domin Ilbo 2020-11-27
[4] 뉴스 신임 춘천교구장에 김주영 신부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20-11-27
[5] 문서 1963년에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바뀐 울진군을 대구대교구로 이관시키려다 결국 원주교구로 이관시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