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체관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체 관측은 고대부터 인류가 농경, 항해, 시간 측정 등에 활용해온 행위로, 망원경 발명 이후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관측은 실시, 사진, 광전, 분광 관측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천문학 연구, 신천체 발견 및 등록, 시간 측정, 농경, 지리, 항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현대에는 취미 활동, 환경 문제 인식, 교육 등 사회적 활용 가치도 높아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측천문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관측천문학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천체관측
개요
천체 관측 애니메이션
천체 관측 애니메이션
설명천체를 관측하는 행위
관측 방법
육안 관측특별한 장비 없이 **육안**으로 천체를 관측하는 방법
**천문학**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
**맨눈 천문학**이라고도 불림
망원경 관측**망원경**을 사용하여 천체를 관측하는 방법
더 자세하고 다양한 천체 관측 가능
전파 관측**전파 망원경**을 사용하여 천체에서 나오는 **전파**를 관측하는 방법
**가시광선**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천체 관측 가능
역사
기원**고대 문명** 시대부터 시작
농경 생활에 필요한 **별자리** 관측이 주 목적
발전**망원경** 발명 이후 천체 관측 기술 급격히 발전
**근대 천문학** 발전에 기여
관측 대상
태양계**태양**
**행성**
**위성**
**혜성**
**소행성**
항성**별**의 밝기, 색깔, 위치 변화 등을 관측
**변광성**, **신성**, **초신성** 등
은하**우리 은하**
**외부 은하**
**퀘이사** 등
기타
관련 분야**천문학**
**천체물리학**
**우주론**

2. 역사

고대부터 인류는 천체를 관측하며 시간과 계절을 파악하고, 농경 생활에 필요한 달력을 만들었다. 이집트 문명의 피라미드, 잉카의 천문대 유적, 유럽의 스톤헨지 등은 춘분추분태양의 위치를 관찰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별은 항해 시 방향을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북극성, 북두칠성 등이 대표적이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는 천체 관측을 통해 곡물 작황을 예측하여 큰 이익을 얻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고대부터 별자리와 행성의 운행을 관찰하여 운세를 점치는 점성술도 발달하였다.

천체 관측 지식이 축적되면서 천문학이 발전하였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학자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크기를 측정하기도 했다. 네덜란드의 한스 리페르헤이가 망원경을 발명하였고, 이탈리아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이를 응용하여 망원경으로 하늘을 관측하였다. 이는 천체 관측 역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한나라 시대의 태양 흑점 기록이, 일본에서는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의 『명월기』에 초신성 SN1054 (황소자리 게 성운)의 기록이 남아있다.

2. 1. 고대

고대 이집트 문명과 잉카 문명에서도 천체 관측이 있었으며, 천체의 운행으로 시간을 측정하여 계절 등 농경이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달력을 만들었다. 피라미드 구조와 잉카의 천문대 유적, 그리고 유럽의 스톤헨지 등의 거석 유물 중에는 춘분추분태양의 위치를 관찰했음을 시사하는 배열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그 뒤로 배가 발달함에 따라 별은 어두운 밤 속에서 방향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였다. 북극성, 북두칠성, 남십자성 등은 남북 방향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천체이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는 천체를 주의 깊게 관측하여 다음 시기 곡물의 작황을 예상해 큰 이익을 얻었다는 일화가 전해 내려온다. 또한, 고대로부터 별자리나 행성의 운행, 하늘의 상태를 관찰하여 운세를 점치는 점성술이 발달하였다.

천체 관측 지식이 축적되어 천문학이 발전하였다.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학자였던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크기를 측정하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왕조 시대의 태양 흑점 기록이 남아 있다. 일본에서도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의 『명월기』에 초신성 SN1054(황소자리 게 성운)의 기록이 남아 있다.

2. 2. 중세 및 근대

고대 이집트 문명과 잉카 문명에서도 천체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천체의 운행을 통해 시간을 측정하여 농경 등에 필요한 달력을 만들었다. 피라미드 구조와 잉카의 천문대 유적, 그리고 유럽의 스톤헨지 등의 거석유물 중에는 춘분추분태양의 위치를 관찰했음을 시사하는 배열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이후 배가 발달함에 따라 별은 어두운 밤에 방향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였다. 북극성, 북두칠성북쪽 방향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천체이다.

고대 그리스철학자 탈레스는 천체 관측에 깊은 조예가 있었다. 천체를 보며 밤길을 걷다 넘어져 사람들에게 비웃음을 샀지만, 다음 곡물 작황을 예측하여 큰 이익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예로부터 태어난 때의 별자리 상태 등 천체를 통해 운세를 점치는 점성술도 발달했다.

천체 관측 지식의 축적은 천문학 발전으로 이어졌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학자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크기를 측정하기도 했다. 기록에 따르면, 이집트 테베알렉산드리아 사이 태양 그림자 투영 각도의 차이를 여행자에게서 듣고, 테베와 알렉산드리아 사이 거리를 측정하여 지구의 크기를 구하려 했다. 이는 지구 크기를 측정하려는 최초의 시도로 여겨진다.

네덜란드의 한스 리페르헤이가 망원경을 발명하였고, 이탈리아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이를 응용하여 망원경으로 하늘을 관측하였다. 이는 육안 관측에서 천체 망원경에 의한 관측으로 획기적인 진화를 이룬 시작으로 여겨진다.

일본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의 『명월기』에는 초신성 SN1054(황소자리 게 성운)의 기록이 있다. 당시 초신성은 객성으로 기록되었다. 혜성 등도 비슷한 기록으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

중국 한나라 시대의 태양 흑점 기록이 남아있다. 이처럼 천체 관측은 세계 각지에서 이루어져 온 과학 연구이다.

2. 3. 한국의 천체 관측

한국 최초의 천체 관측 기록은 《삼국사기》 〈신라본기〉 박혁거세 9년(기원전 49년) 봄 3월의 혜성 관측 기록이다.[2] 고려 시대의 천체 관측 기록은 독자적이고 정확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조선 시대의 천체 관측 기록은 《증보문헌비고》 〈상위고(象緯考)〉에 종합적으로 나타나 있다. 일식 관측 기사는 태조 때 2회, 정종 때 1회, 태종 때 3회, 세종 때 11회, …, 고종 때 19회 등 모두 190회에 달한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일월식 기사에 따르면, 당시 관측 규정은 《서운관지(書雲觀志)》의 일월식 관측 규정대로 식(蝕)의 시각(時刻)과 시간, 방향, 정도 등을 관측하고 그림으로 나타냈다. 조선 전후기를 통틀어 혜성 관측 기록은 객성(客星) 24회, 혜패(彗孛) 79회로 모두 103회에 달한다. 이 밖에도 수백 회에 달하는 태양흑점(黑點), 유성(流星), 성운(星隕) 및 성운우(星隕雨) 등의 관측 기록이 남아 있다.

3. 종류

천체를 관측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망원경을 사용한다. 망원경의 종류, 사용법, 부속 장치 등은 관측 목적에 따라 다양하다.[1]

천문학의 연구 분야는 전파 천문학, 적외선 천문학, 자외선 천문학, X선 천문학, 감마선 천문학, 중성미자 천문학 등으로 나뉜다.

3. 1. 관측 방식

천체를 관측하는 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예외없이 망원경을 사용하는데, 그 목적에 따라 망원경 자체의 형식, 사용법, 수단, 부속 장치 등에 꽤 많은 종류가 있다.[1]

실시 관측은 가장 간단한 관측법으로, 접안경으로 천체를 보는 것이다. 태양, , 행성 등의 표면 현상이나 혜성의 수색, 엄폐, 식, 인공위성, 변광성을 관측하는 데 쓰인다. 접안부에 특별한 장치를 붙이는 일도 많고, 시각, 위도 관측을 위한 자오의, 애스트럴레이브, 천정의, 천체의 좌표 결정을 위한 자오환 등에서 각각 독특한 정밀 측미경이 사용되며, 중성 기타의 관측을 위한 적도의에도 측미경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1]

사진 관측은 대물경의 초점면에 사진 건판을 장치하는 것으로, 매우 다양한 천문 관측에 사용된다. 슈미트 카메라와 같이 초점면이 극단적인 곡면을 이루는 곳에서는 필름을 사용하여 압력을 주어서 그 곡면에 밀착시킬 필요가 있다.[1]

광전 관측은 사진 건판 대신에 광전 증배관을 장치하는 관측으로, 광량을 전기량으로 변환하여 정밀하게 나타낼 수가 있으므로, 주로 천체의 광도 측정, 예를 들면 변광성·야천광·황도광 관측 등에 사용된다. 2종 필터나 3종 필터를 통하여 사진을 찍거나 광전측광을 함으로써 천체의 색깔을 관측하기도 한다. 또한 근년에는 전기적으로 별의 빛을 증광하는 특수 전자관의 연구가 왕성하다.[1]

천체 분광 관측은 대물경 초점부에 분광 장치를 붙이는 것으로, 천체의 넓은 범위에 걸친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한 중요한 관측이다. 프리즘이나 격자를 대물경 전면에 가득 채우면서 장치하는 방식의 분광 관측도 있다. 태양을 관측할 때에는 빛이 충분히 강렬하므로, 프리즘보다도 분해능이 높은 광학 격자가 사용되는데, 이것으로 분해한 빛의 극소 부분에 의하여 태양면의 여러 현상을 관측한다든지 특수 필터를 통한 단색광으로 태양의 전면 또는 코로나 등의 특수 부분을 관측할 수도 있다. 천체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는 빛에 비해서 공간에서의 흡수, 산란을 받는 일이 적으며, 또 그 방사 기구가 다르다는 등의 이유에서, 은하계나 우주의 구조, 항성의 진화 등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거대한 전파 망원경이 여러 곳에 건설되었다.[1]

3. 2. 연구 분야

천체를 관측하는 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예외없이 망원경을 사용하는데, 그 목적에 따라 망원경 자체의 형식, 사용법, 수단, 부속 장치 등에 꽤 많은 종류가 있다.[1]

  • 실시 관측: 가장 간단한 관측법으로, 접안경으로 천체를 보는 것이다. 태양, , 행성 등의 표면 현상이나 혜성 수색, 엄폐(掩蔽), 식(蝕), 인공위성, 변광성 관측에 쓰인다. 접안부에 특별한 장치를 붙이는 일도 많고, 시각, 위도 관측을 위한 자오의(子午儀)·애스트럴레이브·천정의(天頂儀), 천체의 좌표 결정을 위한 자오환(子午環) 등에서 각각 독특한 정밀 측미경(測微鏡)이 사용되며, 중성(重星) 기타의 관측을 위한 적도의(赤道儀)에도 측미경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 사진 관측: 대물경(對物鏡)의 초점면에 사진 건판을 장치하는 것으로, 매우 다양한 천문 관측에 사용된다. 슈미트 카메라와 같이 초점면이 극단적인 곡면을 이루는 곳에서는 필름을 사용하여 압력을 주어 그 곡면에 밀착시킬 필요가 있다.

  • 광전 관측: 사진 건판 대신에 광전 증배관(光電增倍管)을 장치하는 관측으로, 광량(光量)을 전기량으로 변환하여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로 천체의 광도 측정, 예를 들면 변광성·야천광(夜天光)·황도광 관측 등에 사용된다. 2종 필터나 3종 필터를 통하여 사진을 찍거나 광전측광(光電測光)을 함으로써 천체의 색깔을 관측하기도 한다. 또한 근년에는 전기적으로 별의 빛을 증광(增光)하는 특수 전자관의 연구가 왕성하다.

  • 천체 분광(分光) 관측: 대물경(對物鏡) 초점부에 분광 장치를 붙이는 것으로, 천체의 넓은 범위에 걸친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한 중요한 관측이다. 프리즘이나 격자(格子)를 대물경 전면에 가득 채우면서 장치하는 방식의 분광 관측도 있다. 태양을 관측할 때에는 빛이 충분히 강렬하므로, 프리즘보다도 분해능(分解能)이 높은 광학 격자(光學格子)가 사용되는데, 이것으로 분해한 빛의 극소 부분에 의하여 태양면의 여러 현상을 관측한다든지 특수 필터를 통한 단색광으로 태양의 전면 또는 코로나 등의 특수 부분을 관측할 수도 있다. 천체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는 빛에 비해서 공간에서의 흡수, 산란을 받는 일이 적으며, 또 그 방사 기구(機構)가 다르다는 등의 이유에서, 은하계나 우주의 구조, 항성의 진화 등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거대한 전파망원경이 여러 곳에 건설되었다.


가시광선 외에도 천체 관측이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관측 연구 분야가 있다.

연구 분야
전파 천문학
전파 위치 천문학
적외선 천문학
자외선 천문학
X선 천문학
감마선 천문학
중성미자 천문학



주로, 대형 장비를 사용한다.

또한, FM 라디오를 사용한 유성군 관측이나 BS/BS 방송용 안테나 또는 초단파 통신용 안테나 등을 이용하여 태양 전파 관측 등을 하고 있는 관측자도 있다.

4. 현대 천문학

현대 천문학은 다양한 관측 장비와 기술을 통해 발전해왔다. 천체 관측에는 망원경이 주로 사용되며, 실시 관측, 사진 관측, 광전 관측, 천체 분광 관측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1] 가시광선 외에도 전파 천문학, 적외선 천문학, 자외선 천문학, X선 천문학, 감마선 천문학, 중성미자 천문학 등 다양한 파장 영역에서의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에서 새로운 천체를 발견하면 국립천문대나 나카노 슈이치에게 연락하여 검증 절차를 거친다. 소행성은 소행성 센터, 혜성은 국제 혜성 속보에 연락하며, 신천체로 등록되면 혜성은 발견자 이름을, 소행성은 발견자에게 명명 제안권이 주어진다.

4. 1. 관측 장비

천체를 관측할 때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망원경을 사용한다. 망원경은 그 목적에 따라 자체 형식, 사용법, 수단, 부속 장치 등에서 여러 종류가 있다.[1]

  • 실시 관측: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접안경을 통해 천체를 직접 보는 것이다. 태양, , 행성 등의 표면 현상, 혜성 수색, 엄폐, 식, 인공위성, 변광성 관측에 사용된다. 접안부에 특수 장치를 붙이기도 하며, 자오의, 애스트럴레이브, 천정의 등을 이용해 시각, 위도 관측을, 자오환을 이용해 천체 좌표 결정을 하기도 한다. 적도의에 측미경을 붙여 중성 등을 관측하기도 한다.

  • 사진 관측: 대물경의 초점면에 사진 건판을 설치하여 다양한 천문 관측에 활용한다. 슈미트 카메라처럼 초점면이 곡면인 경우 필름을 사용해 압력을 가하여 밀착시킨다.

  • 광전 관측: 사진 건판 대신 광전 증배관을 설치하여 광량을 전기량으로 변환,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식이다. 주로 변광성, 야천광, 황도광 등 천체의 광도 측정에 사용된다. 필터를 통해 사진을 찍거나 광전측광을 하여 천체의 색깔을 관측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별의 빛을 증광하는 특수 전자관 연구도 활발하다.

  • 천체 분광 관측: 대물경 초점부에 분광 장치를 부착하여 천체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는 중요한 관측 방법이다. 대물경 전면에 프리즘이나 격자를 설치하는 방식도 있다. 태양 관측에는 분해능이 높은 광학격자를 사용하여 태양면의 여러 현상을 관측하거나, 특수 필터를 통한 단색광으로 태양 전면이나 코로나를 관측할 수 있다.


천체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는 빛에 비해 공간에서의 흡수, 산란이 적고 방사 기구가 다르다는 점에서 은하계, 우주 구조, 항성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거대한 전파 망원경이 여러 곳에 건설되었다.

가시광선 외에도 다음과 같은 관측 연구 분야가 있다.

주로 대형 장비를 사용한다.

또한, FM 라디오를 사용한 유성군 관측이나 BS/BS 방송용 안테나 또는 초단파 통신용 안테나 등을 이용하여 태양 전파 관측 등을 하는 관측자도 있다.

4. 2. 신천체 발견 및 등록 절차

일본에서 새로운 천체를 발견했을 경우, 기본적으로 국립천문대 또는 나카노 슈이치의 사무실로 연락한다. 국립천문대에서는 다른 관측 기관이나 다른 관측자로부터 연락을 받아, 해당 천체의 종류를 확정하기 위한 상호 검증을 시작한다. 먼저, 천문 중앙 전보국으로 연락한다. 여기로부터 연락을 받아, 각국의 관측소에서는 발견자가 연락한 관측 지점에서 추정되는 천체를 관측하여 궤도 계산을 실시하고, 천체의 측광 관측을 통해 종류를 확정한다.

또한, 각 천문 연구회 등에 참가하고 있는 천체 관측가는 천문 연구회에서 궤도 계산 등을 실시하는 자를 통해 직접 스미소니언 천체물리 관측소(천문 중앙 전보국)로 연락해도 문제없다. 천문 중앙 전보국에서 각국의 중앙 천문대로 연락이 가기 때문이다.

소행성의 경우에는 소행성 센터로, 혜성의 경우에는 국제 혜성 속보로 연락한다. 그리고 행성(소행성, 혜성 포함) 등의 경우에는 궤도를 확정하기 위한 관측을 실시하고, 발견한 천체를 신천체로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한다.

신천체로 등록된 천체는 혜성의 경우 발견자의 이름이 붙는다. 소행성의 경우, 발견자에게 명명 제안권이 주어진다. 위성의 경우는 명명 규칙이 엄격하지만, 발견자의 희망이 고려되는 경우가 있다. 행성의 발견에 관한 규정은 아직 없다.

5. 응용

천체는 시간과 계절에 따라 일정하게 바뀌므로 이를 관측함으로써 생활에 응용하기도 하였다.


  • '''시간''': 가장 널리 쓰였던 것은 해시계이다. 태양의 운행을 관측하면 시간을 알 수 있다. 이를 응용하여 자오선상에 있는 천체를 관측하여 해당 위치의 지역 표준시를 알 수 있다.
  • '''농경''': 별자리의 운행을 관측하여 농작물의 파종 시기를 비롯하여 관리가 필요한 시기를 알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태양의 위치에 따른 24절기에 따라 농사의 시기를 정하였다.
  • '''지리''': 태양과 별자리의 위치와 방향을 관측하여 현재 위치의 방위를 알 수 있다. 사분의육분의 등이 이러한 용도로 쓰였다.
  • '''행성 탐사''': 행성 탐사선에서는 황도면의 북극과 남극에 위치한 천체를 기준 좌표로 하여 이들을 관측하는 센서를 탑재하며, 이로부터 우주 항해에 필요한 방향을 알아낸다.

6. 사회적 활용

천체 관측은 일반인의 취미 활동, 환경 문제 인식 개선, 사회 교육 및 천문학 지식 대중화 등 다양한 사회적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6. 1. 일반인의 천체 관측

천체 관측은 취미나 야외 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관측을 데이터나 기록 등으로 남기지 않는 천체 관측은 천체 관망, 천체 감상이라고도 불린다. 천문대박물관이 개최하는 "별 관찰회"나 캠프에서의 스타 워칭 등, 연구보다는 사회 교육이나 레크리에이션적인 측면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여름에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군이나 칠석, 스타 위크 등에 맞춰 "별 축제"라고 불리는 관망회가 각지에서 열리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 천체 관측을 하는 행사가 열린다. 또한, 뉴스나 기상 정보 등에서 다루어지는 큰 천체 현상의 경우에는, 각지의 천문 연구회 등이 주최하여 천체 관측회가 열리거나, 많은 사람들이 관측을 한다.

환경성에서는 전국 별하늘 지속 관찰 사업을 매년 여름과 겨울 두 차례 개최하고 있다. 이는 천체 관망으로부터 빛 공해나 대기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 외에도, 천문대를 시작으로 박물관, 플라네타륨에서의 해설, 텔레비전 프로그램 출연, 천문 잡지나 보급서에의 저작·감수를 통해, 보급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천체 현상을 촬영함으로써 이 분야에서 활약하는 사람도 많고, 그를 위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서적도 다수 출판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로는 이소베 슈조, 무라야마 사다오, 모리모토 마사키, 후지이 아키라, 하야시 칸지 등이 있다.

주로 각지의 신사나 경내에 보관되어 있는 운석의 소개나 작은 천체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2009년은 세계 천문의 해 2009로 각지의 공개 천문대나 플라네타륨에서 관련 이벤트가 개최되었다.

6. 2. 환경 문제 인식

천체 관측은 취미나 야외 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성에서는 전국 별하늘 지속 관찰 사업을 매년 여름과 겨울 두 차례 개최하고 있는데, 이는 천체 관망으로부터 빛 공해나 대기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1] 그 외에도 천문대를 시작으로 박물관, 플라네타륨에서의 해설, 텔레비전 프로그램 출연, 천문 잡지나 보급서에의 저작·감수를 통해 보급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1]

6. 3. 교육 및 대중화

천체 관측은 취미나 야외 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관측을 데이터나 기록 등으로 남기지 않는 천체 관측은 천체 관망, 천체 감상이라고도 불린다. 천문대박물관이 개최하는 "별 관찰회"나 캠프에서의 스타 워칭 등, 연구보다는 사회 교육이나 레크리에이션적인 측면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여름에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군이나 칠석, 스타 위크 등에 맞춰 "별 축제"라고 불리는 관망회가 각지에서 열리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 천체 관측을 하는 행사가 열린다. 또한, 뉴스나 기상 정보 등에서 다루어지는 큰 천체 현상의 경우에는, 각지의 천문 연구회 등이 주최하여 천체 관측회가 열리거나, 많은 사람들이 관측을 한다.

환경성에서는 전국 별하늘 지속 관찰 사업을 매년 여름과 겨울 두 차례 개최하고 있다. 이는 천체 관망으로부터 빛 공해나 대기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 외에도, 천문대를 시작으로 박물관, 플라네타륨에서의 해설, 텔레비전 프로그램 출연, 천문 잡지나 보급서에의 저작·감수를 통해, 보급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천체 현상을 촬영함으로써 이 분야에서 활약하는 사람도 많고, 그를 위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서적도 다수 출판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로는 이소베 슈조, 무라야마 사다오, 모리모토 마사키, 후지이 아키라, 하야시 칸지 등이 있다.

주로 각지의 신사나 경내에 보관되어 있는 운석 소개나 작은 천체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충분히 가능하다.

2009년은 세계 천문의 해 2009로 각지의 공개 천문대나 플라네타륨에서 관련 이벤트가 개최되었다.

7. 관련 정보

고대 이집트 문명이나 잉카 문명에서도 천체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천체의 운행을 통해 달력과 시각을 측정하여 계절 등 농경에 필수적인 농업력을 만들었다고 한다. 피라미드나 잉카의 천문대 유적, 유럽스톤헨지 등은 춘분이나 추분을 관찰했던 것을 보여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후 해운 등이 발달함에 따라 별은 야간의 방향을 아는 길잡이로도 사용되었다. 북극성·북두칠성북쪽 방향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천체이다.

그리스의 고대 철학자 탈레스는 천체 관측에 조예가 깊었다. 그는 천체를 관측하여 다음 시즌의 곡물 작황을 예측하고 투기로 큰 이익을 보기도 했다. 또한, 점성술도 발달하여 천체를 통해 운세를 점치기도 했다.

천체 관측의 축적을 통해 천문학이 진보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이집트에라토스테네스지구의 크기를 측정하기도 했다. 그는 테베알렉산드리아 사이의 태양 그림자 투영 각도의 차이와 두 도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지구의 크기를 구하려 했다. 이는 지구의 크기를 측정하려는 최초의 시도로 여겨진다. (측지학 참고)

이탈리아갈릴레오 갈릴레이네덜란드의 한스 리페르헤이가 발명한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체 관측에 사용했다. 이는 천체 망원경에 의한 관측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천문대, 천체 망원경 참고)

일본후지와라노 사다이에가 쓴 『명월기』에는 초신성 SN1054 (게 성운)의 기록이 남아 있다. 당시에는 초신성을 객성으로 기록했다. 혜성 등도 비슷한 기록으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

중국에서는 왕조 시대의 태양 흑점 기록이 남아 있다. 이처럼 천체 관측은 세계 각지에서 이루어져 온 과학 연구이다. (천문학사 참고)

천체 관측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분야내용
시각해시계를 통해 태양의 운행을 관측하여 시각을 알 수 있다. 자오선상의 천체를 측정하여 해당 지역의 표준시를 알 수 있었고, 과거에는 일본 표준시를 비롯한 표준 시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현재는 원자 시계와 천체 관측을 통해 얻은 지구 회전의 운동 보정 시각을 더하여 표준시를 결정한다.
농경별자리의 운행을 관측하여 농작물 파종 시기 등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카는 보리의 이삭을 의미하며, 이 별을 보고 보리 파종 시기가 다가옴을 알 수 있었다. 일본에서는 아르크투루스가 보리별에 해당한다. 이러한 지혜를 바탕으로 농업력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지리태양, 별자리의 방향과 각도 등을 관측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다. 현재는 GPS로 대체되었지만, 사분의육분의 등의 기재를 통해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고 관측 시각으로부터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이 관측 시각의 원점으로 GMT(그리니치 표준시)가 사용되었다.
행성 탐사행성 탐사선에는 황도면의 북극 또는 남극에 위치한 천체(주로 카노푸스)를 기준 좌표로 선택하여, 그 별을 관측하는 센서를 탑재한다. 이 센서를 통해 탐사선의 궤도가 황도면에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행성 탐사선은 탐사 목표가 되는 천체를 향한다.



가시광선 외에도 다음과 같은 천체 관측 연구 분야가 있다.



이러한 관측에는 주로 대형 장비를 사용한다.

또한, FM 라디오를 사용한 유성군 관측이나 BS/BS 방송용 안테나 또는 초단파 통신용 안테나 등을 이용하여 태양 전파 관측 등을 하는 관측자도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천체의 관측 글로벌 세계 대백과
[2] 문서 有星孛于王良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