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개구리상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개구리상과는 개구리목에 속하는 상과로, 다양한 과를 포함하며 종 다양성이 높다. 이 상과에는 알소데스과, 바트라킬라과, 두꺼비과, 뿔개구리과, 청개구리과 등 16개의 과가 속한다. 개구리상과는 꼬리가 없고 몸이 짧으며, 전 세계에 분포하며, 대부분 따뜻한 기후에서 발견된다. 2024년 3월 기준,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된 개구리류 중 상당수가 위협받고 있으며, 서식지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청개구리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Eleutherodactylus jasperi
Eleutherodactylus jasperi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양서강
아강진양서류
개구리목
아목신와아목
상과청개구리상과 (Hyloidea)
상과 명명Stannius, 1856
하위 분류
본문 참조
화석 범위

2. 분류

청개구리상과는 다양한 하위 과를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개구리류는 형태학적 특징을 공유하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DNA 검사를 통해 관계를 파악했다. 최대 우도법 및 베이즈 분석을 통해 히로이데아(Hyloidea) 개구리류의 관계가 밝혀졌는데, 이전에 확립된 55개의 노드 중 53개가 DNA 검사로 뒷받침되었다.[2] 분석 결과 히로이데아는 칠레, 호주, 뉴기니 종을 포함하는 오스트랄로바트라키아의 자매 그룹이며, 두 그룹의 공통 조상은 초기 백악기 남아메리카에 서식했다.[7] 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6][17][18]

2. 1. 하위 과

학명종 수비고
알소데스과 (Alsodidae)Mivart, 186926
바트라킬라과 (Batrachylidae)Gallardo, 196514
두꺼비과 (Bufonidae)700참개구리, 할리퀸 개구리
BrachycephalidaeGünther, 185879안장개구리, 벼룩 개구리, 머리가 큰 개구리
CaligophrynidaeFouquet et al, 20231
CeuthomantidaeHeinicke et al, 20094에메랄드 띠 개구리
CraugastoridaeHedges, Duellman, and Heinicke, 2008129살갗 배 개구리, 북부 비 개구리, 강도 개구리
EleutherodactylidaeLutz, 1954241강도 개구리
NeblinaphrynidaeFouquet et al, 20231
StrabomantidaeHedges, Duellman, and Heinecke, 2008800
알로프리네과 (Allophrynidae)Savage, 19733투케이트 힐 개구리
유리개구리과 (Centrolenidae)Taylor, 1951155유리 개구리
뿔개구리과 (Ceratophryidae)Tschudi, 183812뿔 개구리, 팩맨 개구리, 물 개구리
키클로람푸스과 (Cycloramphidae)Peters, 186236유리 개구리
독개구리과 (Dendrobatidae)Cope, 1865194독 개구리
아로모바테스과 (Aromobatidae)Grant, Frost, Caldwell, Gagliardo, Haddad, Kok, Means, Noonan, Schargel & Wheeler, 2006121숨겨진 숲 개구리
뿔청개구리과 (Hemiphractidae)Cope, 1865112
청개구리과 (Hylidae)Rafinesque, 18151036나무 개구리, 잎 개구리
힐로데스과 (Hylodidae)Günther, 185847
긴발가락개구리과 (Leptodactylidae)Werner, 1896 (1838)206남부 개구리
오돈토프리누스과 (Odontophrynidae)Lynch, 196953
코개구리과 (Rhinodermatidae)Bonaparte, 18503다윈 개구리, 입으로 품는 개구리
텔마토비우스과 (Telmatobiidae)Fitzinger, 184363물 개구리

[1][5][6]

2. 2. 계통 분류

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6][17][18]

{| class="wikitable"

|-

! 신와아목

|-

|

{| class="wikitable"

|-

| 유령개구리과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칼립토케팔렐라과

|-

|



|}

|-

! 청개구리상과 / 황금개구리상과

|-

|

{| class="wikitable"

|-

| 알소데스과

|-

| 바트라킬라과

|-

| 두꺼비과

|-

| 뿔개구리과

|-

| 키클로람푸스과

|-

| 뿔청개구리과

|-

| 힐로데스과

|-

| 긴발가락개구리과

|-

| 오돈토프리누스과

|-

| 코개구리과

|-

| 텔마토비우스과

|-

|



|-

| 청개구리과

|-

|

아로모바테스과
독개구리과



|}

|-

! 황금개구리상과

|-

|

{| class="wikitable"

|-

| 가는발가락개구리과

|-

|

황금개구리과
크라우가스토르과



|}

|}

|-

| 개구리상과

|}

개구리류는 모두 여러 형태학적 특징을 공유하므로, 연구자들은 그들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DNA 검사를 사용해야 했다. 핵 마커 툴킷을 사용한 최대 우도법 및 베이즈 분석은 히로이데아(Hyloidea) 개구리류의 일부 관계를 해결했다. 계통수에서 이전에 확립된 55개의 노드 중 53개가 이 DNA 검사에 의해 뒷받침되었다.[2] 분석 결과 히로이데아가 칠레, 호주, 그리고 뉴기니 종을 포함하는 개구리 분류군인 오스트랄로바트라키아의 자매 그룹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두 그룹의 공통 조상은 초기 백악기 동안 남아메리카에 서식했다.[7]

3. 형태 및 특징

청개구리상과는 무미목(개구리) 중에서 가장 큰 상과이며, 다른 과와의 관계가 불분명한 개구리들을 포함시키기 때문에 종 다양성이 매우 높다.[2] 청개구리상과 개구리들은 모두 꼬리가 없고, 몸이 짧으며, 입이 크고 다리가 근육질이다.

대부분의 청개구리상과 개구리는 걷기, 뛰기, 땅파기에 적합한 측면 굽힘기 골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일부 종은 수생 개구리뿐만 아니라 걷기, 뛰기, 땅파기 개구리에서도 발견되는 시상 경첩 골반을 가지며, 육상 개구리에서 발견되는 앞뒤 슬라이더 골반을 가진 종도 있다.[8]

청개구리상과 개구리는 갈비뼈가 없고 복잡한 구강 구조를 가지며, 가슴띠는 궁상형이거나 굳은 가슴뼈 형태일 수 있다.[9] 이들은 겨드랑이 포접으로 번식하며, 유충은 일반적으로 단일 호흡공을 가진다.

청개구리상과 종의 주둥이-항문 길이(SVL)는 ''Diasporus''의 한 종에서 10mm에서 암컷 ''Calyptocephalella gayi''에서 320mm까지 매우 다양하다.[10]

4. 분포

청개구리상과는 현재 남아메리카 남부에 해당하는 곤드와나 초대륙에서 처음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전 세계로 빠르게 퍼져나가 다양한 종류와 종의 개구리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게 되었다. 청개구리상과는 원래 서식 환경의 특성상, 전 세계 어디에서 발견되든 높은 기온과 더 관련이 있다.[11][12] 오늘날,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2020년에는 남극 반도에 위치한 시모어 섬에서 약 4천만 년 된 청개구리상과 Calyptocephalellidae과의 화석이 발견되었다.[13] 청개구리상과 종의 분포는 기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대부분의 종은 연평균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 발견된다.[14]

5. 보전

2024년 3월 기준으로,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된 50,000종 이상의 개구리류(Hyloidea) 중 3,866종(4.5%)이 심각한 위기종, 5,910종(6.8%)이 위기종, 6,774종(7.8%)이 취약종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되어 위협을 받지 않는 개구리가 약 49,000종이나 된다.[15] 더 큰 우려를 받는 개구리 종 대부분은 서식지 감소를 겪고 있으며, 이는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이 된다. 도시화, 농업, 광업, 삼림 벌채 등이 그 이유이다.[15]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life.bio.suny[...] 2013-04-22
[2] 논문 Phylogenomics reveals rapid, simultaneous diversification of three major clades of Gondwanan frogs at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2017-06-28
[3] 논문 Phylogenomics reveals rapid, simultaneous diversification of three major clades of Gondwanan frogs at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2017-07-18
[4] 웹사이트 Jump for joy: researchers make huge leap in understanding frog evolution https://www.theguard[...] 2017-08-02
[5] 웹사이트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6.0 website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6] 논문 Phylogenomics reveals rapid, simultaneous diversification of three major clades of Gondwanan frogs at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2017-07-18
[7] 논문 Phylogenomics reveals rapid, simultaneous diversification of three major clades of Gondwanan frogs at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2017-07-18
[8] 논문 Phylogenetic patterns of skeletal morphometrics and pelvic traits in relation to locomotor mode in frogs 2013-05-01
[9] 웹사이트 Anura https://www.britanni[...] 2021-02-26
[10] 서적 Herpetology: an introductory biology of amphibians and reptiles Academic Press 2014
[11] 논문 Evaluating methods for phylogenomic analyses, and a new phylogeny for a major frog clade (Hyloidea) based on 2214 loci. 2018-02
[12] 논문 Unexpected phylogenetic positions of the genera Rupirana and Crossodactylodes reveal insights into the biogeography and reproductive evolution of leptodactylid frogs 2013-05
[13] 논문 First fossil frog from Antarctica: implications for Eocene high latitude climate conditions and Gondwanan cosmopolitanism of Australobatrachia 2020-04-23
[14] 논문 Climate effects on amphibian distributions depend on phylogenetic resolution and the biogeographical history of taxa 2013-07-03
[15]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21-02-26
[16]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17] 저널 The first endemic West African vertebrate family . a new anuran family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the Upper Guinean biodiversity hotspot http://www.frontiers[...]
[18] 저널 Molecular systematics of terraranas (Anura: Brachycephaloidea) with an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alignment and optimality criteria http://www.ib.usp.b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