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발가락개구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발가락개구리과는 3개의 아과, 즉 Leiuperinae, Leptodactylinae, Paratelmatobiinae로 분류되며, 2019년 12월 기준 4개의 속을 포함한다. 긴발가락개구리과는 개구리목의 신와아목에 속하며, 청개구리상과 또는 황금개구리상과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긴발가락개구리과 - 베엘제부포
베엘제부포는 마다가스카르에서 발견된 멸종된 개구리 속으로, 큰 머리와 골질 비늘을 가졌으며 소형 척추동물을 잡아먹는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긴발가락개구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과 | 긴발가락개구리과 (Leptodactylidae) |
명명자 | Werner, 1896 |
아과 | Leiuperinae Leptodactylinae Paratelmatobiinae |
![]() |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1 | Heinicke, M.P., W.E. Duellman & S.B. Hedges (2007). Major Caribbean and Central American frog faunas originated by ancient oceanic dispersal. Proc. Nat. Acad. Sci., 104(24):10092–7. |
참고 문헌 2 | AmphibiaWeb: Information on Amphibian Biology and Conserv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
참고 문헌 3 | Zweifel, Richard G. (1998). Cogger, H.G. & Zweifel, R.G. (ed.).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San Diego: Academic Press. pp. 89–90. ISBN 0-12-178560-2. |
이미지 | |
![]() | |
![]() |
2. 하위 분류
2019년 12월 현재, 세계 양서류 종 목록은 긴발가락개구리과를 다음과 같이 3개의 아과와 불확실한 위치의 종으로 분류한다.[4]
- Leiuperinae 아과: 5속 90종
- Leptodactylinae 아과 (긴발가락개구리아과): 4속 96종
- Paratelmatobiinae 아과: 4속 13종
- 불확실한 위치 (''incertae sedis'')
2. 1. Leiuperinae 아과
Leiuperinae 아과는 5개 속에 90종을 포함한다.[4]- ''Edalorhina'' Jiménez de la Espada, 1870 - 2종
- ''Engystomops'' Jiménez de la Espada, 1872 - 9종
- ''Physalaemus'' Fitzinger, 1826 - 46종
- ''Pleurodema'' Tschudi, 1838 - 15종
- ''Pseudopaludicola'' Miranda-Ribeiro, 1926 - 18종
2. 2. Leptodactylinae 아과
긴발가락개구리아과(Leptodactylinae)는 4개의 속으로 구성된다. 2019년 12월 세계 양서류 종 목록에 따르면 총 96종이 속해 있다.[4] 이전 자료에서는 98종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다.아과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4]
속 | 종 수[4] |
---|---|
Adenomera Steindachner, 1867 | 18종 |
Hydrolaetare Gallardo, 1963 | 3종 |
Leptodactylus Fitzinger, 1826 | 76종 |
Lithodytes Fitzinger, 1843 | 1종 |
2. 3. Paratelmatobiinae 아과
올레르(Ohler)와 두보이스(Dubois)가 2012년에 명명한 아과로,[4] 총 4속 13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Crossodactylodes'' (Cochran, 1938) - 5종
- ''Paratelmatobius'' (Lutz and Carvalho, 1958) - 6종
- ''Rupirana'' (Heyer, 1999) - 1종
- ''Scythrophrys'' (Lynch, 1971) - 1종
2. 4. 불확실한 위치(incertae sedis)
- "''Leptodactylus''" ''ochraceus' Lutz, 1930
3. 계통 분류
긴발가락개구리과의 계통 분류는 연구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기도 한다. 2014년 발표된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 연구에 따르면, 긴발가락개구리과는 신와아목(Neobatrachia)에 속하며, 신와아목 내에서는 청개구리상과(Hyloidea) 또는 황금개구리상과(Brachycephaloidea)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류된다.[6][7][8]
3. 1. 신와아목
2014년 발표된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 연구에 따르면, 긴발가락개구리과는 신와아목에 속한다.[6][7][8] 신와아목 내에서 긴발가락개구리과는 청개구리상과(Hyloidea) 및 황금개구리상과(Brachycephaloidea)를 포함하는 큰 분기군에 포함되며, 이 분기군은 개구리상과(Ranoidea)와 자매 그룹 관계를 형성한다.[6][7][8]3. 1. 1. 분지군 1
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7][8]칼립토케팔렐라과
* 림노디나스테스과
* 거북개구리과
알소데스과
바트라킬라과
두꺼비과
뿔개구리과
키클로람푸스과
뿔청개구리과
힐로데스과
'''긴발가락개구리과'''
오돈토프리누스과
코개구리과
텔마토비우스과
* 알로프리네과
* 유리개구리과
청개구리과
* 아로모바테스과
* 독개구리과
황금개구리상과
* 가는발가락개구리과
*
** 황금개구리과
** 크라우가스토르과
- ** 개구리상과
3. 1. 2. 분지군 2
청개구리상과와 황금개구리상과를 포함하는 분류군이다.[6][7][8] 이 분류군에 속하는 과는 다음과 같다.- 알소데스과
- 바트라킬라과
- 두꺼비과
- 뿔개구리과
- 키클로람푸스과
- 뿔청개구리과
- 힐로데스과
- 긴발가락개구리과
- 오돈토프리누스과
- 코개구리과
- 텔마토비우스과
- 알로프리네과
- 유리개구리과
- 청개구리과
- 아로모바테스과
- 독개구리과
- 가는발가락개구리과
- 황금개구리과
- 크라우가스토르과
3. 1. 3. 개구리상과
2014년 연구에 따른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에 의하면, 긴발가락개구리과는 신와아목에 속한다.[6][7][8] 신와아목 내에서 긴발가락개구리과는 청개구리상과 및 황금개구리상과를 포함하는 큰 분기군에 포함된다. 이 분기군은 개구리상과와 자매 그룹 관계를 형성한다.[6][7][8]참조
[1]
논문
Major Caribbean and Central American frog faunas originated by ancient oceanic dispersal
[2]
웹사이트
AmphibiaWeb: Information on Amphibian Biology and Conservation
http://amphibiaweb.o[...]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2007-06-17
[3]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Academic Press
[4]
웹사이트
Leptodactylidae Werner, 1896 (1838)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5-08-28
[5]
저널
Major Caribbean and Central American frog faunas originated by ancient oceanic dispersal
[6]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7]
저널
The first endemic West African vertebrate family . a new anuran family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the Upper Guinean biodiversity hotspot
http://www.frontiers[...]
[8]
저널
Molecular systematics of terraranas (Anura: Brachycephaloidea) with an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alignment and optimality criteria
http://www.ib.usp.b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