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천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년이천선은 평산역과 세포청년역을 잇는 총 141.3km의 철도 노선으로, 18개의 역이 있다. 이 노선은 1435mm 표준궤를 사용하고 전 구간이 직류 3000V로 전철화되어 있으며, 복선 구간은 없다. 한국 전쟁 이후 평라선의 교통 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1957년 공사를 시작하여 1962년에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고, 1972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청년이천선은 화물 운송이 주를 이루며, 서쪽으로 광석, 목재, 비료, 수산물 등이 운송되고, 동쪽으로는 곡물, 광석, 금속, 시멘트 등이 운송된다. 과거에는 해주와 혜산을 오가는 장거리 여객 열차도 운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 금강산청년선
금강산청년선은 일제강점기 동해북부선으로 건설되어 경원선 안변역에서 양양역까지 이어졌으나, 남북 분단 후 북한 구간이 금강산청년선으로 불리게 되었고, 재개통 및 남북 화해 시기 시험운행도 있었지만 현재는 폐쇄되었다. -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 천내선
천내선은 룡담역에서 천내역까지의 4.4km 단선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를 사용하며 직류 3000V로 전철화되었고 일제강점기에 개통되어 시멘트 수송에 이용되었으며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이 관할한다. - 황해북도의 철도 교통 - 평부선
평부선은 평양과 개성을 잇는 187.3km의 철도 노선으로, 남북 연결의 상징적 역할을 수행했으나 남북 관계에 따라 운행이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간선 철도이다. - 황해북도의 철도 교통 - 황해청년선
황해청년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으로, 사리원청년역과 해주청년역을 연결하며, 일제강점기 사설 철도로 개통된 후 해방 후 재건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되어 주요 화물과 여객 운송을 담당한다. - 197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197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소부 쾌속선
소부 쾌속선은 JR 동일본의 도쿄-지바 간 쾌속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운행 형태와 여러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제공하며 E217계, E235-1000번대 전동차 및 특급 열차가 운행되고 2022년 통근 쾌속이 폐지되었다.
청년이천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청년이천선 |
원어 이름 | 청년이천선 (靑年伊川線) |
노선 종류 | 중철, 지역 철도, 여객/화물 |
위치 | 황해북도, 강원도 |
기점 | 평산역 |
종점 | 세포청년역 |
역 수 | 18개 |
운영 상태 | 운영 중 |
개통 시기 | 1962년–1972년 |
소유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노선 길이 | 141.3 km |
선로 수 | 단선 |
궤간 | 표준궤 |
전철화 | 직류 3000V 가공 전차선 |
![]() | |
노선도 | |
![]() | |
역사 | |
개통 | 1962년–1972년 |
운영 | |
운영 기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2. 노선 정보
평산역-세포청년역 구간(141.3km)이며 역 수는 18개(양 끝 역 포함)이다. 궤도 간격은 1435mm(표준궤)이다. 전 구간이 전철화 구간이며 직류 3000V가 공급된다. 복선 구간은 없다.[1]
총계 (km) | 구간 거리 (km) | 역명 | 한자 표기 | 옛 역명 | 옛 한자 표기 | 접속 노선 |
---|---|---|---|---|---|---|
0.0 | 0.0 | 평산역 | 平山 | 남천 | 南川 | 평부선 |
13.2 | 13.2 | 기탄 | 岐灘 | |||
19.7 | 6.5 | 침교 | 砧橋 | |||
27.8 | 8.1 | 신계 | 新溪 | |||
41.0 | 13.2 | 정봉 | 丁峰 | |||
51.4 | 10.4 | 지하리 | 支下里 | |||
57.3 | 5.9 | 지상 | 支上 | |||
69.1 | 11.8 | 송정 | 松亭 | |||
74.0 | 4.9 | 이천청년 | 伊川靑年 | |||
86.2 | 6.6 | 문동청년 | 文童靑年 | |||
96.0 | 9.8 | 판교 | 板橋 | |||
105.0 | 9.0 | 기산청년 | 箕山靑年 | |||
111.0 | 6.0 | 후평청년 | 後坪靑年 | |||
118.9 | 7.9 | 서하 | 西下 | |||
125.9 | 7.0 | 약수 | 藥水 | |||
131.1 | 5.2 | 백산청년 | 白山靑年 | |||
136.6 | 1.2 | 새마을 | ||||
141.3 | 4.7 | 세포청년 | 洗浦靑年 | 세포 | 洗浦 | 강원선 |
한국 전쟁 종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해안과 서해안 사이의 화물 수송량이 증가하면서 평라선의 교통 체증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중부의 산악 지대를 관통하는 세 번째 횡단선을 건설했다.[3] 1957년에 공사가 시작되었고,[3] 1980년에 전철화가 완료되었다.[4]
3.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평라선에 이은 두 번째 동서 횡단 철도 건설에는 청년돌격대와 정치범 수용소 수용자가 동원되었다.
3. 1. 건설 배경
한국 전쟁 종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해안과 서해안 사이의 화물 수송량이 증가하면서 평라선의 교통 체증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중부의 산악 지대를 관통하는 세 번째 횡단선을 건설했다.[3] 1957년에 공사가 시작되었고,[3] 가장 먼저 완공된 구간은 평산에서 지하리까지의 51.4km 구간으로, 1962년에 운행이 시작되었다. 지하리에서 세포청년까지의 89.9km 구간은 1972년 10월에 개통되었다.[2]
3. 2. 건설 과정
한국 전쟁 종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해안과 서해안 사이의 화물 수송량이 증가하면서 평라선의 교통 체증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중부의 산악 지대를 관통하는 세 번째 횡단선을 건설했다. 1957년에 공사가 시작되었고,[3] 가장 먼저 완공된 구간은 평산에서 지하리까지의 51.4km 구간으로, 1962년에 운행이 시작되었다. 나머지 구간인 지하리에서 세포청년까지의 89.9km 구간은 1972년 10월에 개통되었다.[2] 1980년에 이 노선의 전철화가 완료되었다.[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평라선에 이은 두 번째 동서 횡단 철도이다. 건설에는 청년돌격대와 정치범 수용소 수용자가 동원되었다.
4. 운행
청년이천선은 여객 및 화물 운송에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02년 여객 시간표에 따르면, 해주와 혜산을 오가는 장거리 열차가 하루 한 번 운행된다. 해주발 열차는 사리원을 거쳐 평산(0시 54분), 세포(오전 6시 6분)를 지나 원산, 함흥, 길주를 거쳐 혜산으로 간다. 혜산발 열차는 세포(오전 4시 41분), 평산(오전 9시 47분)을 지나 사리원을 거쳐 해주로 간다.[1] 평산과 지하리 사이에는 통근 열차가 운행된다.[2]
4. 1. 화물 운송
평라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수송 화물이 청년이천선을 경유한다. 서쪽으로 향하는 화물은 동쪽보다 1.6~1.9배 더 많다.[2]구분 | 주요 품목 | 비중 | 설명 |
---|---|---|---|
서쪽 방향 | 광석 | 18.4~18.6% | 덕성광산, 무산광산의 자철광 → 송림선 황해제철연합기업소 |
목재 | 16.3% | ||
비료 | 12~13.1% | ||
수산물 | 7.3~7.5% | ||
기타 | 약 44% | 광석, 목재, 비료, 수산물 외 | |
동쪽 방향 | 곡물 | 50~60% | 황해도 곡창 지대 → 동쪽 |
광석 | 8.6~11.2% | ||
금속 | 9.9~10.7% | 황해제철연합기업소 강철 → 송림 (송림선) | |
시멘트 | 3.2~3.7% | 2월8일시멘트연합기업소 시멘트 → 서봉산 (평부선) | |
기타 | 약 20% | 곡물, 광석, 금속, 시멘트 외 |
황해도 곡창 지대에서 생산된 곡물은 이 노선을 통해서만 동쪽으로 운송되며, 서쪽으로 운송되는 광석은 주로 덕성광산과 무산광산에서 생산된 자철광으로, 송림선의 황해제철연합기업소로 향한다.[2] 평산에는 우라늄 농축 공장도 있다.[5]
4. 2. 여객 운송
2002년 여객 시간표에 따르면, 이 노선에서 운행되는 유일한 장거리 열차는 해주와 혜산 사이를 오가는 열차로, 하루 한 번 운행된다. 해주발 열차 '''104•107'''는 사리원을 거쳐 이 노선에 진입하며, 평산에서 0시 54분, 세포에서 오전 6시 06분에 출발하여 원산, 함흥, 길주를 거쳐 혜산으로 간다. 혜산발 열차 '''108•111'''은 세포에서 오전 4시 41분, 평산에서 오전 9시 47분에 출발하여 사리원을 거쳐 해주로 간다.[1] 평산과 지하리 사이에는 통근 열차가 운행된다.[2]5. 역 목록
청년이천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구역명(舊驛名)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평산 | P'yŏngsan | 平山 | 남천(南川) | 0.0 | 평부선 | 황해북도 평산군 |
기탄 | Kit'an | 岐灘 | 13.2 | 황해북도 평산군 | ||
침교 | Ch'imgyo | 砧橋 | 19.7 | 황해북도 신계군 | ||
신계 | Sin'gye | 新溪 | 27.8 | 황해북도 신계군 | ||
정봉 | Chŏngbong | 丁峰 | 41.0 | 황해북도 신계군 | ||
지하리 | Chiha-ri | 支下里 | 51.4 | 강원도 판교군 | ||
지상 | Chisang | 支上 | 57.3 | 강원도 판교군 | ||
송정 | Songjŏng | 松亭 | 69.1 | 강원도 이천군 | ||
이천청년 | Ichŏn Chŏngnyŏn | 伊川靑年 | 이천(伊川) | 74.0 | 강원도 이천군 | |
문동청년 | Mundŏng Ch'ŏngnyŏn | 文童靑年 | 문동(文童) | 86.2 | 강원도 이천군 | |
판교 | Pangyo | 板橋 | 96.0 | 강원도 판교군 | ||
기산청년 | Kisan Ch'ŏngnyŏn | 箕山靑年 | 기산(箕山) | 105.0 | 강원도 세포군 | |
후평청년 | Hupyŏng Chŏngnyŏn | 後坪靑年 | 후평(後坪) | 111.0 | 강원도 세포군 | |
서하 | Sŏha | 西下 | 118.9 | 강원도 세포군 | ||
약수 | Yaksu | 藥水 | 125.9 | 강원도 세포군 | ||
백산청년 | Paeksan Ch'ŏngnyŏn | 白山靑年 | 백산(白山) | 131.1 | 강원도 세포군 | |
신생 | Sinsaeng | 新生 | 135.4 | 강원도 세포군 | ||
세포청년 | Sepo Chŏngnyŏn | 洗浦靑年 | 세포(洗浦) | 141.3 | 강원선 | 강원도 세포군 |
폐역된 역은 하안 (이천청년-문동청년 사이, 총 거리 79.6km, 구간 거리 5.6km)과 새마을 (신생-세포청년 사이, 총 거리 136.6km, 구간 거리 1.2km)이다.
5. 1. 본선
역명 | 한자 역명 | 구역명(舊驛名)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평산 | 平山 | 남천(南川) | 0.0 | 평부선 | 황해북도 평산군 |
기탄 | 岐灘 | 13.2 | 황해북도 평산군 | ||
침교 | 砧橋 | 19.7 | 황해북도 신계군 | ||
신계 | 新溪 | 27.8 | 황해북도 신계군 | ||
정봉 | 丁峰 | 41.0 | 황해북도 신계군 | ||
지하리 | 支下里 | 51.4 | 강원도 판교군 | ||
지상 | 支上 | 57.3 | 강원도 판교군 | ||
송정 | 松亭 | 69.1 | 강원도 이천군 | ||
이천청년 | 伊川靑年 | 이천(伊川) | 74.0 | 강원도 이천군 | |
문동청년 | 文童靑年 | 문동(文童) | 86.2 | 강원도 이천군 | |
판교 | 板橋 | 96.0 | 강원도 판교군 | ||
기산청년 | 箕山靑年 | 기산(箕山) | 105.0 | 강원도 세포군 | |
후평청년 | 後坪靑年 | 후평(後坪) | 111.0 | 강원도 세포군 | |
서하 | 西下 | 118.9 | 강원도 세포군 | ||
약수 | 藥水 | 125.9 | 강원도 세포군 | ||
백산청년 | 白山靑年 | 백산(白山) | 131.1 | 강원도 세포군 | |
신생 | 新生 | 135.4 | 강원도 세포군 | ||
세포청년 | 洗浦靑年 | 세포(洗浦) | 141.3 | 강원선 | 강원도 세포군 |
5. 2. 폐역 목록
참조
[1]
서적
将軍様の鉄道 (Shōgun-sama no Tetsudō)
[2]
웹사이트
북한지리정보: 운수지리 청년이천선
http://terms.naver.c[...]
2017-08-16
[3]
서적
한국의 전통 사회 운송 기구
[4]
웹사이트
북한 철도 유라시아 철도의 ‘끊어진 고리’ 北, 12개 주요 노선 어떤 상태인가
http://weekly1.chosu[...]
2017-08-17
[5]
웹사이트
Yongbyong Nuclear Site Ground Imagery
http://isis-online.o[...]
[6]
웹사이트
청년이천선 조선향토대백과 인문지리정보관 : 교통
https://m.terms.na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