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두 지하철 1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두 지하철 1호선은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청두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지하철 노선이다. 2010년 9월 27일에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18년 3월 18일에 3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 웨이쟈뎬 역에서 커쉐청 역까지 운행하며, 쓰허 역에서 우건쑹 역까지 가는 지선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두 지하철 - 청두 지하철 3호선
    청두 지하철 3호선은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청두시를 운행하는 지하철 노선이며, 2016년 개통되어 총 37개의 역을 운영한다.
  • 청두 지하철 - 청두 지하철 7호선
    청두 지하철 7호선은 청두 도심을 순환하는 38.56km의 지하 노선으로, 2017년 개통되어 31개의 역을 갖추고 주요 교통 허브와 연결되어 시민 편의를 제공하지만, 일부 논란과 향후 확장 계획도 가지고 있다.
  • 청두 지하철 노선 - 청두 지하철 3호선
    청두 지하철 3호선은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청두시를 운행하는 지하철 노선이며, 2016년 개통되어 총 37개의 역을 운영한다.
  • 청두 지하철 노선 - 청두 지하철 7호선
    청두 지하철 7호선은 청두 도심을 순환하는 38.56km의 지하 노선으로, 2017년 개통되어 31개의 역을 갖추고 주요 교통 허브와 연결되어 시민 편의를 제공하지만, 일부 논란과 향후 확장 계획도 가지고 있다.
  • 201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201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춘선
    경춘선은 1939년 사설 철도로 개통되어 서울과 춘천을 연결한 철도 노선으로, 복선 전철화 사업과 수도권 전철 및 ITX-청춘 운행을 거쳐 현재는 서울과 강원도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으로 기능하며 춘천-속초선 연장 사업도 계획 중이다.
청두 지하철 1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뤄마시 역 승강장
뤄마시 역 승강장
노선 종류고속 수송
노선 체계청두 지하철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중국 청두시
기점웨이자녠 역
종점과학성 역 / 우건쑹 역
역 수35개 역
노선 수1개
일일 승객 수107만 8100명 (2018년 최고치)
개통일2010년 9월 27일
소유주청두시
운영자청두 지하철 유한공사
노선 특징지하
사용 차량칭다오 쓰팡 기차 차량 제작 B형 차량 - 6량 편성
노선 길이40.9km
선로 수2
궤간1,435mm (표준궤)
전철화 방식가공 전차선, 직류 1500V
최고 속도80km/h
명칭
중국어 간체成都地铁1号线
병음Chéngdū Dìtiě Yī Hào Xiàn
일본어成都地下鉄1号線 (세이토 치카테츠 이치고센)
영어Chengdu Metro Line 1

2. 역사

청두 지하철 1호선은 2010년 9월 27일에 1기 구간이 개통되어, 중국 쓰촨성 청두시는 중국 서남부에서 처음이자 중국 전체에서 7번째로 지하철이 개통된 도시가 되었다.[5]

1호선은 청두시 남북을 잇는 런민루(人民路) 지하를 지나며, 화처베이잔(火車北站), 화처난잔(火車南站), 톈푸광장 등 주요 교통 거점과 뤄마스(騾馬市), 탸오싼타(跳傘塔), 톈푸신청(天府新城) 등 상업 중심지를 연결한다. 전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은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며, 성셴후 차량사업소와 광두 차량사업소가 사용된다.

2. 1. 건설 배경

청두 지하철 1호선은 2010년 9월 27일에 개통되었으며,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되었다.

2. 2. 연혁

2005년 11월 21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청두 지하철 1호선 1기 공정 항목"을 비준하였다.[1]

2005년 12월 28일, 건설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1]

2006년 12월 28일, 토목 공사를 시작하였다.[1]

2008년 5월 16일, 궤도 부설 공사를 시작하였다.[1]

2008년 9월 22일, 가선 공사를 시작하였다.[1]

2009년 5월 28일, 전 노선이 터널로 연결되었다.[1]

2009년 11월 30일, 전 노선의 궤도 부설 공사가 종료되었다.[1]

2010년 2월 11일, 전 노선의 송전 설비가 완성되었다.[1]

2010년 6월, 승객 취급 없는 시운전을 시작하였다.[1]

2010년 9월 10일 - 9월 12일, 청두 시민 시승회를 개최하였다.[1]

2010년 9월 27일, 오전 9시 중국 표준시(CST)에 개통식을 개최하고, 오후 3시에 시운전을 시작하였다.[1]

2012년 8월 16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남연선 건설을 비준하였다.[2]

2013년 6월 8일, 하이양 공원역이 개업하였다.[3]

2013년 7월 8일, 하이양 공원역을 '''진청 광장역'''으로 개명하였다.[3]

2015년 7월 25일, 남연선 (세기성역 - 광두역 구간)이 개통되었다.[4]

2018년 3월 18일, 3기 구간 (웨이쟈뎬역 - 성선후역 구간, 광두역 - 우근쑹역 구간, 쓰허역 - 과학성역 구간)이 개통되었다.[5]

구간개통명칭
솅시안 호 — 세기성2010년 9월 27일161단계
진청 광장2013년 6월 8일1간이역
세기성 — 광두2015년 7월 25일52단계
솅시안 호 — 웨이지아니안2018년 3월 18일13단계
쓰허 — 과학 도시11
광두 — 우겐송1


3. 노선 특징

2010년 9월 27일에 1기 구간이 개통되면서, 청두시는 중국 서남부에서 처음이자 중국 전체에서 7번째로 지하철이 개통된 도시가 되었다.[5]

이 노선은 전체 길이 23.9km에 22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5] 청두시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런민루(人民路) 지하를 지나 화처베이잔(火車北站), 화처난잔(火車南站), 톈푸광장 등의 교통 요충지와 뤄마스(騾馬市), 탸오싼타(跳傘塔), 톈푸신청(天府新城) 등의 상업 중심지를 연결한다. 모든 역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시설

2010년 9월 27일에 개통되었으며,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되었다. 차량기지는 성셴후 차량사업소와 광두 차량사업소 2곳이 있으며, 열차는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3. 2. 운영

2010년 9월 27일에 개통되었다. 전 구간이 지하이며, 지상 구간은 없다. 차량기지는 성셴후 차량사업소와 광두 차량사업소를 사용하며, 차량은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역 목록

2010년 9월 27일에 개통된 청두 지하철 1호선은 전 구간이 지하로 운행되며, 차량기지는 성셴후 차량사업소와 광두 차량사업소를 사용한다. 차량은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행 노선역 번호역명환승 노선역간 거리 (km)소재지
영어중국어
0101웨이자녠0진뉴 구
0102성셴후1.5141.514청화 구
0103화처베이잔CDW 청두 BRT1.5933.107진뉴 구
0104런민베이루1.1804.287진뉴 구
0105원수위안1.3515.638칭양 구
0106뤄마스0.8846.522칭양 구
0107톈푸광장1.0187.540칭양 구
0108진장빈관0.8338.373진장 구
0109화시바0.7799.152우후 구
0110성티위관1.05810.210우후 구
0111니자차오0.96111.171우후 구
0112퉁쯔린1.05212.223우후 구
0113화처난잔CNW1.11313.336우후 구
0114가오신1.30714.643우후 구
0115진룽청1.29615.939우후 구
0116푸화위안0.82616.765우후 구
0117진청광장0.85017.615우후 구
0118스지청1.45219.067우후 구
0119톈푸3제0.96520.032우후 구
0120톈푸5제1.01121.043우후 구
0121화푸다다오1.26122.304솽류 구
0122쓰허1.09923.403솽류 구
0123화양1.41324.816솽류 구
0124하이창루1.17825.994솽류 구
0125광푸1.56527.559솽류 구
0126훙스궁위안1.61129.170솽류 구
0127루후1.09030.260솽류 구
0128우한루1.34731.607솽류 구
0129톈푸궁위안1.16932.776솽류 구
0130시보청0.91533.691솽류 구
0131광저우루0.69634.387솽류 구
0132싱룽후1.47535.862솽류 구
0133커쉐청1.61237.474솽류 구
align="center"|01Y1광두1.03324.436솽류 구
align="center"|01Y2우건쑹1.39625.832솽류 구


4. 1. 본선

2010년 9월 27일에 개통되었으며, 전 구간이 지하로 운행된다. 차량기지는 성셴후 차량사업소와 광두 차량사업소를 사용하며, 차량은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행 노선역 번호역명환승 노선역간 거리
소재지
영어중국어
0101웨이자녠0진뉴 구
0102성셴후1.5141.514청화 구
0103화처베이잔CDW 청두 BRT1.5933.107진뉴 구
0104런민베이루1.1804.287진뉴 구
0105원수위안1.3515.638칭양 구
0106뤄마스0.8846.522칭양 구
0107톈푸광장1.0187.540칭양 구
0108진장빈관0.8338.373진장 구
0109화시바0.7799.152우후 구
0110성티위관1.05810.210우후 구
0111니자차오0.96111.171우후 구
0112퉁쯔린1.05212.223우후 구
0113화처난잔CNW1.11313.336우후 구
0114가오신1.30714.643우후 구
0115진룽청1.29615.939우후 구
0116푸화위안0.82616.765우후 구
0117진청광장0.8517.615우후 구
0118스지청1.45219.067우후 구
0119톈푸3제0.96520.032우후 구
0120톈푸5제1.01121.043우후 구
0121화푸다다오1.26122.304솽류 구
0122쓰허1.09923.403솽류 구
0123화양1.41324.816솽류 구
0124하이창루1.17825.994솽류 구
0125광푸1.56527.559솽류 구
0126훙스궁위안1.61129.170솽류 구
0127루후1.09030.260솽류 구
0128우한루1.34731.607솽류 구
0129톈푸궁위안1.16932.776솽류 구
0130시보청0.91533.691솽류 구
0131광저우루0.69634.387솽류 구
0132싱룽후1.47535.862솽류 구
0133커쉐청1.61237.474솽류 구
align="center"|01Y1광두1.03324.436솽류 구
align="center"|01Y2우건쑹1.39625.832솽류 구


4. 2. 지선

청두 지하철 1호선의 지선은 쓰허 역에서 분기하여 광두 역과 우건쑹 역을 연결한다.

역 번호한국어 역명중국어 역명영어 역명역간 거리 (km)누적 거리 (km)환승 노선소재지
01 22쓰허 역四河|쓰허중국어Sihe-23.4031호선 본선솽류구
01 Y1광두 역广都|광두중국어Guangdu1.03324.436
01 Y2우건쑹 역五根松|우건쑹중국어Wugensong1.39625.832


5. 향후 확장 계획

청두 지하철 1호선의 3단계 계획에서는 래이지아디안 또는 심지어 다펑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해당 지역이 군사 구역이기 때문에 이 계획은 보류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400万!成都地铁线网单日客运量再次刷新纪录 http://scnews.newssc[...] 2018-09-22
[2] 웹사이트 UrbanRail.Net > Asia > China > Chengdu Metro http://www.urbanrail[...]
[3] 뉴스 国内首条路地共建共管地铁成都地铁一号线开通试运营 http://www.china-mor[...] 中华人民共和国铁道部 2010-09-29
[4] 웹사이트 运营公司简介 http://www.cdmetro.c[...]
[5] 웹사이트 成都地铁运行线路图 http://www.cdmetro.c[...]
[6] 웹사이트 成都地铁1号线南延线获国家发改委批复 http://scnews.newssc[...] 四川新闻网 2012-08-29
[7] 웹사이트 地铁2号线西延线和1号线海洋公园站将于8日开通试运营 http://www.cdmetro.c[...] 成都地铁 2013-06-08
[8] 웹사이트 成都地铁1号线南延线开通 华阳片区多条公交线路优化 http://news.163.com/[...]
[9] 웹사이트 南延线开通后首个工作日客运组织平稳有序 http://www.cdmetro.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