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량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는 읍으로, 신라 시대부터 청량촌으로 불리다가 2018년 4월 1일 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9개의 법정리와 26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읍 소재지는 상남리(신덕하)이다. 1952년부터 1961년까지 청량면의회가 존재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세인고등학교, 청량중학교, 삼정초등학교, 문수초등학교, 청량초등학교가 있다. 교통 시설로는 동해고속도로,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4호선 등이 지나며, 동해선 덕하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2018년 설치 - 미추홀구
미추홀구는 1968년 남구로 설치되어 남동구와 연수구 분리 후 2018년 현재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2023년 경계 조정 후 현재 21개 행정동과 7개 법정동, 다양한 철도망과 교육기관, 해외 도시와의 자매결연을 갖춘 인천광역시의 구이다. - 2018년 설치 - 대평동 (세종)
대평동은 금강 연안의 큰 들에 위치하여 이름이 붙여졌으며, 세종특별자치시 3-1생활권에 속하고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이 위치해 있다.
청량읍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청량읍 |
한자 표기 | 靑良邑 |
영문 표기 | Cheongnyang-eup |
광역시/도 | 울산광역시 |
시/군/구 | 울주군 |
면적 | 60 |
인구 | "19024" (2022년 3월 기준) |
세대 | "7193" (2018년 2월 28일 기준) |
행정 정보 | |
법정리 | 덕하리, 동천리, 상남리, 개곡리, 중리, 문죽리, 삼정리, 율리, 용암리 |
행정리 | 26 |
반 | 161 |
읍사무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신덕하3길 5 |
홈페이지 | 청량읍 행정복지센터 |
2. 연혁
신라시대부터 청량촌이라 불렀다. 조선 초기에는 청량리였다가 1672년에 청량면으로 승격하였다. 헌종때에 울산~기장간 도로를 경계로 청북, 청남면으로 분리하였다가 다시 청량면으로 합면하였다.
1914년 4월 1일 사방, 목도, 처용, 신기, 달포, 산하 6개동이 온산면에 편입되고, 웅촌면 신리동을 편입하여 11개리로 개편하였다. 면사무소는 덕하리에 두었다가 상남리로 이전하였다.
개편 전 | 개편 후 |
---|---|
덕정동(德亭洞), 하정동(下亭洞) | 덕하리(德下里) |
상남동(上南洞), 송전동(松田洞) | 상남리(上南里) |
개산동(開山洞), 진곡동(眞谷洞) | 개곡리(開谷里) |
수문동(殊文洞), 죽전동(竹田洞), 두현동(斗峴洞) | 문죽리(文竹里) |
외율동(外栗洞), 내율동(內栗洞), 영축동(永丑洞) | 율리(栗里) |
신정동(新亭洞), 반정동(盤亭洞), 상정동(上亭洞) | 삼정리(三亭里) |
중리동(中里洞), 웅촌면 신리동(新里洞) | 중리(中里) |
양천동(良川洞), 양동동(良東洞) | 동천리(東川里) |
용암동(龍岩洞), 오천동(烏川洞), 오대동(烏大洞) | 용암리(龍岩里) |
두왕동(斗旺洞) | 두왕리(斗旺里) |
회학동(回學洞), 회남동(回南洞), 거남동(巨南洞), 진호동(眞湖洞) | 학남리(學南里) |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청량면의원 12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청량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두왕리를 신설 울산시에 편입하고 울주군 청량면이 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용암리와 학남리를 온산면에 편입하였다. 1987년 1월 1일 온산면 용암리를 청량면으로 환원하였다.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청량면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군 청량면이 되었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이 되었다.
2013년 8월 1일 울산 신일반산업단지 조성으로 용암리와 온산읍 처용리간의 경계가 일부 조정되었다. 2018년 4월 1일 울주군 청량읍으로 승격되었다.
2. 1. 행정 구역 변천
신라시대부터 청량촌이라 불렀다. 조선 초기에는 청량리였다가 1672년에 청량면으로 승격하였다. 헌종때에 울산~기장간 도로를 경계로 청북, 청남면으로 분리하였다가 다시 청량면으로 합면하였다.1914년 4월 1일 사방, 목도, 처용, 신기, 달포, 산하 6개동이 온산면에 편입되고, 웅촌면 신리동을 편입하여 11개리로 개편하였다. 면사무소는 덕하리에 두었다가 상남리로 이전하였다.
개편 전 | 개편 후 |
---|---|
덕정동(德亭洞), 하정동(下亭洞) | 덕하리(德下里) |
상남동(上南洞), 송전동(松田洞) | 상남리(上南里) |
개산동(開山洞), 진곡동(眞谷洞) | 개곡리(開谷里) |
수문동(殊文洞), 죽전동(竹田洞), 두현동(斗峴洞) | 문죽리(文竹里) |
외율동(外栗洞), 내율동(內栗洞), 영축동(永丑洞) | 율리(栗里) |
신정동(新亭洞), 반정동(盤亭洞), 상정동(上亭洞) | 삼정리(三亭里) |
중리동(中里洞), 웅촌면 신리동(新里洞) | 중리(中里) |
양천동(良川洞), 양동동(良東洞) | 동천리(東川里) |
용암동(龍岩洞), 오천동(烏川洞), 오대동(烏大洞) | 용암리(龍岩里) |
두왕동(斗旺洞) | 두왕리(斗旺里) |
회학동(回學洞), 회남동(回南洞), 거남동(巨南洞), 진호동(眞湖洞) | 학남리(學南里) |
청량읍은 9개 법정리와 26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읍소재지는 상남리(신덕하)이며[2] 덕하역, 덕하시장, 청량보건지소, 청량파출소, 우체국, 청량농협 본소 등 읍의 주요 시설이 신덕하에 집중되어있다.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청량면의원 12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청량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두왕리를 신설 울산시에 편입하고 울주군 청량면이 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용암리와 학남리를 온산면에 편입하였다. 1987년 1월 1일 온산면 용암리를 청량면으로 환원하였다.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청량면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군 청량면이 되었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이 되었다.
2013년 8월 1일 울산 신일반산업단지 조성으로 용암리와 온산읍 처용리간의 경계가 일부 조정되었다. 2018년 4월 1일 울주군 청량읍으로 승격되었다.
3. 행정 구역
법정리 한자 세대 인구 덕하리 德下里 979 2,708 동천리 東川里 165 364 상남리 上南里 1,801 3,424 개곡리 開谷里 204 435 문죽리 文竹里 212 492 삼정리 三亭里 1,836 5,632 율리 栗里 314 668 용암리 龍巖里 142 276 중리 中里 0 0 청량읍 靑良邑 5,653 13,999
2013년 12월 기준으로 인구는 5,653세대 13,999명이다. 삼정리는 1,800세대 규모의 아파트단지가 조성되어 인구가 가장 많다. 중리는 회야댐에 대부분 수몰되어 주민이 없다.
4. 인구
5. 정치
5. 1. 청량면의회
1952년부터 1961년까지 존속한 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이다.
1952년 4월 25일 초대 면의원 선거에서 청량면의원 12명(대한독립촉성국민회3+대한청년단2+무소속7)이 선출되었다. 1956년 8월 8일 2대 면의원 선거에서는 청량면의원 11명(자유당11)이 선출되었다. 1960년 12월 12일 3대 면의원 선거에서는 청량면의원 11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군사 정권에 의해 강제해산되었다.
6. 교육 기관
7. 교통
7. 1. 도로
동해고속도로가 지나며 덕하리에 청량 나들목, 율리에 문수 나들목이 개설되어 있다.청량읍은 읍사무소 소재지면서 오랫동안 청량읍의 중심지였던 동부의 상남리, 덕하리 일대와 울주군청 예정부지이며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고 있는 서부의 율리, 삼정리 일대로 나뉘어 있다. 동부지역은 국도 제31호선이 지나면서 남쪽으로 온산읍, 북쪽으로 남구 두왕동, 공업탑로터리로 연결된다. 서부지역은 국도 제7호선이 지나면서 남쪽으로 웅촌면, 부산광역시 금정구로, 북쪽으로 남구 무거동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국도 제14호선이 율리에서 분기하여 문죽리-개곡리를 지나 덕하리를 경유, 남쪽으로 온양읍과 부산광역시 기장군으로 연결되고, 울주군도 34호선(옛 지방도 제1081호선)이 덕하리에서 삼정리를 지나 웅촌면으로 연결된다.
7. 2. 철도
동해선이 지나며 상남리에 덕하역이 있다. 동해선 차량 기지인 울산차량사업소가 2021년 상반기에 완공되었다.참조
[1]
웹인용
청량읍 개요
https://www.ulju.uls[...]
2022-04-18
[2]
문서
덕하역 주변 마을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