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티나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티나강은 디나라 산맥 북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가는 크로아티아의 강이다. 밀라세보 샘에서 시작하여 101km를 흐르며, 브를리카 근처에는 페루차 댐에 의해 만들어진 인공 호수인 페루차 호가 있다. 체티나강은 시니 카르스트 지대를 지나 시니, 트릴을 거쳐 오미슈에서 아드리아해로 유입된다. 또한 서부 보스니아 카르스트 지대에서 지하 통로를 통해 물을 공급받으며, 구바비차 폭포에서 하류가 시작된다. 체티나강은 수력 발전소 건설에 이용되며, "체티나"라는 이름으로 병입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유역의 총 배수 면적은 약 12,000km²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380mm, 연간 방류량은 약 105m³s⁻¹이다. 체티나강 유역은 탄산염암 지질을 특징으로 하며, 역사적으로는 무역로이자 다양한 문화의 중심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유적 - 크라피나
크라피나는 크로아티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네안데르탈인 화석 유적지로 유명하며, 14세기부터 자유 무역 중심지였고, 일리리아 운동 지도자 류데비트 가이의 출생지이며, 매년 카이카비아 가요 축제가 열린다. - 크로아티아의 강 - 다뉴브강
다뉴브강은 독일에서 발원하여 흑해로 흘러드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여러 나라의 수도를 지나며 수운 및 문화적 경계 역할을 하고, 풍부한 생물다양성과 역사적 유산을 지닌 국제적인 강이다. - 크로아티아의 강 - 크르카강
크르카강은 크로아티아 디나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드리아 해로 흐르는 강으로, 석회암 지형에 아름다운 폭포와 협곡을 만들어 크르카 국립공원의 핵심을 이루며, 역사적 문화 유적지와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지뢰 매설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스플리트달마티아주의 지형 - 브라치섬
브라치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지방의 섬으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아드리아 해 섬 중 가장 높은 비도바 고라를 가지고 있으며,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로마 시대에는 석회암 채석지로, 현재는 관광, 어업, 농업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체티나강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크로아티아 |
길이 | 101km |
유역 면적 | 1463km² |
발원지 | 디나라 |
하구 | 아드리아 해 |
로마자 표기 | Cetina |
2. 지리 및 지질
체티나강은 디나라 산맥 북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101km를 흘러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간다.[1][3] 브를리카 근처에는 댐에 의해 만들어진 페루차 호가 있다. 체티나강은 시니 카르스트 지대를 통과하여 시니 시를 지나 동쪽으로 흘러 트릴 시를 거쳐 모소르 산맥을 돌아 서쪽으로 흐르다가 오미슈 시에서 아드리아해로 합류한다.
체티나강은 지하 통로를 통해 서부 보스니아 카르스트 지대에서 많은 물을 공급받는다.[2] 하류는 오미슈에서 20km 떨어진 자드바리에 마을 근처의 구바비차 폭포에서 시작된다.[2]
체티나강 유역의 총 배수 면적은 약 12,000 km2이며, 연평균 강수량 1,380 mm의 결과로 연간 방류량은 약 105 m3s−1이다.[3] 유역은 동쪽으로 디나르 알프스 산맥, 북서쪽으로 스빌라야 산에 접해 있으며, 대부분 백악기 석회암을 비롯한 탄산염암에서 배수된다. 트라이아스기와 쥐라기 암석도 노출되어 있으며 백운암 석회암과 플리쉬를 포함한다. 카르스트 지질은 높은 산등성이로 분리된 분지를 통해 지형을 제어한다.[3]
2. 1. 발원지 및 상류
체티나강은 디나라 산맥 북서쪽 사면에서 발원한다. 브를리카에서 북쪽으로 7km 떨어진 작은 마을 체티나 근처의 밀라세보 샘에서 시작하여 101km를 흘러 아드리아해로 들어간다.[1][3]2. 2. 중류
브를리카 근처에는 하류로 약 25km 떨어진 곳에 댐이 만들어지면서 생긴 거대한 인공 호수인 페루차 호가 있다.[1] 체티나강은 시니 카르스트 지대의 하류로 들어가 시니 시를 통과한 후, 동쪽으로 흘러 트릴 시를 지나 모소르 산맥을 돌아서 서쪽으로 향한다.[1]체티나강은 가시적인 유역 외에도 지하 통로를 통해 서부 보스니아 카르스트 지대에서 많은 물을 공급받는다. 하류는 오미슈에서 20km 떨어진 자드바리에 마을 근처의 해발 49m에 있는 구바비차 폭포에서 시작된다. 이곳에서 체티나강은 계곡을 벗어나 계곡의 모습을 간직한 새로운 계곡으로 흘러 들어간다.[2]
2. 3. 하류
브를리카 근처에는 댐에 의해 만들어진 거대한 인공 호수인 페루차 호가 있다. 페루차 호는 브를리카에서 하류로 약 25km 떨어져 있다.[1][3] 체티나강은 시니 카르스트 지대의 하류로 들어가 시니 시를 통과한다. 그 후 동쪽으로 흘러 트릴 시를 지나 모소르 산맥을 돌아서 서쪽으로 향한 다음 오미슈 시에서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간다.체티나강은 가시적인 유역 외에도 지하 통로를 통해 서부 보스니아 카르스트 지대에서 많은 물을 공급받는다. 하류는 오미슈에서 약 32.19km 떨어진 자드바리에 마을 근처의 해발 49m인 구바비차 폭포에서 시작된다. 이곳에서 체티나강은 계곡을 벗어나 계곡의 모습을 간직한 계곡으로 흘러 들어간다.[2]
체티나강의 후반부와 상대적으로 큰 고도 차이를 이용하여 몇 개의 상당한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었다.[4] 체티나강의 물은 "체티나"라는 이름으로 병입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2. 4. 수자원
디나라 산맥 북서쪽 사면에서 발원하는 체티나강은 브를리카에서 북쪽으로 7km 떨어진 작은 마을 체티나 근처의 밀라세보 샘에서 시작하여 101km를 흘러 아드리아해로 들어간다.[1][3] 브를리카 근처에는 하류로 약 25km 떨어진 곳에 있는 댐에 의해 만들어진 거대한 인공 호수인 페루차 호가 있다. 체티나강은 이후 시니 카르스트 지대의 하류로 들어가 시니 시를 통과한다. 그 후 동쪽으로 흘러 트릴 시를 지나 모소르 산맥을 돌아서 서쪽으로 향한 다음 오미슈 시에서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간다.체티나강은 가시적인 유역 외에도 지하 통로를 통해 서부 보스니아 카르스트 지대에서 많은 물을 공급받는다. 하류는 오미슈에서 20km 떨어진 자드바리에 마을 근처의 해발 49m의 구바비차 폭포에서 시작된다. 이곳에서 계곡을 벗어나 계곡의 모습을 간직한 계곡으로 흘러 들어간다.[2]
체티나강의 후반부와 상대적으로 큰 고도 차이를 이용하여 몇 개의 상당한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었다.[4] 체티나강의 물은 "체티나"라는 이름으로 병입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유역의 총 배수 면적은 약 12,000 km2이며, 연평균 강수량 1,380 mm의 결과로 연간 방류량은 약 105 m3s−1이다.[3]
동쪽으로는 해발 2000m까지 솟아 있는 디나르 알프스 산맥에, 북서쪽으로는 스빌라야 산에 접해 있으며, 유역의 대부분은 백악기의 석회암을 비롯한 탄산염암에서 배수된다. 트라이아스기와 쥐라기의 암석도 유역에서 노출되어 있으며 백운암 석회암과 플리쉬를 포함한다. 기저의 카르스트 지질은 높은 산등성이로 분리된 일련의 구조적으로 정렬된 분지를 통해 지형을 제어한다.[3]
2. 5. 지질학적 특징
체티나강은 디나라 산맥 북서쪽 사면에서 발원한다. 브를리카에서 북쪽으로 7km 떨어진 작은 마을 체티나 근처의 밀라세보 샘에서 시작하여 101km를 흘러 아드리아해로 들어간다.[1][3]체티나강 유역의 대부분은 백악기의 석회암을 비롯한 탄산염암에서 배수된다. 트라이아스기와 쥐라기의 암석도 유역에서 노출되어 있으며 백운암 석회암과 플리쉬를 포함한다. 기저의 카르스트 지질은 높은 산등성이로 분리된 일련의 구조적으로 정렬된 분지를 통해 지형을 제어한다.[3] 동쪽으로는 해발 2000m까지 솟아 있는 디나르 알프스 산맥에, 북서쪽으로는 스빌라야 산에 접해 있다.[3]
3. 역사 및 고고학
체티나 계곡과 클리스의 좁은 통로는 크로아티아 해안과 내륙 지방 사이의 주요 무역로였으며, 발칸 반도와 유럽의 발전에 전략적으로 중요했다.[3]
이 지역은 델마타이의 중심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트릴 도시 바로 위에 틸루리움 (가르둔)에 군단병 요새가 위치하여 전략적 중요성이 강조된다.[3]
이후 이 지역은 여러 세력 간의 경쟁이 치열했으며, 16세기 초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기 전까지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그 후 150년 동안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 사이의 국경 역할을 했다.[3]
오늘날 체티나 강 협곡은 래프팅, 캐녀닝, 집라인, 암벽 등반, 카약 등과 같은 모험 활동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매우 인기가 높다.
3. 1. 선사 시대
체티나 계곡과 클리스의 좁은 통로는 항상 크로아티아 해안과 내륙 지방 사이의 주요 무역로 역할을 해왔다. 전략적으로 볼 때, 이곳은 발칸 반도뿐만 아니라 유럽의 중요한 지역 발전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3]가장 초기의 농업 활동 증거는 계곡 상부에서 발견된 초기 신석기 시대의 유물이다. 청동기 시대 초기에는 아드리아 해 분지 전역과 접촉하며 지리적으로 널리 퍼진 집단인 체티나 문화가 지배적이 되었다. 체티나, 브를리카, 바야기치 주변의 여러 지역에 있는 계곡 하부 경사면에 광대한 '고분 밭'이 기록되어 있다.[3] 유럽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 강은 선사 시대 전반에 걸쳐 의도적인 유물 매장의 초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체티나 강과 루다 강이 트릴에서 합류하는 지점에서 특히 그렇다.[3]
3. 2. 고대
체티나 계곡과 클리스의 좁은 통로는 항상 크로아티아 해안과 내륙 지방 사이의 주요 무역로 역할을 해왔다. 전략적으로 볼 때, 이곳은 발칸 반도뿐만 아니라 유럽의 중요한 지역 발전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3]가장 초기의 농업 활동 증거는 계곡 상부에서 발견된 초기 신석기 시대의 유물이다. 청동기 시대 초기에는 아드리아 해 분지 전역과 접촉하며 지리적으로 널리 퍼진 집단인 체티나 문화가 지배적이 되었다. 체티나, 브를리카, 바야기치 주변의 여러 지역에 있는 계곡 하부 경사면에 광대한 '고분 밭'이 기록되어 있다.[3] 유럽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 강은 선사 시대 전반에 걸쳐 의도적인 유물 매장의 초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체티나 강과 루다 강이 트릴에서 합류하는 지점에서 특히 그렇다.[3]
이 지역은 델마타이의 중심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은 오늘날 트릴 도시 바로 위에 있는 틸루리움 (가르둔)에 군단병 요새가 위치해 있다는 사실에서도 강조되는데, 이곳은 남쪽에서 계곡으로 들어가는 입구와 살로나에 있는 지방 수도로 접근하는 길을 지키고 있다.[3]
초기 중세 시대 동안 지명 증거는 체티나 계곡과 아마도 강 자체가 슬라브와 후기 로마 세력 사이의 경계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시니 주변 지역은 결국 슬라브 세력의 중심지로 부상했으며, 특히 상류 지역에서 초기 크로아티아 국가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3]
3. 3. 중세
초기 중세 시대 동안 지명 증거는 체티나 계곡과 아마도 강 자체가 슬라브와 후기 로마 세력 사이의 경계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시니 주변 지역은 결국 슬라브 세력의 중심지로 부상했으며, 특히 상류 지역에서 초기 크로아티아 국가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3]이후 이 지역은 여러 지역 세력과 지방 세력 간의 경쟁이 치열했으며, 16세기 초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기 전까지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그 후 150년 후에 이 지역이 재정복될 때까지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 사이의 국경 역할을 유지했다.[3]
3. 4. 근세
체티나 계곡과 클리스의 좁은 통로는 항상 크로아티아 해안과 내륙 지방 사이의 주요 무역로 역할을 해왔다. 전략적으로 볼 때, 이곳은 발칸 반도뿐만 아니라 유럽의 중요한 지역 발전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3]16세기 초, 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기 전까지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으며 경쟁이 치열했다. 이후 150년 동안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 사이의 국경 역할을 했다.[3]
4. 현대
오늘날 체티나강은 다양한 모험 활동을 즐기는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1]
4. 1. 관광 산업
오늘날 체티나 강 협곡은 래프팅, 캐녀닝, 집라인, 암벽 등반, 카약 등과 같은 모험 활동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다.참조
[1]
간행물
Croatia Yearbook 2017
[2]
서적
The Croatian Adriatic Tourist Guide
Naklada Naprijed
1999
[3]
논문
Assessing the later prehistoric environmental archaeology and landscape development of the Cetina Valley, Croatia
[4]
학위논문
Analiza rada termoelektrane i hidroelektrane na Peruči
https://urn.nsk.hr/u[...]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Naval Architecture
2019-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