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구이저우성 동남부에 위치한 자치주이다. 동쪽으로는 후난성, 남쪽으로는 광시 좡족 자치구, 서쪽으로는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북쪽으로는 쭌이 시 및 퉁런 시와 접한다. 먀오족과 둥족을 비롯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며, 1956년 4월 13일 자치주 인민정부가 성립되었다. 현재 1개의 현급시(카이리 시)와 15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348만 명 이상의 인구 중 먀오족이 41.57%, 둥족이 29.02%를 차지한다. 교통으로는 카이리 황핑 공항과 리핑 공항이 있으며, 후쿤 여객전용선, 구이광 여객전용선, 후쿤선 등 철도 노선과 후쿤 고속도로, 란하이 고속도로, 샤룽 고속도로 등이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이저우성의 자치주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는 구이저우성 남서부에 위치하며 부이족 거주지에 먀오족이 이주하여 형성된 자치주로, 풍부한 지하자원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구이저우성의 자치주 -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는 구이저우 성 남부에 위치한 소수 민족 자치주로, 부이족과 먀오족의 자치주이며 1956년에 설립되어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쳐 현급시, 현,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고, 교통망과 카르스트 지형, FAST 전파망원경 등의 명소가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둥족 자치지방 -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
징저우 먀오족 둥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화이화시에 위치하며, 1987년 먀오족과 둥족 자치현으로 지정되었고, 아열대 몬순 기후에 27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며 먀오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둥족 자치지방 - 싼장 둥족 자치현
싼장 둥족 자치현은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류저우시에 위치한 자치현으로, 1105년 회원현으로 설치되어 삼강현을 거쳐 1955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편되었으며, 아열대 기후와 둥족 거주 지역, 풍우교 등의 관광 명소가 있고, 국도 209호선과 구이양-광저우 고속철도 싼장 남역이 위치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먀오족 자치지방 -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
샹시 투자족 먀오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서북부에 위치하며 투자족과 먀오족을 주류로 하는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곳으로, 샹시 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52년에 샹시 먀오족 자치구로 설립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먀오족 자치지방 -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첸시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는 구이저우성 남서부에 위치하며 부이족 거주지에 먀오족이 이주하여 형성된 자치주로, 풍부한 지하자원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
로마자 표기 | Qiandongnan Miao and Dong Autonomous Prefecture |
![]() | |
일반 정보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구이저우 성 |
설립 | 1956년 |
면적 | |
총 면적 | 30,337 km2 |
인구 | |
2018년 총 인구 | 3,538,300 명 |
경제 | |
GDP 총액 | CN¥ 1192억 (US$ 173억) |
1인당 GDP | CN¥ 31,719 (US$ 4,599) |
시간대 | |
표준시 | 중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8 |
좌표 |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556000 |
지역 번호 | 0855 |
ISO 코드 | CN-GZ-26 |
2. 지리
구이저우성 동남부의 산간 지역에 위치하며, 동쪽은 후난성 화이화 시, 남쪽은 광시 좡족 자치구 류저우 시 및 허츠 시, 서쪽은 구이저우성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 북쪽은 쭌이 시 및 퉁런 시와 접한다. 동서 길이는 220km, 남북 길이는 240km이다.
명나라 영락제는 1413년 사주 등 선위사를 폐지하고 직접 통치로 전환하여 소수 민족 동화 정책을 실시했다. 청나라 역시 이 정책을 계승하여, 명청 시대에 먀오족 등의 반란이 자주 발생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6년에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인민정부가 성립되었고, 카이리 현에 주 정부 소재지가 설치되었다. 1983년 카이리 현은 시로 승격되었다.
2018년 기준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의 호구(户籍) 인구는 4,811,900명이며, 이 중 3,538,300명(73.53%)이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소수 민족 인구 비율이 81.3%로 매우 높으며, 먀오족(43.2%)과 둥족(30.4%)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2] 2002년에는 총인구 4,312,900명 중 한족이 936,310명 (19.39%), 중국의 소수 민족이 3,476,800명 (80.61%)이었다.
3. 역사
1956년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 성립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가 있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연도 사건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귀주성 진원전구 성립. 진원현, 시병현, 황평현, 로산현, 삼수현, 잠공현, 천주현, 금평현, 태강현, 검하현, 여경현, 뇌산설치국 발족(11현 1설치국). 1949년 11월 23일 뇌산설치국이 현으로 바뀌어, 뇌산현이 됨(12현). 1952년 12월 13일 로산현이 자치구로 바뀌어, 로산 먀오족 자치구가 됨(11현 1자치구). 1953년 2월 25일 천주현, 금평현 각 일부가 후난성 첸양전구 징 현에 편입(11현 1자치구). 1954년 1월 29일 태강현이 자치구로 바뀌어, 태강 먀오족 자치구가 됨(10현 2자치구). 1954년 6월 26일 뇌산현이 자치구로 바뀌어, 뇌산 먀오족 자치구가 됨(9현 3자치구). 1955년 5월 27일 금평현의 일부가 후난성 첸양전구 징 현에 편입(9현 3자치구). 1955년 12월 26일 로산 먀오족 자치구, 태강 먀오족 자치구, 뇌산 먀오족 자치구가 현으로 바뀌어, 각각 로산 먀오족 자치현, 태강 먀오족 자치현, 뇌산 먀오족 자치현이 됨(9현 3자치현). 1956년 4월 13일 진원전구의 진원현, 검하현, 황평현, 시병현, 삼수현, 잠공현, 천주현, 금평현, 로산 먀오족 자치현, 뇌산 먀오족 자치현, 태강 먀오족 자치현이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에 편입(1현). 1956년 4월 18일 여경현이 쭌이전구에 편입. 로산 먀오족 자치현, 태강 먀오족 자치현, 뇌산 먀오족 자치현, 단채 먀오족 자치현이 현으로 변경(16현). 1956년 9월 11일 용강현의 일부가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의 산두현, 려파현, 도균시, 두산현의 각 일부와 합병하여, 첸난 부이족 먀오족 자치주의 산두 수족 자치현이 됨(16현). 1958년 12월 29일 로산현, 뢰산현, 단채현, 마강현이 합병하여, 개리현이 발족. 잠공현, 삼수현이 진원현에 편입. 시병현이 황평현에 편입. 천주현이 금평현에 편입. 태강현이 검하현에 편입. 종강현이 용강현에 편입(7현). 1961년 8월 16일 개리현의 일부가 분립하여, 마강현, 뢰산현이 발족. 진원현의 일부가 분립하여, 잠공현이 발족. 금평현의 일부가 분립하여, 천주현이 발족. 용강현의 일부가 분립하여, 종강현이 발족(12현). 1962년 10월 20일 황평현의 일부가 분립하여, 시병현이 발족. 진원현의 일부가 분립하여, 삼수현이 발족. 검하현의 일부가 분립하여, 태강현이 발족. 뢰산현, 마강현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단채현이 발족(16현). 1983년 8월 19일 개리현이 시로 승격하여, 개리시가 됨. 마강현의 일부가 개리시에 편입(1시 15현). 2003년 2월 20일 태강현의 일부가 검하현에 편입(1시 15현). 2014년 9월 15일 마강현의 일부가 개리시에 편입(1시 15현).
4. 행정 구역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는 1개의 현급시와 15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현급시 현 카이리 시
5. 인구
5. 1. 민족 구성
의 민족 구성은 2010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7]
민족 | 먀오족 | 둥족 | 한족 | 수이족 | 부이족 | 투자족 | 서족 | 미승인 민족 | 좡족 | 야오족 | 기타 |
---|---|---|---|---|---|---|---|---|---|---|---|
인구 | 1,447,257 | 1,010,352 | 756,587 | 55,357 | 34,599 | 33,676 | 31,397 | 28,189 | 24,618 | 21,732 | 38,127 |
전체 인구 대비 비율 (%) | 41.57 | 29.02 | 21.73 | 1.59 | 0.99 | 0.97 | 0.90 | 0.81 | 0.71 | 0.62 | 1.10 |
소수 민족 인구 대비 비율 (%) | 53.10 | 37.07 | - | 2.03 | 1.27 | 1.24 | 1.15 | 1.03 | 0.90 | 0.80 | 1.40 |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첸둥난의 인구는 3,480,626명이었다. 이 중 남성은 1,821,262명(52.33%), 여성은 1,659,364명(47.67%)이었다. 0–14세는 865,119명(24.86%), 15–64세는 2,271,506명(65.26%), 65세 이상은 344,002명(9.88%)이었다. 도시 인구는 905,659명(26.02%)이었고, 농촌 인구는 2,574,967명(73.98%)이었다.[6]
6. 교통
첸둥난 먀오족 둥족 자치주는 항공, 철도, 도로 교통을 갖추고 있다.
철도는 중국철로총공사에서 운영하며, 후쿤 여객전용선, 구이광 여객전용선, 후쿤선이 지나간다.
도로는 후쿤 고속도로, 란하이 고속도로, 샤룽 고속도로, 쑹충 고속도로, 옌룽 고속도로, 장첸 고속도로, 위안안 고속도로, 카이레이 고속도로, 톈황 고속도로가 있으며, 320 국도와 321 국도도 지나간다.
6. 1. 항공
카이리 황핑 공항리핑 공항
6. 2. 철도
- - 중국철로총공사
- 후쿤 여객전용선
- 구이광 여객전용선
- 후쿤선
6. 3. 도로
- - 후쿤 고속도로, -- 란하이 고속도로, -- 샤룽 고속도로, 쑹충 고속도로, 옌룽 고속도로, 장첸 고속도로, 위안안 고속도로, 카이레이 고속도로, 톈황 고속도로가 있다.
320 국도와 321 국도가 지나간다.
참조
[1]
웹사이트
自然环境
http://www.qdn.gov.c[...]
Qiandongnan Prefecture People's Government
2019-06-27
[2]
웹사이트
人口民族
http://www.qdn.gov.c[...]
Qiandongnan Prefecture People's Government
2019-06-27
[3]
서적
贵州统计年鉴(2021)
中国统计出版社
[4]
웹사이트
Qiandongnan Prefecture Government
http://www.qdn.gov.c[...]
[5]
웹사이트
贵州省第七次全国人口普查公报(第二号)
http://stjj.guizhou.[...]
2022-06-30
[6]
서적
《黔东南苗族侗族自治州2010年第六次全国人口普查主要数据公报》
[7]
서적
《贵州省2010年人口普查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12-07
[8]
웹사이트
自然环境
http://www.qdn.gov.c[...]
黔东南苗族侗族自治州人民政府
2019-06-27
[9]
웹사이트
人口民族
http://www.qdn.gov.c[...]
黔东南苗族侗族自治州人民政府
2019-06-27
[10]
웹사이트
贵州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