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용은 1852년 유장우가 강충원의 요청으로 조직한 청나라 말기의 향용 군대이다. 야오족의 봉기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참여했으며, 특히 사의도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며 명성을 얻었다. 이후 강충원의 죽음 이후 유장우가 지휘를 이어받아 태평천국군, 천지회 등을 진압하고, 동간 반란 진압에도 참여했다. 좌종당은 초용을 이끌고 신장을 재정복했으며, 대만에도 파견되었다. 초용은 상군의 광의의 개념에 포함되기도 하며, 좌종당이 증국번을 떠나 독자적으로 편성한 향용을 초용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군사 - 천총
    천총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천 명의 지휘관을 의미하며, 고대 마케도니아, 페르시아, 로마, 비잔틴 제국 등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군사 조직의 지휘관 또는 행정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 청나라의 군사 - 의정왕대신회의
    의정왕대신회의는 청나라 초기에 설립된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초기에는 황족과 고위 관리들이 군사 문제를 심의했으나 옹정제 시대에 대각원에 의해 기능이 대체되며 권한이 축소되었다.
  • 후난성의 역사 - 남당
    남당은 오대십국 시대 강남을 중심으로 서지고(이병)가 건국하여 당을 계승했다는 명분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경과 이유 시대에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후주와 송의 압력으로 쇠퇴하여 송에 멸망, 문화적 유산과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 후난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초용
개요
중국 용군 깃발 (1862-1890)
깃발
존속 기간19세기 후반
국가청나라
유형군대
역할진압, 수비
규모다양함 (수천에서 수만 명)
별칭용군 (勇軍)
지휘관다양한 장군 및 관리
역사적 맥락
기원태평천국의 난
창설 시기19세기 중반
창설 장소중국 남부
조직 및 구조
모집지역 모집 (주로 농민)
훈련기본적인 군사 훈련
무기활, 창, 검, 초기 화기
지휘 체계지역 지도자와 청나라 관리
주요 전투 및 역할
주요 임무반란 진압 및 지역 방어
주요 활동 지역중국 남부 및 기타 지역
유명 전투태평천국의 난 관련 전투
해체 및 유산
해체 시기19세기 말-20세기 초
해체 이유군사 개혁 및 현대화
영향청나라 군대 약화에 기여, 지역 군벌 세력 강화
기타
참고상용

2. 역사

향군은 청나라 말기에 등장한 지역 용영 군대의 한 예로, 만주족 팔기군이나 녹영과는 달랐다. 향군은 주로 혈족 및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모집되고 이끌어졌으며, 부대 결속력을 위해 지휘관이 장교를 임명하고 전체 작전 기간 동안 부대를 지휘했다.[1]

좌종당은 동간 반란 진압에 호남군을 지휘했으며, 1872년 12월 3,000명을 감숙성 쑤저우로 보냈다.[2] 당시 호남에서는 학자 출신 문인들이 군인이 되거나 평민들이 장교로 입대하는 경우가 많았다.[3] 좌종당은 감숙성 재정복을 위해 호남에서 55,000명을 소집했고, 다른 지역 군대도 함께 참여했다.[4] 호남군은 반청 비밀 결사 거로회에 침투당해 동간 반란 중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으나, 좌종당은 이를 진압하고 관련자들을 처형했다.[5]

만주족 출신 돌롱가(To-lung-a)는 호남군을 이끌고 무슬림 반군을 격파, 섬서성에서 그들의 세력을 없애고 감숙성으로 몰아냈다.[6] 뢰정관(Lei Cheng-kuan)은 돌롱가 휘하에서 반군을 격파하고 주요 도시를 점령하여 감숙성 도로를 다시 개통했다.[7]

좌종당의 신장 재정복 후, 향군 등 한족 군인과 체류자들은 투르키 무슬림(위구르) 소녀를 아내로 샀다.[8] 한족과 위구르족은 회족 중개인을 통해 결혼을 중개받고 통역을 이용했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신장에서는 한족 남성과 위구르족 여성 간 결혼이 있었으며, 남편을 찾지 못한 위구르족 여성은 한족, 힌두, 아르메니아, 유대인, 러시아 남성과 결혼하기도 했다.[10][11]

2. 1. 창설 배경

1847년, 야오족인 레이자이하오가 청련교도들을 이끌고 랑산에서 봉기하여 관군을 격파했다. 신녕 현령 리보거인 강충원은 수천 명의 향용을 조직하여 각 마을을 방어하는 일을 맡았다. 1849년, 리원발이 봉기하자 신녕의 공생[13] 유장우와 름생[14] 유곤일향용을 조직했다.

1852년, 태평천국군이 구이린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유장우는 고향에 돌아와 유신서원에서 강학을 하고 있었는데, 강충원의 요청을 받아 출사해 전투에 나섰다. 이때 공식적으로 ‘초용’이라고 자칭하게 되었다.

2. 2. 초기 활동 (태평천국의 난 진압)

1847년, 야오족인 레이자이하오가 청연교도들을 이끌고 랑산에서 봉기하여 관군을 격파했다. 신녕 치현 이박과 거인강충원이 수천 명의 향용을 조직하여 각 마을을 방어하는 일을 맡았다. 1849년, 이원발이 봉기하자 신녕의 공생(貢生)[13] 유장우와 름생(廩生)[14] 유곤일향용을 조직했다.

1852년, 태평천국군이 계림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유장우는 고향에 돌아와서 유신서원에서 강학을 하고 있었는데, 강충원의 요청을 받아 출사해 전투에 나섰다. 이때 공식적으로 ‘초용’이라고 자칭하게 되었다. 초용은 계림에서 태평천국군을 물리치는 데 성공했다. 태평천국군은 전주로 가서 뗏목을 만들고, 상강을 따라 내려와 장사를 공격하고자 하였다. 강충원과 유장우는 계략을 써서 사의도(蓑衣渡)에 진을 치고, 강 가운데 말뚝을 박아두었다. 강을 따라 내려온 태평천국군이 사의도에 이르자 뗏목은 수중에 박아놓은 말뚝에 부딪혀 파괴되었고, 게다가 초용이 불을 질렀다. 이틀간에 격전을 치른 결과, 태평천국의 남왕(南王) 펑윈산이 전사했다. 사의도에서의 승리는 초용의 명성을 크게 떨치는 계기가 되었다.

1920년대의 천심각


1852년 8월, 강충원과 유장우는 5백 명의 정예를 뽑아 상강을 내려가 장사성 북쪽에 주둔했다. 유장우는 장사에서 오랫동안 생활을 했었기 때문에 그곳의 지리에 밝았다. 장사는 동남쪽의 지형이 높아 성 안을 내려다 볼 수 있었다. 때문에, 유장우는 강충원과 상의를 하여 성 남쪽의 천심각(天心閣)에 보루를 마련했다. 태평천국군은 80일 동안 장사성을 포위했지만, 함락시키지는 못했다. 그동안 천심각에서 서왕(西王) 샤오차오구이가 전사하고 태평천국은 거대한 손실을 입었다.

2. 3. 강충원의 죽음과 좌종당의 등장

1853년 6월, 강충원은 안휘순무가 되었다. 10월, 태평천국군은 남창의 포위를 풀고 서정을 시작했다. 강충원은 호북성의 전가진(田家鎭)에서 전투를 벌였지만 패배하여 무한으로 물러났다. 같은 해 12월, 여주를 지키려고 싸웠지만, 후이황이 이끄는 태평천국군에게 포위당했다. 1854년 1월 14일, 군량이 부족했고 원군이 오지 않아 결국 성이 함락되었고, 강충원은 강에 뛰어들어 자결했다.[1]

향군은 만주족 팔기군과 녹영과는 별개로 청나라 말기에 등장한 지역 용영 군대의 한 예였다. 주요 차이점은 지역 연계에 있었는데, 이러한 군대는 종종 혈족 및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모집되고 이끌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야심 찬 지휘관이 권력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군대 장군을 자주 교체하는 일반적인 중국 군사 정책을 위반했다. 용영의 경우, 부대의 결속력의 필요성은 지휘관이 장교를 임명하고 전체 캠페인 기간 동안 부대를 지휘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했다.[1]

좌종당 장군은 동간 반란에서 호남군을 지휘했으며, 1872년 12월에 그들 중 3,000명을 감숙성 쑤저우로 보냈다.[2] 호남에서는 학자 출신 문인들이 "군사화"되었고 더 많은 평민들이 군대의 장교로 입대했다.[3] 좌종당은 동간 반군으로부터 감숙성을 재정복하기 위한 마지막 공세를 시작하기 전에 호남에서 55,000명의 군대를 소집했으며, 다른 지역 군대(사천군, 안휘군, 하남군도 전투에 참여)와 함께 참전했다.[4]

호남군은 반청 비밀 결사 거로회에 광범위하게 침투당했으며, 동간 반란 동안 여러 차례의 반란을 일으켜 결정적인 공세를 지연시켰다. 좌종당은 반란을 진압하고 관련된 사람들을 처형했다.[5] 반란 당시 호남군의 또 다른 지휘관은 만주 기에서 전출된 만주족 돌롱가(To-lung-a)였다. 그는 호남군을 지휘하여 무슬림 반군을 격파하고 섬서성에서 그들의 입지를 완전히 파괴하여 감숙성으로 몰아냈다.[6] 뢰정관(Lei Cheng-kuan)은 돌롱가 휘하의 지휘관으로 반군에 맞서 성공적으로 싸워 중요한 도시를 점령한 후 감숙성 도로를 다시 개통할 수 있게 했다.[7]

2. 4. 후기 활동 (동치중흥과 서북 지역 안정화)

유장우가 초용의 지휘를 이어받아 장시성에 주둔하며, 태평천국의 익왕(翼王) 석달개와 전투를 벌였다. 이후 광시성에서 천지회가 세운 대성국을 진압했다.[1]

좌종당은 동간 반란에서 호남군을 지휘했으며, 1872년 12월에 호남군 3,000명을 감숙성 쑤저우로 보냈다.[2] 좌종당은 동간 반군으로부터 감숙성을 재정복하기 위한 마지막 공세를 시작하기 전에 호남에서 55,000명의 군대를 소집했으며, 사천군, 안휘군, 하남군 등 다른 지역 군대도 전투에 참여했다.[4]

호남군은 반청 비밀 결사 거로회에 광범위하게 침투당했으며, 동간 반란 동안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켜 결정적인 공세를 지연시켰다. 좌종당은 반란을 진압하고 관련된 사람들을 처형했다.[5]

반란 당시 호남군의 또 다른 지휘관은 만주 기에서 전출된 만주족 돌롱가(To-lung-a)였다. 그는 호남군을 지휘하여 무슬림 반군을 격파하고 섬서성에서 그들의 입지를 완전히 파괴하여 감숙성으로 몰아냈다.[6] 뢰정관(Lei Cheng-kuan)은 돌롱가 휘하의 지휘관으로 반군에 맞서 성공적으로 싸워 중요한 도시를 점령한 후 감숙성 도로를 다시 개통할 수 있게 했다.[7]

2. 5. 대만 파견

류밍촨이 타이완 지사가 된 후, 후난군 병력은 류아오의 지휘 아래 16개 대대로 구성되어 타이완에 주둔하며 그의 지휘를 받았다.[12] 타이완에 주둔한 또 다른 군대는 안후이군이었다. 안후이군은 현대식 후장식 총기를 지급받았고, 현대식 전투 훈련을 받았으며, 서양 교관들이 초빙되었다.[12] 류밍촨은 이 두 군대를 "강력한 석궁, 그 힘을 다 써버린" 것으로 묘사했다. 그는 소총에 대해 "총기의 조준기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거리나 높이를 가늠할 수 없다. 따라서 소총을 갖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12]

3. 주요 인물

4. 상군(湘軍)과의 관계

상군에는 광의와 협의의 개념이 있다.

광의의 개념은 태평천국의 난에 대항하여 결성된 호남 출신 향용이라는 의미로, 이 경우 초용도 포함된다. 이 용법은 왕개운의 『상군지』에서 볼 수 있다.

협의의 개념은 증국번형주에서 훈련한 향용이라는 의미로, 이 경우에는 초용은 포함되지 않는다.

5.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참조

[1]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2]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5]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6]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7]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Land of Strangers: The Civilizing Project in Qing Central As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0
[9] Doctoral dissertation The Muslim Emperor of China: Everyday. Politics in Colonial Xinjiang, 1877-1933 https://dash.harvard[...] Harvard null
[10] 학술저널 Mission and Revolution in Central Asia The MCCS Mission Work in Eastern Turkestan 1892-1938 https://equmeniakyrk[...] null
[11] 학술저널 Mission and Revolution in Central Asia The MCCS Mission Work in Eastern Turkestan 1892-1938 https://www.yumpu.co[...] null
[12]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3] 문서 생원
[14] 문서 국가에서 장학금을 받는 성적이 우수한 생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