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원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원길은 다뉴브강 하구에서 태평양까지 뻗어 있으며, 동유럽과 중국 북동부를 연결하는 북아시아 스텝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통로이다. 유라시아 스텝의 건조 초원, 사막, 산, 오아시스, 호수, 강, 삼각주, 저지대 초원, 산악 초원, 삼림 초원 등 다양한 지형을 포함하며, 대륙성 기후로 인해 농사에 불리하다. 이 지역은 우랄산맥, 알타이산맥, 다싱안링산맥을 기준으로 4개의 구획으로 나뉘며, 유목민들의 문화와 교역의 중심지였다. 초원길은 구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청동기 시대를 거쳐 왕조 시대까지 인류의 이동과 문화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동서양을 잇는 교역로로서 실크로드와도 연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의 국제관계사 - 로마-인도 관계
    로마-인도 관계는 고대 로마 제국과 인도 아대륙 간의 무역, 외교, 문화 교류를 포괄하는 역사적 관계로, 특히 해상 무역로 개척과 몬순풍 이용 항로 발견으로 교역이 활발해져 상품 교환은 물론 문화적 영향까지 주고받았다.
  • 유라시아의 역사 - 아르메니아의 역사
    아르메니아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하여 우라르투 왕국, 기독교 채택, 비잔틴 제국과 아랍 칼리프의 지배, 몽골 제국, 오스만 제국과 페르시아의 분할 통치, 러시아 제국 편입, 아르메니아인 학살,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수립과 멸망,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독립 공화국으로의 변천을 거쳐 현재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있다.
  • 국제 도로 -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팬아메리칸 하이웨이는 북미와 남미를 연결하는 범대륙 고속도로 시스템이며, 1937년 여러 국가 간 협약을 통해 건설이 추진되었고, 다리엔 갭으로 인해 파나마와 콜롬비아 사이는 미연결 상태이다.
  • 국제 도로 - 유럽 고속도로
    유럽 고속도로는 1950년 최초의 E-도로 네트워크 정의를 시작으로, 1975년 유럽 협정을 통해 노선 번호 시스템을 설정하고 도로 표준을 개선했으며, 녹색 바탕에 흰색 숫자로 표지판을 표시하여 유럽, 중앙 아시아, 코카서스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 및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원길
개요
이름유라시아 스텝 루트
다른 이름실크로드의 선구자
기원후기 구석기 시대부터 기원전 2000년경의 왕조 시대
중요성지중해부터 한반도, 일본까지 서에서 동으로 영향력을 행사
관련 경로실크 로드
오아시스 루트
해상 루트
특징유목 스텝 공동체 간의 무역 및 문화 교류 촉진
경로 정보
길이약 10,000km
역사
시기후기 구석기 시대 ~ 기원전 2000년경 이후
역할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지르는 무역 및 문화 교류 촉진
특징
연결유라시아 대륙의 동서 연결
교류유목민족 간 교류의 중심 통로
영향동서 문명 발전에 기여
참고 자료
관련 정보스텝의 말: 몽골 말과 혈한
title=실크 로드 또는 스텝 로드? 세계사 속의 실크 로드
이미지
카자흐스탄 스텝의 모습
카자흐스탄 스텝의 모습

2. 지리

초원길은 다뉴브강 하구에서 태평양까지 뻗어 있으며, 북아시아 스텝을 중심으로 동유럽중국 북동부를 연결한다.[42] 유라시아 스텝은 넓고 평평한 지형과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43] 북쪽은 러시아와 시베리아의 숲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남쪽은 사막지대로 그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42][43] 스텝의 주요 특징은 대륙성 기후로 수분이 부족하여 농사에 부적합하다는 것이다.[42]

카자흐스탄 스텝


이 스텝은 우랄산맥, 알타이산맥-사얀산맥, 다싱안링산맥을 기준으로 말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4개의 구획으로 나뉜다.[42] 알타이 산맥과 같은 일부 산악 장벽의 고도는 최대 4000m에 달하며, 원래 일부 지역을 자급자족하게 만들었다.[2]

초원길을 따라 펼쳐진 광대한 지역은 건조 초원, 사막, 산, 오아시스, 호수, 강, 강 삼각주, 저지대 초원, 산악 초원, 삼림 초원 지역을 포함한다.[4] 그 야생 동물은 예술가와 초기 장인의 영감의 원천이었다.[4]

2. 1. 지형적 특징

초원길은 다뉴브강 하구에서 태평양까지 뻗어 있으며, 북아시아 스텝을 중심으로 동유럽중국 북동부를 연결한다.[42] 유라시아 스텝은 넓고 평평한 지형과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43] 북쪽은 러시아와 시베리아의 숲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남쪽은 사막지대로 그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42][43] 스텝의 주요 특징은 대륙성 기후로 수분이 부족하여 농사에 부적합하다는 것이다.[42]

이 스텝은 우랄산맥, 알타이산맥-사얀산맥, 다싱안링산맥을 기준으로 말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4개의 구획으로 나뉜다.[42] 알타이 산맥과 같은 일부 산악 장벽의 고도는 최대 4000m에 달하며, 원래 일부 지역을 자급자족하게 만들었다.[2]

초원길을 따라 펼쳐진 광대한 지역은 건조 초원, 사막, 산, 오아시스, 호수, 강, 강 삼각주, 저지대 초원, 산악 초원, 삼림 초원 지역을 포함한다.[4] 그 야생 동물은 예술가와 초기 장인의 영감의 원천이었다.[4]

2. 2. 한국과의 연결

초원길은 다뉴브강 하구에서부터 태평양까지 뻗어 있어 북아시아 스텝을 중심으로 동유럽중국 북동부를 연결한다.[42] 유라시아 스텝은 넓고 평평한 지형과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43] 북쪽은 러시아와 시베리아의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남쪽은 사막지대로, 그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스텝의 주요 특징은 대륙성 기후로 수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농사에 부적합하다. 이 스텝은 우랄산맥, 알타이산맥-사얀산맥, 다싱안링산맥을 기준으로 말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4개의 구획으로 나뉜다.

3. 공동체

유라시아 유목민들의 문자 기록이 부실하여 이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불렀는지 알기 어렵다. 초원길에 산재한 다양한 문화들은 대부분 독특한 매장 방식과 정교한 유물들로 확인된다.[44] 정교한 유물들은 유목민의 선사 문화와 공예술이 정주민의 문화와 공예술에 비해 덜 발달했다는 가설을 약화시킨다.[45]

기원전 1000년경부터 기마전을 통해 목축과 농경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목민들의 관습이 퍼지기 시작했다.[46] 스텝 유목민들은 여름과 겨울 목초지를 오가며 1년에 몇 번씩 거주지를 옮겨 다녔고, 다른 이웃 공동체들로부터 사회적인 인정을 받는 조직적인 공동체를 이루었다.[47] 이들은 교역을 통해 소식을 주고받고 관계를 다지기도 했다.

유라시아 스텝의 공동체들은 서로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어 생활했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이다. 각 공동체는 고유의 민족적 기원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웃을 포함해 더 멀리 있는 공동체들과도 긴밀한 접촉을 유지했다. 프랑스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은 목축 유목민의 존재가 역사의 더딘 발달 속도 속에서 빠른 변화와 문화적인 변동을 가져온 파괴적인 세력의 증거라고 보았다.

카자흐스탄의 베렐[9]을 비롯한 새로운 유적 발굴 프로젝트는 스텝 무역로의 공동체들을 문화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더 많은 과제가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에서 발견된 유적들을 발굴할 때에 숙고할 점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8] 이 연구는 기원전 4세기 후반과 3세기 초의 반유목민 아리마스피인들이 단지 무역을 위해 말을 사육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들은 동양과 서양 세계의 합류점에 지속적인 영향을 남긴 뛰어난 야금학자, 건축가, 도예가, 보석상, 목각가, 화가들이었다.

3. 1. 유목 공동체의 특징

유라시아 유목민들의 문자 기록이 부실하여 이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불렀는지 알기 어렵다. 초원길에 산재한 다양한 문화들은 대부분 독특한 매장 방식과 정교한 유물들로 확인된다.[44] 정교한 유물들은 유목민의 선사 문화와 공예술이 정주민의 문화와 공예술에 비해 덜 발달했다는 가설을 약화시킨다.[45]

기원전 1000년경부터 기마전을 통해 목축과 농경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목민들의 관습이 퍼지기 시작했다.[46] 스텝 유목민들은 여름과 겨울 목초지를 오가며 1년에 몇 번씩 거주지를 옮겨 다녔고, 다른 이웃 공동체들로부터 사회적인 인정을 받는 조직적인 공동체를 이루었다.[47] 이들은 교역을 통해 소식을 주고받고 관계를 다지기도 했다.

유라시아 스텝의 공동체들은 서로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어 생활했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이다. 각 공동체는 고유의 민족적 기원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웃을 포함해 더 멀리 있는 공동체들과도 긴밀한 접촉을 유지했다. 프랑스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은 목축 유목민의 존재가 역사의 더딘 발달 속도 속에서 빠른 변화와 문화적인 변동을 가져온 파괴적인 세력의 증거라고 보았다.

카자흐스탄의 베렐[9]을 비롯한 새로운 유적 발굴 프로젝트는 스텝 무역로의 공동체들을 문화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더 많은 과제가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에서 발견된 유적들을 발굴할 때에 숙고할 점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8] 이 연구는 기원전 4세기 후반과 3세기 초의 반유목민 아리마스피인들이 단지 무역을 위해 말을 사육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들은 동양과 서양 세계의 합류점에 지속적인 영향을 남긴 뛰어난 야금학자, 건축가, 도예가, 보석상, 목각가, 화가들이었다.

3. 2. 주요 유적과 문화

유라시아 유목민들의 문자 기록이 부실하여 이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칭했는지 알기 어렵다. 초원길을 따라 산재한 다양한 문화들은 대부분 독특한 매장 방식과 정교한 유물들을 통해 확인된다.[44] 이러한 정교한 유물들은 유목민의 선사문화와 공예술이 정주민의 문화와 공예술에 비해 덜 발달했다는 가설을 약화시킨다.[45]

기원전 1000년경부터 기마전을 통해 목축과 농경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목민들의 관습이 퍼지기 시작했다.[46] 스텝 유목민들은 여름과 겨울 목초지 사이에서 1년에 몇 번씩 거주지를 옮겨다니며 다른 이웃 공동체들로부터 사회적인 인정을 받는 조직적인 공동체를 이루었다.[47] 이들은 교역을 통해 소식을 교환하고 관계를 다지기도 했다. 유라시아 스텝의 공동체들은 서로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어 생활했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이다. 각 공동체는 그들만의 민족적 유래를 가지고 있었지만, 동시에 이웃을 포함해 더 멀리 있는 공동체들과도 긴밀한 접촉을 유지했다. 프랑스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은 목축 유목민의 존재가 역사의 더딘 발달 속도 속에서 빠른 변화와 문화적인 변동을 가져온 파괴적인 세력의 증거로 보았다.

카자흐스탄의 베렐[9]과 같은 새로운 유적들은 러시아, 몽골, 중국 국경 근처, 카라-카바 강을 따라 알타이산맥과 타르바가타이산맥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파지릭 문화의 귀족 무덤이다. 발굴 프로젝트는 스텝 무역로의 공동체들을 문화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더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는 것을 재확인시켜주어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에서 발견된 유적들을 발굴할 때에 숙고할 점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8] 이 연구는 기원전 4세기 후반과 3세기 초의 반유목민 아리마스피인들이 단지 무역을 위해 말을 사육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아리마스피인들은 동양과 서양 세계의 합류점에 지속적인 영향을 남긴 뛰어난 야금학자, 건축가, 도예가, 보석상, 목각가, 화가들이었다.

3. 3. 역사학적 관점

유라시아 유목민들의 문자 기록이 부실하여 이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불렀는지 판단하기 어렵고, 초원길을 따라 산재한 다양한 문화들은 대부분 독특한 매장 방식과 유물들을 통해 확인된다.[44] 정교한 유물들이 발견되면서 유목민의 선사문화와 공예술이 정주민의 문화와 공예술에 비해 덜 발달했다는 가설은 약화되었다.[45] 기원전 1000년경부터 기마전을 통해 목축과 농경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목민들의 관습이 퍼지기 시작했다.[46] 스텝 유목민들은 여름과 겨울 목초지 사이에서 1년에 몇 번씩 거주지를 옮겨다니며 다른 이웃 공동체들로부터 사회적인 인정을 받는 조직적인 공동체를 이루었다.[47] 이 공동체들은 교역을 통해 소식을 교환하고 관계를 다지기도 했다.

유라시아 스텝의 공동체들은 서로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어 생활했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이다. 각 공동체는 그들만의 민족적 유래를 가지고 있었지만, 동시에 이웃을 포함해 더 멀리 있는 공동체들과도 긴밀한 접촉을 유지했다. 프랑스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은 목축 유목민의 존재가 역사의 더딘 발달 속도 속에서 빠른 변화와 문화적인 변동을 가져온 파괴적인 세력의 증거로 보았다.

카라-카바강을 따라 알타이산맥과 타르바가타이산맥이 만나는 지점, 즉 러시아, 몽골, 중국의 국경 근처에 위치한 파지릭 문화의 귀족 무덤인 카자흐스탄의 베렐을 비롯한 새로운 유적들에서 발굴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스텝 무역로의 공동체들을 문화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더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는 것을 재확인시켜주어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에서 발견된 유적들을 발굴할 때에 숙고할 점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8] 이 연구는 기원전 4세기 후반과 3세기 초의 반유목민 아리마스피인들이 단지 무역을 위해 말을 사육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아리마스피인들은 동양과 서양 세계의 합류점에 지속적인 영향을 남긴 뛰어난 야금학자, 건축가, 도예가, 보석상, 목각가, 화가들이었다.

4. 역사

4. 1. 구석기 시대

플라이오세 말, 아랄해카스피해 분지, 사리캄쉬 저지를 포함한 주요 산맥과 저지대가 지각 활동으로 형성되었고, 원시적인 시르다리야 강, 제라프샨 강, 아무다리야 강, 우즈보이 강, 무르가브 강, 테젠 강, 아트레크 강, 고르간루드 강 강 시스템이 형성되었다.[10] 플라이스토세홀로세 시대의 주기적인 기후 변화는 서아시아 대부분 지역에서 더 따뜻하고 건조하지 않은 기후를 만들었다. 최초의 현생 인류는 수렵채집인이었으며, 그린 사하라 시기에 아프리카에서 이동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2002년 이스라엘 카르멜 산에서 발굴된 화석은 ''호모 사피엔스''가 194,000~177,000년 전에 초원길의 입구에 도착했으며, 네안데르탈인과 교배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11] 이들의 이동 패턴은 불분명하며, 기원전 9000년경 근동에서 온 새로운 이주민들에게 대체되었다.

파지리크 문화: 우코크 공주 무덤(카자흐스탄)


빙하기 이후 기온이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기원전 5천 년과 4천 년에 정점을 이루었다. 더 우호적인 조건은 인류에게 초원과 더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제공하여 인구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다. 야생 곡물의 규칙적인 수집은 경작 가능한 곡물(밀, 보리)의 육종과 선택으로 이어졌고, 가축 사육을 위한 동물(당나귀, 노새, 말, 양, 염소)의 가축화로 이어졌다.[12] 오리냐크 문화는 시베리아 전역으로 퍼져나갔으며, 이르쿠츠크 근처 상부 앙가라 강에서 오리냐크 비너스 상이 발견되었다.[13] 마들렌 문화의 흔적도 만주, 시베리아, 허베이 성에서 확인되었다. 목축업은 사회 발전에 큰 도약을 가져왔고 고대 반유목 국가를 창조하는 데 필요한 기반을 마련했다.[12]

인골 콜라겐에서 탄소 및 질소 동위원소 분석은 식단 배경을 분류하고 초원 공동체의 경제를 특징짓는 데 도움이 되었다. 스트론튬 동위원소 분석은 다양한 지역 간의 동물 및 인간 이동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산소 동위원소 분석은 초기 음주 습관과 기후 변화가 인구에 미치는 영향을 재구성하는 데 적용된다.[14] 1,500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계통을 분석하여 농업 지식을 발전시킨 수렵 채집인들이 유럽의 다양한 지역에 도착한 시기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중부 및 남서부 유럽에서는 신석기 시대, 중부 및 동부 지중해에서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5]

4. 2. 신석기 시대

흑해-카스피해 스텝 지역에서 식량 생산 경제에 대한 초기 경험은 이 시기에 기인한다.[3] 수렵 채집 경제에서 농업과 목축업을 통한 식량 생산 경제로의 전환은 심오한 사회적, 문화적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산림 스텝 지역에서는 수렵과 강 낚시가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가축 사육으로의 전환은 인류 사회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신석기 혁명"에 크게 기여했다.[3] 동시에, 식물 및 동물의 사육, 공예 활동(장식품의 광범위한 사용을 초래), 채석기 시대 또는 에네올리식 시대(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과도기)에 최초의 고분을 건설하는 것을 포함한 매장 관습을 위한 더욱 편안한 정착촌 건설과 함께 새로운 생활 방식이 등장했다.

휴식을 취하는 여성: 신석기 시대 테라코타, 기원전 5600년경 (터키)


내 유라시아 스텝 지역은 아마도 기원전 4천 년기부터 광범위한 형태의 말 목축업을 실천하며 이곳저곳을 이동하는 원시 인도-이란어를 사용하는 안드로노보 문화의 유목 공동체에 의해 점유되었다.[3] 이는 목축민들의 접촉과 영향력이 넓은 지역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했다. 승마에 대한 가장 초기의 증거는 동부 우크라이나의 스레드니 스토그 문화 공동체와 기원전 4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박트리아 낙타의 가축화가 이루어진 남부 러시아에서 발견된다.[33] 이 두 봉우리 짐 운반 동물은 40°C에서 -30°C까지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적응력이 뛰어난 동물 중 하나이다. 동부 유라시아에서는 중국 북서부의 타림 분지에 정착한 인도유럽어족 공동체(토하라인)에 의해 기원전 4000년경에 농업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6] 서부 유라시아에서는, 같은 시기에 시작된 문자의 혁신적인 도입은, 분명히 회계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시작되었지만, 사후 세계를 위한 메시지를 남기려는 수메르의 관심과 함께 발전했다.[17][18] 현대 중국 국가 영토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내부 중국 (즉, 만주, 몽골, 신장 및 칭하이-티베트 고원 제외)[19] 에서는 기원전 6200-6600년경의 자오후 부호의 거북이 껍질 조각이 발견되었다. 현재로서는 체계적인 문자의 증거라기보다는 기호로 간주되는 듯하다.[20] 문자 및 회계는 유라시아의 여러 지역, 예를 들어 지중해 분지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독립적으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스텝 루트를 따라 비교적 빠르게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4. 3.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로의 전환기는 초원길의 다양한 지리적 지역에서 다양한 패턴을 보인다. 그러나 수많은 공예 활동은 장신구, 기구 및 가정 용품의 제조와 관련되었다. 기원전 6~5천 년기 (빈차 문화, 현재의 세르비아)부터 폰토스-카스피해 스텝은 구리 생산의 발상지로 추적할 수 있으며, 이후 2천 년에 걸쳐 전체 스텝 지역으로 확산되었다.[21] 4천 년 초, 스텝 유목민에 의해 알타이 지역에 구리 기술이 도입되었다. 청동기 시대는 기후가 급격히 냉각되는 시기로, 기원전 3~2천 년기의 전환기에 농업과 목축에 더 유리한 새로운 온도 상승이 나타났다. 선사 시대의 기병대와 금속 무기의 이중 사용은 훨씬 더 군사화되고 잠재적으로 더 적대적인 환경의 틀을 마련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가장 평화로운 - 또는 가장 약한 - ''호모 사피엔스'' 집단이 초원길의 더 외딴 지역으로 이주하게 했다.[22]

청동기 시대 사냥 장면 (카자흐스탄)


금속 제련 및 도자기 생산(채색된 그릇과 테라코타 조각)과 같은 고도의 기술은 준보석 (라피스 라줄리, 터키석, 스피넬, 석영)으로 만든 장신구 생산의 폐기물로 덮인 넓은 지역과 나란히 발견된다.[23] 경제적 번영은 작은 형태, 특히 채색된 도자기, 작은 조각품, 야생 생물에서 영감을 받은 장신구, 장례 선물에서 발견되는 뛰어난 예술적 표현의 풍요로움으로 이어졌다. 또한 더 복잡한 사회 조직을 촉진했다.[21]

한국의 첫 번째 청동기 시대는 세이마-투르비노 현상 (기원전 1500~900년)의 확산으로 시작되었다. 스키타이 문화와 요령 청동 단검 문화가 만주에 존재했다. 상하가점 문화는 기원전 1100~700년에 카라수크 문화 및 초기 스키토-사카 시대와 형성되고 상호 작용했다. 이 기간 동안 카라수크 양식의 청동기는 상하가점뿐만 아니라 북한, 랴오닝 성, 러시아의 극동 지역 (프리모르스키 지방)까지 확산되었다. 이 기간 동안 요령 청동 단검 문화는 만주와 한반도 북부에서 분명히 존재했다.[24] 초원길의 교역 패턴은 동아시아 비단이 중국에서만 온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고구려 왕국(한국)의 신석기 시대 유물(기원전 4000~3000년)은 누에와 뽕잎 무늬가 있는 토기, 누에의 작은 암각화를 보여주었다. ''삼국지'' [25]는 변한과 진한 (후에 한국의 신라와 가야로 알려짐)이 “많은 뽕나무와 누에”를 가지고 있었다고 언급하며, 한반도에서 생산된 비단이 고대부터 다른 국가에 알려졌음을 나타낸다. 기원전 3천 년대 후반, 군사 지향적인 가축 사육 공동체가 동부 중앙아시아(사얀-알타이, 몽골)에 정착했다. 옥 (비취) 길이 구체화되었고, 이 광물은 호탄 왕국과 예청 현에서 채굴되어 중국에 판매되었다.[33] 수레의 도입 이후 스텝 길에서 공동체의 이동성은 더욱 증가했다.[26]

유라시아 스텝 길에서 청동기 시대의 종말은 생산과 새로운 경제 조직이 일부 가문의 부를 축적하고 새로운 경제적 상호 작용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27] 그들의 남성 지도자들은 이후 무장 세력이 되어 최고의 목초지를 통제하기 위해 충돌하고 동맹을 맺거나, 새로운 국가가 될 수 있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이주했다.

4. 4. 왕조 시대

기원전 2000년경, 초원길 교역 네트워크는 실크로드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 "초원길" 문화는 확고히 자리 잡았다. 초기에는 사륜 전차를 따르는 느린 이동 집단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유목민들이 이들을 대체하거나 노예로 만들었다. 유목민들은 작은 말을 타고 활을 주 무기로 사용했으며, 부유한 기수는 칼이나 사브르를 사용하기도 했다.[8] 이들은 지름 1미터, 10개의 살을 가진 바퀴가 달린 가벼운 전차를 사용했다.[28] 이러한 변화는 내륙 유라시아 스텝 내에서 활발한 교역 시스템을 강화했으며, 상호 연결된 목축 공동체의 역할에 크게 의존했다.[29] 그 결과, 초원길을 따라 이동, 변환, 문화적 상호 작용이 복잡하게 나타났다. 기원전 2천 년대에 중앙아시아 광범위한 지역에서 인구 이동이 발생하여 민족 문화 발달 모습이 변화하였다.

칼, 초기 철기 시대 (한국)


로마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에 따르면, 로마인들은 기원전 53년 카르해 전투에서 패배하기 전 파르티아 깃발 형태로 고품질 실크를 처음 보았다.[30]

신라 왕국의 묘에서 발굴된 유리 제품 중 일부는 로마 제국의 지중해 지역에서 발견된 것과 유사하여, 스텝 로드의 양 극단 간 교역이 있었음을 보여준다.[31] 터키 콘스탄티노플에서 한국 경주까지 상업 상품 이동 시간은 6개월을 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로마 유리와 다른 유물들은 카자흐스탄, 몽골, 만주를 거쳐 경주로 전달되었다. 교역된 상품들은 서기 600년에도 스텝 로드를 통한 교역이 활발했음을 보여준다.[32] 중국과 스텝 로드의 상호 관계는 수레, 말, 야금술 등 유라시아 스텝 서부 공동체에서 수입된 것으로 보이는 세 가지 주요 혁신을 바탕으로 상 (商) 왕조 시대 중국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을 수 있다.[33] 지중해에서 한반도까지 스텝 로드를 따라 이동한 영향은 기술, 스타일, 문화, 종교, 질병 패턴 등에서 나타난다.

4.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The Horses of the Steppe: The Mongolian Horse and the Blood-Sweating Stallions ! Silk Road in Rare Books http://dsr.nii.ac.jp[...] 2017-02-22
[2] 웹사이트 Eurasian winds toward Silla http://www.miho.or.j[...] 2017-02-22
[3] 서적 Ancient Glass Research Along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9-01-01
[4] 서적 Nomads of the Eurasian Steppes in the Early Iron Age https://books.google[...] Zinat Press 1995-01-01
[5] 서적 The Quest for the Origins of Vedic Culture: The Indo-Aryan Migration Deb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1-09-06
[6] 웹사이트 Nomads and Networks: The Ancient Art and Culture of Kazakhstan https://www.nyu.edu/[...] 2012-02-28
[7] 웹사이트 "L'Asie des steppes d'Alexandre le Grand à Gengis Khån, page 4" http://www.guimet.fr[...] 2001-02-03
[8] 서적 Warriors Of The Steppe: Military History Of Central Asia, 500 Bc To 1700 Ad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1997
[9] 서적 Prehistoric Mobility and Diet in the West Eurasian Steppes 3500 to 300 BC: An Isotopic Approach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5-07-01
[10] 서적 Origins of Agriculture in Western Central Asia: An Environmental-Archaeological Stud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09-01
[11] 간행물 Israeli fossils are the oldest modern humans ever found outside of Africa 2018-01-25
[12]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 of Central Asia, Volume I, Food-producing and other neolithic communities in Khorasan and Transoxonia: Eastern Iran Soviet Central Asia and Afghanistan http://unesdoc.unesc[...] UNESCO Publishing
[13]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970-01-01
[14] 서적 Prehistoric Mobility and Diet in the West Eurasian Steppes 3500 to 300 BC: An Isotopic Approach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5-07-01
[15] 문서 Pereira, Joana B., with Pr Richards and Dr Luisa Pereira of the Institute of Molecular Pathology and Immunology, University of Porto, Reconciling evidence from ancient and contemporary genomes: a major source for the European Neolithic within Mediterranean Europe,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017).
[16] 웹인용 An Overview of the Silk Road: Time, Space and Themes ! Silk Road in Rare Books http://dsr.nii.ac.jp[...] 2017-02-26
[17] 서적 From counting to cuneiform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2-01-01
[18] 웹인용 The evolution of writing (abstract) http://sites.utexas.[...] 2014-01-25
[19] 서적 China in the Early Bronze Age: Shang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6-01-01
[20] 웹인용 BBC NEWS ! Science/Nature ! 'Earliest writing' found in China http://news.bbc.co.u[...] 2017-02-26
[21] 서적 By Steppe, Desert, and Ocean: The Birth of Eurasia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5-09-24
[22] 간행물 Formation of the Eurasian Steppe Belt of Stockbreeding cultures: viewed from the prism of archeometallurgy and radiocarbon dating Elsevier 2008-09
[23]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 of central Asia, Volume 1, The bronze age in Iran and Afghanistan http://unesdoc.unesc[...] Unesco Publishing 1992
[24] 간행물 Archa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Early Rela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Eurasian Steppe http://www.sino-plat[...] 2020
[25] 서적 Record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志 Taipei: Dingwen Printing 1977
[26] 간행물 Formation of the Eurasian 'steppe belt' of stockbreeding cultures: viewed through the prism of archaeometallurgy and radiocarbon dating Archaeology Ethnology and Anthropology of Eurasia 35 (3), Elsevier 2008
[27] 간행물 Levine M., Rassamakin Yu., Kislenko A. and Tatarintseva N. (with an introduction by C.Renfrew), 1999. Late Prehistoric Exploitation of the Eurasian Steppe. McDonald Institute Monographs, University of Cambridge, 216 pp.: pp. 59-182. https://www.academia[...]
[28]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 of Central Asia, Volume 1, The decline of the Bronze age and the movement of the tribes http://unesdoc.unesc[...] Unesco Publishing 1992
[29] 웹사이트 Stark, S., Rubinson, K., Samashev, Z., et al., eds.: Nomads and Networks: The Ancient Art and Culture of Kazakhstan. (Hardcover) http://press.princet[...] 2017-02-23
[30] 간행물 Silk Roads or Steppe Roads? The Silk Roads in World History 2000-03-01
[31]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 SILK ROAD https://en.unesco.or[...] 2018-02-05
[32] 뉴스 Roman Glass, not through China's central region, but through eastern Eurasia. https://www.donga.co[...] 2018
[33] 서적 The Prehistory of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8-01-01
[34] 웹사이트 The Horses of the Steppe: The Mongolian Horse and the Blood-Sweating Stallions ! Silk Road in Rare Books http://dsr.nii.ac.jp[...] 2017-02-22
[35] 간행물 Silk Roads or Steppe Roads? The Silk Roads in World History 2000-03-01
[36] 서적 読む事典シルクロードの世界 NHK出版 2019-02
[37] 뉴스 Eurasian winds toward Silla http://www.miho.or.j[...] Miho Museum News (Shiga, Japan) 2009-03
[38] 서적 Ancient Glass Research Along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9-01-01
[39] 서적 Nomads of the Eurasian Steppes in the Early Iron Age https://books.google[...] Zinat Press 1995-01-01
[40] 웹인용 The Horses of the Steppe: The Mongolian Horse and the Blood-Sweating Stallions {{!}} Silk Road in Rare Books http://dsr.nii.ac.jp[...] 2017-02-22
[41] 저널 Silk Roads or Steppe Roads? The Silk Roads in World History 2000-03-01
[42] 웹인용 Eurasian winds toward Silla http://www.miho.or.j[...] 2017-02-22
[43] 서적 Ancient Glass Research Along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9-01-01
[44] 서적 The Quest for the Origins of Vedic Culture: The Indo-Aryan Migration Deb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1-09-06
[45] 웹인용 Nomads and Networks: The Ancient Art and Culture of Kazakhstan https://www.nyu.edu/[...] 2012-02-28
[46] 웹인용 "L'Asie des steppes d'Alexandre le Grand à Gengis Khån, page 4" http://www.guimet.fr[...] 2001-02-03
[47] 서적 Warriors Of The Steppe: Military History Of Central Asia, 500 Bc To 1700 Ad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1997"
[48] 서적 Prehistoric Mobility and Diet in the West Eurasian Steppes 3500 to 300 BC: An Isotopic Approach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5-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