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기능 제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소 기능 제품(MVP)은 제품 출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핵심 기능만 갖춘 제품을 의미한다. MVP는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핵심 요소로, 초기 고객의 피드백을 통해 제품 개선 및 시장 적합성을 검증하는 데 활용된다. MVP는 비용 절감과 위험 감소를 목표로 하며,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여 고객, 가치 제안, 채널, 관계 등을 검증한다. 구현 방법으로는 오퍼, 컨시어지, 오즈의 마법사 등이 있으며, 에어비앤비, 우버, 스포티파이 등 다양한 기업들이 MVP 방식을 활용하여 성공했다. 하지만 MVP는 모방의 위험, 부정적인 피드백, 낮은 품질 기준 등의 한계를 가지며,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최소 실행 실험(MVE)과 같은 새로운 접근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MVP는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최소 기능 브랜드, 최소 기능 공동 창업자, 최소 기능 팀 구성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혁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혁신 - 행위자 연결망 이론
행위자 연결망 이론은 1980년대 프랑스에서 개발된 사회학 이론으로,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과학 기술 혁신 및 지식 창출 과정을 이해하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시스템 공학 - 물류
물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화, 서비스 및 관련 정보를 발생 지점에서 소비 지점까지 계획, 실행, 통제하는 과정이며, 전자상거래 발달과 함께 전자 물류의 중요성이 커지고 물류 자동화 및 시스템, 교육 기관들이 발전하고 있다. - 시스템 공학 -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의 출력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동작을 조절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제어 방식과 기법,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어 소형 장치부터 대규모 산업 공정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최소 기능 제품 | |
---|---|
개요 | |
유형 | 제품 개발 전략 |
목적 | 시장 적합성 검증 및 제품 개선 |
관련 용어 | 린 스타트업 애자일 방법론 프로토타입 제품 시장 적합성 (Product-Market Fit) 피처 크리프 (feature creep) 전환율 최적화 (Conversion Rate Optimization, CRO) 그로스 해킹 (Growth Hacking) |
정의 | |
최소 기능 제품 | 최소한의 기능으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추가 개발을 위한 검증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제품 버전 핵심 기능만을 구현하여 제품 출시 후 고객 피드백을 통해 개선해 나가는 개발 방식 |
목표 | |
주요 목표 |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최소 기능 확인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 시장 적합성 검증 신속한 제품 출시 및 피드백 반영 불필요한 기능 개발 방지 및 자원 효율성 증대 |
특징 | |
핵심 기능 집중 | 필수 기능만 포함하여 개발 초기 비용 및 시간 절감 |
고객 피드백 반영 | 실제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제품 개선 및 방향 설정 |
반복적 개발 | 제품 출시 후 지속적인 개선 및 업데이트 |
빠른 시장 출시 | 최소 기능 제품을 통해 경쟁 우위 확보 및 시장 선점 |
활용 | |
제품 개발 단계 | 아이디어 검증, 프로토타입 제작, 시장 테스트 등에 활용 |
스타트업 | 자원 제약 극복 및 빠른 시장 진입에 유용 |
대기업 | 신규 사업 아이디어 검증 및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 활용 |
고려 사항 | |
핵심 기능 정의 | 고객 요구 충족 및 제품 가치 제공에 필수적인 기능 선정 |
고객 피드백 시스템 구축 | 사용자 의견 수렴 및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마련 |
제품 출시 후 관리 | 지속적인 개선 및 업데이트를 위한 계획 수립 |
장점 | |
비용 절감 | 불필요한 기능 개발 방지로 개발 비용 최소화 |
시간 단축 | 빠른 제품 출시를 통해 시장 경쟁력 확보 |
고객 중심 개발 | 실제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제품 개선 |
위험 감소 | 초기 단계에서 시장 반응을 확인하여 실패 위험 감소 |
단점 | |
기능 부족 | 초기 제품의 기능 부족으로 인한 고객 불만 발생 가능성 |
잘못된 방향 설정 | 고객 피드백 해석 오류로 인한 제품 개발 방향성 상실 우려 |
경쟁 제품 대비 열세 | 경쟁 제품에 비해 기능이 부족하여 경쟁력 약화 가능성 |
추가 정보 | |
주의사항 | 최소 기능 제품은 '최소'에 초점을 맞추되,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함 |
2. 역사적 배경
최소 기능 제품(MVP) 개념은 2001년 프랭크 로빈슨(Frank Robinson)이 처음 소개했으며, 이후 스티브 블랭크와 에릭 리스가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핵심 요소로 발전시켰다. 린 스타트업은 극도의 불확실성 속에서 반복적이고 빠른 개선을 통해 스타트업의 성공 확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MVP는 이러한 접근 방식의 핵심 도구로 활용된다.[77]
MVP는 비즈니스 가설을 테스트하고 검증된 학습을 추구하는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핵심 원칙 중 하나이다.[77] 이는 상세한 사업 계획을 장기간에 걸쳐 수립하는 전통적인 "스텔스 모드" 제품 개발 방식과 대조된다. 스티브 블랭크는 린 스타트업의 주요 원칙이 고객에게 제품에 대한 선호도와 필요성을 묻고, 가설이 틀리면 다른 접근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75]
이처럼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실질적인 투자 이전에 저렴하게 검증하는 방식은 비용을 절감하고, 실험 결과 상업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사업은 쉽게 종료할 수 있어 위험을 줄인다. 특히, 시장 수요 부족은 창업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데,[78] 많은 스타트업이 제품에 대한 수요 부족으로 초기 투자를 회수할 만큼 충분한 수익을 창출하지 못해 실패한다. 따라서 MVP 활용은 잠재적 기업가에게 제품의 시장 수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 1. 린 스타트업과 MVP
린 스타트업 방법론은 최소 기능 제품(MVP)를 통해 시장 반응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을 개선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방식은 극도의 불확실성 속에서 반복적이고 빠른 개선을 통해 스타트업의 성공 확률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76]MVP는 핵심 기능만 갖춘 제품으로, 얼리 어답터와 같은 특정 고객층에 우선 출시하여 사용자 반응을 얻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개발을 방지하며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정보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11]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서는 새로운 문제점을 확인하거나 사업 초기 구상의 오류를 발견하고, 전혀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피벗'(Pivot)은 시장 반응이 좋지 않을 경우 제품 전략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76] 스타트업의 66%가 당초 계획을 변경한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로 피벗은 중요하지만, 기존의 노력을 부정하는 것이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76]

예를 들어, 2015년 시드니 대학교에서 개발한 리파(Rippa) 로봇은 농장 및 잡초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해 고안되었다.[79] 리파 로봇의 MVP는 로봇이 잡초와 농작물을 구별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기술적 가설 검증 단계를 거쳤다.[80] 이를 통해 실제 농장에서의 실행 가능성이라는 사업 가설을 검증하고, 성공적인 경우에만 추가 개발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MVP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3. 주요 특징
최소 기능 제품(MVP)은 제품을 효과적으로 출시하기에 충분한 핵심 기능만으로 구성된다. 개발자는 주로 얼리 어답터와 같은 잠재 고객에게 제품을 배포하여 피드백을 받고, 제품 비전을 파악한다.[77] 이러한 전략은 고객이 원하지 않는 제품을 만드는 것을 방지하고, 최소 비용으로 고객에 대한 정보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VP는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일부이며, 비즈니스 가설 테스트를 목표로 한다.[77] 이는 기존의 "스텔스 모드" 제품 개발 방식과는 대조적이다. 스티브 블랭크는 린 스타트업 접근 방식의 주요 원칙은 고객에게 제품에 대한 수요와 요구 사항을 질문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가설이 틀리면 다른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75] 이러한 접근 방식은 비용을 절감하고 위험을 제한하며, 시장 수요 부족으로 인한 스타트업 실패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78]
MVP는 아이디어 생성, 프로토타이핑, 발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학습의 반복적인 프로세스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프로세스는 제품/시장 적합도를 확보하거나 제품의 실행 불가능성이 확인될 때까지 반복된다. 스티브 블랭크는 일반적으로 MVP를 최소 기능 집합이라고 칭한다.[84][85]
3. 1. 목적
MVP(최소 기능 제품)는 제품을 효과적으로 출시하고 주요 고객으로부터 유효한 검증을 얻기에 충분한 핵심 기능만 갖춘 제품이다. 이 접근 방식은 고객이 원하지 않는 제품 개발을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최소한의 투자로 고객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수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77]MVP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 최소한의 자원으로 제품 가설을 시험한다.
- 학습 속도를 높인다.
- 불필요한 엔지니어링 시간을 줄인다.
- 가능한 한 빨리 초기 고객에게 제품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MVP는 얼리 어답터와 같이 잠재 고객의 일부에게만 출시된다. 얼리 어답터는 더 관대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으며, 초기 프로토타입 또는 마케팅 정보를 통해 제품 비전을 파악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83] 스티브 블랭크는 MVP를 최소 기능 집합이라고도 한다.[84][85]
"최소 기능 제품은 팀이 최소한의 노력으로 고객에 대한 최대량의 검증된 학습을 수집하는 데 사용하는 새로운 제품의 버전이다."[81]라는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MVP는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학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MVP는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핵심 요소이며,[77] 제품 개발 및 판매 전략의 일부가 될 수 있다.[83] 이는 아이디어 생성, 프로토타이핑, 발표, 데이터 수집, 분석 및 학습의 반복적인 프로세스에서 핵심적인 산출물이다. 이 프로세스는 원하는 제품/시장 적합도를 얻거나 제품이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된다.
예를 들어, 2015년 시드니 대학교의 전문가들은 농장과 잡초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해 리파(Rippa) 로봇을 고안했다.[79] 리파 로봇이 출시되기 전, 로봇의 시스템이 농장 식물의 잡초를 감지할 수 있다는 기본적인 가설을 시험하여 MVP 방법론을 적용했다.[80]
3. 2. 테스트
MVP 테스트는 아이디어가 시장에서 작동하는지 여부를 최소한의 비용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6] 이는 혁신의 위험을 줄이고, 실제 옵션 모델과 같이 시장에서 검증된 점진적인 확장 모델을 허용하기 때문에 유익하다.[86]아이디어의 재무적 가능성을 시험하는 간단한 방법은 발견 주도형 계획이다.[87][88] 발견 주도형 계획은 역소득표(얻고자 하는 수입으로 시작하고, 새로운 발명품에 들어갈 비용을 계산한 다음, 프로젝트가 작동하기 위해 획득해야 하는 수익의 양을 확인)를 통해 아이디어를 뒷받침하는 가정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새로운 벤처의 재무적 가능성을 시험한다.
최소 기능 제품 테스트의 결과는 처음부터 제품을 제조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테스트는 초기 문제나 목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지 평가한다.
3. 3. 구성 요소
최소 기능 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Minimum (최소): MVP 검증이 의미를 가지는 최소한의 크기를 의미하며, 가설에 따라 달라진다.[43][44]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새로운 기능을 원하는지 확인하는 경우, 실제 구현 없이 광고를 게재하고 예약을 받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46]
- Viable (실행 가능):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갖추고, 제품으로서 생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48] MVP 검증을 통해 특정 기능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지, 즉 채택할 가치가 있는지 판단한다.[48]
- Product (제품): 사용자가 이용 또는 구매를 결정할 수 있는 상품을 의미한다.[50][51] 사용자의 구매 행동을 통해 제품의 가치를 판단하여 실제 고객의 요구를 파악한다.
4.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와 MVP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스타트업의 주요 구성 요소와 활동을 나타내는 도구이다.[90] 최소 기능 제품(MVP)은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고객, 가치 제안, 채널, 관계 등의 요소를 검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90]
4. 1. 고객
최소 기능 제품(MVP)을 활용하면, 설문 조사나 실험 출시를 통해 선택된 고객층이 실제로 제품을 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MVP를 사용할 때 핵심은 가능한 한 적은 비용을 들이면서 최대한 많은 것을 배우는 것이다. 즉, 최소한의 비용으로 시장을 검증하는 것이다.[91]4. 2. 가치 제안
가치 제안은 기업이 고객에게 무엇을 제공하고, 어떤 욕구를 충족시키며,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지를 자세히 설명한다.[91] 최소 기능 제품(MVP)은 제품의 기술적 실현 가능성, 즉 해당 가치를 제품을 통해 실제로 제공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된다.[91]예를 들어, 2015년 시드니 대학교의 전문가들은 농장 및 잡초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해 리파(Rippa) 로봇을 고안했다.[14] 리파 로봇 출시 전, 로봇이 잡초와 농작물을 구별할 수 있다는 기술적 가설은 이미 입증되었다. 그러나 리파 로봇이 실제 농장에서 실행 가능한 도구가 될 것이라는 사업 가설은 여전히 입증되어야 했다.[15] 여기서 MVP는 사업 가설을 테스트하고, 성공적인 경우에만 추가 개발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4. 3. 채널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용어에서 채널은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91] 최소 기능 제품(MVP)은 새롭게 제안된 가치 전달 방법(예: 새로운 유통 채널, 공급망 혁신)이 작동하는지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다.[91]4. 4. 관계
관계는 기업이 고객이 기대하는 대우와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을 유치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의미한다.[91] 최소 기능 제품(MVP)은 고객이 새로운 관계 구축 방식을 더 높이 평가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며, MVP 개념에 따라 테스트는 가능한 한 적은 양의 브랜드 자산, 평판 또는 비용을 희생하면서 최대한 많은 것을 배우려고 시도한다.5. 구현 방법
MVP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제품의 성격과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오퍼는 제품이나 기능의 이용 또는 구매 창구를 통해 사용자가 실제로 행동을 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제품 구현이 필요 없어 빠르게 수요를 검증할 수 있다.[55]
- 랜딩 페이지 수요 테스트[56]: 랜딩 페이지(서비스 소개 페이지[57])를 만들어 제품 이용 또는 구매 클릭을 유도하여 수요를 검증한다. 광고나 선전을 함께 활용하기도 한다.
- 페이크 도어(Fake Door) 수요 테스트: 이미 작동하는 제품에 대상 기능의 실제 UI[58]를 넣어두고, 사용자가 해당 UI를 클릭하는지 확인하여 수요를 검증한다.[59]
- 컨시어지(Concierge): UI를 포함하여 제품의 기능을 사람이 직접 대신하는 방법이다.
- 오즈의 마법사(Wizard of Oz): 제품 내부 구현을 사람이 직접 대체하는 방법이다.
각 MVP마다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Minimum'의 정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적용할 수 있는 방법도 달라진다.
6. 한국 기업 사례
쿠팡은 최소 기능 제품(MVP) 테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개선하고 확장하는 실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쿠팡이츠의 '1주문 1배달'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시이다.[94]
에어비앤비는 2007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되었다. 창업자들은 디자인 컨퍼런스 참석자들에게 숙소를 제공하며 사업 아이디어를 얻었다.[92] 웹 사이트를 통해 숙박 예약을 받으며, 낯선 사람의 집에서 묵는 것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를 확인했다.[93] 초기에는 숙소 사진, 위치, 가격, 호스트 연락 방법 등 기본적인 기능만 제공했다.[92] 이후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체험, 어드벤처 옵션, 보안 결제, 호스트와의 대화, 슈퍼 호스트 체계, 게스트 리뷰 등 기능을 추가했다.[92]
우버는 파리에서 택시를 잡기 어려운 경험에서 사업 아이디어를 얻었다. 2009년 우버캡(UberCab)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2010년 샌프란시스코에서 3대의 자동차로 테스트를 시작했다.[92] 초기 MVP는 예약, GPS 경로 안내, 신용카드 결제 기능만 제공했지만, 125만달러의 투자를 받았다.[92] 이후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우버엑스(Uber-X)를 출시하고, 위치 기반 드라이버 표시, 예상 요금, 요금 분할, 모바일 지갑 연동, 드라이버 배치 등 기능을 추가했다.[92]
스포티파이는 2006년 다니엘 에크와 마틴 로렌존이 설립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이다. 2007년에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92] 이들은 빠른 스트리밍 속도를 핵심 가치로 삼아 사용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92] 이후 영향력 있는 베타 테스터들을 활용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프리미엄 버전, 음악 공유, 재생 목록, 오프라인 모드 등 기능을 추가했다.[92]
6. 1. 쿠팡
쿠팡은 최소 기능 제품(MVP) 테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개선하고 확장하는 실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쿠팡은 "끊임없는 가설 검증"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고, 전사적으로 확대하기 전에 MVP 테스트를 거친다.[94] 쿠팡이츠의 '1주문 1배달'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시인데, 이 서비스는 수많은 실험 끝에 각 지역 맛집이 배달 시간이 길어질수록 가게 명성에 해가 될 것으로 보고 배달을 꺼린다는 점에 착안하여 만들어졌다.[94]6. 2. 에어비앤비

에어비앤비는 2007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되었다. 창업자인 브라이언 체스키와 조 게비아는 당시 디자인 컨퍼런스 참석을 위해 호텔을 찾고 있던 3명의 디자이너에게 저렴한 비용에 그들의 아파트를 제공했다. 이들은 미국 산업 디자인 협회(IDSA) 콘퍼런스가 지역에서 열리는 기간 중 저렴한 숙소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당시 직업을 찾고 있는 상태로 월세를 내기 어려웠기에, 월세를 해결해보려는 의도로 본인들의 거실을 임시로 빌려주기로 한 것이다.[92] 그 후 웹 사이트를 만들어 아파트 사진을 올리며 숙박 예약을 받았다. 이를 통해 낯선 사람의 집에서 사람들이 기꺼이 묵기를 원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고, 이것이 지금의 Airbnb가 되었다.[93]
초기 에어비앤비는 비즈니스의 가장 기본 기능에만 중점을 뒀다. 당시에는 모든 기능을 제공할 만한 자원이 없었기 때문이다. 기본 기능은 숙소 사진, 위치, 가격, 그리고 호스트 연락 방법이었다. 당시 웹사이트 모습은 현재 에어비앤비 앱의 모양과는 많이 달랐다.[92] 에어비앤비는 처음 버전을 낸 후 지속적으로 사용자 피드백과 경험을 서비스 기능에 반영했다. 예를 들어 체험(experience) 옵션, 어드벤처(adventure) 옵션, 보안 결제, 호스트와의 대화, 슈퍼 호스트 체계, 게스트 리뷰 등은 프로덕트의 부가가치를 높였다.[92]
6. 3. 우버
우버는 두 친구가 파리를 여행 중, 저녁 시간에 택시를 잡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에서 비즈니스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모바일 앱을 이용해 리무진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아이디어로 2008년에 도메인(ubercab.com)을 구입하고, 2009년에 우버캡(UberCab) 프로토타입을 만들기 시작, 2010년 5월에 단 3대의 자동차로 샌프란시스코에서 테스트를 시작했다. 이 MVP 모델은 모바일 앱에서 몇 번의 터치만으로 리무진 택시 예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처음부터 큰 인기를 얻었다. MVP만으로 곧 125만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초기의 MVP는 앱을 통해 예약을 받고, GPS를 통해 경로 안내를 하고,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기능만 있었다. 매번 고객의 승차가 끝난 후 우버는 사용자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받아 빠르게 반영했다.[92] 2012년 우버는 우버엑스(Uber-X)를 새롭게 런칭하면서 MVP에 예약하기 전 본인의 위치 주위에 우버 드라이버들을 보여주고, 승차요금을 예상하고, 요금을 나누어 낼 수 있게 하면서 모바일 지갑과 연동하고, 드라이버들을 러시아워에 맞게 배치하는 등 혁신적인 기능들을 더했다. 지금까지도 모바일 앱으로는 가장 뛰어난 기능과 확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 모든 것은 다른 조사 기관을 이용하지 않고 오직 사용자 경험과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반영한 결과이다.[92]
6. 4. 스포티파이
스포티파이는 스웨덴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이다. 2006년 다니엘 에크(Daniel Ek)와 마틴 로렌존(Martin Lorentzon)은 기존 음악 산업이 인터넷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해 음악을 들으려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솔루션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과 비즈니스 기회를 발견했다. 그 후 4개월 만에 첫 프로토타입인 스포티파이AB(Spotify AB)를 만들고, 2007년에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92]
이들은 많은 사람들이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음악을 즐겨 듣고, 즉흥적으로 음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음질이 좋은 음악을 빠르게 스트리밍으로 제공한다면 시장을 바꿀 수 있다고 판단하여 실험했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92] 사용자들은 선택한 음악이 로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재생되는 것처럼 짧은 대기 시간(latency)으로 플레이되는 것에 큰 가치를 두었다. 이것은 아주 작은 부분이었지만 핵심 가치였고, 모든 차이를 만들어냈다.
이후 스포티파이는 영향력 있는 베타 테스터들을 활용했다. 스웨덴의 영향력 있는 음악 블로거들이 경험을 공유하고, 혁신적인 앱에 대한 소식을 전 세계에 알렸다. 사용자층이 늘어나면서 사용자 경험과 피드백을 제품에 반영하며 천천히 시장을 넓혀갔다. 프리미엄(freemium) 버전, 음악 공유, 재생 목록, 프리미엄 버전의 오프라인 모드 등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충분한 사용자를 확보한 후에는 스포티파이 모바일 앱을 개발했다. 기존의 핵심 가치와 마찬가지로 음악 재생에 최소한의 대기 시간을 가지도록 한 모바일 앱을 출시할 수 있었다.[92]
7. 비판 및 한계
일부 연구는 MVP의 조기 출시가 경쟁사의 모방 위험을 증가시키고, 모방에 대한 다른 장벽을 확립하지 못했을 때 회사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95] 또한 MVP에 대한 부정적인 피드백은 회사의 평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96] 모바일 및 디지털 제품의 경우, 고객이 플랫폼(예: 앱 스토어)을 통해 쉽게 경쟁 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개발자들이 MVP 전략을 비판한다.[97] 더불어, 예상되는 최소 품질 기준을 제공하지 않는 제품은 더 높은 수준의 품질로 시장에 진입하는 경쟁사보다 열등할 수 있다.
MVP의 한계는 시장에서 아이디어를 시험하는 접근 방식에 있다. 사업의 신제품 아이디어는 테스트를 통해 추론되므로, 지적 재산권 보호가 제한적인 환경(제품이 쉽게 모방되는 환경)에서는 이 방법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98]
MVP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은 최소 실행 가능한 실험(MVE),[99] 최소 훌륭한 제품(MAP)[100] 등 몇 가지 새로운 접근법으로 이어졌다.
8. 응용
MVP(최소 기능 제품) 개념은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직과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77] 예를 들어, 2015년 시드니 대학교 전문가들은 농장과 잡초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해 리파(Rippa) 로봇을 고안했다.[79] 로봇이 잡초와 농작물을 구별할 수 있다는 기술적 가설은 이미 입증되었지만, 리파 로봇이 실제 농장에서 실행 가능한 도구가 될 것이라는 사업 가설은 추가 검증이 필요했다.[80] MVP 방법은 이러한 사업 가설을 테스트하고, 성공적인 경우에만 추가 개발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MVP는 얼리 어답터를 포함한 일부 고객에게만 출시된다. 스티브 블랭크는 "MVP는 최소한의 기능을 통해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며, 만인을 위한 제품이 아니라 비전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제품이다."라고 말했다.[40]
8. 1. 최소 기능 브랜드 (MVB)
최소 기능 브랜드(MVB)는 브랜드 가설을 검증하고, 전략적 의도와 시장 통찰력을 기반으로 브랜드를 구축하는 데 사용된다.[24]8. 2. 최소 기능 공동 창업자
최소 기능 공동 창업자라는 개념은 신뢰, 기술 또는 영업 능력, 헌신, 호감, 생산성, 공정성, 합리성, 현실성 등의 속성을 가진 공동 창업자를 찾는 데 활용된다.[25]속성 |
---|
신뢰 |
기술 또는 영업 능력 |
헌신 |
호감 |
생산성 |
공정성 |
합리성 |
현실성 |
8. 3. 최소 기능 팀
초기 단계 회사를 창업한 사람들은 최소한의 인력과 비용으로 팀을 구성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한다. 이 과정은 특정 회사의 기본 기능(예: 엔지니어링, 운영, 재무)을 나열한 다음, 회사가 운영되어야 하는 추상적인 직무 활동과 기술을 제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63][64]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 Minimum Viable Product (MVP)? – Definition from Techopedia
https://www.techoped[...]
[2]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 a guide
http://www.startuple[...]
2009-08-03
[3]
웹사이트
MVP: A maximally misunderstood idea
https://www.slalom.c[...]
2019-12-04
[4]
웹사이트
SyncDev methodology
http://www.syncdev.c[...]
2016-05-16
[5]
문서
The Dynamic Balance Between Cost, Schedule, Features, and Quality i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http://www.cs.pomona[...]
Computer Science Dept., University of Idaho
2000-04
[6]
문서
Venture Hacks interview: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startuplesson[...]
Lessons Learned
2009-03-23
[7]
웹사이트
Steve Blank Perfection By Subtraction – The Minimum Feature Set
https://steveblank.c[...]
2010-03-04
[8]
뉴스
The single worst marketing decision you can make
https://thenextweb.c[...]
The Next Web
2015-04-01
[9]
웹사이트
A Minimum Viable Product Is Not a Product, It's a Process: Building Product, Experimentation, MVP
https://www.ycombina[...]
2020-10-17
[10]
웹사이트
The Scientific Method for Startups: Building Product, Experimentation, KPI
https://www.ycombina[...]
2020-10-17
[11]
웹사이트
Eric Ries on 'The Lean Startup'
https://knowledge.wh[...]
[12]
뉴스
Why the Lean Start-Up Changes Everything
https://hbr.org/2013[...]
2020-10-17
[13]
웹사이트
Why Startups Fail: Top 20 Reasons l CB Insights
https://www.cbinsigh[...]
2020-10-19
[14]
웹사이트
Rippa robot takes farms forward to the future
https://www.sydney.e[...]
2020-10-19
[15]
웹사이트
RIPPA The Farm Robot Exterminates Pests And Weeds
https://agronomybots[...]
2020-10-19
[16]
웹사이트
Defining MVP, MMF, MMP, and MMR
https://www.projectm[...]
2017-12-27
[17]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 rant
http://radoff.com/bl[...]
2014-08-19
[18]
웹사이트
Perfection By Subtraction – The Minimum Feature Set
http://steveblank.co[...]
2010-03-04
[19]
간행물
MVP Explained: A Systematic Mapping Study on the Definitions of Minimal Viable Product
http://dsd-seaa2016.[...]
2016-08
[20]
뉴스
Making Real Options Really Work
https://hbr.org/2004[...]
2020-10-31
[21]
뉴스
Discovery-Driven Planning
https://hbr.org/1995[...]
2020-10-31
[22]
뉴스
A Refresher on Discovery-Driven Planning
https://hbr.org/2017[...]
2020-10-31
[23]
서적
Business model generation: a handbook for visionaries, game-changers, and challengers
https://www.worldcat[...]
[24]
뉴스
Start-Ups Need a Minimum Viable Brand
https://hbr.org/2014[...]
2017-09-20
[25]
웹사이트
Choosing A Minimally Viable Co-Founder
http://onstartups.co[...]
2011-10-05
[26]
웹사이트
The Limitations of Lean Startup Principles
http://knowledge.wha[...]
Knowledge@Wharton,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8-10-17
[27]
웹사이트
The MVP is dead, long life to the MAP. (Minimum Awesome Product)
https://medium.com/s[...]
2018-02-05
[28]
웹사이트
The Downside of Applying Lean Startup Principles
https://knowledge.wh[...]
[29]
웹사이트
Death to the Minimum Viable Product! {{!}} Lean User Testing
https://blog.validat[...]
2019-01-22
[30]
웹사이트
Minimum Awesome Product in der App-Entwicklung
https://fluidmobile.[...]
2019-01-22
[31]
웹사이트
I hate MVPs. So do your customers. Make it SLC instead.
https://longform.asm[...]
2017-08-22
[32]
웹사이트
What is a Minimum Viable Product (MVP)? - Definition from Techopedia
https://www.techoped[...]
2019-12-04
[33]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 a guide
http://www.startuple[...]
2019-12-04
[34]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実用最小限の製品) -- 最大限に誤解された概念|Slalom Consulting(スラローム・コンサルティング)|note
https://note.com/sla[...]
2019-12-04
[35]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 {{!}} SyncDev
http://www.syncdev.c[...]
2019-12-04
[36]
웹사이트
Venture Hacks interview: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www.startuple[...]
2019-12-04
[37]
웹사이트
Steve Blank Perfection By Subtraction – The Minimum Feature Set
https://steveblank.c[...]
2019-12-04
[38]
웹사이트
The Single Worst Marketing Decision You Can Make
https://thenextweb.c[...]
2019-12-04
[39]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 rant
https://web.archive.[...]
2019-12-05
[40]
웹사이트
Steve Blank Perfection By Subtraction – The Minimum Feature Set
https://steveblank.c[...]
2019-12-05
[41]
간행물
MVP Explained: A Systematic Mapping Study on the Definitions of Minimal Viable Product
[42]
웹사이트
The Four Parts of a Minimum Viable Product
https://grasshopperh[...]
2019-12-06
[43]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 a guide
http://www.startuple[...]
Startup Lessons Learned
[44]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 a guide
http://www.startuple[...]
Startup Lessons Learned
[45]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 a guide
http://www.startuple[...]
Startup Lessons Learned
[46]
웹사이트
Minimum Viable Product: a guide
http://www.startuple[...]
Startup Lessons Learned
[47]
웹사이트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s://venturehacks[...]
Venture Hacks
[48]
웹사이트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s://venturehacks[...]
Venture Hacks
[49]
웹사이트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s://venturehacks[...]
Venture Hacks
[50]
웹사이트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s://venturehacks[...]
Venture Hacks
[51]
웹사이트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s://venturehacks[...]
Venture Hacks
[52]
웹사이트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s://venturehacks[...]
Venture Hacks
[53]
서적
INSPIRED 열광시키는 제품을 생み出すプロダクトマネジメント
日本能率協会マネジメントセンター
[54]
서적
INSPIRED 열광시키는 제품을 생み出すプロダクトマネジメント
日本能率協会マネジメントセンター
[55]
웹사이트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s://venturehacks[...]
Venture Hacks
[56]
서적
INSPIRED 열광시키는 제품을 생み出すプロダクトマネジメント
日本能率協会マネジメントセンター
[57]
서적
INSPIRED 열광시키는 제품을 생み出すプロダクトマネジメント
日本能率協会マネジメントセンター
[58]
서적
INSPIRED 열광시키는 제품을 생み出すプロダクトマネジメント
日本能率協会マネジメントセンター
[59]
서적
INSPIRED 열광시키는 제품을 생み出すプロダクトマネジメント
日本能率協会マネジメントセンター
[60]
웹사이트
The Limitations of Lean Startup Principles
https://knowledge.wh[...]
2019-12-06
[61]
뉴스
Start-Ups Need a Minimum Viable Brand
https://hbr.org/2014[...]
Harvard Business Review
2017-09-20
[62]
웹사이트
Choosing A Minimally Viable Co-Founder
http://www.onstartup[...]
2019-12-06
[63]
웹사이트
Minimum Viable Team > Minimum Viable Product
https://grasshopperh[...]
2019-12-06
[64]
웹사이트
Minimum Viable Team
https://www.thisisgo[...]
2019-12-06
[65]
웹사이트
The MVP is dead, long life to the MAP. (Minimum Awesome Product)
https://medium.com/s[...]
2019-12-06
[66]
웹사이트
Death to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s://blog.validat[...]
2019-12-06
[67]
웹사이트
Minimum Awesome Product – Warum das MAP das MVP abgelöst hat
https://fluidmobile.[...]
2019-12-06
[68]
웹사이트
I hate MVPs. So do your customers. Make it SLC instead.
https://blog.asmartb[...]
2019-12-06
[69]
서적
The Startup Owner's Manual: The Step-By-Step Guide for Building a Great Company
K & S Ranch
[70]
웹인용
MVP: A maximally misunderstood idea
https://www.slalom.c[...]
2021-06-17
[71]
웹인용
Account Suspended
http://www.syncdev.c[...]
2021-06-17
[72]
웹인용
Venture Hacks interview: "What is the minimum viable product?"
http://www.startuple[...]
2021-06-17
[73]
웹인용
A Minimum Viable Product Is Not a Product, It's a Process: Building Product, Experimentation, MVP {{!}} Y Combinator
https://www.ycombina[...]
2021-06-17
[74]
웹인용
The Scientific Method for Startups: Building Product, Experimentation, KPI {{!}} Y Combinator
https://www.ycombina[...]
2021-06-17
[75]
뉴스
Why the Lean Start-Up Changes Everything
https://hbr.org/2013[...]
2013-05-01
[76]
웹인용
"[신기철의 성공창업 노하우] (11)최소기능제품과 린스타트업"
https://www.edaily.c[...]
2021-06-17
[77]
웹인용
Eric Ries on 'The Lean Startup'
https://knowledge.wh[...]
2021-06-17
[78]
웹인용
Why Startups Fail: Top 20 Reasons l CB Insights
https://www.cbinsigh[...]
2021-06-17
[79]
웹인용
Rippa robot takes farms forward to the future
https://www.sydney.e[...]
2021-06-17
[80]
웹인용
RIPPA The Farm Robot Exterminates Pests And Weeds
https://agronomybots[...]
2020-10-19
[81]
웹인용
Minimum Viable Product: a guide
http://www.startuple[...]
2009-08-03
[82]
웹인용
Defining MVP, MMF, MMP, and MMR
http://www.disciplin[...]
2017-12-27
[83]
웹인용
Minimum Viable Product rant
http://radoff.com/bl[...]
2010-05-04
[84]
웹인용
Perfection By Subtraction – The Minimum Feature Set
http://steveblank.co[...]
2010-03-04
[85]
간행물
MVP Explained: A Systematic Mapping Study on the Definitions of Minimal Viable Product
http://dsd-seaa2016.[...]
2016-08
[86]
뉴스
Making Real Options Really Work
https://hbr.org/2004[...]
2020-10-31
[87]
뉴스
Discovery-Driven Planning
https://hbr.org/1995[...]
2020-10-31
[88]
뉴스
A Refresher on Discovery-Driven Planning
https://hbr.org/2017[...]
2020-10-31
[89]
웹인용
Minimum Viable Product: a guide
http://www.startuple[...]
2009-08-03
[90]
웹인용
The Four Parts of a Minimal Viable Product
http://grasshopperhe[...]
2014-04-25
[91]
서적
Business model generation: a handbook for visionaries, game-changers, and challengers
https://www.worldcat[...]
[92]
웹인용
유니콘들의 MVP는 이렇게 달랐다 {{!}} ㅍㅍㅅㅅ
https://ppss.kr/arch[...]
2021-06-17
[93]
웹인용
아이디어를 빠르게 검증해볼 수 있는 방법: 최소기능제품(MVP)이란? {{!}} ㅍㅍㅅㅅ
https://ppss.kr/arch[...]
2021-06-17
[94]
웹인용
진짜 경쟁력은 실리콘밸리 문화…"매년 수천 개 신사업 실험"
https://www.hankyung[...]
2021-06-17
[95]
웹인용
The Limitations of Lean Startup Principles
http://knowledge.wha[...]
Knowledge@Wharton,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8-09-28
[96]
웹인용
The Limitations of Lean Startup Principles
http://knowledge.wha[...]
Knowledge@Wharton,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8-09-28
[97]
웹인용
The MVP is dead, long life to the MAP. (Minimum Awesome Product)
https://medium.com/s[...]
2018-02-05
[98]
웹인용
The Downside of Applying Lean Startup Principles
https://knowledge.wh[...]
[99]
웹인용
Death to the Minimum Viable Product! {{!}} Lean User Testing
https://blog.validat[...]
2021-06-17
[100]
웹인용
Minimum Awesome Product in der App-Entwicklung
https://fluidmobile.[...]
2021-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