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호 (193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재호는 1935년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66년 영화 《살사리 몰랐지》를 시작으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 경력을 쌓았다. 1990년 영화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로 제29회 대종상 영화제 특별연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종상 수상자 - 이성민 (배우)
이성민은 1968년 경상북도 봉화 출생으로 연극 무대에서 시작하여 영화와 드라마 조연을 거쳐 주연 배우로 활동하며,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대종상 수상자 - 차태현
차태현은 1995년 데뷔하여 영화 《엽기적인 그녀》로 스타덤에 오른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MC, 라디오 DJ로, 다수의 흥행작 출연, 드라마 및 예능 프로그램 활약, 음반 발매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 - 윤봉춘
윤봉춘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서 항일 운동으로 옥고를 치렀고, 해방 후 영화감독으로 복귀하여 독립운동 관련 영화를 제작했으며, 예총 회장을 역임한 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정종철
정종철은 2000년 K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개그콘서트》 '옥동자' 캐릭터와 '갈갈이 삼형제', '마빡이' 등의 코너를 통해 큰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사회 공헌에도 참여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최재호 (193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최재호 |
출생일 | 1935년 10월 2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영화 배우 |
2. 출연작
배우 최재호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다수의 영화 작품에 출연하며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쳤다. 그의 주요 출연 영화 목록은 아래 연대별로 정리되어 있다.
2. 1. 1960년대
1960년대는 배우 최재호가 본격적으로 영화계에 발을 들여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연기 경력을 쌓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출연한 주요 영화는 다음과 같다.연도 | 제목 |
---|---|
1966년 | 《살사리 몰랐지(007 폭소판 살사리 몰랐지?)》 |
1967년 | 《지상에서 0으로》 |
《풍운의 검객》 | |
《위험은 가득히》 | |
《영번 상해돌파》 | |
《형수》 | |
《폭로》 | |
《밀월》 | |
《가고파》 | |
1968년 | 《사랑했는데》 |
《지상 최고의 여정(세계로 뻗는 한국)》 | |
《귀부인》 | |
《복수》 | |
1969년 | 《사나이 삼대》 |
《식모의 유산》 | |
《부인행차》 | |
《한발은 지옥에》 | |
《포옹》 | |
《심야의 대결》 | |
《떠나가는 왼손잡이》 | |
《새색시》 |
2. 2. 1970년대
1970년대는 최재호가 배우로서 왕성하게 활동하며 다수의 작품에 출연한 시기이다. 이 시기 출연한 주요 영화는 다음과 같다.연도 | 제목 | 역할 |
---|---|---|
1970 | 어느 소녀의 고백 | |
안개속의 탈출 | ||
구봉서의 구혼작전 | ||
수호지 | ||
동경사자와 명동호랑이 | ||
내일있는 우정 | ||
맨발로 왔다 | ||
팔도 가시나이 | ||
애꾸눈 박 | ||
잃어버린 면사포 | ||
번개같은 사나이 | ||
남포동 출신 | ||
1971 | 항구의 왼손잽이 | |
두 남자 | ||
그날밤 생긴 일 | ||
명동의 12 사나이 | ||
여인도 | ||
불타는 복수 | ||
훼리호를 타라 | ||
두 아들(속) | ||
내 아내여 | ||
황금독수리 | ||
과객 | ||
서방님 따라서 | ||
1972 | 장화홍련전 | |
무릎꿇고 빌련다 | ||
소장수 | ||
멋진 인생 | ||
밤길 | ||
특공외인부대 | 특수대원 B | |
팔도졸업생 | ||
1973 | 야간비행 | |
깊은 사이 | ||
방년 18세 | ||
명동을 떠나면서 | ||
청춘 하이웨이 | ||
혈권 | ||
종야 | ||
석양의 두 얼굴 | ||
악인의 계곡 | ||
승부 | ||
엄마결혼식 | ||
특별수사본부 배태옥 사건 | ||
1974 | 대비상망 | |
돌아온 외다리 | ||
국회 푸락치 | ||
태양닮은 소녀 | ||
실록 김두한 | ||
용호대련 | ||
대형 | ||
낙인 | ||
분노의 왼발 | ||
죽엄의 다리 | ||
돌아온 외다리(속) | ||
환녀 | ||
1975 | 운수대통 | |
특별수사본부 외팔이 김종원 | ||
빨간 구두 | ||
삼포가는 길 | ||
황금마담 | ||
독사 | ||
1976 | 악충 | |
혈육애 | ||
딸 3형제 | ||
오계 | ||
핏줄 | ||
비정지대 | ||
과거는 왜 물어 | ||
검은 띠의 후계자 | ||
비밀객(속) | ||
7인의 말괄량이 | ||
마지막 밤의 탱고 | ||
1977 | 삼룡이라 불러라 | |
저 높은 곳을 향하여 | ||
캐논청진공작 | ||
대적수 | ||
폭풍을 몰고 온 여자 | ||
소림사 흑표 | ||
1978 | 족보 | |
십이대천왕 | ||
특명 8호 | ||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 ||
대동강 출신 | ||
오빠가 있다 | ||
달마신공 | ||
흙 | ||
경찰관 | 이순경 | |
1979 | 수녀 | |
물도리 동 | ||
당산비권 |
2. 3. 1980년대
1980년대에도 꾸준히 영화 활동을 이어가며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였다. 주요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연도 | 제목 | 배역 |
---|---|---|
1980 | 색깔있는 여자 | |
1980 | 별명붙은 사나이 | 주방장 |
1980 | 땅울림 | |
1980 | 오사까의 외로운 별 | |
1980 | 난 모르겠네 | |
1980 | 화요일밤의 여자 | |
1980 | 조용히 살고 싶다 | |
1980 | 애권 | |
1980 | 돌아와요 부산항'80(속) | |
1981 | 춘색호곡 | |
1981 | 하늘나라 엄마별이 | 그외 친구들 |
1981 | 슬픈 계절에 만나요 | |
1981 | 가슴깊게 화끈하게 | |
1982 | 마음은 외로운 사냥꾼 | |
1982 | 종로 부루스 | |
1982 | 겨울여자(2부) | |
1982 | 0점하의 자식들 | |
1982 | 여애권 | |
1982 | 백구야 훨훨 날지마라 | |
1983 | 첫사랑은 못잊어 | |
1983 | 얼굴이 아니고 마음입니다 | |
1983 | 다른 시간 다른 장소 | |
1983 | 정념의 갈매기 | |
1983 | 오마담의 외출 | 우정출연 |
1983 | 풀잎처럼 눕다 | |
1983 | 돌아온 용팔이 | |
1984 | 형 | |
1984 | 바보사냥 | |
1984 | 육식동물 | |
1984 | 사약 | 금부도사 |
1984 | 자녀목 | |
1984 | 산딸기 2 | |
1984 | 장남 | |
1984 | 지금 이대로가 좋아 | |
1984 | 이방인 | |
1984 | 고래 사냥 | |
1984 | 뜸부기 새벽에 날다 | |
1984 | 나는 다시 살고 싶다 | |
1984 | 88 짝꿍들 | |
1985 | 고래 사냥 2 | |
1985 | 어미 | 파출소 순경 |
1985 | 물목 | |
1986 | 금달래 | |
1986 | 뜨거운 겨울 | |
1986 | 투명인간 | |
1986 | 오사까대부 | |
1986 | 삼색스캔들 | |
1986 | 여로 | |
1987 | 감자 | |
1987 | 도화 | |
1987 | 사노 | 군관 |
1987 | 여자는 바람 여자는 바람 | |
1987 | 변강쇠 (속) | 농부1 |
1987 | 요화 어을우동 | |
1987 | 덫 | |
1987 | 고속도로 | |
1987 | 호걸춘풍 | |
1987 | 영웅 돌아오다 | 주인2 |
1987 | 동녀 | |
1987 | 박철수의 헬로 임꺽정 | |
1988 | 매춘 | |
1988 | 그 마지막 겨울 | |
1988 | 떡 | |
1988 | 변강쇠 3 | 장서방 |
1988 | 어른들은 몰라요 | |
1988 | 여자 세상 | 사내 |
1988 | 멋장이 세상 | 과장 |
1988 | 업 | |
1988 | 대물 | |
1988 | 뽕 2 | |
1989 | 못먹어도 고 | |
1989 | 파행 | |
1989 | 잠자리에 들 시간 | 나이 |
2. 4. 1990년대
1990년대에 들어 최재호의 영화 출연 빈도는 이전 시기에 비해 다소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다양한 작품에서 조연 및 단역으로 활동하며 꾸준히 연기 경력을 이어갔다. 특히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영화나 시대극 등 여러 장르의 영화에 참여하며 인상적인 모습을 남겼다.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90년 | 《웨딩드레스》 | 박사장 | |
《장군의 아들》 | 임권택 감독 작품 | ||
《역사는 이렇게 시작됐다》 | 이장 | ||
《호스테스 미스고》 | 회장2 | ||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 장학사2 | ||
《보통여자시대》 | 손님1 | ||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 성폭력 문제를 다룬 사회 고발 영화 | ||
《도시의 상처》 | |||
《그들도 우리처럼》 | 서과장 | 박광수 감독 작품, 노동 현실 묘사 | |
《수탉》 | 경찰1 | ||
《흑설》 | 술꾼1 | ||
《캬바레 부인》 | 지사장 | ||
《어느 모델의 사랑》 | |||
1991년 | 《변금련》 | ||
《산딸기 4》 | |||
《토끼를 태운 잠수함》 | 대포집주인 | ||
《예수천당》 | 일본형사 | 일제강점기 배경, 신사참배 거부 운동 소재 | |
《개벽》 | 도인들 | 임권택 감독 작품, 동학 농민 운동 배경 | |
《이태원 밤하늘엔 미국 달이 뜨는가》 |
3. 수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