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중국 춘란 그룹이 후원하고 주최하는 국제 바둑 기전이다. 24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본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결승전은 3번기로 치러진다. 우승 상금은 15만 달러, 준우승 상금은 5만 달러이다. 대한민국은 총 8번 우승하여 가장 많은 우승 횟수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12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12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2018년 3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박정환이 결승에서 박영훈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8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8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2020년 11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진행된 세계 바둑 대회로, 대한민국, 중국, 중화민국, 일본 기사들이 참가하여 셰허 9단이 이세돌 9단을 꺾고 우승했다. - 국제 바둑 기전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은 SBS 주최, 진로그룹 후원으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5회 개최된 한국, 중국, 일본 대표 기사들의 국가대항전 바둑 단체전으로, 한국 바둑의 위상을 높이고 바둑계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우승 상금은 20만 달러였다. - 국제 바둑 기전 -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은 32명의 프로 기사가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며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되고, 우승 상금은 180만 위안인 바둑 대회이다. - 1998년 설립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1998년 설립 - 대한민국 특허법원
대한민국 특허법원은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종자 관련 사건을 전담하는 고등법원급 법원으로서 특허청과 농림수산식품부 소관 사건을 전속 관할하며, 특허심판원 또는 품종보호심판위원회의 심결에 대한 불복 소송을 통해 특허 관련 소송을 2심제로 운영한다.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영문 명칭 | Chunlan Cup World Professional Go Championship |
주최 | 춘란 그룹 |
주관 | 중국바둑협회 상하이시 체육총회 |
후원 | 상하이시 청푸구 인민정부 |
우승 상금 | 15만 달러 |
준우승 상금 | 5만 달러 |
대국 방식 | 덤 7집반, 제한 시간 각자 3시간, 초읽기 1분 5회 |
참가 자격 | 전기 대회 4강, 국가/지역 시드 배정 |
최근 우승자 | 변상일 (9회) |
역대 우승자 | |
1회 | 조훈현 |
2회 | 왕리청 |
3회 | 이세돌 |
4회 | 구리 |
5회 | 이세돌 |
6회 | 박정환 |
7회 | 탄샤오 |
8회 | 신진서 |
9회 | 변상일 |
2. 대회 형식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중국의 춘란 그룹이 후원하고 주최하는 국제 바둑 기전이다. 예선 통과자와 전기 대회 시드자를 합쳐 총 24명이 본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우승 상금은 150000USD, 준우승 상금은 50000USD이다. 계가는 중국식의 중국룰로 적용된다.
2. 1. 참가 자격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24명의 선수가 참가하며, 다음과 같이 선발된다.참가 인원은 대회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회차 | 中国|중국중국어 | 日本|일본일본어 |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 | 中華台北|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북아메리카 | 유럽 |
---|---|---|---|---|---|---|
제1회 | 9명 | 6명 | 5명 | 2명 | 1명 | 1명 |
제2회 | 8명 | 5명 | 7명 | 2명 | 1명 | 1명 |
제3회 이후 | 10명 | 6명 | 4명 | 2명 | 1명 | 1명 |
북아메리카 대표로는 일본기원의 M. 레드몬드, 한국기원의 차민수 등이 출전했고, 유럽 대표로는 일본기원의 T. 카탈린 등이 출전했다.
2. 2. 경기 방식
예선 통과자 21명(중국 8명, 일본 5명, 대한민국 4명, 대만 2명, 북미 1명, 유럽 1명)과 전기 대회 시드 3명 등 총 24명이 본선 토너먼트를 통해 승부를 가린다. 본선은 단판제로 치러지며, 결승전은 3번기이다. 12회 대회부터 각 선수에게는 2시간 30분의 제한 시간이 주어지며, 60초의 초읽기 5회가 주어진다.[4] 이전에는 제한 시간이 3시간이었고, 60초의 초읽기 5회가 주어졌다.[3] 덤은 7.5집이다. 중국 룰로 진행된다. 1~12회까지는 3위 결정전이 진행되었다.3. 상금
4. 역대 우승자
회수 | 연도 | 우승 | 전적 | 준우승 |
---|---|---|---|---|
1 | 1998-1999 | 조훈현 | 2-1 | 이창호 |
2 | 1999-2000 | 왕리청 | 2-1 | 마샤오춘 |
3 | 2000-2001 | 유창혁 | 2-1 | 왕리청 |
4 | 2002-2003 | 이창호 | 2-0 | 하네 나오키 |
5 | 2003-2005 | 이창호 | 2-1 | 저우허양 |
6 | 2006-2007 | 구리 | 2-0 | 창하오 |
7 | 2008-2009 | 창하오 | 2-0 | 이창호 |
8 | 2010-2011 | 이세돌 | 2-1 | 셰허 |
9 | 2012-2013 | 천야오예 | 2-1 | 이세돌 |
10 | 2014-2015 | 구리 | 2-0 | 저우루이양 |
11 | 2016-2017 | 탄샤오 | 2-1 | 박영훈 |
12 | 2018-2019 | 박정환 | 2-0 | 박영훈 |
13 | 2020-2021 | 신진서 | 2-0 | 탕웨이싱 |
14 | 2022-2023 | 변상일 | 2-0 | 리쉬안하오 |
5. 국가별 우승 횟수
6. 역대 대회
회차 | 연도 | 우승자 | 점수 | 준우승자 |
---|---|---|---|---|
제1회 | 1998–1999 | 조훈현 | 2–1 | 이창호 |
제2회 | 1999–2000 | 王立誠|오 리쓰세이일본어 | 2–1 | 마샤오춘 |
제3회 | 2000–2001 | 유창혁 | 2–1 | 王立誠|오 리쓰세이일본어 |
제4회 | 2002–2003 | 이창호 | 2–0 | 하네 나오키 |
제5회 | 2003–2005 | 이창호 | 2–1 | 저우허양 |
제6회 | 2006–2007 | 구리 | 2–0 | 창하오 |
제7회 | 2008–2009 | 창하오 | 2–0 | 이창호 |
제8회 | 2010–2011 | 이세돌 | 2–1[1] | 셰허 |
제9회 | 2012–2013 | 천야오예 | 2–1[2] | 이세돌 |
제10회 | 2014–2015 | 구리 | 2–0 | 저우루이양 |
제11회 | 2016–2017 | 탄샤오 | 2–1[3] | 박영훈 |
제12회 | 2018–2019 | 박정환 | 2–0[4] | 박영훈 |
제13회 | 2020–2021 | 신진서 | 2–0[5] | 탕웨이싱 |
제14회 | 2022–2023 | 변상일 | 2–0[6] | 리쉬안하오 |
6. 1. 제1회 (1998-1999)
제1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진행되었다. 1, 2회전은 1998년 12월 베이징에서, 8강전은 1999년 4월 우한에서, 준결승전은 1999년 5월 서울에서 열렸다. 결승 3번기는 1999년 6월 25일부터 29일까지 난징에서 개최되었다. 결승전에서는 조훈현 九단이 이창호 九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 4위전에서는 최명훈이 창하오에게 승리했다.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회전 | 2회전 | 8강 | 준결승 | 결승 (결승 3번기) |
---|---|---|---|---|
린성셴 (대만) ○ × 왕리청 | 왕리청 (일본) ○ × 최명훈 | 최명훈 ○ × 이다 노리모토 | 최명훈 × ○ 이창호 | 이창호 1 - 2 조훈현 |
최명훈 (한국) ○ × 추쥔 | 최명훈 ○ × 녜웨이핑 | 이다 노리모토 × ○ 이창호 | 창하오 × ○ 조훈현 | |
타라누 카탈린 (유럽) × ○ 이다 노리모토 | 이다 노리모토 (일본) ○ × 마샤오춘 | 창하오 (중국) ○ × 유창혁 | 3, 4위전 최명훈 ○ - × 창하오 | |
저우쥔쉰 (대만) × ○ 위빈 | 위빈 (중국) × ○ 이창호 | 저우허양 (중국) × ○ 조훈현 | ||
목진석 (한국) ○ × 사오전중 | 목진석 × ○ 창하오 | colspan="3" rowspan="4" | | ||
유키 사토시 (일본) ○ × 쏭쉐린 | 유키 사토시 × ○ 유창혁 | |||
야마다 키미오 (일본) × ○ 저우허양 | 저우허양 ○ × 히코사카 나오토 | |||
마이클 레드몬드 (미국) × ○ 사오웨이강 | 사오웨이강 (중국) × ○ 조훈현 |
6. 2. 제2회 (1999-2000)
제2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진행되었다. 일본의 오 릿세이 9단이 결승에서 중국의 마샤오춘 9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998년 12월 베이징에서 1, 2회전이, 1999년 4월 우한에서 8강전이, 1999년 5월 서울에서 준결승전이, 1999년 6월 25일부터 29일까지 난징에서 결승 3번기가 열렸다.
1회전 (1998.12) | 결과 | 2회전 (1998.12) | 결과 | 8강전 (1999.4) | 결과 | 준결승전 (1999.5) | 결과 |
---|---|---|---|---|---|---|---|
林圣贤중국어 (대만) | 승 | 왕리청 (일본) | 승 | 최명훈 (한국) | 승 | 최명훈 (한국) | 패 |
구도 노리오 (일본) | 패 | 林圣贤중국어 (대만) | 패 | 왕리청 (일본) | 패 | 이창호 (한국) | 승 |
최명훈 (한국) | 승 | 최명훈 (한국) | 승 | 이창호 (한국) | 승 | ||
邱峻중국어 (중국) | 패 | 녜웨이핑 (중국) | 패 | 依田 紀基일본어 (일본) | 패 | ||
타라누 카탈린ro (유럽) | 패 | 依田 紀基일본어 (일본) | 승 | ||||
依田 紀基일본어 (일본) | 승 | 마샤오춘 (중국) | 패 | ||||
周俊勋중국어 (대만) | 패 | 위빈 (중국) | 패 | 창하오 (중국) | 승 | ||
위빈 (중국) | 승 | 이창호 (한국) | 승 | 유창혁 (한국) | 패 | ||
목진석 (한국) | 승 | 목진석 (한국) | 패 | 조훈현 (한국) | 승 | ||
邵震中중국어 (중국) | 패 | 창하오 (중국) | 승 | 저우허양 (중국) | 패 | ||
유키 사토시 (일본) | 승 | 유키 사토시 (일본) | 패 | ||||
宋雪林중국어 (중국) | 패 | 유창혁 (한국) | 승 | ||||
야마다 기미오 (일본) | 패 | 저우허양 (중국) | 승 | ||||
저우허양 (중국) | 승 | 彦坂 直人일본어 (일본) | 패 | ||||
마이클 레드몬드 (미국) | 패 | 邵炜刚중국어 (중국) | 패 | ||||
邵炜刚중국어 (중국) | 승 | 조훈현 (한국) | 승 |
6. 3. 제3회 (2000-2001)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열린 제3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는 유창혁한국어 9단이 결승에서 일본의 王立誠|오 리쓰세이일본어 9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대회 정보 |
---|
6. 4. 제4회 (2002-2003)
제4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진행되었다. 결승전에서는 이창호 9단이 일본의 하네 나오키 9단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6. 5. 제5회 (2003-2005)
제5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진행되었다.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의 이창호가 중국의 저우허양을 2-1로 꺾고 우승했다.
템플릿은 제거되어야 한다.
6. 6. 제6회 (2006-2007)
구리 9단이 창하오 9단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6. 7. 제13회 (2020-2021)
신진서 9단이 탕웨이싱 9단과의 결승전에서 2-0으로 완승하며 우승을 차지했다.[5]6. 8. 제14회 (2022-2023)
제14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변상일이 결승에서 리쉬안하오를 2-0으로 꺾고 우승했다.[6]6. 9. 제15회 (2024-2025)
{| class="wikitable"|-
! 1회전 !! 2회전
|-
|
린성셴(林聖賢|린성셴중국어) | O |
구도 노리오(工藤紀夫|구도 노리오일본어) | X |
최명훈 | O |
추쥔(邱峻|추쥔중국어) | X |
타라누 카탈린(Cătălin Țăranu|카탈린 터라누ro) | X |
이다 노리모토(依田紀基|이다 노리모토일본어) | O |
저우쥔쉰(周俊勳|저우쥔쉰중국어) | X |
위빈 | O |
목진석 | O |
사오전중(邵震中|사오전중중국어) | X |
유키 사토시(結城聡|유키 사토시일본어) | O |
쏭쉐린(宋雪林|쏭쉐린중국어) | X |
야마다 기미오(山田規三生|야마다 기미오일본어) | X |
저우허양(周鶴洋|저우허양중국어) | O |
마이클 레드몬드 | X |
사오웨이강(邵煒剛|사오웨이강중국어) | O |
|
|}
1998년 12월 베이징에서 1, 2회전이 열렸다.
참조
[1]
웹사이트
Lee Sedol wins 8th Chunlan Cup
https://web.archive.[...]
2011-06-30
[2]
웹사이트
Chen Yaoye wins 9th Chunlan Cup, finally achieves international success
https://web.archive.[...]
2013-06-20
[3]
웹사이트
春兰杯决赛檀啸2-1朴永训 夺个人世界首冠
http://sports.sina.c[...]
2017-06-26
[4]
웹사이트
박정환, 춘란배 우승… 메이저 세계대회 4번째 챔피언
https://www.chosun.c[...]
2019-06-27
[5]
웹사이트
春兰杯决赛不敌申真谞:唐韦星告诫年轻棋手多练棋艺少玩游戏
http://newsxmwb.xinm[...]
2021-09-15
[6]
웹사이트
변상일 메이저 첫 우승...’남버 3′ 설움 털었다
https://www.chosun.c[...]
2023-07-19
[7]
웹사이트
春兰杯半决赛轩工力克申工!唐韦星憾负卞相壹
https://sports.sina.[...]
2022-12-21
[8]
뉴스
春兰杯决赛首局李轩豪憾负 卞相壹距世冠一步之遥
https://sports.s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