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둥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둥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 난퉁시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양쯔강 하구에 위치하며, 동중국해와 접한다. 치둥 시는 한나라 시대에는 동중국해에 속했으나, 양쯔강의 퇴적 작용으로 섬이 형성되어 도시가 발전했다. 1928년 치둥 현이 설립되었고, 1989년 현급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11개의 진과 1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둥화와 뤼시화라는 두 가지 방언이 사용된다. 주요 산업은 제약, 컴퓨터 부품, 화학 비료 생산이며, 해양 엔지니어링 및 건설 허브 역할도 한다. 닝치 철도와 충밍-치둥 양쯔강 대교를 통해 인근 도시와 연결된다. 2012년에는 환경 오염 문제로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퉁시의 행정 구역 - 루둥현
장쑤성 난퉁 시에 위치한 루둥현은 상하이 북쪽 장강 건너편 황해와 접하며, 어업이 발달했고 얀커우 항구와 풍력 발전소가 있으며, 중국에서 가장 고령화된 현 중 하나이다. - 난퉁시의 행정 구역 - 하이안시
하이안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에 위치한 현급시로, 역사적으로 쯔스 현이나 하이닝 현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현재 다양한 교육 기관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열대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국도 204호선과 328호선이 지난다. - 장쑤성의 현급시 - 쿤산시
쿤산시는 중국 장쑤성 쑤저우시에 위치한 현급시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쿤곡의 발상지이자 뎬산 호, 저우장 등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 장쑤성의 현급시 - 장자강시
장자강시는 양쯔강 하류 충적 평야에 위치한 쑤저우시 관할의 현급시로, 경제 개혁 이후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중국 백강현 상위권에 랭크되었으며, 주요 산업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한 도시이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치둥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장쑤성 내 위치 |
다른 이름 | 치퉁 (Chitung) |
기본 정보 | |
종류 | 현급시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장쑤성 |
지급 행정구역 | 난퉁 시 |
지리 | |
면적 | 1,208 km² |
좌표 | 31.870°N 121.703°E |
인구 | |
총 인구 | 967,313 명 (2020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행정 | |
시장 | 양중견 (杨中坚) |
행정 구역 코드 | 320681 |
우편 번호 | 226200 |
차량 번호판 | 쑤F (苏F) |
시간대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8 |
기타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상위 섹션 내용은 생략함)
2. 1. 초기 역사

오늘날 치둥 시 지역은 한나라 때까지 동중국해의 일부였으나, 양쯔강의 퇴적 작용으로 인해 섬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특히 현재의 뤼쓰(Lüsi) 지역에 둥부저우(번체자: , 간체자: )라는 섬이 생겨났다.
당나라 시대에는 죄수들을 이곳으로 보내 소금 생산에 종사하게 하였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뤼쓰창(呂四場|뤼쓰창중국어)이라는 이름의 첫 공식 행정 기관이 설립되었다.
원나라에서 청나라로 넘어가는 시기에는 양쯔강의 주요 물길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뤼쓰창 지역에서 넓은 면적의 땅이 유실되는 변화를 겪었다. 이로 인해 뤼쓰창은 퉁저우에 통합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퇴적물 축적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치둥 지역이 마침내 중국 대륙과 연결되었다.
중화민국 건국 첫 해에는 퉁저우가 난퉁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후 치둥 지역은 난퉁, 하이먼, 충밍 구의 관할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1928년 3월 1일, 치둥 현(县)이 정식으로 설립되었으며, 당시 인구는 약 33만 명이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중국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1989년 11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치둥 현을 현급시로 승격시키는 것을 승인하였다.
2. 2. 원나라와 청나라 시대
원나라와 청나라의 과도기에는 양쯔강의 주요 수로가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이전 시대에 설립되었던 뤼쓰창(Lüsi chang) 지역에서 대규모의 토지 손실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뤼쓰창은 퉁저우에 통합되었다.청나라 시대에는 퇴적 작용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치둥 지역이 중국 대륙과 육지로 연결되었다.
2. 3. 중화민국 시대
중화민국 건국 첫 해에 퉁저우는 난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치둥 지역은 난퉁, 하이먼, 충밍 구의 관할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1928년 3월 1일, 치둥 현(Qidong County)이 정식으로 설립되었으며, 당시 인구는 약 33만 명이었다.
2. 4.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89년 11월, 중국의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허가를 받아 치둥 현이 폐지되고 현급시인 치둥 시가 설립되었다.
2021년 11월 16일에는 여고생 3명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들의 현재 상황은 알려지지 않았다.
3. 지리
치둥 시는 중국의 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장강(양쯔강), 동해, 황해의 세 물길이 만나는 곳에 자리 잡고 있다. 강 건너편으로는 상하이와 마주하며, 북쪽으로는 하이먼 시와 접한다.
이 도시는 장강이 운반한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땅이다. 청나라 초기에는 많은 모래톱과 섬들이 생겨났고, 이들이 점차 하나로 합쳐지면서 시간이 흘러 현재의 치둥시가 형성되었다. 지금도 해안선은 계속해서 넓어지고 있다. 치둥 시의 일부인 치룽 향은 충밍섬에 위치하여, 강이 아닌 육지를 통해 상하이와 경계를 이룬다.
3. 1. 기후
치둥시는 아열대성 기후에 속하며,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봄은 3월에 시작하며 가장 아름다운 계절로 꼽힌다. 6월에는 소나기가 내리며 초여름의 시작을 알리고, 여름철에는 몇 주 동안 몬순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내린다. 가을은 보통 햇볕이 많고 건조하며, 11월에는 낙엽이 지기 시작한다. 겨울의 평균 기온은 0°C 정도로 다소 쌀쌀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1000mm이며, 연간 일조시간은 2,000시간을 넘는다.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은 연평균 200일 이상이다.[11]4. 행정 구역
현재 치둥 시는 11개의 진(镇)과 1개의 향(乡)을 관할한다.[3]
구분 | 한국어 명칭 | 중국어 간체 |
---|---|---|
진(镇) | 후이롱 | 汇龙镇|후이롱 진zho |
난양 | 南阳镇|난양 진zho | |
베이신 | 北新镇|베이신 진zho | |
왕바오 | 王鲍镇|왕바오 진zho | |
허쭤 | 合作镇|허쭤 진zho | |
하이푸 | 海复镇|하이푸 진zho | |
진하이 | 近海镇|진하이 진zho | |
인양 | 寅阳镇|인양 진zho | |
후이핑 | 惠萍镇|후이핑 진zho | |
둥하이 | 东海镇|둥하이 진zho | |
뤼쓰강 | 吕四港镇|뤼쓰강 진zho | |
향(乡) | 치룽 | 启隆乡|치룽 향zho |
5. 언어
치둥시 내에서는 주로 두 가지 주요 중국어 방언이 사용된다. 뤼시강 진(呂四港鎮) 주민들은 吕四话|뤼시화중국어 또는 通东话|퉁둥화중국어라고 불리는 방언을 사용하는 반면, 그 외 대부분의 주민들은 启东话|치둥화중국어를 사용한다. 이 두 방언은 상당한 차이가 있어 서로 상호 이해가 어렵다.
시의 행정, 경제, 교육 중심지인 후이룽 진(匯龍鎮)에서는 치둥화가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시 전역에서 널리 통용된다. 이로 인해 뤼시강 진의 많은 주민들도 치둥화를 배우고 이해하며 사용하게 되었다.
언어학적으로 치둥화는 우어(吳語)의 한 방언으로 분류되며, 일부에서는 같은 우어 계열인 상하이어와 유사하다고 보기도 한다. 실제로 치둥화는 상하이시 관할 하에 있는 충밍섬에서 사용되는 충밍 방언과 거의 동일하다.
뤼시화와 치둥화 모두 북부 우어에 속하지만, 두 지역 간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휘 등에서 서로 통하지 않는 부분이 여전히 존재한다.
6. 교육
치둥시는 고등학교 교육으로 유명하며, 이곳의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개 중국의 전국 대학 입학 시험인 가오카오에서 높은 성적을 거둔다. 치둥시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주요 공립 고등학교가 있다.
학교명 |
---|
치둥 고등학교 |
후이롱 고등학교 |
동남 고등학교 |
십일 고등학교 |
뤼쓰 고등학교 |
이 학교들 중 치둥 고등학교가 가장 명성이 높다. 1928년에 설립된 치둥 고등학교는 이후 장쑤성 최고의 고등학교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후이룽 진에 위치한 이 학교는 소위 "특수반" 운영으로도 유명하며, 특수반 학생들은 국가 주관 수학, 물리학, 화학 대회에서 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치둥 고등학교 졸업생의 90% 이상이 매년 칭화 대, 베이징 대와 같은 중국 내 최고 명문 대학을 포함한 일류 대학에 진학하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7. 산업
현지 산업은 제약 생산, 컴퓨터 부품 생산, 화학 비료 생산에 중점을 둔다.
치둥은 해양 엔지니어링 및 건설 허브로서, 중국선박공업(COSCO), 시노퍼시픽, Specialty Process Equipment Corporation (SPEC), 상하이전화중공(ZPMC) 치둥 해양 엔지니어링 유한회사(구 다오다 중공업) 등 여러 중공업, 조선소 및 제작 시설을 유치하고 있다.
주요 농작물로는 밀, 옥수수, 콩, 땅콩, 참마, 면화 등이 생산된다. 기후는 배, 복숭아, 오렌지, 수박 재배에도 적합하다. 어업은 일부 농촌 주민들의 주요 수입원이다.
2006년 말에는 KFC와 맥도날드가 치둥에 각각 진출했는데, 이는 다국적 기업이 중국의 현급 도시에 자리를 잡는 이례적인 사례로 여겨졌다. 또한, 닝치 고속도로 건설로 난징과 치둥이 연결되어 교통 인프라가 개선되었다.
8. 교통
닝치 철도는 난징과 치둥을 연결하는 365km 길이의 철도이다. 이 철도는 신창 철도 및 닝시 철도와 연결되어 화동 지역과 화서 지역 간의 화물 운송 능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치둥역에서 여객 운송 서비스도 제공한다.
충치 대교는 양쯔강 하구에 건설된 도로 교량으로, 중국 본토와 상하이, 장쑤성을 연결한다. 2011년에 완공되었으며, 치둥과 충밍현 및 상하이 시내를 연결하여 차량 운행 시간을 기존 3시간에서 1시간으로 크게 단축시켰다. 이 다리를 통해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에서 교통 체증이 없을 경우 약 45분 만에 치둥에 도착할 수 있다.[9]
9.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Qidong
https://www.google.c[...]
2014-07-02
[2]
웹사이트
China: Jiāngsū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024-11-20
[3]
웹사이트
南通市-行政区划网 www.xzqh.org
http://www.xzqh.org/[...]
XZQH
2012-05-24
[4]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5
[5]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5
[6]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12
[7]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12
[8]
웹사이트
启东市人民政府
http://www.qidong.go[...]
2020-04-27
[9]
웹사이트
崇启大桥简介-—上海频道-东方网
http://sh.eastday.co[...]
2020-04-27
[10]
뉴스
NBC News, 28 July 2012
http://worldnews.nbc[...]
[11]
웹인용
Qidong
http://www.jiangsu.n[...]
www.jiangsu.net Walter-Weilan Network Inc.
2010-06-26
[12]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0-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