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클라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클라요는 페루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람바예케 주의 주도이다. 도시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며, 모체 문화의 언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치클라요는 람바예케 문화의 일부였으며, 1835년 도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페루 북부의 금융 및 상업 중심지이며, 주요 관광 명소로는 시판 왕릉 박물관, 치클라요 대성당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치클라요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산타 마리아 데 로스 바예스 데 치클라요 |
별칭 | 우정의 도시 |
국가 | 페루 |
지역 | 람바예케 |
군 | 치클라요 |
구 | 치클라요 |
건설 | 1835년 4월 18일 |
설립자 | 펠리페 산티아고 살라베리 |
면적 | 174.46km² |
해발 고도 | 27m |
행정 | |
시장 | Janet Cubas Carranza (2023-2026) |
정치 체제 | 시장-의회 정부 |
인구 | |
총 인구 (2022년) | 609,400명 |
추정 인구 (2015년) | 600,440명 |
도시 인구 밀도 | 5,192명/km² |
수도권 인구 | 812,548명 |
인구 순위 | 4위 |
주민 | 치클라요인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14000-14013 |
지역 번호 | 74 |
시간대 | PET (페루 시간) |
UTC 오프셋 | -5 |
웹사이트 | www.gobiernochiclayo.gob.pe |
이미지 | |
![]() | |
![]() | |
![]() |
2. 어원
치클라요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지고 있다.
2. 1. 어원 관련 설
치클라요의 명칭에 대한 다양한 역사적 기록이 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치클라요크" 또는 "치클라예프"로 알려진 원주민이 사냐, 람바예케, 모로페 구 사이에서 석고를 운반했다고 한다.또 다른 설명으로는, 도시 설립 당시 이 지역에 모체 문화 언어로 "매달린 녹색"을 의미하는 "치클라예프" 또는 "치클라요프"라는 녹색 열매가 있었다고 한다. 카하마르카 주의 일부 고지대 마을에서는 호박을 "치클라요스"라고 부르는데, 이는 이 과일이 도시 이름의 기원임을 보여준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이 단어는 멸망한 모체 문화 언어에서 번역된 것으로, "반"을 의미하는 "Cheqta"와 "소유"를 의미하는 "yoc"에서 파생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사람들은 모체 문화 언어에 "녹색 가지가 있는 곳"을 의미하는 "Chiclayap" 또는 "Chekliayok"과 같은 유사한 단어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3. 상징
치클라요의 상징으로는 나이람프를 상징하는 의식용 칼인 투미, 풍부한 해양 자원과 전설을 가진 바다, "우에레-케-케-케"라는 울음소리를 가진 새 우에레케케 등이 있다.[1]
3. 1. 문장
치클라요의 문장은 옅은 파란색 바탕에 성모 무염시태를 묘사하고 십자가를 넣어 가톨릭 도시임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역사, 지리, 풍경과 관련된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1]3. 1. 1. 문장 구성 요소
문장은 이 지역의 중요한 특징들을 요약하고 있으며, 가톨릭 도시임을 나타내는 옅은 파란색 배경에 성모 무염시태를 묘사한 문장과 십자가를 통해 표현된다. 또한 역사, 지리 및 풍경과 관련된 다른 요소들도 나타난다.[1]4. 역사
모체 문화가 멸망할 무렵인 서기 700년경부터 1375년까지 람바예케 문화가 람바예케 주 지역을 차지했다. 람바예케 문화는 모체 문화의 전통과 지식을 흡수했으며, 현재의 치클라요는 람바예케 문화권의 일부였다. 람바예케 문화는 전성기(900년~1100년경)에 페루 해안 지대 전체에 영향을 미쳤고, 건축, 보석 등에서 모체 문화를 능가했다.
16세기 초, 치클라요에는 친토족과 콜리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의 족장들은 프란치스코회 수도원 건설을 위해 땅 일부를 기증했고, 수도원 건설과 함께 치클라요 시가 건설되었다. 리마, 아레키파 등 다른 페루 식민 도시와 달리, 치클라요에는 스페인인보다 원주민이 더 많이 살았다.
페루 독립 전쟁에서 치클라요는 호세 데 산 마르틴 장군의 독립군을 지원했다. 1835년 4월 15일, 펠리페 산티아고 살라베리 대통령은 치클라요를 도시로 선포하고, 독립 전쟁에서 세운 공을 기려 "영웅 도시"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1987년, 치클라요 동남쪽 30km 떨어진 시판에서 모체 문화의 왕묘가 발견되었다.
4. 1. 콜롬비아 이전 시대
모체 문명과 시칸 문화(람바예케 문화)는 스페인 침략 이전에 치클라요 지역에서 번성했던 대표적인 문명이다. 모체 문명은 서기 1세기부터 7세기까지, 시칸 문화는 서기 700년부터 1375년까지 이 지역을 지배했다.두 문화는 모두 농업, 건축, 금속 세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을 보유했다. 특히 모체 문화는 정교한 도자기와 관개 시설로 유명하며, 시칸 문화는 뛰어난 금속 세공 기술과 건축 기술을 자랑했다. 시칸 문화는 모체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1020년경 가뭄과 엘니뇨로 인해 쇠퇴하기 전까지 페루 해안 전체로 확장되었다.
이후 치클라요 지역은 치무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고, 치무 제국은 시칸의 금세공 기술을 흡수했다. 치무 제국은 다시 잉카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으며, 잉카 제국은 프란시스코 피사로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이 지역을 통치했다.
4. 1. 1. 모체 문화 (Mochica Culture)
모체 문명은 서기 1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시작되어 현재 페루 북부 해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오늘날 앙카시, 람바예케, 라 리베르타드 지역의 해안 지역을 포함했다. 이 문명은 수력 공학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발전시켜 농업을 지원하기 위해 관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운하를 건설했다. 그들은 잉여를 생산하여 인구 밀도와 발전을 위한 강력한 경제를 지원했다. 이 문화는 장식품, 도구 및 무기 제조에 구리를 집중적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4] 모체 문명은 페루에서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문명 중 하나였으며, 특히 시판 영주를 비롯한 모체의 유적과 고고학 유적지는 주요 관광지가 되었다.모체 시대에 치클라요 인근의 팜파 그란데는 주요 지역 수도였다. 모치카인들은 종교적 주제, 인간, 동물, 의식 장면 및 세계관을 반영하는 신화가 묘사된 정교한 디자인의 도자기를 제작했다. 그들은 놀라운 표현력, 완벽함, 현실감을 강조하는 후아코-초상화로 유명하며, 이 작품들은 전국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이 문명은 엘니뇨로 인한 재해로 인해 멸망했다.[4]
1987년 동남쪽 30km 떨어진 교외의 시판에서 모체 문화의 왕묘가 발견되었다.

4. 1. 2. 시칸 문화 (Sican Culture)
시칸 문화(람바예케 문화)는 서기 700년부터 1375년 사이에 현재의 람바예케 주를 포함한 오늘날의 치클라요 지역에 존재했다.이 문화는 모체 문명 말기에 형성되었으며, 모체 문명의 지식과 문화적 전통을 대부분 흡수했다. 전성기(900-1100)에는 페루 해안 전체로 확장되었다. 시칸은 건축, 보석, 항해술에 뛰어났다. 1020년경 30년 동안 이어진 가뭄과 여러 차례의 엘니뇨 재해로 인해 이 문명이 쇠퇴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시칸 문화의 영토는 치무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치무 제국은 금과 은을 다루는 시칸의 금세공 기술을 흡수하여 이 왕국에 인구를 통합했다. 마지막으로 치무는 잉카의 북쪽 확장에 따라 잉카 파차쿠텍에게 정복당하여 스페인 정복자 프란시스코 피사로에 의해 정복될 때까지 잉카 제국의 친차이수요에 이 지역이 통합되었다.
4. 2. 식민지 시대
16세기 초, 치클라요에는 친토족과 콜리케족 두 민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 부족의 족장들은 프란치스코회 수도원 건설을 위해 자신들의 땅 일부를 기증했다. 이 토지 구획은 1585년 9월 17일 왕령으로 승인되었다. 그리하여 치클라요의 성 마리아의 도움을 받아 콘셉시온의 안토니오 수사 신부의 지휘 아래 치클라요에 교회와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이 세워졌다. 이 스페인식 건물들이 건설될 당시 치클라요 시가 설립되었다. 리마, 아레키파와 같은 페루의 다른 주요 식민 도시들과 달리 치클라요는 스페인 식민주의자들보다는 주로 토착민들이 거주했다.모체 문화가 멸망할 무렵인 서기 700년경부터 1375년까지 모체 문화의 전통과 많은 지식을 흡수한 람바예케 문화(시칸 문화)가 존재했으며, 현재의 람바예케 주에 해당하는 지역을 차지했다. 현재의 치클라요는 람바예케 문화권의 일부였다. 람바예케 문화의 최성기인 서기 900년~1100년경에는 페루의 해안 지대 전체에 그 영향을 미쳤다. 람바예케 문화는 건축, 보석 등의 면에서 모체 문화를 능가했다.
4. 3. 독립 이후
페루 독립 전쟁 동안 치클라요는 호세 레오나르도 오르티스, 후안 마누엘 이투르게이, 파스쿠알 사코 올리베로스 등 람바예케 출신 애국자들의 지휘 아래 군인, 무기, 말, 기타 자원 등을 호세 데 산 마르틴 장군의 해방군에 지원했다.[1]독립 후에도 치클라요는 여전히 작은 마을이었다.[1] 1835년 4월 15일, 당시 대통령 펠리페 산티아고 살라베리는 치클라요를 도시로 선포하고, 독립 전쟁에서 치클라요 시민들이 세운 공을 기려 "영웅 도시"라는 칭호를 부여했다.[1] 다음 날, 치클라요 주가 신설되면서 치클라요는 주도가 되었고, 이후 람바예케 주의 주도가 되었다.[1] 1827년, 치클라요는 빌라(villa,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지방 행정 구역)로 승격되었다.[1]
4. 4. 현대
오늘날 치클라요는 페루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이며, 페루 북부의 금융 및 상업 수도이다. 전략적인 지리적 위치 덕분에 철도, 통신, 자동차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현대적인 요소로는 대형 슈퍼마켓, 은행 체인, 창고, 병원, 진료소, 갤러리 등이 있다.[6] 해안 열차 건설이 계획되어 있으며, 술라나 시와 이카를 연결하면서 치클라요를 역으로 포함할 예정이다. 도시 개선을 위한 수많은 프로젝트가 계획되고 있다.치클라요는 또한 친절한 사람들 덕분에 "우정의 도시"와 페루의 ''페를라 델 노르테''("북쪽의 진주")로도 알려져 있다.[6]
5. 행정
치클라요 시는 구역 세 곳 (호세 레오나르도 오르티스, 라 빅토리아, 치클라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심 외곽에는 피멘텔, 포말카, 레케와 같은 세 곳의 다른 구역이 있다.[8] 이 구역들은 주택 개발 지구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252.39km2이다.
1992년 도시 개발 계획인 "치클라요 2020"에서 피멘텔, 포말카, 레케를 치클라요 시에 추가하는 안건이 제안되었으나, 2016년 국토 정비 계획(PAT)과 도시 개발 계획(PDU)으로 대체되었다.[9]
치클라요는 치클라요-람바예케 광역권의 일부로, 이 광역권은 치클라요의 6개 구와 람바예케, 산타 로사, 푸에르토 에텐, 에텐 시, 몬세푸, 레케 등 다른 6개 구로 구성된다. 광역권 인구의 60%는 치클라요의 6개 구에 집중되어 있다.[10] 이 광역권은 치클라요 중심부와 인접 지역, 람바예케의 지방 수도를 포함하며, 이들 중 일부는 치클라요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거나 치클라요에 상품을 공급한다.[10]
5. 1. 시 정부
치클라요의 시장은 행정부의 수장이다. 시장은 4년 임기로 민주적으로 선출된다. 각 구역에도 치클라요 시장의 감독 하에 구역 시장이 있다. 구역 시장은 해당 구역의 정부 행정 활동을 조정할 책임이 있다. 현재 치클라요 시장은 2023년에 선출되어 마르코 가스코 아로바스를 대신한 자넷 쿠바스 카란사이다.[7]
5. 2. 역대 시장
치클라요의 시장은 행정부의 수장으로, 4년 임기로 민주적으로 선출된다. 각 구역에는 치클라요 시장의 감독 하에 구역 시장이 있으며, 이들은 해당 구역의 정부 행정 활동을 조정한다. 현재 치클라요 시장은 2023년에 선출된 자넷 쿠바스 카란사이며, 마르코 가스코 아로바스의 뒤를 이었다.
5. 3. 구역
치클라요 시는 구역 세 곳으로 구성되어 있다.[8] 호세 레오나르도 오르티스, 라 빅토리아, 치클라요가 이에 해당한다. 도심 외곽에는 피멘텔, 포말카, 레케와 같은 세 곳의 다른 구역이 있다. 이 구역들은 주택 개발 지구로 세분화되어 있다. 총 면적은 252.39km2이다.1992년 도시 개발 계획인 "치클라요 2020"에 의해 피멘텔, 포말카, 레케를 치클라요 시에 추가하는 안건이 제안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2016년 국토 정비 계획(PAT)과 도시 개발 계획(PDU)으로 대체되었다.[9]
5. 4. 광역권
치클라요는 치클라요-람바예케 광역권의 일부이다. 이 광역권은 치클라요의 6개 구와 람바예케, 산타 로사, 푸에르토 에텐, 에텐 시, 몬세푸, 레케 등 다른 6개 구로 구성된다. 광역권 인구의 60%는 치클라요의 6개 구에 집중되어 있다.[10] 이 광역권은 치클라요 중심부와 인접 지역을 포함하며, 람바예케의 지방 수도도 포함하는데, 이들 중 일부는 치클라요의 베드타운 역할을 하거나 치클라요에 상품을 공급한다.[10]6. 지리
'''위치'''
치클라요는 태평양에서 13km 떨어져 있으며, 페루 트루히요에서 208km, 페루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리마에서 770km 떨어져 있다. 해발 27m 고도에 위치해 있다. 트루히요와 마찬가지로 치클라요는 서핑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피멘텔이 이 도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해변이다.[1]
'''기후'''
치클라요는 일년 내내 햇볕이 내리쬐는 따뜻하고 매우 건조한 사막 기후를 가지고 있다. 적도 근처의 열대 지역에 위치해 있어 덥고 습하며 비가 많이 와야 하지만, 실제로는 편안하고 건조한 아열대 기후와 매우 유사하다. 이는 여름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간 동안 온도를 낮추는 강한 바람 때문이다. 여름철(12월~5월)에는 낮 기온이 27°C에서 30°C, 밤 기온이 19°C에서 21°C로 덥고, 2월과 3월에는 낮 기온이 31°C에서 33°C, 밤 기온이 22°C에서 23°C까지 올라간다. 7월부터 9월까지의 겨울은 낮 기온이 21°C에서 24°C 사이로 온화하고 시원하며 맑은 날이 많다. 주기적으로 7, 10 또는 15년마다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35°C를 초과하는 고온이 발생하며, 강우와 강물 수위가 크게 증가한다. 1998년 엘니뇨 현상 동안 2월에 이 도시에서 기록된 가장 강력한 폭풍으로 인해 하루에 100mm의 강우량이 기록되었다.[11][12][13]
6. 1. 위치
치클라요는 태평양에서 13km 떨어져 있으며, 페루 트루히요에서 208km, 페루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리마에서 770km 떨어져 있다. 해발 27m 고도에 위치해 있다. 트루히요와 마찬가지로 치클라요는 서핑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피멘텔이 이 도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해변이다.[1]6. 2. 기후
치클라요는 일년 내내 햇볕이 내리쬐는 따뜻하고 매우 건조한 사막 기후를 가지고 있다. 치클라요 시는 적도 근처의 열대 지역에 위치해 있어 덥고 습하며 비가 많이 와야 하지만, 실제로는 편안하고 건조한 아열대 기후와 매우 유사하다. 이는 여름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간 동안 온도를 낮추는 강한 바람 때문이다.
여름철(12월~5월)에는 낮 기온이 27°C에서 30°C, 밤 기온이 19°C에서 21°C로 덥고, 2월과 3월에는 낮 기온이 31°C에서 33°C, 밤 기온이 22°C에서 23°C까지 올라간다. 7월부터 9월까지의 겨울은 낮 기온이 21°C에서 24°C 사이로 온화하고 시원하며 맑은 날이 많다.
주기적으로 7, 10 또는 15년마다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35°C를 초과하는 고온이 발생하며, 강우와 강물 수위가 크게 증가한다. 1998년 엘니뇨 현상 동안 2월에 이 도시에서 기록된 가장 강력한 폭풍으로 인해 하루에 100mm의 강우량이 기록되었다.
7. 인구
2007년에 실시된 인구 및 주택 조사에 따르면, 치클라요 시 경계 내 또는 6개 시정촌에 574,408명이 거주하고 있다. 수도권의 인구는 930,824명이며, 포장된 고속도로로 10분 거리에 있는 몬세푸와 람바예케와 같은 인근 도시도 포함한다. 30분 이내 거리에는 페레냐페, 산타 로사, 에텐, 일리모, 투만이 순서대로 위치해 있다. 치클라요는 비옥한 계곡인 찬카이 강 삼각주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리마, 아레키파, 트루히요에 이어 페루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14]
치클라요의 도시 계획 국장에 따르면, 2020년까지 람바예케 주에 속하는 산 호세 구는 치클라요 시와 완전히 통합될 것이다. 이 구의 인구는 12,156명이며, 이 구의 대부분은 치클라요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도시화되어 있다.[14]
8. 교육 및 문화
치클라요에는 산토 토리비오 데 모그로베호 가톨릭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교[15]가 있으며, 페드로 루이스 갈로 국립 대학교는 인근 람바예케 시에 있다.
시판 왕릉 박물관을 비롯하여 우아카 라하다, 한스 하인리히 브루닝 국립 박물관 등 페루 최고의 박물관들이 치클라요에 있다.[15]
8. 1. 대학교
대학교 이름 |
---|
산토 토리비오 데 모그로베호 가톨릭 대학교 |
후안 메히아 바카 사립 대학교 |
세뇨르 데 시판 대학교 |
치클라요 사립 대학교 |
람바예케 대학교 |
산 마르틴 데 포레스 대학교 |
세사르 바예호 대학교 |
알라스 페루아나스 대학교 |
독일 연방 공화국 연구소 |
세나티, 국립 산업 훈련 서비스 |
참고: 페드로 루이스 갈로 국립 대학교는 치클라요가 아닌 인근 람바예케 시에 있으며, 거리는 11km이다.
8. 2. 박물관
치클라요는 페루 최고의 박물관 중 하나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유명한 곳은 시판 왕릉 박물관으로, 람바예케 시에 위치하며, 치클라요 광역권의 일부이다. 치클라요의 다른 박물관으로는 시판 왕릉 박물관과 유사한 우아카 라하다, 한스 하인리히 브루닝 국립 박물관이 있다.해당 지역의 박물관 목록은 다음과 같다.
박물관 |
---|
우아카 라하다 – 시판 박물관 |
시판 왕릉 박물관 |
시칸 국립 박물관 |
한스 하인리히 브루닝 국립 박물관 |
투쿠메 피라미드 계곡 박물관 |
시판 현장 박물관 (가장 최신의 가장 작은 박물관) |
8. 3. 음식
치클라요와 람바예케 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는 쌀과 오리고기를 넣은 아로스 콘 파토와 아브리토 아 라 노르테냐이다. 아로스 콘 파토는 쌀과 오리고기로 만든 요리로, 매콤하고 산미가 특징이며 마늘, 식초, 고추에 절인 오리고기가 들어간다. 아브리토 아 라 노르테냐는 삶은 카사바, 양고기, 쌀, 콩과 함께 제공되며, 피우라에서 유래된 변형은 카사바 대신 타말레를 사용한다. 호박 로체라고도 알려진 람바예케 로체는 치클라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일의 일종으로, 스페인 정복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8. 4. 스포츠
축구는 치클라요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치클라요에서 가장 인기 있는 축구 클럽은 페루 세군다 디비시온에 소속된 후안 아우리치로, 2011년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챔피언이었다. 치클라요의 다른 축구 클럽으로는 FC 카를로스 슈타인과 피라타 FC가 있다. 치클라요의 주요 경기장이자 가장 큰 경기장은 수용 인원 24,500명의 에스타디오 엘리아스 아기레로, 2004년 코파 아메리카와 2005년 FIFA U-17 세계 선수권 대회가 페루에서 개최되었다. 치클라요에서 인기 있는 다른 스포츠로는 배구, 농구 및 럭비 리그가 있다.9. 관광 명소
람바예케 주는 고대 모체 문명의 중심지로, 독창적인 유물과 유적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페루에서 가장 관광객이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1987년에는 고대 모체 통치자들의 왕릉이 발굴되었고, 여기서 발견된 유물들은 람바예케 시에 있는 시판 왕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 또한 페레냐페에는 브루닝 박물관과 시칸 박물관이 있어 고대 모체의 훌륭한 예술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1] 투쿠메 유적에는 높이 40m에 달하는 20개 이상의 흙벽돌 피라미드가 있다.[1] 2007년에는 30만 6천 명 이상의 관광객이 람바예케의 박물관을 방문했다.[1]
- '''메인 공원''' – 치클라요 중심부에 위치하며, 페루 국기를 형상화한 세 줄기의 물줄기를 뿜는 수영장이 있다.[2] 주변에는 쇼핑 센터, 대성당, 로열 호텔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2] 1969년에 건설되었으며, 설계자는 건축가 카를로스 가리도 레카이다.[2]
- '''치클라요 대성당''' –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구스타브 에펠의 디자인과 도면에 따라 1869년에 건축되었다.[3] 내부는 세 개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난한 그리스도 조각과 안토니오의 집이 있다.[3]
- '''호세 유페미오 로라 이 로라 시립 도서관''' – 페루에서 가장 큰 규모의 도서관 중 하나였지만, 현재는 관리가 부실하고 예산이 부족하여 소장품이 부족하고 서비스가 미비한 상태이다.[8]
10. 교통
FAP 카피탄 호세 아벨라르도 키뇨네스 곤잘레스 국제공항(IATA: CIX, ICAO: SPHI)은 치클라요와 주변 수도권을 운행하는 주요 공항이다. 이 공항은 페루 북부의 여러 공항을 운영하는 민간 공항 운영사인 ADP가 운영한다. 국내 항공사, 국제 항공편, 연료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며, 터미널은 2520m x 45m의 활주로를 갖추고 있다.
젯스마트 페루, LATAM 페루, 스타 페루 4개의 항공사가 치클라요의 국제공항을 운항하며, 리마로 국내선을 제공한다. 2016년 7월, 코파 항공이 치클라요와 토쿠멘 국제공항에 있는 허브 간 직항편을 시작하여 도시 최초의 국제선이 되었다. 미국 기반 스피릿 항공은 미국 플로리다주 포트로더데일에 있는 허브에서 치클라요를 운항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다. 스타 페루는 2023년 12월 타라포토와 이키토스로의 노선을 열었다.
치클라요는 위치상 페루 북동부의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거점 역할을 하며, 리마, 트루히요, 피우라, 카하마르카, 초타, 쿠테르보, 바구아, 하엔, 차차포야스, 툼베스 등의 도시를 운행하는 다양한 버스 회사들이 있다.
운송 수요를 적절히 수용하기 위해, 이 도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육상 터미널의 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하나는 도시 남쪽 끝에, 다른 하나는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북쪽 끝에 위치해 있다. 상당수의 버스 회사들이 자체 터미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다수는 시내 중심가와 인근 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들 주간 버스는 치클라요 시내에서 발생하는 교통 체증의 원인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 정부는 도시에 중앙 터미널을 건설하는 계획을 제안했다.
지역적으로, 람바예케 주의 구와 지방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콤비', '쿠스터', '콜렉티보'와 같은 다양한 대중 교통 서비스가 있다. 또한, 도시 시내 전역에서 끊임없이 경적을 울려 원치 않는 소음 공해를 유발하는 압도적인 수의 개인 택시가 있다.
11. 자매 도시
국가 | 도시 |
---|---|
ARG|아르헨티나es | 반필드 |
VEN|베네수엘라es | 보코노 |
ECU|에콰도르es | 쿠엥카 |
ECU|에콰도르es | 로하 |
PER|페루es | 아레키파 |
JPN|일본일본어 | 삿포로 |
PER|페루es | 후안후이 |
UK|영국영어 | 입스위치 |
KOR|대한민국한국어 | 성남시 |
12. 저명한 출신 인물
- 호세 키뇨네스 곤잘레스: 페루의 국가적 항공 영웅이다. 1914년 4월 22일 치클라요 주 피멘텔 구에서 태어났으며, 에콰도르와의 분쟁에서 복무 중 전사했다.
- 아우구스토 베르나르디노 레기아 이 살세도: 페루 대통령을 4차례(1908–1912, 1919–1925(과도기 포함), 1925–1929, 1929–1930) 역임했다. 1863년 2월 19일 람바예케에서 출생하여 1932년 2월 6일 사망했다. 총 15년을 통치하여 페루 대통령 중 가장 오랜 기간 통치했다.[1]
- 루이스 카스타녜다 로시오: 리마 시장(2003–2010, 2015년 이후)을 역임했다. 1945년 6월 21일 치클라요에서 태어났으며, 국민연대당의 창립자이자 대표이다.[2]
- 헤라르도 파스토르 보지아노: 치클라요 시장(1970–1974)을 역임했다. 시청 재건, 시민 센터 및 시립 도서관 건설, 레기아 애비뉴 건설 시작, 올모스 관개 프로젝트 추진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3]
- 예후데 시몬 무나로: 페루 총리(2008년 10월 10일 - 2009년 7월 11일)를 역임했다. 1947년 7월 18일 리마에서 태어난 수의사이자 사회학자이며 정치인이다.[4]
- 에두아르도 오레고 빌라코르타: 건축가[5]
- 앙헬 하비에르 벨라스케스: 페루 총리(2009년 7월 11일 - 2010년 9월 13일) 역임. 변호사이자 헌법학자이며 페루 정치인이다. 1960년 3월 12일 페루 람바예케 에텐에서 출생했다.[6]
- 타니아 리베르타드: 국제 가수[7]
참조
[1]
보고서
Perú: Población estimada al 30 de junio y tasa de crecimiento de las ciudades capitales, por departamento, 2011 y 2015
http://proyectos.ine[...]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e Informática
2015-06-03
[2]
웹사이트
Local Stats, Info, Weather
http://www.travelsra[...]
2011-08-03
[3]
웹사이트
World-Gazetteer.com
[4]
웹사이트
Historia de Chiclayo
https://web.archive.[...]
2013-05-04
[5]
웹사이트
Mi tierra en la Web: Escudo de Chiclayo
http://mitierraenlaw[...]
mitierraenlaweb.blogspot.com
2015-11-20
[6]
뉴스
Raíces mochicas de Chiclayo, perla del norte del Perú
http://www.rpp.com.p[...]
2013-04-29
[7]
문서
es:Anexo:Alcaldes de Chiclayo
[8]
문서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e Informática
2012
[9]
웹사이트
Municipalidad Provincial de Chiclayo Planes Urbanos
https://www.munichic[...]
2019-01-21
[10]
웹사이트
Gerencia de Urbanismo
https://web.archive.[...]
2014-02-24
[11]
웹사이트
Chiclayo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4-23
[12]
웹사이트
Station Capitan Jose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06-27
[13]
웹사이트
Klimatafel von Chiclayo, Prov. Lambayeque / Peru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7-07-04
[14]
웹사이트
INEI Census 2007
http://desa.inei.gob[...]
[15]
웹사이트
Educacion superior
http://www.paginasam[...]
2013-05-04
[16]
웹사이트
Educacion superior
http://www.umb.edu.p[...]
2013-05-20
[17]
웹사이트
MUSEOS EN LAMBAYEQUE
https://web.archive.[...]
2013-05-04
[18]
보고서
Perú: Población estimada al 30 de junio y tasa de crecimiento de las ciudades capitales, por departamento, 2011 y 2015
http://proyectos.ine[...]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e Informática
2015-06-03
[19]
웹사이트
Chiclayo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4-23
[20]
웹사이트
Station Capitan Jose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06-27
[21]
웹사이트
Klimatafel von Chiclayo, Prov. Lambayeque / Peru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7-07-04
[22]
웹인용
Chiclayo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4-23
[23]
웹인용
Station Capitan Jose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06-27
[24]
웹인용
Klimatafel von Chiclayo, Prov. Lambayeque / Peru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7-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