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보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보면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정읍시에 속하는 면이다. 삼국시대에는 대시산군,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에는 태산군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태인군 고현내에 속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정읍군 칠보면이 되었고, 1955년 정읍시와 통합되어 현재에 이른다. 행정 구역은 축현리 등 7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읍 무성서원, 정읍 석탄사, 정읍 무성리 삼층석탑 등 다양한 문화재와 정읍 칠보물테마유원지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읍·면 - 덕천면
덕천면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한 면으로, 1914년 우덕면과 달천면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등 다양한 문화유산과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6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읍·면 - 북면 (정읍시)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북면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북일면과 북이면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이후 보림사, 남산사 등의 문화재와 보림리, 마정리 등 10개의 법정리를 포함한다. - 정읍시의 행정 구역 - 상교동
상교동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하며 상평동과 과교동이 통합되어 설치되었고 하모동, 상평동, 과교동 등 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암서원지, 단군성전, 온조우 등 다양한 문화재와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동이다. - 정읍시의 행정 구역 - 수성동 (정읍시)
수성동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한 동으로, 정읍충렬사, 송우암 수명 유허비 등의 문화재와 쌍화차 거리가 위치해 있으며 영창동, 장명동, 시기동, 농소동을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칠보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칠보면 |
한자 표기 | 七寶面 |
영문 표기 | Chilbo-myeon |
![]() | |
면적 | 49.63 |
세대 | 1,225 (2009년 12월 31일 기준) |
인구 | 2,188 (2023년 01월 기준) |
법정리 | 7 |
행정리 | 32 |
면사무소 | 칠보면 칠보중앙로 68 |
홈페이지 | 정읍시 칠보면사무소 |
2. 연혁
칠보면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시대 | 내용 |
---|---|
삼국시대 | 대시산군 |
통일신라 ~ 고려시대 | 태산군 |
조선시대 초 | 태산군 |
조선 태종 6년 이후 | 태인군 고현내 |
1914년 | 정읍군 칠보면 (부군제 실시) |
1955년 1월 1일 | 정읍시 칠보면 (시군 통합) |
2. 1. 삼국시대 ~ 조선시대
삼국시대에는 대시산군이었다.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는 태산군이었다. 조선 초에도 태산군이었으나, 조선 태종 6년 이후에는 태인군 고현내였다.2. 2. 일제강점기 ~ 현재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부군제 실시에 따라 태인군 고현내면과 내칠면, 외칠면을 합하여 정읍군 칠보면이 되었다. 1955년 1월 1일 시군 통합으로 정읍시 칠보면이 되었다.3. 행정 구역
칠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태인군 지역들을 병합하여 정읍군에 편입되었으며, 현재 축현리(杻峴里), 백암리(白岩里), 무성리(武城里), 와우리(臥牛里), 시산리(詩山里), 반곡리(盤谷里), 수청리(水淸里)의 7개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3. 1. 법정리 목록 및 유래
법정리명 | 마을 유래 | 자연마을 | 비고 |
---|---|---|---|
축현리(杻峴里) | 본래 태인군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석정리(石井里), 남기리(南基里) 각 일부를 병합하였다. 이 지역이 싸리재(軸峴) 밑이기 때문에 그 이름을 축현리라 하고, 정읍군 칠보면에 편입하였다. | 1) 축촌(?村) 마을 2) 신기(新基) 마을 | |
백암리(白岩里) | 본래 태인군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일리(上一里), 중일리(中一里), 제내리(提內里), 백암리(白岩里), 축촌리(軸村里), 석정리(石井里)와 고현내면(古縣內面) 이리(二里), 삼리(三里) 및 동촌면(東村面) 칠전리(漆田里) 남촌이변면(南村二邊面) 덕두리(德斗里) 각 일부와 원두리(元斗里), 사제리(沙提里)를 병합하여 중심 마을 이름을 따서 백암리라 하고, 정읍군 칠보면에 편입하였다. | 1) 원백(元白) 마을 2) 상일(上一) 마을 3) 중일(中一) 마을 4) 흥이(興二) 마을 5) 흥삼(興三) 마을 6) 원제(元提) 마을 | |
무성리(武城里) | 본래 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은석리(銀石里), 원촌리(院村里), 동촌리(東村里), 육리(六里), 도산리(道山里)와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흥삼리(興三里), 신제리(新提里), 구동(九洞)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이 지역에 있는 유명한 서원인 무성서원의 이름을 따서 무성리라 하고, 정읍군 칠보면에 편입하였다. | 1) 묵동(墨洞) 마을 2) 신흥(新興) 마을 3) 대흥(大興) 마을 4) 장구(長久) 마을 5) 은석(銀石) 마을 6) 원촌(院村) 마을 | |
와우리(臥牛里) | 본래 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 구역이었으나, 1941년 행정구역 개편 때 명천리(鳴川里), 도산리(道山里), 육리(六里), 원천리(院川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이곳 지형이 와우형(臥牛形)이라 하여 와우리라 하고, 정읍군 칠보면에 편입하였다. | 1) 도산(道山) 마을 2) 검단(檢丹) 마을 3) 명천(鳴川) 마을 | |
시산리(詩山里) | 본래 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행단리(杏壇里), 복호리(伏虎里), 상오리(上五里), 동변동(東邊洞), 원촌리(院村里), 만궁리(滿弓里)와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흥삼리(興三里), 흥이리(興二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옛 고을 대시산(大尸山)의 이름을 따서 시산리라 하고, 정읍군 칠보면에 편입하였다. | 1) 행단(杏壇) 마을 2) 복호(伏虎) 마을 3) 시기(市基) 마을 4) 건흥(建興) 마을 5) 송산(松山)마을 6) 동편(東遍) 마을 7) 삼리(三里) 마을 : 남전마을 | |
반곡리(盤谷里) | 본래 태인군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과 고현내면(古縣內面) 구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동막리(洞幕里), 옥촉리(玉燭里), 여암리(餘岩里), 벌수리(伐水里), 광신리(光新里)와 고현내면(古縣內面)의 만궁리(滿弓里) 일부, 세류리(細柳里), 사리(四里), 진종리(眞從里), 백화리(白化里)를 병합하여, 이 산골의 특징을 잡아「서리실」(盤 谷)이라 하는 이름을 따서 반곡이라 하고, 정읍군 칠보면에 편입하였다. | 1) 세류(細柳) 마을 2) 원반(元盤) 마을 3) 석탄(石灘) 마을 4) 동막(東幕) 마을 5) 여옥(余玉) 마을 6) 벌수(伐水) 마을 | |
수청리(水淸里) | 본래 태인군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수만리(水滿里), 노적리(老迪里), 피오리(皮五里), 굴치리(屈峙里)와 정읍군 옹동면 피오리(皮五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이 곳 수만과 내외청을 약칭한 수청리라 하고, 정읍군 칠보면에 편입하였다. | 1) 청광(靑光) 마을 2) 만석(滿釋) 마을 : 만적마을 |
4. 문화재 및 관광 자원
칠보면에는 정읍 무성서원, 정읍 석탄사, 정읍 무성리 삼층석탑, 정읍 무성리 석불입상,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김회련 고신왕지, 정읍 백암리 남근석 등 다양한 문화재가 사적, 보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민속문화재 등으로 지정되어 있다. 정읍 칠보물테마유원지는 칠보면의 주요 관광 자원이다.
4. 1. 주요 문화재
- 정읍 무성서원 - 사적 제166호
- 정읍 석탄사 - 전통사찰 94호
- 정읍 무성리 삼층석탑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8호
- 정읍 무성리 석불입상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7호
-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 보물 제437호
- 김회련 고신왕지 - 보물 제438호
- 정읍 백암리 남근석 -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13호
4. 2. 관광 자원
정읍 무성서원은 사적 제166호, 정읍 석탄사는 전통사찰 94호, 정읍 무성리 삼층석탑은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8호, 정읍 무성리 석불입상은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57호로 지정되었다. 김회련과 관련된 문화재로는 보물 제437호인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과 보물 제438호인 김회련 고신왕지가 있다. 정읍 백암리 남근석은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정읍 칠보물테마유원지는 칠보면의 주요 관광 자원 중 하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