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인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인군은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정읍군에 통폐합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태인군은 태인면, 보림면, 용북면, 옹동면, 감곡면, 칠보면, 산외면, 산내면으로 개편되었다. 이후에도 소규모 행정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안군의 역사 - 고부군
    고부군은 마한의 고비리국에서 유래하여 백제 시대 고사부리군으로 개칭되었고 조선 시대까지 존속했으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정읍군과 부안군에 통합되었으며, 고부 농민봉기는 동학 농민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부안군의 역사 -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는 1993년 악천후와 과적으로 침몰하여 292명의 사망자를 낸 해상 사고로, 대한민국 교통부 장관 경질 및 선박 안전 규제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정읍시의 역사 - 고부군
    고부군은 마한의 고비리국에서 유래하여 백제 시대 고사부리군으로 개칭되었고 조선 시대까지 존속했으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정읍군과 부안군에 통합되었으며, 고부 농민봉기는 동학 농민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정읍시의 역사 - 정읍 존속살인 사건
    정읍 존속살인 사건은 2018년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김모 씨가 정신 질환을 앓던 중 어머니를 흉기로 살해한 사건으로, 법원은 김 씨의 심신미약 상태를 인정했으나 살해 의도를 인정하여 징역 10년과 치료감호를 선고했다.
  • 한국의 폐지된 군 - 영평군 (경기도)
    영평군은 삼국시대부터 존재했던 경기도 포천 지역의 군으로, 시대에 따라 행정 구역 변화를 겪으며 영흥현, 영평현을 거쳐 영평군으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 포천군에 편입, 한국 전쟁 이후 잠시 북포천군으로 존재하다 다시 포천군에 통합되어 현재 포천시 일부 지역을 포함한다.
  • 한국의 폐지된 군 - 고부군
    고부군은 마한의 고비리국에서 유래하여 백제 시대 고사부리군으로 개칭되었고 조선 시대까지 존속했으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정읍군과 부안군에 통합되었으며, 고부 농민봉기는 동학 농민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태인군
지도
기본 정보
국가대한민국
충청남도
면적531.37km²
인구62,647명 (2023년 12월)
군청 소재지태안읍
하위 행정 구역2읍 6면
정치
군수가세로
군의회 의장김기두
역사
1895년태안군 설치
1914년서산군에 편입
1989년태안군 재설치
지리
위치태안반도
특징서해안 지역
해안선 복잡
다양한 해안 지형 발달
주요 지형해안 평야
구릉성 산지
관광
주요 관광지만리포해수욕장
꽃지해수욕장
신두리해안사구
태안해안국립공원
축제태안 튤립축제
태안 백합축제
태안 국제 모래조각 페스티벌
교통
도로국도 제32호선
국도 제77호선
항만태안항
대중교통시내버스
문화
문화재태안 마애삼존불
박물관태안군립 박물관
산업
주요 산업어업
농업
관광업
교육
고등학교태안고등학교
태안여자고등학교
대학교한국폴리텍대학 태안캠퍼스
자매 도시
국내서울특별시 강남구
경기도 안산시
충청북도 제천시
기타
웹사이트태안군청

2. 1914년 이전 태인군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
태인군 군내면(郡內面) 구오리 일부/육리 일부/십일리 일부/거산리 일부/(동촌면)신성리 일부/정동리 일부, 백산리/장동/원동 일부/(인곡면)이암리 일부/장수동/(북촌면)일리 일부, 사창리 일부/사리 일부/육리 일부/칠리 일부/십리 일부/십일리 일부, 신기리 일부/용정리 일부/청석동 일부/오리 일부/육리 일부/십리 일부/십일리 일부/거산리 일부/내이리 일부/(고부군 벌미면)덕촌 일부/화천리 일부/회룡리 일부, 홍문리/쌍갈리 일부/사리 일부/오리 일부/칠리 일부/거산리 일부
태인군 인곡면(仁谷面) 왕림리/서주동/고천리/관동/녹동/(군내면)쌍갈리 일부/(옹지면)소일리 일부, 구정리/박동리 일부/박서리 일부/(흥천면)궁서리 일부/(군내면)원동 일부/천오리 일부/여율리 일부, 상증리/하증리
태인군 흥천면(興川面) 강삼리/궁사리 일부/외신리 일부/외이리 일부/(인곡면)이암리 일부/(군내면)원동 일부/(북촌면)일리 일부/구사동 일부/(고부군 벌미면)강신리 일부, 내이리 일부/외이리 일부/외신리 일부/낙양리 일부/용정리 일부/하일리 일부/(군내면)신기리 일부, 천신리/왕천리/하일리 일부/(인곡면)박동리 일부/박서리 일부/낙양리 일부/(군내면)신기리 일부/천오리 일부/청석동 일부
태인군 북촌면(北村面) 일리 일부/이리 일부/구사동 일부/(인곡면)이암리 일부, 표천리/상삼리 일부/하삼리 일부/사리 일부/구사동 일부, 제용리 일부/신흥리 일부/(용산면)우항리 일부/괴동 일부/양촌리 일부, 점촌리/사리 일부/요동 일부/오리 일부, 오리 일부/하삼리 일부/신흥리 일부/제용리 일부/(용산면)우항리 일부
태인군 용산면(龍山面) 신덕리 일부/화호리 일부/정자리 일부, 대촌리/두동/괴동 일부/양촌리 일부/장군리 일부/(북촌면)신흥리 일부/(고부군 답내면)두전리 일부, 장군리 일부/육동 일부, 정천동/상서동/신곡동/청당리/(김제군 부량면)신평리 일부, 화호리 일부/정자리 일부/신덕리 일부
태인군 동촌면(東村面) 내동리/적천리/정동리 일부/매당리 일부/신성리 일부/삼리 일부/(옹지면)내칠리 일부, 수약동/구암리/수천리/후당리/화장동/두곡리 일부/노탄리 일부/(고현내면)도산리 일부, 행정리/노탄리 일부/삼리 일부/칠전리 일부/두곡리 일부/정동리 일부/(고현내면)원촌리 일부/(남촌일변면)신제리 일부
태인군 옹지면(瓮池面) 송월리/용이리/호동/소일리 일부, 와룡리/덕교리/저삼리/상기리/(동촌면)노삼리, 금상리/일리/사리/두오리 일부/소일리 일부/시목리 일부, 석육리/성칠리/외칠리/시목리 일부/내칠리 일부/두오리 일부/(동촌면)매당리 일부
태인군 서촌면(西村面) 구사리/복호동/성재동 일부/주산리 일부/서재리 일부/분동 일부/(고부군 벌미면)덕촌 일부/(고부군 장순면)상학리 일부
태인군 남촌이변면(南村二邊面) 마정리/연지동/평촌리 일부/오류촌 일부/(서촌면)태곡리 일부/월천리/(정읍군 북면)태곡리 일부, 가정리/상유리/하유리/입점리/구곡리/평촌리 일부/(남촌일변면)남기리 일부, 중산리/하삼리/상산리 일부/분동 일부/(서촌면)과학치 일부/(고현내면)삼리 일부, 오류촌 일부/상산리 일부/장재동 일부/(서촌면)과학치 일부, 덕두리 일부/장재동 일부/(서촌면)과학치 일부/(고현내면)이리 일부/삼리 일부
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 은석리/원촌리 일부/동촌리 일부/육리 일부/도산리 일부/(남촌일변면)삼리 일부/구제리 일부/구동, 행단리/복호리/상오리/하오리/동변리 일부/원촌리 일부/만궁리 일부/(남촌일변면)삼리 일부/흥이리, 명천리/도산리 일부/육리 일부/원촌리 일부
태인군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동막리/옥촉리/여암리/벌수리/광신리/(고현내면)만궁리 일부/세유리/사리/진종리/백화리, 상일리/중일리/제내리/백암리/축촌리/석정리 일부/(고현내면)이리 일부/삼리 일부/(동촌면)칠전리 일부/(남촌이변면)덕두리 일부/원두리/사제리, 석정리 일부/남기리 일부
태인군 감산면(甘山面) 계봉리/대삼리/신삼리/사리 일부/반룡리 일부/소이리 일부/(금구군 수류면)구암리 일부, 오리/육리/칠리/반곡리/과신리/팔리 일부/대구리 일부/소구리 일부/반룡리 일부
태인군 사곡면(師谷面) 삼평리/북리 일부/하송리 일부/(금구군 남면)만복리 일부, 원방리/상곽리 일부/원중리 일부/원당리 일부/북리 일부, 상송리/하곽리/산전리/회룡리/하송리 일부/소칠리 일부/상곽리 일부/(상촌면)요동 일부, 오주리/원중리 일부, 유수리/정가리/고잔리/옥단동 일부/원당리 일부/원중리 일부/북리 일부/(은동면)명당리 일부
태인군 은동면(銀洞面) 소사리/신기리 일부/(감산면)팔리 일부/대구리 일부/소구리 일부/(사곡면)신감리 일부, 소일리/이리/삼리/명당리 일부/점촌 일부/(사곡면)옥단동 일부/천곡리, 산직촌/대사리/신흥리/진교리/점촌 일부/(군내면)여율리 일부, 일리/신기리 일부/(감산면)소이리 일부/반룡리 일부/(사곡면)신감리 일부/회암리
태인군 산외이변면(山外二邊面) 구장리/만병리/만헌리/진계리 일부/(산내일변면)상두리/가야리, 정량동/도화동/내능리/민하동/능암리/안계리, 상엄리/하엄리/죽동/화정리/무릉리/산내리/하내리/녹동/당곡리/진계리 일부
태인군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상지리/하지리/동곡리/용두리 일부/평동 일부, 주곡리/야정리/공동/이치리/신배리/신암리, 사평리/하성리/신천리/평동 일부/용두리 일부/(산외이변면)운전리/노은리/척곡리
태인군 산내이변면(山內二邊面) 대능리/용암리/능교리/문수리/상허리/하허동/구복리/감곡리, 매죽리/진삼동/용운리 일부, 원덕리/상례동/하례동, 시동/종암리/신기리/평내리/백필리/청동 일부/사리
태인군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 상탄리/용강리/하두리/사교리/상신리/영동 일부/상두리 일부/(산내이변면)용운리 일부, 내목리/외목리/양하동/마시동/상두리 일부, 여우리/하쌍리/원전리/(임실군 하운면)여우치 일부, 백운동/백여리/묵동/종성리/백학동/안성리/상이리/하이리/황토리/황학동/(산내이변면)청동 일부/용운리 일부


3.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태인군이 정읍군에 통합되면서, 태인군의 면들도 정읍군의 면으로 통폐합되었다.[1]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태인군정읍군
군내면, 인곡면, 흥천면태인면
서촌면, 남촌이변면보림면
북촌면, 용산면용북면
동촌면, 옹지면옹동면
감산면, 사곡면, 은동면감곡면
고현내면, 남촌일변면칠보면
산외일변면, 산외이변면산외면
산내일변면, 산내이변면산내면


3. 1. 태인면 (泰仁面)

태인면(泰仁面)은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태인군 군내면(郡內面), 인곡면(仁谷面), 흥천면(興川面)을 합하여 만들어졌다. 면의 이름은 옛 태인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태인면의 관할 구역 변천은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 (태인군)신 행정구역 (정읍군 태인면)
군내면(郡內面) 구오리 일부/육리 일부/십일리 일부/거산리 일부/(동촌면)신성리 일부/정동리 일부, 백산리/장동/원동 일부/(인곡면)이암리 일부/장수동/(북촌면)일리 일부, 사창리 일부/사리 일부/육리 일부/칠리 일부/십리 일부/십일리 일부, 신기리 일부/용정리 일부/청석동 일부/오리 일부/육리 일부/십리 일부/십일리 일부/거산리 일부/내이리 일부/(고부군 벌미면)덕촌 일부/화천리 일부/회룡리 일부, 홍문리/쌍갈리 일부/사리 일부/오리 일부/칠리 일부/거산리 일부거산리, 백산리, 태성리, 태창리, 태흥리
인곡면(仁谷面) 왕림리/서주동/고천리/관동/녹동/(군내면)쌍갈리 일부/(옹지면)소일리 일부, 구정리/박동리 일부/박서리 일부/(흥천면)궁서리 일부/(군내면)원동 일부/천오리 일부/여율리 일부, 상증리/하증리고천리, 박산리, 증산리
흥천면(興川面) 강삼리/궁사리 일부/외신리 일부/외이리 일부/(인곡면)이암리 일부/(군내면)원동 일부/(북촌면)일리 일부/구사동 일부/(고부군 벌미면)강신리 일부, 내이리 일부/외이리 일부/외신리 일부/낙양리 일부/용정리 일부/하일리 일부/(군내면)신기리 일부, 천신리/왕천리/하일리 일부/(인곡면)박동리 일부/박서리 일부/낙양리 일부/(군내면)신기리 일부/천오리 일부/청석동 일부궁사리, 낙양리, 오봉리


3. 2. 보림면 (寶林面)

寶林面중국어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태인군 서촌면과 남촌이변면을 통합하여 만들어진 면이다. 면의 이름은 보림사(寶林寺)에서 따왔다.[1]

통합 당시 보림면에는 태서리, 마정리, 보림리, 매계리, 오류리, 태남리가 포함되었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태인군 서촌면 구사리/복호동/성재동 일부/주산리 일부/서재리 일부/분동 일부/(고부군 벌미면)덕촌 일부/(고부군 장순면)상학리 일부정읍시 보림면 태서리
태인군 남촌이변면 마정리/연지동/평촌리 일부/오류촌 일부/(서촌면)태곡리 일부/월천리/(정읍군 북면)태곡리 일부, 가정리/상유리/하유리/입점리/구곡리/평촌리 일부/(남촌일변면)남기리 일부, 중산리/하삼리/상산리 일부/분동 일부/(서촌면)과학치 일부/(고현내면)삼리 일부, 오류촌 일부/상산리 일부/장재동 일부/(서촌면)과학치 일부, 덕두리 일부/장재동 일부/(서촌면)과학치 일부/(고현내면)이리 일부/삼리 일부정읍시 보림면 마정리, 보림리, 매계리, 오류리, 태남리


3. 3. 용북면 (龍北面)

龍北面한국어은 1914년 일제가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태인군 북촌면(北村面)과 용산면(龍山面)을 합하여 만들어졌다. 면의 이름은 두 면의 이름(북, 용)을 따서 지어졌다.[1]

1914년 당시 용북면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은 아래 표와 같다.

1914년 당시 행정구역현재 행정구역
북촌면(北村面) 일리 일부/이리 일부/구사동 일부/(인곡면)이암리 일부정읍시 용북면
북촌면(北村面) 표천리/상삼리 일부/하삼리 일부/사리 일부/구사동 일부
북촌면(北村面) 제용리 일부/신흥리 일부/(용산면)우항리 일부/괴동 일부/양촌리 일부
북촌면(北村面) 점촌리/사리 일부/요동 일부/오리 일부
북촌면(北村面) 오리 일부/하삼리 일부/신흥리 일부/제용리 일부/(용산면)우항리 일부
용산면(龍山面) 신덕리 일부/화호리 일부/정자리 일부
용산면(龍山面) 대촌리/두동/괴동 일부/양촌리 일부/장군리 일부/(북촌면)신흥리 일부/(고부군 답내면)두전리 일부
용산면(龍山面) 장군리 일부/육동 일부
용산면(龍山面) 정천동/상서동/신곡동/청당리/(김제군 부량면)신평리 일부
용산면(龍山面) 화호리 일부/정자리 일부/신덕리 일부


3. 4. 옹동면 (瓮東面)

옹동면(瓮東面)은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태인군 동촌면(東村面)과 옹지면(瓮池面)을 합하여 만들어진 면이다. 면의 이름은 두 면의 이름에서 한 자씩 따와 지어졌다.[1]

1914년 당시 옹동면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태인군 동촌면(東村面) 내동리/적천리/정동리 일부/매당리 일부/신성리 일부/삼리 일부/(옹지면)내칠리 일부, 수약동/구암리/수천리/후당리/화장동/두곡리 일부/노탄리 일부/(고현내면)도산리 일부, 행정리/노탄리 일부/삼리 일부/칠전리 일부/두곡리 일부/정동리 일부/(고현내면)원촌리 일부/(남촌일변면)신제리 일부매정리, 비봉리, 산성리
태인군 옹지면(瓮池面) 송월리/용이리/호동/소일리 일부, 와룡리/덕교리/저삼리/상기리/(동촌면)노삼리, 금상리/일리/사리/두오리 일부/소일리 일부/시목리 일부, 석육리/성칠리/외칠리/시목리 일부/내칠리 일부/두오리 일부/(동촌면)매당리 일부용호리, 상산리, 오성리, 칠석리


3. 5. 감곡면 (甘谷面)

태인군 감산면(甘山面), 사곡면(師谷面), 은동면(銀洞面)을 합하여 감곡면이 되었다. 감산면과 사곡면의 이름에서 한 자씩 따와 '감곡'이라는 이름을 지었다.[1]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 감산면, 사곡면, 은동면의 관할 구역과 현재 감곡면의 행정구역은 아래 표와 같다.

구 행정구역 (1914년 이전)현재 행정구역 (감곡면)
태인군 감산면 계봉리/대삼리/신삼리/사리 일부/반룡리 일부/소이리 일부/(금구군 수류면)구암리 일부, 오리/육리/칠리/반곡리/과신리/팔리 일부/대구리 일부/소구리 일부/반룡리 일부계룡리, 통석리
태인군 사곡면 삼평리/북리 일부/하송리 일부/(금구군 남면)만복리 일부, 원방리/상곽리 일부/원중리 일부/원당리 일부/북리 일부, 상송리/하곽리/산전리/회룡리/하송리 일부/소칠리 일부/상곽리 일부/(상촌면)요동 일부, 오주리/원중리 일부, 유수리/정가리/고잔리/옥단동 일부/원당리 일부/원중리 일부/북리 일부/(은동면)명당리 일부삼평리, 승방리, 용곽리, 오주리, 유정리
태인군 은동면 소사리/신기리 일부/(감산면)팔리 일부/대구리 일부/소구리 일부/(사곡면)신감리 일부, 소일리/이리/삼리/명당리 일부/점촌 일부/(사곡면)옥단동 일부/천곡리, 산직촌/대사리/신흥리/진교리/점촌 일부/(군내면)여율리 일부, 일리/신기리 일부/(감산면)소이리 일부/반룡리 일부/(사곡면)신감리 일부/회암리대신리, 방교리, 진흥리, 화봉리


3. 6. 칠보면 (七寶面)

七寶중국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과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을 합하여 칠보산(七寶山)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1]

1914년 당시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태인군 고현내면 은석리/원촌리 일부/동촌리 일부/육리 일부/도산리 일부/(남촌일변면)삼리 일부/구제리 일부/구동, 행단리/복호리/상오리/하오리/동변리 일부/원촌리 일부/만궁리 일부/(남촌일변면)삼리 일부/흥이리, 명천리/도산리 일부/육리 일부/원촌리 일부무성리, 시산리, 와우리
태인군 남촌일변면 동막리/옥촉리/여암리/벌수리/광신리/(고현내면)만궁리 일부/세유리/사리/진종리/백화리, 상일리/중일리/제내리/백암리/축촌리/석정리 일부/(고현내면)이리 일부/삼리 일부/(동촌면)칠전리 일부/(남촌이변면)덕두리 일부/원두리/사제리, 석정리 일부/남기리 일부반곡리, 백암리, 수청리, 축현리


3. 7. 산외면 (山外面)

山外面중국어1914년 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1] 개편 때 태인군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산외이변면(山外二邊面)을 합하여 만들어졌다. 면의 이름은 기존의 '산외'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여 산외면이 되었다.

각 면의 상세한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태인군 산외이변면(山外二邊面) 구장리/만병리/만헌리/진계리 일부/(산내일변면)상두리/가야리, 정량동/도화동/내능리/민하동/능암리/안계리, 상엄리/하엄리/죽동/화정리/무릉리/산내리/하내리/녹동/당곡리/진계리 일부상두리, 정량리, 화죽리
태인군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상지리/하지리/동곡리/용두리 일부/평동 일부, 주곡리/야정리/공동/이치리/신배리/신암리, 사평리/하성리/신천리/평동 일부/용두리 일부/(산외이변면)운전리/노은리/척곡리동곡리, 오공리, 평사리

[1]

3. 8. 산내면 (山內面)

山內面중국어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태인군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과 산내이변면(山內二邊面)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면이다. 기존 면의 이름(산내)을 따서 산내면(山內面)이 되었다.[1]

1914년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태인군 산내이변면(山內二邊面) 대능리/용암리/능교리/문수리/상허리/하허동/구복리/감곡리, 매죽리/진삼동/용운리 일부, 원덕리/상례동/하례동, 시동/종암리/신기리/평내리/백필리/청동 일부/사리정읍군 산내면
태인군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 상탄리/용강리/하두리/사교리/상신리/영동 일부/상두리 일부/(산내이변면)용운리 일부, 내목리/외목리/양하동/마시동/상두리 일부, 여우리/하쌍리/원전리/(임실군 하운면)여우치 일부, 백운동/백여리/묵동/종성리/백학동/안성리/상이리/하이리/황토리/황학동/(산내이변면)청동 일부/용운리 일부



통합 당시 산내이변면에는 능교리(陵橋里), 매죽리(梅竹里), 예덕리(禮德里), 장금리(長金里)가, 산내일변면에는 두월리(斗月里), 목욕리(沐浴里), 종산리(宗山里), 종성리(宗聖里)가 있었다.

4. 1914년 이후 행정구역 변화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태인군은 정읍군에 흡수되었지만, 정읍군 내에서 소규모 행정구역 조정은 계속되었다.


  • 태인면(泰仁面)은 태인군 군내면(郡內面), 인곡면(仁谷面), 흥천면(興天面)을 합하여 군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보림면(寶林面)은 태인군 서촌면(西村面), 남촌이변면(南村二邊面)을 합하여 보림사(寶林寺)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용북면(龍北面)은 태인군 촌면(北村面), 산면(龍山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옹동면(瓮東面)은 태인군 촌면(東村面)과 지면(瓮池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감곡면(甘谷面)은 태인군 산면(甘山面), 사면(師谷面), 은동면(銀洞面)을 합하여 두 면(감산, 사곡)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칠보면(七寶面)은 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을 합하여 칠보산(七寶山)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산외면(山外面)은 태인군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산외이변면(山外二邊面)을 합하여 기존 면의 이름(산외)을 따서 만들었다.
  • 산내면(山內面)은 태인군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 산내이변면(山內二邊面)을 합하여 기존 면의 이름(산내)을 따서 만들었다.
[1]

5. 행정구역 명칭 유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각 면의 이름은 대부분 지역 특징, 역사적 사건, 주요 지명을 따서 지었다.


  • 태인면(泰仁面): 태인군 군내면(郡內面), 인곡면(仁谷面), 흥천면(興天面)을 합치고 군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보림면(寶林面): 태인군 서촌면(西村面), 남촌이변면(南村二邊面)을 합치고 보림사(寶林寺)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용북면(龍北面): 태인군 촌면(北村面), 산면(龍山面)을 합쳐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옹동면(瓮東面): 태인군 촌면(東村面)과 지면(瓮池面)을 합쳐 두 면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감곡면(甘谷面): 태인군 산면(甘山面), 사면(師谷面), 은동면(銀洞面)을 합쳐 두 면(감산, 사곡)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칠보면(七寶面): 태인군 고현내면(古縣內面),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을 합치고 칠보산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 산외면(山外面): 태인군 산외일변면(山外一邊面), 산외이변면(山外二邊面)을 합쳐 기존 면 이름(산외)을 따서 만들었다.
  • 산내면(山內面): 태인군 산내일변면(山內一邊面), 산내이변면(山內二邊面)을 합쳐 기존 면 이름(산내)을 따서 만들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