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세켐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세켐위는 이집트 제2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종교적 분열을 극복하고 상·하 이집트를 재통일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호루스와 세트 두 신의 상징을 모두 사용하고, 내전을 진압한 후 이름을 변경하는 등 통합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카세켐위는 엘-카브, 히에라콘폴리스, 아비도스 등지에 건축 사업을 벌였으며, 아비도스에 있는 그의 무덤은 당시 가장 오래된 석조 구조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의 사후에는 사위인 사나크트가 이집트 제3왕조를 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 - 라네브
    라네브는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세레크 이름은 태양 상형 문자를 사용하여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호루스와 세트의 균형을 유지하려던 종교적 특징을 보이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불분명하다.
  •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 - 니네체르
    니네체르는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이름이 새겨진 유물은 여러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으며, 팔레르모 석비에는 그의 통치 기간의 주요 사건과 나일강 홍수 수위가 기록되어 있고, 그의 통치 시기에는 태양 숭배 발전과 행정 시스템 변화가 있었으며, 통치 말기에는 정치적 혼란과 왕국 분열 가능성이 제기되고, 그의 무덤은 북 사카라에 위치한다.
  • 기원전 27세기 파라오 - 조세르
    조세르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이며, 사카라에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이집트 피라미드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시나이 반도 원정과 재상 임호텝의 지휘 아래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이집트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했다.
  • 기원전 27세기 파라오 - 후니
    후니는 이집트 제3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추정되며,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24년간 통치했다고 기록되어 있고, 건축 사업을 활발히 추진했으며, 그의 매장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대량 살인자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대량 살인자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카세켐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호루스 이름힘이 나타나는 자
두 번째 호루스 이름두 힘이 나타나는 자
호루스-세트 이름두 힘이 나타나는 자, 두 힘은 그 안에서 평화롭다
네브티 이름두 힘이 나타나는 자, 그들의 몸은 금으로 되어 있다
아비도스 왕 목록자자이
사카라 석판베브(에)티
토리노 왕 목록베브(에)티
통치
선왕세켐ิบ-페렌마트 또는 세트-페리브센
후왕조세르
배우자니마아트하프, 멘카 (?)
자녀조세르
헤테페르네브티
세켐케트 ?
사나크트 ?
셰프세트-이페트 ?
매장지움 엘-카브 V 무덤
재위 기간기원전 2690년경 18년
왕조제2왕조
사망일기원전 2686년
기념물
카세켐위 조각상
카세켐위 조각상, 애슈몰린 박물관
기념물슈네트 에즈 제비브
네켄 요새
기스르 엘-무디르 ?

2. 생애

카세켐위는 이집트 역사상 세레크에 호루스와 세트의 상징을 모두 사용한 독특한 왕이었다. 일부 이집트학자들은 이것이 두 파벌을 통합하려는 시도였다고 믿지만, 그의 사후 세트는 세레크에서 영구적으로 삭제되었다. 그는 자신의 조각상을 세운 것으로 알려진 가장 초기의 이집트 왕이기도 하다.

카세켐위에게는 네마타프라는 왕비가 있었으며, 이집트 제3왕조의 첫 파라오인 사나크테는 그의 사위이다.

2. 1. 통치 초기: 분열의 극복과 통합

카세켐위는 선왕의 종교적 개종으로 인한 분열을 막고 통합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의 호루스 이름은 두 신을 모두 포괄하며, 세레크에서도 호루스와 세트의 상징동물이 함께 등장한다.[7]

카세켐위는 통일 이후 내내 비주류였던 하이집트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여 선왕 시대의 혼란을 마무리했다. 북부인들은 네케브(현재의 알-카브)까지 쳐들어왔으며, 카세켐위는 이를 맞아 싸웠다. 카세켐위의 석회암 좌상에 따르면, 이때 카세켐위는 47,209명의 북부 반란자들을 죽였다.[8]

돌 항아리에 새겨진 비문에는 그가 "네크헤브 내에서 북쪽의 적과 싸웠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하이집트가 침략하여 네켄의 수도를 거의 점령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8]

세트-페리브센 왕과 카세켐위 사이에 카세켐이라는 왕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카세켐위와 동일 인물로 보는 설이 일반적이다. 동일 인물 설을 따른다면, 카세켐은 내란을 진압한 후 "두 개의 강력한 것(호루스, 세트)의 출현"이라는 의미를 가진 카세켐위로 개명했다고 여겨진다.[19] 그 때문에 왕명을 남기는 세레크에는 호루스와 세트 양쪽을 나타내는 동물이 새겨졌다.

이 시기의 석관에 "케네브의 도시에서 북쪽(하이집트)의 적과 교전한 해"라고 기록되어 있어, 남 이집트(상이집트)의 카세켐위와 북 이집트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음이 밝혀졌다. 케네브의 도시는 남 이집트의 주요 도시인 히에라콘폴리스의 나일강 맞은편 땅으로, 북 이집트 반란의 규모가 컸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카세켐위의 왕묘에서 출토된 카세켐위 상의 받침대 부분에는 북 이집트인의 쓰러진 시체가 그려져 있고, 남 이집트의 왕관을 쓰고 그 위에 걸터앉은 카세켐위의 모습은 반란 진압을 나타낸다. 다음 왕부터 세트의 이름이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그의 치세에서는 세트파의 세력이 쇠퇴했음을 알 수 있다.

2. 2. 내란 진압과 왕권 강화

카세켐위는 선왕의 종교적 개종으로 인한 분열을 막고, 이름에서도 두 신을 모두 포괄하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세레크에서도 호루스와 세트의 상징동물이 함께 등장한다.[7]

카세켐위는 통일 이후 내내 비주류였던 하이집트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여 선왕 시대의 혼란을 마무리 지었다. 카세켐위의 석회암 좌상에 따르면, 이때 카세켐위는 47,209명의 북부 반란자들을 죽였다.[8] 돌 항아리에 새겨진 비문에는 그가 “네크헤브 내에서 북쪽의 적과 싸웠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하 이집트가 침략하여 네켄의 수도를 거의 점령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8]

이 시기의 석관에는 "케네브의 도시에서 북쪽(하 이집트)의 적과 교전한 해"라고 기록되어 있어, 남 이집트(상 이집트)의 카세켐위와 북 이집트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음이 밝혀졌다. 케네브의 도시는 남 이집트의 주요 도시인 히에라콘폴리스의 나일강 맞은편 땅으로, 북 이집트 반란의 규모가 컸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카세켐위의 왕묘에서 출토된 카세켐위 상의 받침대 부분에는 북 이집트인의 쓰러진 시체가 그려져 있고, 남 이집트의 왕관을 쓰고 그 위에 걸터앉은 카세켐위의 모습은 반란 진압을 나타낸다.

세트-페리이ബ്센 왕과 카세켐위 사이에 카세켐이라는 왕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카세켐위와 동일 인물로 보는 설이 일반적이다. 동일 인물 설을 따른다면, 카세켐은 내란을 진압한 후 "두 개의 강력한 것(호루스, 세트)의 출현"이라는 의미를 가진 카세켐위로 개명했다고 여겨진다.[19] 그 때문에 왕명을 남기는 세레크에는 호루스와 세트 양쪽을 나타내는 동물이 새겨졌다.

차대 왕부터 세트의 이름이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그의 치세에서는 세트파의 세력이 쇠퇴했음을 알 수 있다.

2. 3. 건설 사업과 업적

카세켐위는 이집트 재통일 이후 상당한 건설 사업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엘-카브, 히에라콘폴리스, 아비도스에서 돌로 건축했다.[7]

카세켐위는 네켄과 아비도스 (현재는 Shunet ez Zebib으로 알려짐)에 울타리를 건설했으며, 움 엘-카아브의 묘지에 묻혔다. 그는 또한 사카라에 있는 기스 엘-무디르를 건설했을 수도 있다.[7]

돌 항아리에 새겨진 비문은 그가 “네크헤브 내에서 북쪽의 적과 싸웠다”고 기록하고 있는데,[8] 이는 하 이집트가 침략하여 네켄의 수도를 거의 점령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4. 가족 관계

카세켐위의 왕비는 네마타프(Nimaathap)였다.[9] 이집트 제3왕조의 첫 파라오인 사나크테는 카세켐위의 사위이다. 카세켐위의 아내는 왕실 자녀들의 어머니인 니마아트하프 여왕이었으며, 조세르와 조세르의 아내 헤테페르네브티의 부모였다.[9] 카세켐위의 아들들이 조세르의 뒤를 이은 두 왕인 세켐케트와 사나크트였을 가능성도 있다.[10][11]

니마아트하프는 "왕을 낳은 어머니"라는 칭호를 부여받은 북부 출신의 공주였다.[8] 카세켐위에게는 남성 왕위 계승자가 없었고, 여성 왕위 계승자인 딸 니마아트하피가 있었다. 니마아트하피는 사나크트와 혼인하였고, 사나크트는 이집트 제3왕조를 시작한다. 고대 이집트는 모계 사회였으며, 이 혼인은 사나크트의 왕위에 정통성을 부여했다.

3. 통치 기간

카세켐위는 기원전 27세기 초에 18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통치했다. 그의 통치의 정확한 날짜는 이집트 연대기에서 불분명하지만 대략 기원전 2690년부터 2670년 사이에 해당한다.

토비 윌킨슨이 팔레르모 석을 연구한 저서 《고대 이집트 왕실 연대기》에 따르면, 이 시대에 가까운 제5왕조 문서에서는 카세켐위가 17.5년 또는 거의 18년 동안 통치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5] 윌킨슨은 팔레르모 석과 관련 조각에서 이 왕의 3~6년차와 12~18년차를 기록하고 있고, 그의 마지막 해가 문서의 보존된 부분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카세켐위가 18년의 "전체 또는 부분적 연도"를 통치했다고 추정한다.[6]

가축 조사가 팔레르모 석에 따르면 제2왕조 동안 2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실시되었고 (6, 7, 8차 조사의 연도가 문서에 보존되어 있으며, 이 조사 이후의 전체 연도 포함), 따라서 카세켐위의 통치는 약 18년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또는 팔레르모 석의 주요 조각에 따르면 약 18년 2개월 23일)

4. 무덤

카세켐위의 무덤은 아비도스의 움 엘카아브 묘역에 있으며, 지금까지 발견된 석조 구조물 중 가장 오래된 것들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무덤은 길이 약 70m, 너비 10m~17m의 길쭉한 사다리꼴 모양으로, 당시 왕묘로서는 특이한 형태이다. 무덤 내부는 58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으며, 중앙 매장실은 채석된 석회암으로 만들어졌다.

카세켐위의 무덤에서 900미터 떨어진 곳에는 슈네트 엘-제비브라는 동시대의 벽돌 건조물이 있다. 이 직사각형 건물은 길이 123m, 폭 64m의 크기로,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건물의 목적은 명확하지 않지만, 만들어진 시기와 위치를 고려할 때 카세켐위의 무덤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4. 1. 무덤에서 발견된 유물

카세켐위는 기원전 2686년에 사망했다. 그의 무덤은 아비도스에 있으며, 당시로서는 독특하게 길쭉한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다. 무덤 중심부에 있는 파라오의 현실에서는 보물로 만들어진 왕의 홀과 황금잎 뚜껑이 덮인 돌 단지가 발견되었는데, 4500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도굴되지 않았다.[19]

카세켐위의 무덤은 지금까지 발견된 석조 구조물 중 가장 오래된 것들 중 하나이다. 아비도스에 지어진 이 독특하고 거대한 무덤은 움 엘카아브 묘역에서 지어진 마지막 왕족 무덤이었다(무덤 V). 사다리꼴 모양의 무덤은 길이가 약 70m이고 북쪽 끝은 너비가 17m, 남쪽 끝은 10m이다. 이 구역은 58개의 방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제1왕조의 최근 발견 이전에는, 중앙 매장실이 채석된 석회암으로 지어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 구조물로 여겨졌다. 이곳에서 발굴자들은 왕의 금과 사드의 홀, 이전의 무덤 도굴꾼들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금박 뚜껑이 있는 아름다운 작은 돌 항아리 여러 개를 발견했다. 플린더스 페트리는 에밀 아멜리노의 발굴 과정에서 제거된 여러 유물을 자세히 설명했는데, 여기에는 석기 도구, 다양한 구리 도구와 용기, 돌 용기, 곡물과 과일이 담긴 도기 용기 등이 있었다. 또한 작은 유약을 바른 물건, 홍옥수 구슬, 모형 도구, 바구니 세공품, 다량의 인장도 발견되었다.[19]

카세켐위의 무덤에서 나온 금 덮개가 있는 석회암 용기


카세켐위의 조각상, 이집트 박물관, 카이로

5. 사후

카세켐위는 남성 왕위 계승자가 없었고, 니마아트하피라는 딸이 있었다. 니마아트하피는 사나크트와 결혼하였고, 사나크트는 이집트 제3왕조를 열었다. 고대 이집트는 모계 사회였기 때문에 이 결혼은 사나크트의 왕위 계승에 정통성을 부여했다.[1]

참조

[1] 서적 The royal canon of Turin
[2] 웹사이트 Khasekhemwy's fort http://www.hierakonp[...] 2012-09-03
[3]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and Hudson Ltd 2006
[4] 서적 Handbuch der ägyptischen Königsnamen 1999
[5] 서적 Royal Annals of Ancient Egyp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6] 서적 Royal Annals of Ancient Egyp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7] 웹사이트 King Khasekhem http://www.digitaleg[...] 2006-09-01
[8] 웹사이트 Khasekhemwy {{!}} Ancient Egypt Online https://ancientegypt[...] 2021-10-07
[9] 문서
[10] 서적 'Die Königsmütter des Alten Ägypten von der Frühzeit bis zum Ende der 12. Dynastie' Harrassowitz, Wiesbaden 2001
[11]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 2001
[12]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13]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1
[14]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15]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16]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17] 문서 Sumerian King List Per
[18]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19] 문서 1999
[20] 문서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